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로팝은 유럽에서 시작된 팝 음악의 한 장르이다. 1960년대 프랑스 팝과 이탈리아 팝을 기원으로, ABBA의 성공을 통해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초반에 걸쳐 전성기를 맞았다.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에는 록시트와 에이스 오브 베이스가 미국 시장에 진출하여 유로팝을 알리는 역할을 했으며, 1990년대에는 스파이스 걸스, 아쿠아 등의 그룹이 활약했다. 2000년대에는 스웨덴 팝 그룹 알카자르가 유로팝을 대표했다. 유로팝은 이탈로 디스코, 유로 디스코, 유로 하우스, 테크노, EDM 등으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음악 - MTV 유럽 뮤직 어워드
 MTV 유럽 뮤직 어워드는 MTV 네트워크에서 유럽 대중음악을 기념하기 위해 1994년 베를린에서 시작하여 매년 개최되는 음악 시상식으로, 팬 투표를 통해 수상자를 결정하며, 저스틴 비버가 최다 수상 아티스트로 기록되어 있다.
- 유럽의 음악 - 고딕 메탈
 고딕 메탈은 고딕 록의 어둡고 멜랑콜리한 분위기와 헤비 메탈의 공격성을 결합한 헤비 메탈 하위 장르로, 멜로드라마적인 가사, 다양한 보컬 스타일, 어두운 분위기가 특징이며 1990년대 초 잉글랜드 북부에서 파라다이스 로스트, 마이 다잉 브라이드, 아나테마 등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심포닉 메탈과의 결합을 통해 유럽 메탈 씬의 주류 장르가 되었다.
- 팝 음악 장르 - 내슈빌 사운드
 내슈빌 사운드는 1950년대 후반 내슈빌 음반사에서 쳇 애킨스 등을 중심으로 개발된 컨트리 음악 스타일로, 혼키통크 요소와 팝 음악의 부드러움을 결합해 현악 세션, 백킹 보컬, 크루닝 창법을 활용했으며, 컨트리폴리탄으로 진화하여 컨트리 팝에 영향을 주었다.
- 팝 음악 장르 - 어덜트 컨템포러리
 어덜트 컨템포러리는 1960년대 이지 리스닝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하위 장르로 발전했으며, 2000년대 이후 주류 음악과의 융합을 통해 팝 음악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 온 라디오 음악 형식이다.
| 유로팝 | |
|---|---|
| 장르 | |
| 스타일 | 팝 디스코 댄스 전자 | 
| 유래 | |
| 문화적 기원 | 1960년대 중후반, 유럽 | 
| 파생 장르 | |
| 파생 장르 | 디스코 폴로 K-팝 버블검 댄스 발레아릭 비트 | 
| 하위 장르 | |
| 하위 장르 | 유로 디스코 | 
| 지역적 장면 | |
| 지역적 장면 | 스칸디나비아 독일 루마니아 | 
| 관련 항목 | |
| 관련 항목 | 아티스트 목록 유로비트 틴 팝 | 
2. 역사
유로팝은 1960년대 프랑스 팝과 이탈리아 팝에서 기원했으며, 스웨디시 팝의 영향도 받았다.[7][8][9][10][11] 1970년대에는 스웨덴 그룹 ABBA가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며 장르의 확산에 크게 기여했다.[5][12] 1980년대 후반부터는 록시트와 에이스 오브 베이스 등이 미국 시장에서도 인기를 얻으며 유로팝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1990년대에는 스파이스 걸스, 아쿠아, 스텝스 등 다양한 그룹들이 등장하며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후 2000년대에도 에펠 65, 알카자르 등이 활동을 이어갔다. 한편, 이탈로 디스코나 유로 하우스와 같은 하위 장르들도 발전하며 유로팝 음악계를 풍성하게 만들었다.
2. 1. 1960년대: 기원
유로팝의 기원은 1960년대의 실비 발탕[7], 프랑스 갤[8], 미셸 폴나레프[9], 프랑수아즈 아르디[10] 등의 프랑스 팝, 지올라 친케티[11] 등의 이탈리아 팝에 있다.스웨디시 팝 뮤지션의 히트곡도 많다.
2. 2. 1970년대 ~ 1980년대 초반: ABBA의 성공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 유로팝 그룹들은 주로 유럽 대륙 국가들에서 인기를 얻었으나, 스웨덴의 4인조 그룹 ABBA (1972–1983)는 예외였다.[5] ABBA는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활동하며 수많은 히트곡을 발표했다.[12] 이들은 영국에서 20개의 톱 10 싱글과 9개의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했으며, 북미와 호주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5] 이 시기에는 스웨디시 팝 뮤지션의 히트곡도 많았다.2. 3. 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초반: 미국 시장 진출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 유로팝은 큰 인기를 누렸다. 특히 스웨덴 출신의 그룹 록시트와 에이스 오브 베이스는 미국과 영국 등 영어권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미국 주류 음악계에 유로팝을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들의 성공은 유로팝이 유럽 대륙을 넘어 세계적인 장르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되었다.2. 4. 1990년대: 전성기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에 유로팝은 매우 큰 인기를 얻었다. 스웨덴 출신의 Roxette와 Ace of Base는 미국 주류 음악 시장에서도 성공을 거두며 유로팝의 대중화를 이끌었다.1990년대는 유로팝의 전성기로 평가받으며, 많은 팝 그룹과 가수들이 유로팝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영국의 스파이스 걸스, 덴마크의 아쿠아, 영국의 Steps와 Right Said Fred, 미국의 Backstreet Boys와 같은 그룹들, 그리고 스위스 출신 가수 DJ BoBo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유럽을 넘어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는 이탈리아의 댄스 그룹 Eiffel 65가 이 장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성공을 거두었다.
2. 5.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 Eiffel 65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는 이탈리아의 댄스 그룹 에펠 65가 유로팝 장르에서 성공을 거두었다.2. 6. 2000년대: Alcazar
2000년대에는 스웨덴의 팝 그룹 알카자르가 유로팝 음악의 가장 인기 있는 대표 주자 중 하나였다.2. 7. 하위 장르의 발전
중앙 유럽에서는 이탈로 디스코 (1980년대 유로 디스코로도 알려짐)와 유로 하우스가 젊은 음악가들이 자국 및 국외에서 히트곡을 내기 위한 주요 시도였다. 이후 이탈로 디스코와 뮌헨 디스코 등은 시간이 지나면서 유로 디스코, 유로 하우스, 테크노, EDM 등으로 발전하며 변화를 거듭했다.3. 한국에서의 유로팝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 세계적으로 유로팝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한국에도 이 장르가 알려지기 시작했다. 특히 스웨덴 출신의 록시트(Roxette)와 에이스 오브 베이스(Ace of Base)는 미국을 비롯한 국제 무대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유로팝을 주류 음악계에 알렸고[5], 이는 한국 대중에게도 유로팝을 접하는 계기가 되었다.
1990년대에는 스파이스 걸스, 아쿠아, 스텝스 등의 그룹들이 유로팝의 영향을 받은 음악으로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5] 이들의 성공은 한국 내에서도 유로팝 장르의 인기를 크게 높이는 데 기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Euro-Pop Music Genre Overview - AllMusic
 
https://www.allmusic[...] 
2019-07-17
 
[2] 
간행물
 
Europop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3] 
웹사이트
 
Start Here: Your Guide To Getting Into K-Pop
 
https://www.npr.org/[...] 
2024-04-07
 
[4] 
웹사이트
 
Euro-Dance Music Genre Overview - AllMusic
 
https://www.allmusic[...] 
2024-11-14
 
[5] 
서적
 
ABBA The History
 
https://books.google[...] 
Billboard
 
2022-06-03
 
[6] 
웹사이트
 
Euro-Pop
 
http://www.allmusic.[...] 
[7] 
문서
 
「あなたのとりこ」「アイドルをさがせ」などがヒット
 
[8] 
문서
 
「夢見るシャンソン人形」がヒット
 
[9] 
문서
 
「愛の休日」など日本でのヒット曲も多数あった
 
[10] 
문서
 
「さよならを教えて」がヒット
 
[11] 
문서
 
「雨」がヒットした
 
[12] 
서적
 
ABBA The History
 
https://books.google[...] 
Billboard
 
2022-06-28
 
[13] 
간행물
 
Europop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