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데노신 삼인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아데닌과 리보스, 삼인산이 결합된 구조로, 생명체의 에너지 대사에 필수적인 분자이다. ATP는 고에너지 인산 결합을 통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며, 금속 양이온과 결합하여 효소 활성을 조절한다. ATP는 산화적 인산화, 광인산화, 기질 수준 인산화 등을 통해 생성되며, 세포 내 신호 전달, DNA 및 RNA 합성, 단백질 합성, 근육 수축 등 다양한 생화학적 기능에 관여한다. ATP는 또한 세포 외 신호 전달 물질로 작용하며, 일부 심장 질환 치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ATP는 1929년에 발견되었으며, 1941년 프리츠 앨버트 리프먼에 의해 세포 내 에너지 중개 물질로 제안되었고, 이후 다양한 연구를 통해 그 중요성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데노신 수용체 작용제 - 아데노신 일인산
    아데노신 일인산(AMP)은 세포 내에서 생성 및 분해되며 에너지 항상성 조절 및 세포 내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물질이다.
  • 아데노신 수용체 작용제 - 아데노신 이인산
    아데노신 이인산(ADP)은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에너지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자이며, 아데노신 삼인산(ATP)의 가수분해를 통해 생성되어 세포 호흡, 혈액 응고 등 다양한 생체 활동에 관여한다.
  • 경기력 향상 약물 - 에페드린
    에페드린은 에피네프린과 유사한 심혈관 및 기관지 확장 효과를 가진 교감신경흥분제로, 과거 기침, 코막힘, 천식 치료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대체 약물로 대체되는 추세이며, 체중 감량 효과와 메스암페타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부작용 및 약물 상호작용 위험으로 인해 규제되고 있다.
  • 경기력 향상 약물 - 부프로피온
    부프로피온은 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 재흡수 억제제로서 우울증, 금연 보조, ADHD, 성 기능 장애 개선, 체중 감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금연 시 니코틴에 대한 갈망과 금단 증상을 완화하고, 일반적인 항우울제 치료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이 적다는 특징이 있다.
  • 신경전달물질 - 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에피네프린)은 부신 수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자 신경전달물질로, 스트레스 반응인 '투쟁-도피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심박수 증가, 혈압 상승, 기관지 확장, 혈당 증가 등의 효과를 통해 신체가 위협에 대응하도록 돕고 아나필락시스나 심정지 치료에 사용된다.
  • 신경전달물질 - 세로토닌
    세로토닌은 트립토판에서 유래하는 신경전달물질로, 뇌, 혈소판, 소화기관 등에 존재하며 수면, 체온 조절, 학습 등 다양한 생리 과정에 관여하고, 세로토닌 수용체를 통해 작용하며 여러 약물의 표적이 되기도 한다.
아데노신 삼인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데노신 삼인산 구조
아데노신 삼인산
IUPAC 이름아데노신 5'-(테트라하이드로젠 삼인산)
체계적인 이름O1-{[(2R,3S,4R,5R)-5-(6-아미노-9H-퓨린-9-일)-3,4-다이하이드록시옥솔란-2-일]메틸} 테트라하이드로젠 삼인산
다른 이름아데노신 삼인산
ATP
아데노신-5'-삼인산
식별자
DrugBankDB00171
ChEBI15422
KEGGC00002
SMILESO=P(O)(O)OP(=O)(O)OP(=O)(O)OC[C@H]3O[C@@H](n2cnc1c(ncnc12)N)[C@H](O)[C@@H]3O
InChIKeyZKHQWZAMYRWXGA-KQYNXXCUBG
PubChem5957
IUPHAR 리간드1713
SMILES1c1nc(c2c(n1)n(cn2)[C@H]3[C@@H]([C@@H]([C@H](O3)COP(=O)(O)OP(=O)(O)OP(=O)(O)O)O)O)N
StdInChI1S/C10H16N5O13P3/c11-8-5-9(13-2-12-8)15(3-14-5)10-7(17)6(16)4(26-10)1-25-30(21,22)28-31(23,24)27-29(18,19)20/h2-4,6-7,10,16-17H,1H2,(H,21,22)(H,23,24)(H2,11,12,13)(H2,18,19,20)/t4-,6-,7-,10-/m1/s1
StdInChIKeyZKHQWZAMYRWXGA-KQYNXXCUSA-N
CAS 등록번호56-65-5 (유리산)
CAS 등록번호234369-07-8 (이수소 나트륨 염 수화물)
UNII8L70Q75FXE
ChEMBL14249
ChemSpider ID5742
속성
분자식C10H16N5O13P3
몰 질량507.18 g/mol
녹는점187 °C (이수소 나트륨 염, 분해)
밀도1.04 g/cm³ (이수소 나트륨 염)
pKa0.9, 1.4, 3.8, 6.5
최대 흡수 파장259 nm
흡광도ε259 = 15.4 mM-1 cm-1

2. 구조

ATP는 퓨린염기인 아데닌단당류리보스가 N-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연결된 아데노신을 기본 구조로 한다. 아데닌은 리보스의 1' 탄소 원자에 9번 질소 원자를 통해 결합하고, 리보스의 5'-히드록시기에는 인산에스터 결합에 의해 인산기가 결합하며, 추가적으로 2개의 인산기가 무수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60] 이 3개의 인산기는 리보스에 가까운 순서대로 알파(α), 베타(β), 감마(γ)로 불린다.[5]

인산기 사이의 결합은 고에너지 인산 결합이라고 불리며, 에너지적으로 불안정하다.[60] 중성 용액에서 ATP는 주로 ATP4− 형태로 존재하며, 소량의 ATP3−도 존재한다.[69]

2. 1. 금속 양이온과의 결합

ATP는 다중 음이온이며, 킬레이트성 폴리인산기를 가지고 있어 금속 양이온과 높은 친화력으로 결합한다.[69] 특히 Mg2+과의 결합은 다양한 단백질과 ATP의 상호작용에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 Mg2+에 대한 결합 상수는 9.554이다.[70] ATP-Mg2+ 상호작용의 강도 때문에 ATP는 주로 인산기의 산소 중심에 결합된 Mg2+와 복합체로 세포 내에 존재한다.[69][71]

두 번째 마그네슘 이온은 키네이스 도메인에서 ATP 결합에 중요하며,[72] Mg2+의 존재는 키네이스 활성을 조절한다.[73]

3. 화학적 특성

ATP 염은 무색 고체이다.[74] ATP는 중성 용액에서 대부분 ATP4−로 존재하며, 소량의 ATP3−가 존재한다.[6]

ATP는 아데닌리보스의 1' 탄소 원자에 9번 질소 원자를 통해 부착되고, 리보스의 5' 탄소 원자에는 삼인산기가 부착된 형태로 구성된다. 대사 작용과 관련된 많은 반응에서 아데닌과 리보스는 변하지 않지만, 삼인산기는 이인산기일인산기로 전환되어 각각 ADP와 AMP 유도체를 생성한다. 세 개의 인산기는 알파(α), 베타(β), 그리고 말단 인산기는 감마(γ)로 표시된다.[5]

퓨린 염기인 아데닌단당류리보스가 N-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결합된 아데노신을 기본 구조로 하여, 리보스의 5'-하이드록시기에 인산 에스터 결합에 의해 인산기가 결합하고, 더 나아가 인산이 2분자 연속으로 무수 결합으로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3. 1. 반응성 측면

ATP는 촉매가 없는 pH 6.8에서 7.4 사이의 수용액에서 안정하다. 보다 극단적인 pH에서는 ADP인산으로 빠르게 가수분해된다. 살아있는 세포는 ATP 농도가 ADP 농도의 5배인 평형에서 ATP와 ADP의 비율을 평형으로부터 10배의 크기로 유지한다.[75][76] 생화학적 반응에서 P-O-P 결합은 고에너지 인산 결합으로 지칭된다.[77]

ATP의 합성 및 분해 주기. 1과 2는 각각 에너지의 방출과 투입을 나타낸다.


ATP가 ADP와 무기 인산(Pi)으로 가수분해되면 3.4 kJ/mol의 자유 에너지 변화와 함께 30.5kJ/mol의 엔탈피를 방출한다.[78] 표준 상태 1M에서 ATP로부터 인산(Pi) 또는 피로인산(PPi)이 분해됨으로써 방출되는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79]

:ATP + H₂O → ADP + Pi Δ''G''° = −30.5 kJ/mol (−7.3 kcal/mol)

:ATP + H₂O → AMP + PPi Δ''G''° = −45.6 kJ/mol (−10.9 kcal/mol)

위의 축약된 화학 반응식은 좀 더 명확하게 쓰여질 수 있다. (R = 아데노실):

:[RO-P(O)2-O-P(O)2-O-PO3]4− + H₂O → [RO-P(O)2-O-PO3]3− + [PO4]3− + 2 H+

:[RO-P(O)2-O-P(O)2-O-PO3]4− + H₂O → [RO-PO3]2− + [O3P-O-PO3]4− + 2 H+

이 이미지는 −2의 전하량을 가진 기체상의 단일 마그네슘-ATP 킬레이트의 360도 회전을 보여준다.


ATP의 ADP와 무기인산으로의 가수분해

:ATP⁴⁻(aq) + H₂O(l) = ADP³⁻(aq) + HPO₄²⁻(aq) + H⁺(aq)

엔탈피 20.5kJ/mol을 방출한다. pH 7에서 1 mol/L의 표준 상태 농도에서 인산(Pi) 또는 피로인산(PPi) 단위를 ATP에서 절단하여 방출되는 자유 에너지 값은 다음과 같다.[16]

:ATP + H₂O → ADP + Pi ΔG°' = −30.5 kJ/mol (−7.3 kcal/mol)

:ATP + H₂O → AMP + PPi ΔG°' = −45.6 kJ/mol (−10.9 kcal/mol)

pH 7 근처에서 이러한 축약된 방정식은 더 명확하게 (R = 아데노실) 쓰여질 수 있다.

:[RO-P(O)₂-O-P(O)₂-O-PO₃]⁴⁻ + H₂O → [RO-P(O)₂-O-PO₃]³⁻ + [HPO₄]²⁻ + H⁺

:[RO-P(O)₂-O-P(O)₂-O-PO₃]⁴⁻ + H₂O → [RO-PO₃]²⁻ + [HO₃P-O-PO₃]³⁻ + H⁺

ADP/ATP 비율이 평형 상태에서 10배수 차이가 나는 세포질 조건에서 ΔG는 약 −57 kJ/mol이다.[12]

pH와 함께 ATP 가수분해의 자유 에너지 변화는 Mg²⁺ 농도와도 관련이 있으며, Mg²⁺ 농도가 0일 때 ΔG°' = −35.7 kJ/mol에서 [Mg²⁺] = 5 mM일 때 ΔG°' = −31 kJ/mol까지 변한다. pH 7에서 Mg²⁺ 이온이 ATP의 음전하를 띤 산소 원자에 결합하기 때문에 더 높은 농도의 Mg²⁺는 반응에서 방출되는 자유 에너지를 감소시킨다.[17]

퓨린염기인 아데닌단당류인 리보스가 N-글리코시드 결합으로 결합된 아데노신을 기본 구조로 하여, 리보스의 5'-히드록시기에 인산에스터 결합에 의해 인산기가 결합하고, 더 나아가 인산이 2분자 연속으로 무수 결합으로 결합된 구조이다. 이 인산기끼리의 결합(인산 무수 결합)은 에너지적으로 불안정하며, 이 인산기의 가수분해에 의한 절단 반응이나, 다른 분자에 인산기를 전이시키는 반응에서 에너지를 방출한다. ATP의 인산기의 가수분해나 전이 반응은 정미 자유 에너지의 감소를 수반하는 에너지 방출 반응이며, 이 의미에서 이 결합은 “고에너지 인산 결합”이라고 불린다.[60]

에너지 수지식은 다음과 같다.

반응식ΔG°’
ATP + H2O → ADP(아데노신이인산) + Pi(인산)−30.5 kJ/mol (−7.3 kcal/mol)
ATP + H2O → AMP(아데노신일인산, 아데닐산) + PPi(피로인산)−45.6 kJ/mol (−10.9 kcal/mol)



세포 내에서는 ATP 농도는 ADP의 10배 정도 높고, 인산 농도도 표준 상태 (1.0 M)보다 훨씬 낮다 (1〜10 mM 정도) 때문에, 세포 내 환경에서는 ATP의 고에너지 인산 결합의 가수분해에 따라 실제로 방출되는 에너지(자유 에너지 변화 ''ΔG'')는 더 크고, −10〜11 kcal/mol에 달한다.

4. 생합성

ATP는 해당과정, 시트르산 회로/산화적 인산화, β 산화와 같은 세포 내 여러 대사 경로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비광합성 산소 호흡 진핵생물에 의한 ATP 생산은 주로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난다.[82]

진핵생물이나 진정세균 등, 알려진 지구 생물의 모든 세포가 이용하는 해당과정에서도 ATP가 생성되므로, 지구상 생물의 체내에 널리 분포한다. 생체 내에서는 인산 1분자 또는 인산 2분자가 떨어지거나 결합함으로써 에너지의 방출·저장을 수행한다.[59]

ATP는 주로 ATP 합성효소에서 '''산화적 인산화'''와 '''광인산화'''에 의해 생성된다.

: ADP + Pi → ATP

GTP은 다음 반응식에서 ATP와 상호 변환한다.

: GTP + ADP ⇔ GDP + ATP

또한 세포 내에서는 아데닐산 키나아제의 작용에 의해 ATP, ADP, AMP가 다음 반응에 의한 평형 혼합물로서 존재하며, ATP는 ADP로부터도 일부 재생된다.

: 2 ADP ⇔ ATP + AMP

4. 1. 유산소 조건에서 ATP 생산

진핵생물에서 ATP는 주로 미토콘드리아에서 생성되며, 이는 일반적인 세포 부피의 약 25%를 차지한다.[82] ATP는 다수의 서로 다른 세포 내 대사 경로를 통해 생성될 수 있는데, 주요 경로는 다음과 같다.

경로설명ATP 생성량
해당과정포도당과 글리세롤피루브산으로 대사포도당 1분자당 2 ATP (순생산)[83]
시트르산 회로/산화적 인산화피루브산아세틸기로 산화, 시트르산 회로에서 이산화 탄소로 완전 산화시트르산 회로 1회전당 1 ATP (또는 GTP) 생성, NADH와 FADH2는 산화적 인산화에서 추가 ATP 생성[81]
베타 산화지방산아세틸-CoA로 전환아세틸-CoA는 시트르산 회로에서, NADH와 FADH2는 산화적 인산화에서 ATP 생성[86]



해당과정시트르산 회로/산화적 인산화를 합쳐 세포 호흡이라고 하며, 포도당 1분자당 약 30~32 ATP를 생성한다.[81][20]

일반적인 진핵생물 세포 내 ATP의 농도는 조직 1g당 1~10 μmol 정도이다.[18] ATP의 탈인산화와 ADP 및 AMP의 재인산화는 호기성 대사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일어난다.[19]

아데닐산 키나아제의 작용에 의해, ATP, ADP, AMP는 다음 반응에 의한 평형 혼합물로서 존재하며, ATP는 ADP로부터도 일부 재생된다.

:2 ADP ⇔ ATP + AMP (''ΔG°’'' 〜0)

4. 1. 1. 해당과정

해당과정에서 포도당과 글리세롤피루브산으로 대사된다. 해당과정은 포스포글리세르산 키네이스와 피루브산 키네이스라는 두 가지 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기질수준 인산화를 통해 포도당 1분자당 2분자의 ATP를 생성한다.[83] 2분자의 NADH도 생성되는데, NADH는 전자전달계를 통해 산화되어 ATP 생성효소에 의해 추가적인 ATP 생성을 유도한다. 해당과정의 최종 산물로 생성되는 피루브산은 피루브산 산화 과정의 기질이다.[83]

해당과정은 10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에너지 투자기(단계 1~5)를 거치면서 1분자의 포도당은 2분자의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G3P)로 전환된다. 단계 1과 단계 3에서 각각 1분자의 ATP가 투자된다. 해당과정의 단계 1과 단계 3을 "프라이밍 단계(priming steps)"라고 한다. 에너지 회수기(단계 6~10)에서는 2분자의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이 2분자의 피루브산으로 전환된다. 단계 7과 단계 10에서 각각 2분자의 ATP가 생성된다. 단계 7과 단계 10에서 ATP는 ADP로부터 생성된다. 해당과정에서 2분자의 ATP가 순생산된다. 해당과정은 나중에 ATP를 추가로 생산하기 위해 피루브산의 산화와 시트르산 회로로 연결된다.

4. 1. 2. 시트르산 회로와 산화적 인산화

미토콘드리아에서 피루브산은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에 의해 아세틸기로 산화되며, 아세틸기는 시트르산 회로에 의해 이산화 탄소로 완전 산화된다. 시트르산 회로 1회전당 2분자의 CO2, 3분자의 NADH, 1분자의 FADH2, 1분자의 ATP(또는 GTP)가 생성된다.[81] 시트르산 회로에서 생성되는 ATP(또는 GTP)는 석시닐-CoA석시닐-CoA 합성효소에 의해 석신산으로 전환되는 반응에서 기질수준 인산화를 통해 생성된다.

NADH와 FADH2산화적 인산화를 통해 추가적인 ATP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각각 NAD+와 FAD로 재활용된다.[81] NADH 1분자가 산화되면 약 2.5분자의 ATP가, FADH2 1분자가 산화되면 약 1.5분자의 ATP가 생성된다.[81] 세포 호흡으로 생성되는 ATP의 대부분은 산화적 인산화를 통해 생성된다. 시트르산 회로는 산소를 직접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산화적 인산화에서 NADH와 FADH2를 NAD+와 FAD로 전환하는데 O2가 사용되기 때문에, 산소가 없으면 시트르산 회로도 작동을 멈춘다.[82]

세포질의 NADH로부터 미토콘드리아가 ATP를 생성할 때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이 NADH와 NAD+에 대해 불투과성이기 때문에 말산-아스파르트산 왕복통로 또는 글리세롤 3-인산 왕복통로를 이용한다.[82] NADH를 직접 운반하는 대신 말산 탈수소효소가 옥살아세트산을 말산으로 전환시키고, 말산은 세포질에서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운반된다. 운반된 말산은 미토콘드리아 기질의 말산 탈수소효소에 의해 다시 옥살아세트산으로 전환되며, 이 과정에서 NADH가 생성된다. 아스파르트산 아미노기전이효소는 옥살아세트산을 아스파르트산으로 전환시키고, 아스파르트산은 운반체를 통해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가로질러 막 사이 공간으로 운반된다.[82]

산화적 인산화에서 NADH와 FADH2의 고에너지 전자가 전자전달계를 통해 전달될 때 방출되는 에너지를 이용해 미토콘드리아 기질에서 막 사이 공간으로 H+(양성자)를 능동수송한다. 이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경계로 H+ 농도 기울기(pH 차이)와 전위 차이 형태의 위치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이를 양성자 구동력이라고 한다. 이 H+의 전기화학적 기울기에 의해 H+가 막 사이 공간에서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ATP 생성효소를 통해 확산될 때 ATP가 생성된다.[84] ATP 생성효소는 1회전 할 때 3 ATP를 생성한다.

미토콘드리아에서 합성된 ATP는 대부분 세포질에서 세포 대사에 사용된다. 따라서 미토콘드리아 기질에서 만들어진 ATP는 미토콘드리아 밖으로 내보내져야 한다. 미토콘드리아 기질은 상대적으로 음전하를 띠고 세포질은 상대적으로 양전하를 띠기 때문에,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경계로 한 H+의 전기화학적 기울기는 ATP가 미토콘드리아 기질에서 세포질로 나가도록 돕는다. 미토콘드리아 밖으로 1분자의 ATP를 운반할 때마다 1H+가 소모된다. 따라서 1분자의 ATP를 만들고 밖으로 운반하려면 4H+가 필요하다.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역수송체인 ADP/ATP 전위효소는 막 사이 공간의 ADP와 미토콘드리아 기질에서 새로 합성된 ATP를 교환하는 내재성 막단백질이다.[85]

4. 1. 3. β 산화

호기성 조건에서 관련 효소보조 인자가 있으면 지방산은 아세틸-CoA로 전환된다. 이러한 대사 경로를 β 산화라고 한다.[86] β 산화의 각 사이클은 지방산 사슬을 탄소 원자 2개만큼 짧게 만들고, 아세틸-CoA 1분자, NADH 1분자, FADH2 1분자를 생성한다.[86] 아세틸-CoA는 시트르산 회로에 의해 대사되어 ATP를 생성하며, NADH와 FADH2산화적 인산화에서 ATP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86] 긴사슬 지방산의 β 산화에 의해 수십 분자의 ATP가 생성된다.[86]

4. 1. 4. 케톤증

케톤체미토콘드리아에서 산화될 때 아세토아세트산 분자당 22 ATP와 2 GTP 분자를 생성하는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87] 케톤체는 으로부터 다른 조직으로 운반되며, 아세토아세트산과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은 시트르산 회로를 통해 환원 당량(NADH and FADH2)을 생성하기 위해 아세틸-CoA로 재전환될 수 있다. 간에는 β-케토아실-CoA 전이효소(또는 싸이오포레이스)가 없기 때문에 케톤체는 간에서 연료로 사용될 수 없다.[87]

4. 2. 무산소 조건에서 ATP 생성

발효는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유기 화합물이 대사되는 과정으로, 세포 호흡에서의 산화적 인산화가 없는 기질수준의 인산화를 포함한다. 포도당이 젖산으로 산화되는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18]

:C6H12O6 → 2 CH3CH(OH)COOH + 2 ATP

무산소 호흡은 산소(O2)가 없는 상태에서의 호흡이다. 원핵생물질산염, 황산염, 이산화 탄소 등 다양한 전자수용체를 이용할 수 있다.[19]

4. 3. 뉴클레오사이드 이인산 키네이스에 의한 ATP 보충

ATP는 고에너지 인산기의 공여체로서 다른 뉴클레오사이드 삼인산을 사용하는 뉴클레오사이드 이인산 키네이스 효소군 및 ATP:구아니도-포스포트랜스퍼레이스 효소군에 의해 촉매되는 몇 가지 보충 반응을 통해 합성될 수 있다.

4. 4. 광합성에서 ATP 생성

식물에서 ATP는 엽록체의 틸라코이드 막에서 광인산화를 통해 합성된다. 광인산화는 미토콘드리아산화적 인산화와 유사하게 화학삼투적 방식으로 ATP를 합성하지만, 전자전달계를 작동시키기 위한 고에너지 전자를 만드는 데 빛에너지를 이용한다는 점이 다르다.[88] 광인산화에서 ATP 생성효소는 산화적 인산화와 같은 방식으로 ATP를 생성한다. 엽록체에서 만들어진 ATP의 일부는 캘빈 회로에서 소비된다.

4. 5. ATP 재활용

인체 내 ATP 총량은 약 0.2이다.[70] 대부분의 ATP는 ADP로부터 재활용된다.[70] 따라서 주어진 시간에 ATP + ADP 총량은 상당히 일정하게 유지된다.

사람 세포의 에너지 사용량은 하루에 100~150몰의 ATP 가수분해를 필요로 하며, 이는 약 50~75kg에 해당한다. 사람은 보통 하루 동안 자신의 몸무게만큼의 ATP를 사용하며, 각 ATP 분자는 하루에 500~750회 재활용된다.[18]

다른 자료에서는 인체 내 ATP 총량을 약 0.1mol/L로 보고 있다.[29] 이 경우에도 ATP는 주로 ADP로부터 재활용되며, ATP + ADP 총량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성인의 경우 하루에 100~150 mol/L의 ATP 가수분해가 필요하며, 이는 체중만큼의 ATP를 사용하는 것이다.[30] 각 ATP 분자는 하루에 1000~1500번 재활용되며, 초당 약 9×1020개의 분자가 재활용된다.[29]

5. 생화학적 기능

ATP는 진핵생물이나 진정세균 등, 알려진 지구 생물의 모든 세포가 이용하는 해당과정에서도 생성되는 물질이므로, 지구상 생물의 체내에 널리 분포한다. 생체 내에서는 인산 1분자 또는 인산 2분자가 떨어지거나 결합함으로써 에너지의 방출 및 저장을 수행한다.[59] 진핵생물이 지방산이나 아미노산 등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때도 ATP로 변환한 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여 여러 용도로 활용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알려진 지구 생물의 각 세포에는 보편적으로 ATP가 존재한다.

ATP는 "'''생체의 에너지 통화'''"라고도 불린다. 퓨린염기인 아데닌단당류인 리보스가 N-글리코시드 결합으로 결합된 아데노신을 기본 구조로 하며, 리보스의 5'-히드록시기에 인산에스터 결합에 의해 인산기가 결합하고, 더 나아가 인산이 2분자 연속으로 무수 결합으로 결합된 구조이다. 이 인산기끼리의 결합(인산 무수 결합)은 에너지적으로 불안정하며, 가수분해에 의한 절단 반응이나 다른 분자에 인산기를 전이시키는 반응에서 에너지를 방출한다. ATP의 인산기의 가수분해나 전이 반응은 에너지 방출 반응이며, 이 결합은 "'''고에너지 인산 결합'''"이라고 불린다.[60]

에너지 수지식은 다음과 같다.

ATP + H2O → ADP(아데노신이인산) + Pi(인산)ΔG°’ = −30.5 kJ/mol (−7.3 kcal/mol)
ATP + H2O → AMP(아데노신일인산, 아데닐산) + PPi(피로인산)ΔG°’ = −45.6 kJ/mol (−10.9 kcal/mol)



세포 내 환경에서 ATP의 고에너지 인산 결합의 가수분해에 따라 실제로 방출되는 에너지는 −10〜11 kcal/mol에 달한다.

ATP는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생물체의 반응 과정에 반드시 사용된다. ATP가 사용되는 반응 및 역할의 예는 다음과 같다.


  • 해당과정에서 포도당의 인산화
  • 근육근수축에서 액틴미오신의 수축
  • 능동수송에서 이온 펌프
  • 당신생, 환원적 시트르산 회로, 요소회로 등의 생합성
  • 단백질의 형태 정상화 (단백질 안정화에 관여하는 분자 샤페론도 ATP를 이용한다.)
  • 아데닐산 사이클라아제에 의해 ATP는 cAMP로 변환
  • RNA 합성의 전구체
  • 루시퍼라제 등의 발광 단백질
  • 전기뱀장어에서 볼 수 있는 근육성 발전 장치
  • 반응의 잉여 에너지 등에 의한 발열


인산기 부가는 인산기 전이 효소(키나아제)에 의해 이루어진다.

5. 1. 세포 내 신호전달

ATP는 키네이스의 기질로 작용하여 신호전달에 관여한다. 키네이스는 가장 일반적인 ATP 결합 단백질이다. 키네이스에 의한 단백질 인산화는 미토젠 활성화 단백질 키네이스(MAP kinase) 캐스케이드와 같은 캐스케이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89][90][31][32]

ATP는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신호전달 경로에서 가장 흔한 아데닐산 고리화효소의 기질이며, 세포 내 저장소에서 칼슘을 방출함으로써 칼슘 신호를 촉발하는 역할을 하는 2차 신호전달자고리형 아데노신 일인산(cAMP)으로 전환된다.[91][33] 이러한 형태의 신호전달은 뇌 기능에서 특히 중요하지만, 다른 여러 세포 과정의 조절에도 관여한다.[92][34]

5. 2. DNA와 RNA 합성

ATP는 RNA 합성에 필요한 4가지 기질 중 하나이다. RNA 합성은 RNA 중합효소에 의해 촉진된다.[93] DNA 합성 과정에서도 ATP가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인 dATP로 전환되어 사용된다.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많은 축합 반응과 마찬가지로 DNA 복제전사도 ATP를 소비한다.[35]

5. 3. 단백질 합성에서 아미노산 활성화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는 tRNA에 아미노산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ATP를 소비하여 아미노아실-tRNA 복합체를 형성한다. 아미노아실 전이효소는 AMP-아미노산을 tRNA에 결합시킨다. 이 짝지음 반응은 다음 두 단계로 진행된다.[1]

# 아미노산 + ATP → 아미노아실-AMP + PPi[1]

# 아미노아실-AMP + tRNA → 아미노아실-tRNA + AMP[1]

아미노산은 tRNA의 3' 말단(서열 CCA의 A)에 있는 뉴클레오타이드와 에스터 결합을 통해 결합한다.[1]

5. 4. ATP-결합 카세트 수송체

농도 기울기에 역행하여 세포 밖으로 물질을 운반하는 것은 종종 ATP 가수분해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운반은 ATP-결합 카세트 수송체에 의해 매개된다. 인간 게놈은 약물, 지질, 기타 화합물을 세포 밖으로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48가지의 ATP-결합 카세트 수송체를 암호화하고 있다.[94]

5. 5. 세포 외 신호전달 및 신경전달

세포는 퓨린작동성 신호전달이라는 과정에서 다른 세포와 소통하기 위해 ATP를 분비한다. ATP는 신경계의 많은 부분에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고, 혈관의 산소 공급 등에 영향을 미친다.[95][96] ATP는 통로 단백질을 통해 세포막을 통해 직접 분비되거나 세포막과 융합되는 소낭으로 펌핑된다.[97] 세포는 퓨린작동성 수용체 단백질인 P2X와 P2Y를 사용하여 ATP를 감지한다.

5. 6. 근육 수축

ATP는 근육 수축에 에너지를 공급한다.[44] 근육 수축은 액틴미오신 단백질에 의해 수행된다.[45]

ATP가 처음에 미오신에 결합한다. ATPase가 결합된 ATP를 ADP와 무기 인산으로 가수분해하면 미오신은 액틴에 결합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ADP와 Pi에 결합된 미오신은 액틴과 가교를 형성하고, 그 후 ADP와 Pi의 방출은 파워 스트로크로 에너지를 방출한다. 파워 스트로크는 액틴 필라멘트가 미오신 필라멘트를 지나 미끄러지게 하여 근육을 단축시키고 수축을 일으킨다. 그런 다음 또 다른 ATP 분자가 미오신에 결합하여 액틴으로부터 미오신을 분리하고 이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45][46]

6. 비생물적 기원

아세틸인산(AcP)은 ATP의 전구체이며, pH 7, 20 °C 및 pH 8, 50 °C에서 티오아세테이트로부터 중간 정도의 수율로 쉽게 합성될 수 있다. 하지만 아세틸인산은 서늘하고 산성 또는 중성 조건보다 따뜻하고 알칼리성 조건에서 안정성이 떨어진다. 아세틸인산은 리보뉴클레오타이드와 아미노산의 중합을 촉진할 수 없었으며, 유기 화합물의 인산화만 가능했다. Na⁺ 이온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AMP의 응집과 안정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Na⁺ 이온이 없는 조건에서 75°C 이상의 온도에서 뉴클레오타이드의 응집이 중합을 촉진할 수 있었다. AcP에 의해 촉진되는 중합은 광물 표면에서 일어날 수도 있다.[49] AcP는 ADP를 ATP로 인산화할 수 있지만, 다른 뉴클레오시드 삼인산은 AcP에 의해 인산화되지 않았다. 이는 모든 생명체가 생화학 반응을 추진하기 위해 ATP를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50]

7. ATP 유사체

생화학 실험에서 ATP 의존성 분자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ATP 유사체가 사용된다.[100] ATP 유사체는 ATP처럼 가수분해되지 않는 것들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ATP 유사체들은 ATP 결합 상태와 밀접하게 관련된 구조로 효소를 붙잡아 둔다. 아데노신 5'-γ-싸이오삼인산(adenosine 5′-γ-thiotriphosphate)은 감마 인산의 산소 중 하나가 원자로 대체된 매우 일반적인 ATP 유사체이다. 이러한 ATP 유사체는 ATP보다 매우 느린 속도로 가수분해되고, ATP 의존성 과정의 저해제로 작용한다.[100] 키네이스와 같은 ATP 의존성 효소의 저해제는 ATP 의존성 반응과 관련된 결합 부위전이 상태를 조사하는 데 필요하다.

ATP 유사체는 X선 결정학을 사용하여 다른 기질과 함께 ATP와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백질의 구조를 결정하는 데에도 종종 사용된다. 결정학적 연구에서 ATP 가수분해의 전이 상태는 바나드산 이온이 결합된 상태에 의해 모델링된다.

일부 효소는 고농도에서 상당한 속도로 ATP 유사체를 가수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ATP 유사체를 사용한 실험 결과를 해석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100]

8. 의학적 이용

ATP는 일부 심장 질환에 정맥 주사로 사용된다.[52]

유효성분으로 ATP-2Na를 배합한 내복약


ATP는 의약품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2011년 현재 조절성 안정피로 증상 개선, 소화관 기능 저하가 있는 사람의 만성 위염 증상 개선, 심부전 증상 개선, 두부 외상 후유증 증상 개선에 사용된다.[61] 2017년 현재, 일본에서는 ATP의 과립 제제만 메니에르병이나 내이 장애를 원인으로 하는 어지럼증 개선에도 사용된다.[62] 소화관 기능 저하가 있는 사람의 만성 위염에 대해서는 경증 환자의 자각 증상 개선에 유효했다고 여겨진다.[63]

9. 역사

1929년 카를 로만(Karl Lohmann)[101][102]과 옌드라시크(Jendrassik)[103], 하버드 의학대학원의 사이러스 피스크(Cyrus Fiske)와 옐라프라가다 수바로(Yellapragada Subba Rao)가 각자 독립적으로 ATP를 발견했다.[104] 이들은 인산화물에 대한 실마리를 찾기 위해 서로 경쟁했다. 초기에는 ATP가 에너지 통화가 아니라 인산 공여체의 일부로 인식되었다.

1931년 로만(Lohmann)과 마이어호프(Meyerhof)는 해당과정에 ATP가 사용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1939년 엥겔하르트(Engelhardt) 등은 근육 수축 단백질인 미오신이 ATP 가수분해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같은 해 프리츠 알베르트 리프만(Fritz Albert Lipmann)은 ATP가 대사의 중심 역할을 한다고 제창했다.

1941년 프리츠 앨버트 리프먼은 세포에서 에너지 생성 반응과 에너지 요구 반응 사이의 중개 물질로 ATP를 제안했다.[105]

1948년 알렉산더 토드가 실험실에서 ATP를 처음으로 합성했다.[106]

1978년 피터 미첼(Peter Dennis Mitchell)은 화학삼투압 가설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1997년 폴 D. 보이어, 존 E. 워커, 옌스 크리스티안 스코우는 ATP 합성효소 연구로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07]

참조

[1] 웹사이트 Adenosine 5'-triphosphate disodium salt Product Information https://www.sigmaald[...] Sigma 2019-03-22
[2] 논문 Physiology, Adenosine Triphosphate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3-11-13
[3] 논문 Enzyme-catalyzed phosphoryl transfer reactions
[4] 서적 Wiley Encyclopedia of Chemical Biology 2008-01-01
[5] 논문 Physiology, Adenosine Triphosphate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3-09-28
[6] 논문 Concentration of MgATP2− and other ions in solution. Calculation of the true concentrations of species present in mixtures of associating ions
[7] 논문 Chelation of divalent cations by ATP, studied by titration calorimetry
[8] 논문 Magnesium in cardiac energy metabolism
[9] 논문 A second magnesium ion is critical for ATP binding in the kinase domain of the oncoprotein v-Fps
[10] 논문 Characterization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active site of a protein tyrosine kinase and a divalent metal activator
[11] 서적 The Merck Index: An Encyclopedia of Chemicals, Drugs, and Biologicals Merck
[12] 서적 Bioenergetics 3 Academic
[13] 서적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 H. Freeman
[14] 논문 The Meaning of "Reversed Electron Flow" and "High Energy Electron" in Biochemistry
[15] 논문 Thermodynamics of the hydrolysis of adenosine 5′-triphosphate to adenosine 5′-diphosphate
[16] 서적 Biochemistry W. H. Freeman
[17] 서적 Biochemistry Cengage Learning 2016-01-01
[18] 논문 The contents of adenine nucleotides, phosphagens and some glycolytic intermediates in resting muscles from vertebrates and invertebrates 1975-10-01
[19] 웹사이트 Adenosine triphosphate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3-11-11
[20] 논문 The molecular machinery of Keilin's respiratory chain
[21] 서적 Molecular Cell Biology https://archive.org/[...] W. H. Freeman
[22] 서적 Biochemistry Wiley
[23] 논문 Structure at 2.8 Å resolution of F1-ATPase from bovine heart mitochondria
[24] 논문 Acidosis Maintains the Function of Brain Mitochondria in Hypoxia-Tolerant Triplefin Fish: A Strategy to Survive Acute Hypoxic Exposure? 2019-01-01
[25] 논문 Molecular, functional, and pathological aspects of the mitochondrial ADP/ATP carrier
[26] 논문 Fatty acid metabolism as a target for obesity treatment
[27] 웹사이트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http://www.epa.gov/i[...] 2013-03-15
[28] 논문 Photosynthesis of ATP-electrons, proton pumps, rotors, and poise
[29] 서적 Pediatric Critical Care https://www.scienced[...] Elsevier 2020-05-16
[30] 서적 Pediatric Critical Care https://www.scienced[...] Elsevier 2020-05-16
[31] 논문 Structural evolution of the protein kinase-like superfamily
[32] 논문 Signaling through MAP kinase networks in plants
[33] 논문 Molecular details of cAMP generation in mammalian cells: a tale of two systems
[34] 논문 Regulation and role of adenylyl cyclase isoforms
[35] 논문 Polymerase structures and function: variations on a theme?
[36] 논문 Mammalian ABC transporters in health and disease https://pure.uva.nl/[...] 2018-04-20
[37] 논문 Chemical synapses without synaptic vesicles: Purinergic neurotransmission through a CALHM1 channel-mitochondrial signaling complex
[38] 논문 ATP release through pannexon channels
[39] 논문 Functional and Anatomical Identification of a Vesicular Transporter Mediating Neuronal ATP Release
[40] 논문 P2X and P2Y Receptors—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the Nervous System 2014-12-18
[41] 논문 Microglia monitor and protect neuronal function through specialized somatic purinergic junctions https://www.science.[...]
[42] 논문 Microglial control of neuronal development via somatic purinergic junctions
[43] 논문 Microglia contribute to neuronal synchrony despite endogenous ATP-related phenotypic transformation in acute mouse brain slices
[44] 논문 Skeletal muscle energy metabolism and fatigue during intense exercise in man https://pubmed.ncbi.[...] 1991
[45] 논문 Signaling in Muscle Contraction February 2015
[46] 웹사이트 38.17: Muscle Contraction and Locomotion - ATP and Muscle Contraction https://bio.libretex[...] 2024-05-01
[47] 논문 ATP as a biological hydrotrope 2017-05-19
[48] 논문 Proteome-wide solubility and thermal stability profiling reveals distinct regulatory roles for ATP 2019-03-11
[49] 논문 Acetyl Phosphate as a Primordial Energy Currency at the Origin of Life 2018-06-01
[50] 웹사이트 Ancient chemistry may explain why living things use ATP as the universal energy currency: An early step in metabolic evolution set the stage for emergence of ATP as the universal energy carrier https://www.scienced[...] 2023-08-27
[51] 논문 Adenosine 5′-(gamma-thiotriphosphate): an ATP analog that should be used with caution in muscle contraction studies
[52] 논문 ATPace: injectable adenosine 5′-triphosphate February 2012
[53] 논문 Über die Pyrophosphatfraktion im Muskel August 1929
[54] 논문 The Determination of Phosphorus and the Discovery of Phosphocreatine and ATP: the Work of Fiske and SubbaRow http://www.jbc.org/c[...] 2017-10-24
[55] 논문 The discovery of adenosine triphosphate and the establishment of its structure March 1991
[56] 논문 Metabolic generation and utilization of phosphate bond energy
[57] 웹사이트 History: ATP first discovered in 1929 http://nobelprize.or[...] 노벨 재단 2010-05-26
[58]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97 https://www.nobelpri[...] 2018-01-21
[59] 사전 アデノシン三リン酸(アデノシンさんりんさん) デジタル大辞泉
[60] 문서 결합 자체가 에너지를 갖는 것은 아니다. 이 화학 결합의 절단은 흡열 반응이다.
[61] 간행물 ATP腸溶錠 https://www.info.pmd[...]
[62] 간행물 ATP腸溶錠・ATP顆粒剤 http://www.kowa-souy[...]
[63] 간행물 ATP腸溶錠・ATP顆粒剤 http://www.kowa-souy[...]
[64] 논문 Identification of a vesicular nucleotide transporter 2008-04-15
[65] 문서 VNUT에 의해 신경 종말의 시냅스 소포에 운반된 ATP는 저장된 후, 외부에 방출되어 통증을 발생시키거나 혈관을 수축시키기 때문에, VNUT이 억제되면 통증·혈관 수축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66] 웹인용 Adenosine 5'-triphosphate disodium salt Product Information https://www.sigmaald[...] Sigma 2019-03-22
[67] 논문 Enzyme-catalyzed phosphoryl transfer reactions
[68] 논문 Opening and closing the metabolite gate December 2008
[69] 논문 Concentration of MgATP2− and other ions in solution. Calculation of the true concentrations of species present in mixtures of associating ions
[70] 논문 Chelation of divalent cations by ATP, studied by titration calorimetry
[71] 저널 Magnesium in cardiac energy metabolism
[72] 저널 A second magnesium ion is critical for ATP binding in the kinase domain of the oncoprotein v-Fps
[73] 저널 Characterization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active site of a protein tyrosine kinase and a divalent metal activator
[74] 서적 Merck Index 13th
[75] 서적 Bioenergetics 3 https://archive.org/[...] Academic
[76] 서적 Biochemistry W. H. Freeman
[77] 저널 The Meaning of "Reversed Electron Flow" and "High Energy Electron" in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78] 저널 Thermodynamics of the hydrolysis of adenosine 5′-triphosphate to adenosine 5′-diphosphate http://www.jbc.org/c[...] 2019-08-27
[79] 서적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 H. Freeman
[80] 저널 The contents of adenine nucleotides, phosphagens and some glycolytic intermediates in resting muscles from vertebrates and invertebrates 1975-10-01
[81] 저널 The molecular machinery of Keilin's respiratory chain
[82] 서적 Molecular Cell Biology W. H. Freeman
[83] 서적 Biochemistry Wiley
[84] 저널 Structure at 2.8 Å resolution of F1-ATPase from bovine heart mitochondria
[85] 저널 Molecular, functional, and pathological aspects of the mitochondrial ADP/ATP carrier
[86] 저널 Fatty acid metabolism as a target for obesity treatment
[87] 웹인용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http://www.epa.gov/i[...] 2013-03-15
[88] 저널 Photosynthesis of ATP-electrons, proton pumps, rotors, and poise
[89] 저널 Structural evolution of the protein kinase-like superfamily
[90] 저널 Signaling through MAP kinase networks in plants
[91] 저널 Molecular details of cAMP generation in mammalian cells: a tale of two systems
[92] 저널 Regulation and role of adenylyl cyclase isoforms https://archive.org/[...]
[93] 저널 Polymerase structures and function: variations on a theme?
[94] 저널 Mammalian ABC transporters in health and disease https://pure.uva.nl/[...]
[95] 저널 Chemical synapses without synaptic vesicles: Purinergic neurotransmission through a CALHM1 channel-mitochondrial signaling complex
[96] 저널 ATP release through pannexon channels
[97] 저널 Functional and Anatomical Identification of a Vesicular Transporter Mediating Neuronal ATP Release
[98] 저널 ATP as a biological hydrotrope 2017-05-19
[99] 저널 Proteome-wide solubility and thermal stability profiling reveals distinct regulatory roles for ATP 2019-03-11
[100] 저널 Adenosine 5′-(gamma-thiotriphosphate): an ATP analog that should be used with caution in muscle contraction studies
[101] 웹인용 Karl Lohmann http://www.nndb.com/[...] 2018-01-21
[102] 저널 Über die Pyrophosphatfraktion im Muskel 1929-08-01
[103] 저널 The Determination of Phosphorus and the Discovery of Phosphocreatine and ATP: the work of Fiske and SubbaRow http://www.jbc.org/c[...]
[104] 저널 The discovery of adenosine triphosphate and the establishment of its structure 1991-03-01
[105] 저널 Metabolic generation and utilization of phosphate bond energy
[106] 웹인용 History: ATP first discovered in 1929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10-05-26
[107] 웹인용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97 https://www.nobelpri[...] 2018-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