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딘 삼인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리딘 삼인산(UTP)은 아데노신 삼인산(ATP)과 유사하게 대사 과정에서 에너지원 또는 기질 활성제로 작용하며, 특히 글리코젠 합성, 갈락토스 대사, 빌리루빈 대사, 아미노당 대사에 관여한다. UTP는 또한 세포의 P2Y 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 외 반응을 매개하며, 병원체 방어, 손상 복구, 항체 생산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리미딘다이온 - 티민
티민은 DNA의 네 가지 염기 중 하나로, 아데닌과 수소 결합을 통해 DNA 구조를 안정화시키며, DNA 복제, 돌연변이, 암 치료제 표적, 그리고 우주 기원 연구와 관련되어 있다. - 피리미딘다이온 - 지도부딘
지도부딘은 HIV 치료 및 모자 감염 예방에 사용되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로, HIV 역전사 효소를 억제하며 약물 저항성 발달을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메스꺼움, 구토, 두통 등의 부작용과 장기간 사용 시 HIV 내성이 발생할 수 있다. - 인산 에스터 - 아데노신 삼인산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아데닌, 리보스, 세 개의 인산기로 구성된 뉴클레오티드로서, 고에너지 인산 결합의 가수분해를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여 세포 과정에 사용되는 생명체의 주요 에너지 저장 및 전달 분자이며, 다양한 대사 경로를 통해 생성 및 재생될 뿐만 아니라 세포 신호 전달과 DNA 및 RNA 합성에도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 인산 에스터 -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G3P)은 해당과정, 광합성, 오탄당 인산 경로와 같은 여러 대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삼탄당 인산으로, 과당 1,6-이중인산 등으로부터 생성되거나 캘빈 회로에서 리불로스 1,5-이중인산 등으로부터 생성되며 트립토판 및 티아민 생합성에도 관여하고 당뇨병과도 관련이 있다. - 유전자 발현 - RNA 간섭
RNA 간섭은 이중가닥 RNA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과정으로, 다이서 효소에 의해 생성된 작은 간섭 RNA가 RNA 유도 침묵 복합체와 결합하여 표적 mRNA를 분해하거나 번역을 억제하며, 바이러스 방어, 발생 조절, 유전체 안정성 유지 등 다양한 기능과 응용 분야를 가진다. - 유전자 발현 -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재조합은 유성 생식 생물의 염색체 유전자 교차를 통한 유전자 재배열 현상으로, 유전적 변이를 증가시키고 유전학적 지도 작성에 활용되며,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로 이용된다.
유리딘 삼인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IUPAC명 | 유리딘 5'-(사수소 삼인산) |
계통명 | O1-{[(2R,3S,4R,5R)-5-(2,4-다이옥소-3,4-다이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3,4-다이하이드록시옥솔란-2-일]메틸} 사수소 삼인산 |
기타 이름 | UTP |
식별 | |
CAS 등록번호 | 63-39-8 |
UNII | UT0S826Z60 |
펍켐(PubChem) | 6133 |
켐블(ChEMBL) | 605653 |
메시(MeSH) 이름 | 유리딘 삼인산 |
속성 | |
분자식 | C9H15N2O15P3 |
몰 질량 | 484.141 |
외형 | 해당사항 없음 |
밀도 | 해당사항 없음 |
녹는점 | 해당사항 없음 |
끓는점 | 해당사항 없음 |
위험성 | |
주요 위험 | 해당사항 없음 |
인화점 | 해당사항 없음 |
자연 발화점 | 해당사항 없음 |
2. 물질대사에서 역할
UTP는 ATP처럼 대사 과정에서 에너지원이나 기질 활성화제로 작용하지만, 보다 특이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UTP가 기질을 활성화하면 UDP-기질 형태가 만들어지고 무기인산이 방출된다.[5] UTP는 글리코젠 합성, 갈락토스 대사, 빌리루빈 대사 및 아미노당 대사에 관여한다.
- UTP는 글루코스-1-인산을 활성화시켜 UDP-글루코스를 생성하고, 이는 글리코젠 합성의 주요 기질로 사용된다.
- 갈락토스 대사에서 활성형인 UDP-갈락토스는 UDP-글루코스로 전환된다.[5]
- UDP-글루쿠론산은 빌리루빈을 수용성인 빌리루빈 다이글루쿠로나이드로 전환시켜 체외 배출을 돕는다.[6]
2. 1. 글리코젠 합성
UTP는 ATP처럼 대사 반응에서 에너지원이나 기질 활성화제로 작용하지만, 보다 특이적인 역할을 한다. UTP가 기질을 활성화하면 UDP-기질이 형성되고 무기인산이 방출된다.[5] UDP-포도당은 글리코젠 합성 과정에 사용된다. UTP는 갈락토스 대사에도 사용되는데, 활성형인 UDP-갈락토스는 UDP-포도당으로 전환된다.[5]2. 2. 갈락토스 대사
UTP는 갈락토스 대사에 사용되며, 활성화된 형태인 UDP-갈락토스는 UDP-포도당으로 전환된다.[5][6]2. 3. 빌리루빈 대사
UTP는 갈락토스 대사에 사용되는데, 여기서 활성화된 형태인 UDP-갈락토스는 UDP-포도당으로 전환된다. UDP-글루쿠론산은 빌리루빈을 더 수용성이 큰 빌리루빈 다이글루쿠로나이드로 만드는 데 사용된다.[6]2. 4. 아미노당 대사
UTP는 ATP와 마찬가지로 대사 반응에서 에너지원 또는 기질 활성제의 역할을 하지만, 보다 구체적이다. UTP가 기질(예: 글루코스-1-인산)을 활성화하면 UDP-글루코스가 형성되고 무기 인산이 방출된다.[5]UDP-글루코스는 글리코겐 합성에 관여한다. UTP는 갈락토스 대사에 사용되며, 여기서 활성화된 형태인 UDP-갈락토스는 UDP-글루코스로 전환된다. UDP-글루쿠론산은 빌리루빈을 더욱 수용성인 빌리루빈 디글루쿠로니드로 접합하는 데 사용된다. UTP는 또한 글루코사민-1-인산과 같은 아미노당을 UDP-글루코사민으로, 그리고 ''N''-아세틸-글루코사민-1-인산을 UDP-''N''-아세틸글루코사민으로 활성화하는 데 사용된다.[6]
3. 수용체 매개에서 역할
UTP는 세포의 P2Y 수용체에 세포외 결합을 하여 반응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UTP와 UTP 유도체들을 의학에 활용하는 것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마우스에서 UTP는 P2Y4 수용체와 상호 작용하여 항체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7] 슈반종 세포에서 UTP는 손상 시 P2YP 수용체에 결합하여, 손상 복구로 이어지는 하위 신호 전달 연쇄 반응을 유도한다.[8]
3. 1. P2Y 수용체 활성화
UTP는 세포의 P2Y 수용체에 세포외 결합을 함으로써 반응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UTP와 UTP 유도체들을 의학에 활용하는 것에 대해 연구 중에 있다. UTP와 그 유도체는 인간 의학에서의 적용을 위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모델 시스템에서 병원체 방어 및 손상 복구에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 마우스에서 UTP는 P2Y4 수용체와 상호 작용하여 항체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7] 슈반종 세포에서 UTP는 손상 시 P2YP 수용체에 결합한다. 이는 결국 손상 복구로 이어지는 하위 신호 전달 연쇄 반응을 유도한다.[8]3. 2. 면역 반응 조절
UTP는 또한 세포의 P2Y 수용체에 세포 외 결합을 통해 반응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UTP와 그 유도체는 여전히 인간 의학에서의 적용을 위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모델 시스템에서 병원체 방어 및 손상 복구에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 마우스에서 UTP는 P2Y4 수용체와 상호작용하여 항체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7] 슈반종 세포에서 UTP는 손상 시 P2YP 수용체에 결합한다. 이는 결국 손상 복구로 이어지는 하위 신호 전달 연쇄 반응을 유도한다.[8]3. 3. 손상 복구
UTP는 세포의 P2Y 수용체에 세포 외 결합을 통해 반응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UTP와 그 유도체는 인간 의학에서의 적용을 위해 계속 연구되고 있다. 다양한 모델 시스템에서 병원체 방어 및 손상 복구에 UTP가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 마우스에서 UTP는 P2Y4 수용체와 상호 작용하여 항체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7] 슈반종 세포에서 UTP는 손상 시 P2YP 수용체에 결합한다. 이는 결국 손상 복구로 이어지는 하위 신호 전달 연쇄 반응을 유도한다.[8]3. 4. 의학적 활용 연구
UTP는 세포의 P2Y 수용체의 세포외 결합에 의한 반응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UTP와 UTP 유도체들을 의학에 활용하는 것에 대해 연구 중에 있다.[7]UTP와 그 유도체는 인간 의학에서의 적용을 위해 연구되고 있다. 다양한 모델 시스템에서 병원체 방어 및 손상 복구에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 마우스에서 UTP는 P2Y4 수용체와 상호 작용하여 항체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7] 슈반종 세포에서 UTP는 손상 시 P2YP 수용체에 결합한다. 이는 결국 손상 복구로 이어지는 하위 신호 전달 연쇄 반응을 유도한다.[8]
참조
[1]
서적
Principles of Medical Biochemistry
Elsevier
[2]
서적
Haper's illustrated Biochemistry
McGraw-Hill
[3]
서적
Principles of MEDICAL BIOCHEMISTRY, 4th edition
Elsevier
[4]
서적
Biochemistry, 4th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5]
서적
Harper's illustrated Biochemistry
McGraw-Hill
[6]
서적
Harper's illustrated biochemistry, 13th edition
McGraw-Hill
[7]
논문
Enhancement of antibody production against rabies virus by uridine 5′-triphosphate in mice
2014-03-01
[8]
논문
Uridine 5′-Triphosphate Promotes In Vitro Schwannoma Cell Migration through Matrix Metalloproteinase-2 Activation
2014-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