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리엄 샤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샤프는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재무학자로, 1934년 6월 16일에 태어났다. 그는 1990년 해리 마코위츠, 머튼 밀러와 함께 자본 자산 가격 결정 모형(CAPM)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샤프는 UCLA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랜드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워싱턴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샤프 비율을 개발하여 투자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기여했으며, Financial Engines를 공동 설립하여 퇴직 계획 투자 조언 및 관리 분야에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융경제학자 - 아모스 트버스키
    아모스 트버스키는 인지 편향 연구를 통해 인지과학과 행동경제학 발전에 기여한 이스라엘의 인지심리학자이자 수리심리학자이다.
  • 금융경제학자 - 대니얼 카너먼
    대니얼 카너먼은 1934년 텔아비브에서 태어난 심리학자이자 행동 경제학자로, 판단과 의사 결정에 대한 연구로 200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 3월에 사망했다.
  • 미국의 경제학자 - 허먼 데일리
    허먼 데일리는 정상 상태 경제 이론의 선구자이자 지속 가능한 경제 후생 지수(ISEW) 개발에 기여한 경제학자로서,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며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 미국의 경제학자 - 한스헤르만 호페
    한스-헤르만 호페는 독일 출신의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이자 철학자로, 극단적인 자유지상주의와 무정부 자본주의를 주장하며, 민주주의 비판과 사유 재산 중심의 이념 제시, 극단적인 이민 제한 주장 등으로 논란을 일으키는 인물이다.
  •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 존 포브스 내시
    미국의 수학자 존 포브스 내시는 게임 이론의 내시 균형 개념을 제시하고 미분기하학과 편미분 방정식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조현병을 극복하고 노벨 경제학상과 아벨상을 수상한 인물로, 그의 삶은 영화 《뷰티풀 마인드》로 알려졌다.
  •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윌리엄 샤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7년 윌리엄 샤프
2007년의 샤프
이름윌리엄 포사이스 샤프
원어명William Forsyth Sharpe
출생일1934년 6월 16일
출생지매사추세츠주보스턴
국적미국
분야경제학
종교(정보 없음)
경력
주요 기관윌리엄 F. 샤프 어소시에이츠
스탠퍼드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워싱턴 대학교 (1961–1968)
랜드 연구소
명예 교수스탠퍼드 대학교 경영 대학원
학력
학사UCLA
석사UCLA
박사UCLA
학문적 정보
박사 지도 교수아르멘 알치안
해리 마코위츠 (비공식)
박사 제자하워드 소신
주요 업적자본 자산 가격 결정 모형
샤프 지수
수상
주요 상훈노벨 경제학상 (1990년)
수상 설명자산 형성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일반 이론 형성에 대한 공헌

2. 초기 생애 및 학력

윌리엄 샤프[1]는 1934년 6월 16일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가 미국 육군국가 방위군에 복무했기 때문에, 가족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여러 번 이사를 다녔고, 마침내 캘리포니아주 리버사이드에 정착했다. 샤프는 리버사이드에서 어린 시절과 십 대 시절을 보냈으며, 1951년 리버사이드 폴리테크닉 고등학교를 졸업했다.[2] 이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 입학하여 의학을 공부하려 했으나, 1학년 때 전공을 변경하여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에서 경영학을 공부했다. 회계학에 흥미를 느끼지 못해 경제학으로 전공을 바꾸었다. 학부 시절 아르멘 알치안(경제학)과 J. 프레드 웨스턴(금융학) 교수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웨스턴 교수는 샤프에게 해리 마코위츠의 포트폴리오 이론을 소개했다. UCLA 재학 중 샤프는 세타 시[3] 사교 클럽과 파이 베타 카파 학회 회원이 되었다. 그는 1955년에 학사(BA), 1956년에 석사(MA), 1961년에 UCLA에서 박사(Ph.D.) 학위를 취득했다.[4]

3. 학문적 경력

1956년 윌리엄 샤프는 대학원을 졸업하고 랜드 연구소(RAND Corporation)에 입사했다. 랜드 연구소에서 근무하면서 UCLA에서 아르멘 알치안(Armen Alchian) 교수의 지도하에 박사 학위 과정을 밟았다. J. 프레드 웨스턴 교수의 제안으로 랜드 연구소의 해리 마코위츠와 긴밀히 협력하며 박사 학위 논문을 작성했다.[1]

1961년 워싱턴 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하며 자본 자산 가격 결정 모형(CAPM) 연구를 본격화했다. 1962년 "금융 저널(Journal of Finance)"에 CAPM 관련 논문을 제출했으나 처음에는 거절당했다가, 1964년에 출판되었다.[6] CAPM은 존 린트너, 얀 모신, 잭 트레이너에 의해서도 독립적으로 개발되었다.

1968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으로 옮겼다가, 1970년 스탠퍼드 대학교로 이직하여 연구 및 강의를 계속했다. 1980년 머튼 밀러의 뒤를 이어 미국 재무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3. 1. 자본 자산 가격 결정 모형 (CAPM) 개발

샤프는 랜드 연구소에서 근무하면서 해리 마코위츠와 긴밀히 협력했고, 1961년 자본 자산 가격 결정 모형(CAPM)의 초기 버전을 포함한 증권 가격의 단일 요인 모형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1961년 대학원 과정을 마친 후 워싱턴 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한 그는 자산 가격 결정의 균형 이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자본 자산 가격 결정 모형(CAPM)을 만들었다. 1962년에 CAPM을 설명하는 논문을 ''금융 저널''에 제출했지만, 처음에는 거부되었다가 편집진이 바뀐 후 1964년에 마침내 출판되었다.[6] 이와 동시에 CAPM은 존 린트너, 얀 모신, 잭 트레이너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발되었다. 샤프는 해리 마코위츠의 포트폴리오 이론을 간략화 및 실용화하여 증권의 가장 효율적으로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구하는 자본 자산 가격 모델(CAPM)을 구축했다.

3. 2. 샤프 비율

해리 마코위츠의 포트폴리오 이론을 바탕으로, 윌리엄 샤프는 투자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인 '샤프 비율'을 고안했다. 샤프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1]

: (샤프 비율) = { (펀드 수익률) - (무위험 자산 수익률) } / (펀드 표준 편차)

샤프 비율은 투자 포트폴리오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위험을 관리하면서 수익을 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위험을 감수하면서 얻는 초과 수익률(무위험 자산 수익률을 넘어서는 수익률)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준다. 샤프 비율이 높을수록, 투자 포트폴리오는 더 적은 위험으로 더 높은 수익률을 달성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1]

4. 실무 경력

샤프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강의하면서 투자 분야, 특히 포트폴리오 배분과 연금 기금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5] 그는 메릴린치웰스 파고에 컨설팅을 제공하며 금융 이론을 실제 투자 과정에 적용하는 경험을 쌓았다.[5] 1986년에는 프랭크 러셀 컴퍼니와 협력하여 연금 기금 및 재단에 자산 배분 관련 연구 및 컨설팅을 제공하는 전문 기업인 '샤프-러셀 리서치'를 설립했다.[7]

1989년, 샤프는 스탠포드 대학교 교수직에서 은퇴하고, 자신의 컨설팅 회사인 'William F. Sharpe Associates'를 설립하여 운영에 집중했다.[8] 1996년, 그는 실리콘 밸리 변호사 크레이그 W. 존슨 등과 함께 Financial Engines(NASDAQ: FNGN)를 공동 설립하여,[8] 자신의 금융 이론을 포트폴리오 관리에 적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Financial Engines는 자동화된 퇴직 계획 투자 자문 및 관리 분야의 선두 주자로 성장했으며, 2018년 현금 30억달러에 인수되었다.[9]

5. 후기 활동 및 업적

1989년, 샤프는 교직에서 은퇴하여 스탠포드 대학교의 금융 명예교수직을 유지하면서, 자신의 컨설팅 회사인 ''William F. Sharpe Associates''에 집중하기로 했다.[8] 1996년에는 스탠포드 대학교 교수 조셉 그런드페스트와 실리콘 밸리 변호사 크레이그 W. 존슨과 함께 Financial Engines(NASDAQ: FNGN)을 공동 설립했다.[8] Financial Engines는 그의 많은 금융 이론을 포트폴리오 관리에 적용하기 위해 기술을 사용한다.

오늘날 Financial Engines는 200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동화된 퇴직 계획 투자 조언 및 관리 분야의 선두주자로서, 2000억달러가 넘는 퇴직 계정을 관리하고 있으며, 1,000개 이상의 주요 기업의 직원들에게 조언 및 관리 계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8년 3월, Financial Engines는 30억달러에 인수되었다.[9]

1980년 머튼 밀러의 뒤를 이어 미국 금융 협회 회장에 취임했고, 1990년에는 해리 마코위츠, 머튼 밀러와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그는 평화와 안보를 위한 경제학자들의 이사로도 활동했다. 또한 디폴 대학교에서 인문학 명예 박사 학위, 알리칸테 대학교(스페인) 명예 박사 학위, 빈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그리고 UCLA의 최고 영예인 UCLA 메달을 수상했다.

2009년부터 샤프는 자산 배분을 최적화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며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최근 시장 행동을 활용하려는 "적응형 자산 배분" 전략을 옹호해 왔다.[10][11]

6. 주요 저서


  • Portfolio Theory and Capital Markets영어 (McGraw-Hill, 1970 및 2000)
  • Asset Allocation Tools영어 (Scientific Press, 1987)
  • Fundamentals of Investments영어 (고든 J. 알렉산더 및 제프리 베일리 공저, Prentice-Hall, 2000)
  • Investments영어 (고든 J. 알렉산더 및 제프리 베일리 공저, Prentice-Hall, 1999)
  • William F. Sharpe: Selected Works영어 (World Scientific, 2012)
  • 投資家と市場 - ポートフォリオと価格はなぜ決定されるのか일본어 (카와구치 유이치로 감수, (사)부동산 증권화 협회 부동산 금융 연구회 역, 닛케이BP사, 2008년) (원서)

7. 관련 항목

참조

[1] 웹사이트 Nobelprize 2020-04-29
[2] 웹사이트 Poly Highs Class of 1951 Left its Mark http://www.pe.com/ar[...] 2011-07-09
[3] 웹사이트 http://www.thetaxibr[...] 2020-04
[4] 웹사이트 The Seven Nobel Laureates of UCLA https://newsletter.a[...]
[5] 문서 Selected publications 1964
[6] 논문 How are the mighty fallen: Rejected classic articles by leading economists
[7] 논문 Determining a Fund's Effective Asset Mix 1988-12
[8] 웹사이트 Concept2Company Ventures https://www.c2cventu[...]
[9] 뉴스 Financial Engines, robo-advice pioneer, to be sold for $3 billion https://www.sfchroni[...]
[10] 웹사이트 FTSE AAAP Calculator https://www.ftse.com[...]
[11] 웹사이트 Adaptive asset allocation policies https://web.stanfo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