맨위로가기

웹스터-애슈버턴 조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웹스터-애슈버턴 조약은 1842년 미국과 영국 간에 체결된 조약으로, 양국 간의 국경 문제를 해결하고 관계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조약은 1783년 파리 조약과 1818년 조약에서 확정되지 않은 동부 및 서부 국경선을 확정했으며, 메인 주와 뉴브런즈윅 주 사이의 아루스툭 전쟁으로 이어진 국경 분쟁을 해결했다. 또한, 노예 무역 근절을 위한 양국의 협력을 명시했다. 이 조약으로 미국은 메인 주 북부의 일부 영토를 영국에 할양했지만, 미네소타 주 서부 지역을 확보했다. 웹스터-애슈버턴 조약은 미국과 영국 간의 평화를 증진하고, 북미 지역의 안정에 기여했으며, 노예 무역 반대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2년 조약 - 난징 조약
    난징 조약은 1842년 영국과 청나라 간에 체결된 조약으로, 홍콩 섬 할양, 5개 항구 개방, 전쟁 배상금 지불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중국의 주권을 침해하고 반식민지 시대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 1842년 8월 - 난징 조약
    난징 조약은 1842년 영국과 청나라 간에 체결된 조약으로, 홍콩 섬 할양, 5개 항구 개방, 전쟁 배상금 지불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중국의 주권을 침해하고 반식민지 시대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 캐나다의 역사 - 비버 전쟁
    비버 전쟁은 17세기 북아메리카에서 모피 무역, 식민지 확장, 부족 간 세력 다툼으로 인해 이로쿼이 연맹과 프랑스 및 동맹 부족들 간에 벌어진 일련의 분쟁을 의미하며, 북미 원주민 사회와 프랑스-영국 식민지 경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캐나다의 역사 - 빈란드
    빈란드는 라이프 에이릭손이 북아메리카 일부 지역에 붙인 이름으로, "포도주 땅" 또는 "목초지"를 뜻하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랑스 오 메도스 유적 발견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위치는 여전히 불확실하며, 사가 기록과 고고학적 발견에도 불구하고 여러 미스터리를 남기고 있다.
웹스터-애슈버턴 조약
조약 개요
명칭웹스터-애슈버턴 조약
유형양자 조약
서명1842년 8월 9일
서명 장소워싱턴 D.C., 미국
당사국미국 (1837년)
영국
비준국미국
영국
협상가대니얼 웹스터, 미국 국무장관
알렉산더 배링, 초대 애슈버턴 남작, 영국 외교관
언어영어
주요 내용
목적미국과 캐나다 간 국경 분쟁 해결
국경 확정메인주와 뉴브런즈윅 간 국경 확정
슈피리어호우즈호 사이의 국경선 확정
노예 무역 금지미국과 영국 해군이 아프리카 연안에서 노예 무역 공동 단속
범죄인 인도미국과 캐나다 간 범죄인 인도 조항 포함
조약 관련 인물
미국 측대니얼 웹스터
영국 측알렉산더 배링, 초대 애슈버턴 남작
추가 정보
배경1812년 전쟁 이후 미국과 영국 간 국경 분쟁 지속
메인주와 뉴브런즈윅 간 국경 분쟁 심화
결과미국과 캐나다 간 국경 분쟁 해결
양국 관계 개선
참고 자료JSTOR의 웹스터-애슈버턴 조약 관련 자료

2. 배경

1783년 파리 조약과 1818년 조약에서 미국과 영국령 캐나다 사이의 국경 문제가 명확하게 해결되지 않아 지속적인 긴장과 갈등이 발생했다. 특히, 메인주뉴브런즈윅주 사이의 국경 분쟁은 애루스툭 전쟁(나무꾼 전쟁)으로 이어져 양국 간 무력 충돌 위기를 고조시켰다.[10] 캐롤라인 사건과 인디언 스트림 분쟁은 양국 간의 외교적 긴장을 더욱 심화시켰다.

19세기 초, 국제적으로 노예무역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지면서, 미국과 영국은 노예 무역 근절을 위한 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미국 국무장관 다니엘 웹스터와 영국 추밀원 고문 알렉산더 베어링은 양국 간의 현안을 해결하고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3. 주요 내용

웹스터-애슈버턴 조약은 1783년 파리 조약에서 정의된 슈피리어호와 우드 호 사이의 경계를 상세히 결정하고, 1818년 조약에서 로키 산맥까지 북위 49도선으로 정해진 국경선을 재확인했다. 또한, 공해상의 노예 무역 근절을 위한 양국 간 협력과 북미 5대호 공유에 관한 조항에 합의했다.

이 조약은 미국 국무장관 다니엘 웹스터와 영국 추밀원 고문인 초대 알렉산더 베어링이 서명했다.

아루스트룩 전쟁을 종식시키고, 캐롤라인 사건과 인디언 스트림 분쟁 문제를 해결했다. 분쟁 지역을 양국이 나누어 국경선을 확정하고, 영국은 핼리팩스 시에서 퀘벡 시까지의 전략적 경로를 확보했다. 미국은 서쪽 국경 지역에서 약간의 영토를 얻었다. 크레올 호 사건은 조약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 조약으로 인해 원래 지역 주민이었던 브레이언 (원주민)은 메인 주와 뉴브런즈윅 식민지 사이에서 땅과 민족이 나뉘는 결과를 맞았다.[2]

3. 1. 동부 국경 문제 해결

1783년 파리 조약에서 규정된 미국과 영국령 캐나다(오늘날의 캐나다) 사이의 동부 국경을 재확인하고, 구체적인 경계선을 확정했다. 메인 주와 뉴브런즈윅 주 사이의 분쟁 지역은 양국 간의 합의를 통해 분할되었으며, 영국은 핼리팩스 시에서 퀘벡 시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를 확보했다.[2] 이는 하부 캐나다가 뉴브런즈윅과 노바스코샤 주와의 겨울철 연결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영국 군이 원했던 노선이었다.

뉴욕 주와 버몬트 주 북부 국경선은 북위 45도선을 기준으로 설정되었으나, 기존 측량 오류로 인해 미국 영토 내에 건설된 포트 몽고메리(Fort Montgomery) 요새를 고려하여 일부 지역은 북위 45도선 북쪽으로 조정되었다.[2] 조약 체결 후 미국은 현장 건설을 재개했다. 새로운 프로젝트는 1812년 시대의 중단된 건설을 대체하여 포트 몽고메리(샴플레인 호)로 알려진 대규모 3차 시스템(Third System) 석조 요새로 건설되었다.[2]

인디언 스트림 분쟁으로 이어진 인디언 스트림 지역은 미국에 할당되었다.[2]

마키아스 물개섬과 인근 노스록의 소유권 문제는 명확히 해결되지 않아 여전히 분쟁 중이다.[2]

이 조약의 체결은 영국 정부가 나중에 방어 목적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포기한 암허스트버그의 포트 말든과 같은 상부 캐나다 방어 요새에 대한 여러 건설 개선 계획에 종지부를 찍었다.

동부 지역 합의. 분쟁 지역은 빨간색으로, 조약에 의해 확정된 경계는 녹색으로 표시됨.

3. 2. 서부 국경 문제 해결

1783년 파리 조약 협상에 사용된 미첼 지도의 오류로 인해 슈피리어호우즈호 사이의 그레이트레이크스 지역 경계가 불분명해졌다. 이 때문에 미네소타주의 애로우헤드 지역이 분쟁 지역이 되었고, 이전 협상으로는 해결되지 않았다.[4]

웹스터-애슈버턴 조약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계를 재조정했다. 양국은 피전강 경로를 따라 국경을 설정하기로 합의했다.[9] 이는 그랜드 포티지에서 호수를 떠나 피전강으로 육로를 따라가고, 그 강과 지류를 따라 분수령 포티지를 건너 레이니강의 지류를 거쳐 라 크루아 호, 레이니호와 강, 그리고 우즈호로 내려가는 전통적인 무역 경로였다.

또한, 이 조약은 휴런호와 슈피리어호 사이의 경계가 따라야 할 수로를 명확히 하고, 슈가 아일랜드를 미국에 할당했다.

노스웨스트 앵글의 경계선 문제도 이 조약을 통해 명확히 해결되었다. 미첼 지도의 오류로 파리 조약에서는 경계가 우즈호의 가장 북서쪽 지점에서 서쪽으로 미시시피강까지 이어진다고 명시되었지만, 실제로는 우즈호에서 서쪽으로 가는 경로는 미시시피강과 만나지 않았다. 1842년 조약은 경계를 재확인하고, 우즈호의 가장 북서쪽 지점(북위 49°23′55″, 서경 95°14′38″)에서 남쪽으로 북위 49도선과 교차할 때까지, 그리고 그 평행선을 따라 로키산맥까지 이어지도록 수정했다.

3. 3. 노예 무역 근절 협력

양국은 공해상에서의 노예 무역을 완전히 근절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합의했다.[10] 이를 위해 미국 해군과 영국 왕립 해군은 서아프리카 해안에서 공동으로 노예 무역 단속 활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이는 1820년과 1821년에 잠시 존재했던 협력 수준을 공식화한 것이다.

그러나 당시 논쟁 중이던 1841년 크리올 호 사건은 조약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 사건은 연안 노예 무역에 종사하던 미국 상선 브리그 크리올 호에서 발생한 노예 반란으로, 배는 바하마 나소 항구에 입항해야 했다. 영국/바하마 식민 당국은 1834년 영국이 식민지에서 노예 제도를 폐지한 지 7년 후였기에 나소에 남기로 선택한 128명의 노예들을 해방시켰다.[10] 미국은 노예들의 반환과 보상을 요구했지만, 1855년에 1814년 이후 양국의 청구를 다룬 1853년 청구 조약의 일환으로 합의가 이루어졌다.

웹스터-애슈버턴 조약 제10조는 인도 대상 범죄 7가지(살인, 살인미수, 해적행위, 방화, 강도, 위조, 위조지폐 유통)를 명시했지만, 노예 반란이나 반란은 포함되지 않았다.[10] 또한 미국은 캐나다로 도피한 약 12,000명의 도망 노예의 송환이나 인도를 요구하지 않았다.

이 조약은 노예 무역 억제에 대한 더 큰 협력을 제공하지는 못했다. 예를 들어, 제3국의 노예선이 미국 국기를 사기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양국은 서로의 국기를 게양한 선박을 검사할 상호 권리가 없었다. 따라서 이 조약은 당시 대서양 횡단 노예 무역 감소에 미미한 영향만을 미쳤다.

4. 조약의 영향 및 평가

1842년 웹스터-애슈버턴 조약으로 이어진 메인 주 경계 분쟁


1842년 웹스터-애슈버턴 조약으로 미국은 메인 주 북부 국경 분쟁 지역 중 약 약 12949.88km2를 영국/캐나다에 할양했지만, 약 약 18129.83km2의 야생 지역은 유지했다.[11] 또한 미국은 미네소타주-캐나다 국경 서쪽 지역에서 약 약 16834.84km2의 영토를 보상받았는데, 여기에는 슈피리어 호 서쪽의 메사비 산맥이 포함되었다.[11]

조약 비준 직후, 슈피리어 호 남쪽 해안의 원주민 오지브웨 부족들은 라 포앵트 조약을 통해 미국에 토지를 할양했다. 그러나 조약 비준 소식은 서쪽의 협상 당사자들에게 전달되지 않았고, 그랜드 포르테지 부족은 오지브웨 조약 평의회에서 누락되었다. 그랜드 포르테지 부족은 1783년 파리 조약의 세부 사항을 잘못 알고 로열 섬이 영국 영토에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오해로 1844년 미국과 그랜드 포르테지 부족 사이에 로열 섬 협정이 체결되었다.

1842년 조약 협상은 주로 애슈버턴 하우스에서 진행되었으며, 이곳은 라파예트 광장에 위치한 역사적인 장소로, 미국 국립사적지로 지정되어 있다.

다니엘 웹스터 국무장관은 조약을 더 수용하기 쉽도록 벤자민 프랭클린이 그린 지도를 공개하며, 이 지도가 1783년 파리 조약 협상 당시 분쟁 지역을 미국에 유리하게 해결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이 조약으로 뉴욕주와 캐나다 사이의 국경선이 조정되어 포트 몽고메리가 미국 영토에 포함되었다.

이 조약은 아루스투크 전쟁을 종결시키고, 캐롤라인 사건과 인디언 스트림 분쟁의 원인이 되었던 문제를 해결하였다. 분쟁 영토는 양국이 나누어 국경선을 확정하였고, 영국은 핼리팩스에서 퀘벡까지의 경로를 확보하였다.

4. 1. 긍정적 영향

웹스터-애슈버턴 조약은 미국과 영국 간의 오랜 국경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양국 관계 개선의 발판을 마련했다. 특히, 애루스툭 전쟁과 같은 무력 충돌 위기를 해소하고 북미 지역의 안정과 평화 유지에 기여했다. 또한, 노예 무역 근절을 위한 양국의 협력 의지를 보여주며 국제 사회의 노예 무역 반대 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783년 파리 조약에서 정의된 슈피리어호우즈호 사이의 경계를 상세히 결정.
  • 1818년 조약에서 정의한 국경선의 위치가 동해안에서 서쪽 로키 산맥까지 북위 49도선임을 재확인.
  • 공해상의 노예 무역을 완전히 종식하기 위해 양국이 협력.
  • 북미 5대호 공유에 관한 조항에 합의.


이 조약으로 미국과 캐나다 간의 국경 문제가 해결되면서, 인디언 스트림 분쟁과 캐롤라인 호 사건과 같은 갈등이 해소되었다. 또한, 미국은 몽고메리 요새를 포함한 일부 영토를 확보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 조약으로 인해 원래 이 지역에 거주하던 브라욘 인디언 원주민들은 미국과 영국령 캐나다로 나뉘는 아픔을 겪었다.

4. 2. 부정적 영향

웹스터-애슈버턴 조약으로 인해 유일하게 피해를 본 대상은 원래 이 지역에 거주하던 브라욘 인디언 원주민이었다.[10] 이들은 미국의 메인주와 영국령 캐나다의 뉴브런즈윅 식민지 사이에서 토지뿐만 아니라 민족까지 둘로 나뉘는 아픔을 겪어야 했다.[10]

조약 제10조는 인도 대상 범죄 7가지(살인, 살인미수, 해적행위, 방화, 강도, 위조, 위조지폐 유통)를 명시했지만, 노예 반란이나 반란은 포함되지 않았다.[10] 또한 미국은 캐나다로 도피한 약 12,000명의 도망 노예의 송환이나 인도를 요구하지 않았다.[10]

양국은 공해상 노예 무역의 종식에는 합의했지만, 당시 논쟁 중이던 1841년 크리올 사건은 다루지 않았다. 이 사건은 노예 반란으로 인해 배가 바하마 나소 항구에 입항해야 했고, 영국/바하마 식민 당국은 나소에 남기로 선택한 128명의 노예들을 해방시킨 사건이었다.[10] 미국은 노예들의 반환과 보상을 요구했지만, 1855년에 이르러서야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 조약은 미국 해군과 영국 왕립 해군이 서아프리카 해안에서 노예 무역 척결 활동을 위한 최소 수준을 규정했지만, 노예 무역 억제에 대한 더 큰 협력을 제공하지는 못했다. 예를 들어, 제3국의 노예선이 미국 국기를 사기적으로 사용하더라도 두 국가가 서로의 국기를 게양한 선박을 검사할 상호 권리는 없었다. 따라서 이 조약은 당시 대서양 횡단 노예 무역 감소에 미미한 영향만을 미쳤다.

오리건 지역의 국경 분쟁은 조약에서 다루어지지 않아, 이후 포크-애슈버턴 조약을 통해 해결해야 했다.

참조

[1] 논문 Daniel Webster and the British Experience https://www.jstor.or[...] 1973
[2] harvp 2001
[3] 웹사이트 Decision of the Arbiter, January 1831 http://www.upperstjo[...] 2017-06-26
[4] harvp 1980
[5] harvp 1980
[6] harvp 1992
[7] harvp 1980
[8] harvp 1980
[9] 웹사이트 Webster–Ashburton Treaty, Art. 2 http://www.yale.edu/[...] Yale Law School 2008-09-18
[10] harvp 1975
[11] harvp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