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탈로 디스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로 디스코는 1980년대에 유럽에서 인기를 얻은 전자 음악 장르이다. 이탈리아를 의미하는 접두사 "이탈로"가 붙었지만, 독일에서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전자 사운드, 드럼 머신, 중독성 있는 멜로디, 영어 가사가 특징이다. 1970년대 후반 조르조 모로더, 라 비욘다 등이 영향을 미쳤으며, 1983년 이탈리아 밖으로 널리 알려졌다. 이후 유로비트, 이탈로 하우스, 스페이스 디스코, 스페이스 신스, 디스코 폴로 등의 파생 장르가 생겨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스코 - 스튜디오 54
    1970년대 후반 디스코 문화의 상징이었던 뉴욕의 나이트클럽 스튜디오 54는 갈로 오페라 하우스로 시작해 나이트클럽으로 변모하여 짧은 전성기를 누렸으나 탈세 혐의로 문을 닫았고, 재개장 후 다시 문을 닫은 뒤 현재는 브로드웨이 극장으로 운영되며 나이트클럽 문화와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디스코 - 디스코 볼
    디스코 볼은 나이트클럽 등에서 화려한 분위기를 위해 천장에 설치하는 장치로, 거울로 덮인 표면이 빛을 반사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며 1970년대 디스코 열풍과 함께 대중화되어 현재까지 널리 사용된다.
  • 영국의 음악 - 포크 음악
    포크 음악은 특정 지역이나 문화의 특징을 반영하여 구전되는 민속 음악의 한 장르로, 다양한 하위 장르와 다른 음악 장르와의 연관성을 가지며, 20세기 중반 이후 컨템포러리 포크 음악으로 부흥하여 정치·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음악으로 큰 영향을 미쳤고, 현재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
  • 영국의 음악 - 영국의 국가
    영국의 국가인 "God Save the King/Queen"은 1745년 자코바이트 반란 당시 조지 2세에 대한 충성 노래로 널리 퍼지면서 국가로 자리매김했지만, 정확한 기원과 작곡가는 논란이 있으며, 현재 1절과 3절이 주로 불리고, 여러 영연방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나 종교적 내용, 군주제 찬양, 전쟁 미화에 대한 비판이 있다.
  • 이탈리아의 음악 - 칸초네
    칸초네는 이탈리아의 대중가요로, 민요에서 시작하여 칸초네 페스티벌과 같은 경연대회를 통해 발전했으며, 특히 나폴리의 피에디그롯타 축제와 산 레모 페스티벌이 명곡과 유명 가수를 배출하는 데 기여했다.
  • 이탈리아의 음악 - 유로비트
    유로비트는 1970년대 유로 디스코에서 시작되어 신시사이저를 사용하여 빠른 템포로 연주하는 팝 음악으로, 1980년대 영국에서 처음 사용된 후 일본에서 독자적인 장르로 발전하여 현재 일본 시장을 중심으로 활발히 제작되고 있다.
이탈로 디스코
장르 정보
이름이탈로 디스코
다른 이름이탈로-디스코
문화적 기원1970년대 후반 – 1980년대 초, 이탈리아
스타일적 기원유로 디스코
포스트 디스코
이탈리아 대중음악
일렉트로닉 록
신스팝
뉴 웨이브
하이-NRG
파생 장르유로비트
이탈로 하우스
이탈로 댄스
일렉트로클래시
신스웨이브
스페이스 디스코
관련 주제아티스트 및 노래 목록
아프로/코즈믹 음악

2. 어원

"이탈로 디스코"라는 용어는 독일의 베른하르트 미쿨스키가 그의 음반사 ZYX에서 발매한 컴필레이션 앨범 ''The Best of Italo-Disco''와 ''Italo Boot Mix''를 통해 대중화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1][6][5] "이탈로"는 이탈리아를 의미하는 일반적인 접두사로, 1978년 이전부터 서독에서 팝 음악 컴필레이션 앨범에 사용되었다. K-Tel 음반사의 ''Italo Top Hits''와 Ariola 레이블의 ''Italo Super Hits''가 그 예이다.[4]

이탈리아 음악 프로그램 ''디스코링''( RAI에서 제작)의 진행자들은 "이탈로 디스코"라는 용어가 생기기 전에는 이탈로 디스코 트랙을 "rock elettronico" ( 전자 록 ) 또는 "balli da discoteca" (디스코 댄스)로 불렀다.

3. 역사

1978년 라 비욘다의 "One For You, One For Me"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이탈로 디스코가 시작되었다.[4] 1970년대 후반, 조르조 모로더, 디디에 마루아니, 세론 등은 이탈로 디스코에 큰 영향을 준 인물들이다.

1983년은 히트 싱글이 자주 나오고, 다양한 레이블이 등장하면서 이탈로 디스코가 이탈리아 밖에서 널리 알려지게 된 해이다.[1][6] 1980년대 이탈로 디스코는 유럽 본토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영국 차트에 진입한 싱글은 라이언 파리의 "돌체 비타", 로라 브래니건의 "셀프 컨트롤", 발티모라의 "타잔 보이", 스파냐의 "콜 미", 사브리나의 "보이스" 등 몇몇에 불과했다. 이탈로 디스코는 펫 샵 보이즈, 이레이저, 뉴 오더와 같은 몇몇 영국 전자 음악 그룹의 음악에 영향을 주었다.[1] 1980년대 후반, 이탈로 디스코는 유럽에서 쇠퇴했지만, 1998년 모던 토킹의 재결합과 함께 독일 디스코의 부활이 시작되면서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

4. 파생 장르

이탈로 디스코는 다양한 하위 장르를 파생시켰다.


  • 유로비트: 1980년대 이후 유럽에서 이탈로 디스코의 인기가 시들해졌지만, 일본에서는 여전히 인기를 끌었다. 일본에서는 이탈로 디스코를 유로비트라고 불렀으며, 파라파라 문화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기존 이탈로 디스코 아티스트들은 일본 시장을 겨냥해 유로비트 음악을 발매하기도 했다.[1]
  • 이탈로 하우스: 1989년이탈리아에서 이탈로 디스코는 이탈로 하우스로 변화했다. 이탈로 하우스는 이탈로 디스코에 하우스 음악 요소를 결합한 장르로, 더 강렬한 비트와 "하우스" 사운드가 특징이다.[1] 미국에서는 유로댄스라고도 불렸다.[1]
  • 스페이스 디스코: 1970년대 중후반 유럽에서 나타난 디스코 음악의 한 종류이다. 신시사이저와 우주적인 사운드, 테마를 사용하여 몽환적인 분위기를 만들었다. 공상 과학 테마(우주, 로봇, 미래)를 활용했으며, 스타워즈 (1977년 중반 개봉)의 인기와 함께 공상 과학 테마에 대한 대중문화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등장했다. 1980년대 초반 이후 인기가 감소했지만, 1990년대 프렌치 하우스에 영향을 미쳤다. 멜로디보다는 우주적인 소리의 분위기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이탈로 디스코와 차이가 있다.[18]

스페이스 디스코 선구자 밴드 스페이스의 창립자 디디에 마루아니

  • 스페이스 신스: 1980년대 중반 이탈로 디스코에서 파생되어 발전했다. 주로 기악곡이며, 우주적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한다.[19]
  • 디스코 폴로: 1990년대 폴란드에서 이탈로 디스코와 러시아 민요 스타일을 융합하여 탄생했다.

4. 1. 유로비트

1980년대 이후 이탈로 디스코는 유럽에서 인기가 끝났지만, 일본에서는 여전히 인기를 끌며 유로비트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일본식 이탈로 디스코인 유로비트는 파라파라 문화를 열기도 하였고, 이에 기존 이탈로 디스코 아티스트들은 일본 시장을 목표로 유로비트 장르의 음악을 출시하고 있다.[1]

이탈로 디스코가 유럽에서 쇠퇴하면서 이탈리아와 서독 프로듀서들은 일본인의 취향에 맞춰 사운드를 조정하여 유로비트를 만들었다.[2] 이 스타일로 제작된 음악은 일본의 파라파라 문화 때문에 일본에서만 판매되며, 이탈리아 프로듀서들이 일본 시장을 위해 제작한다.[2] 가장 유명한 두 개의 유로비트 레이블은 A-Beat-C Records와 Time Records이다.[2] 전통적인 이탈로 디스코 레이블 중 하나인 S.A.I.F.A.M.은 여전히 일본을 위해 유로비트 음악을 제작하고 있다.[2]

4. 2. 이탈로 하우스

1989년이탈리아에서 이탈로 디스코는 이탈로 하우스로 진화했다. 이탈로 하우스는 이탈로 디스코의 특징에 하우스 음악의 요소를 결합한 장르로, 더 하드한 비트와 "하우스" 사운드를 특징으로 한다.[1] 미국에서는 이것을 유로댄스라고 부르기도 한다.[1] 이탈로 하우스는 하우스 음악의 악기를 이용해 이탈로 디스코를 제작하는 것이였다.[1]

4. 3. 스페이스 디스코

스페이스 디스코는 1970년대 중후반 유럽에서 등장한 디스코 음악의 한 종류이다. 신시사이저와 우주적인 사운드, 테마를 사용하여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공상 과학 테마 (우주, 로봇, 미래)를 활용하여, 스타워즈 (1977년 중반 개봉)의 인기와 함께 대중문화에서 공상 과학 테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나타났다.

스페이스 디스코의 대표적인 예로는 프랑스 밴드 스페이스의 "Just Blue"와 "Symphony" (모두 1978), Magic Fly 트랙, 1970년대와 1980년대의 Dee D. Jackson의 트랙, 그리고 린스트룀의 "I Feel Space"가 있다.[18] 가장 상업적으로 성공한 스페이스 디스코 트랙은 Meco의 "Star Wars Theme/Cantina Band" (1977)와 Dee D. Jackson의 "Automatic Lover" (1978)였다.[18]

1980년대 초반 이후에는 인기가 쇠퇴하였으나, 1990년대의 프렌치 하우스에 영향을 주었다. 스페이스 디스코는 이탈로 디스코와 유사하지만, 멜로디보다는 스페이시한 소리의 분위기에 더 중점을 둔다.[18]

4. 4. 스페이스 신스

1980년대 중반, 이탈로 디스코에서 파생된 스페이스 신스가 발전했다. 스페이스 신스는 주로 기악곡이었으며, 우주적인 사운드를 특징으로 했다.[19]

스페이스 신스는 소용돌이치는 듯한 멜로디, 변조된 신시사이저, 오케스트럴 히트, 신스 브라스 화음, 린 드럼(英語版), 우주적인 효과음, 절제된 보컬, 보코더 등을 특징으로 한다.[19]

대표적인 아티스트로는 Koto, Proxyon, Rofo, Cyber People, Hipnosis, Laserdance 등이 있다.

4. 5. 디스코 폴로

1990년대 폴란드에서 이탈로 디스코와 러시아 민요 스타일을 융합한 디스코 폴로가 탄생되었다.

5. 관련 음악 장르

이탈로 디스코는 하이-NRG, 포스트 디스코, 신스웨이브 등 다양한 장르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뉴욕시에 기반을 둔 포스트 디스코 레코드 레이블인 Emergency Records는 이탈리아 음반의 재발매 및 판매를 전문으로 했으며,[14] 카노와 Klein + M.B.O. 등의 아티스트들은 하우스 음악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9]

참조

[1] 뉴스 Scene and heard: Italo-disco https://www.theguard[...] 2008-09-01
[2] 웹사이트 Italo disco's eternal evolution https://djmag.com/fe[...] 2024-02-19
[3] 문서 Folklore that ZYX boss Bernhard Mikulski coined the term ''Italo-disco'' in 1983 was long published on Wikipedia, but is unsubstantiated; to date, reliable third-party documentation has not been found to support whether ZYX label boss Mikulski himself named it, or whether ZYX was even the first to publish the term; it could just as easily have been a descriptor people were already using before someone at ZYX picked up on it.
[4] 서적 "Italo Super Hits'' in WorldCat"
[5] 웹사이트 Various – The Best Of Italo-Disco https://www.discogs.[...] 2020-12-03
[6] 웹사이트 2011: WHAT IS ITALO DISCO?? http://thesocialseat[...] the social seattle 2012-06-07
[7] allmusic DD Sound https://www.allmusic[...]
[8] allmusic B. B. & Q. Band Artist Bio https://www.allmusic[...]
[9] 서적 The History of Italo Disco Lulu 2015
[10] 웹사이트 La Bionda http://www.sonyatv.c[...] Sonyatv.com 2012-05-03
[11] 웹사이트 Space Disco https://pitchfork.co[...] 2024-05-27
[12] 웹사이트 Dance Music 101: Space Disco http://www.discostyl[...] 2008-10-07
[13] 웹사이트 Space Disco http://pitchfork.com[...] Pitchfork Media 2012-03-13
[14] 서적 Life and Death on the New York Dance Floor, 1980–1983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5] 서적 SPIN https://books.google[...] SPIN Media LLC 1989-12
[16] 뉴스 Scene and heard: Italo-disco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2-07-14
[17] 문서 ZYXレーベルの当時代表者であったベンハード・ミクルスキ (Bernhard Mikulski) が1983年にイタロディスコというジャンルを作り出したという伝承はしばらくの間[[ウィキペディア]]で公開されてきたが、根拠がないとされる。第三者の文書ではZYXレーベルのミクルスキ本人またはレーベル内で最初にこの用語を公開したかどうかは見つかっていない。またZYXレーベルの従業員が単語として取り上げる前に、人々が既にジャンル名を付けた可能性もある。
[18] 웹사이트 Space Disco - Music Genres - Rate Your Music https://rateyourmusi[...] 2021-02-09
[19] 웹사이트 Spacesynth (aka Synthesizer Dance, Spacedance) - Music Genres - Rate Your Music https://rateyourmusi[...] 2021-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