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명환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으로, 서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1973년 외무부에 입부했다. 2008년 2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이명박 정부의 초대 외교통상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15년에는 일본 정부로부터 욱일대수장을 수훈받았다. 2010년 딸의 외교부 채용 특혜 논란으로 장관직에서 사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정의용
정의용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외교부에서 다양한 직책을 역임하고 국회의원과 문재인 정부의 국가안보실장 및 외교부 장관을 지냈으며,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기여했으나 북한 선원 강제 북송 사건으로 기소되었다. - 이스라엘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신각수
신각수는 서울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받고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 주이스라엘 대한민국 대사, 외교통상부 제1차관 등을 역임했으며, 퇴임 후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발언과 함께 욱일대수장을 수여받았다. - 필리핀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장지량 (1924년)
장지량은 일제강점기 일본 육군사관학교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공군 창설에 기여했으며, 공군참모총장, 외교관, 대한중석광업 사장,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1997년 대한민국 성우회 회장을 지내다 2015년에 사망했다. - 필리핀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최중경
최중경은 행정고시 합격 후 재정경제부,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등에서 주요 보직을 거쳐 장관까지 역임한 경제관료 출신으로, 공직 퇴임 후에는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 기업 사외이사, 한미협회 회장 등으로 활동하는 기업인이자 대학교수이다. - 대한민국의 외교통상부 장관 - 김성환 (1953년)
김성환(1953년)은 외무고시 합격 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여러 국가의 대사를 역임하고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냈으며, 현재는 대학교수, 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외교통상부 장관 - 반기문
반기문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제8대 유엔 사무총장으로, 외교관 생활을 거쳐 유엔 사무총장으로 재임하며 국제 현안 해결에 기여하고 파리 기후 협정 체결을 이끌었으며 퇴임 후에도 국제기구에서 활동하고 있다.
| 유명환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유명환 |
| 로마자 표기 | Yu Myeonghwan |
| 한자 표기 | 柳明桓 |
| 출생일 | 1946년 4월 8일 |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 직책 | |
| 직책 |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장관 |
| 임기 시작 | 2008년 2월 29일 |
| 임기 종료 | 2010년 9월 4일 |
| 대통령 | 이명박 |
| 총리 | 한승수 국무총리 정운찬 국무총리 |
| 전임자 | 송민순 |
| 후임자 | 김성환 |
| 직책2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 |
| 임기 시작2 | 2007년 3월 23일 |
| 임기 종료2 | 2008년 3월 15일 |
| 기타 | |
| 훈장 | 욱일대수장 |
2. 생애
서울에서 출생한 유명환은 1970년 서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1973년 외무부에 들어갔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이명박 정부의 외교통상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장관 재임 중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을 진행하였으며,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을 협상에 파견하였다. 2010년 9월 4일 딸의 외교부 채용 특혜 논란으로 사퇴하였다.[1] 2015년 11월에는 일본 정부로부터 욱일대수장을 받았다.
2. 1. 초기 생애 및 외교 경력
1970년 서울대학교 행정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973년 외무부에 입부했다.[1]2008년 2월 29일, 이명박 정부의 첫 번째 외교통상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2010년 9월까지 2년 7개월간 외교부 수장 자리를 맡았다.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 당시 외교통상부 장관으로서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을 협상에 파견하였다.[1]
2010년 9월 4일, 딸의 외교부 채용 특혜 논란으로 사퇴하였다.[1]
2. 2. 외교통상부 장관 재임
1973년 외무부에 들어갔다.[1] 2008년 2월 29일 이명박 정부의 첫 외교통상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2010년 9월까지 2년 7개월간 재임하였다.[1]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 당시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을 파견하였다.[1] 2010년 9월 4일 딸의 외교부 채용 특혜 논란으로 사퇴하였다.[1]2. 3. 장관직 사퇴
2010년, 유 전 장관은 딸 유현선의 특채와 관련된 친족 등용 의혹으로 장관직에서 사퇴했다. 유현선은 외교부의 특별 채용 프로그램을 통해 중간 관리직에 채용되었다.[2]3. 주요 경력
wikitext
| 연도 | 직책 |
|---|---|
| 2019년 4월 ~ 현재 | 보다나은미래를위한 반기문재단 이사[6] |
| 2017년 1월 ~ 현재 | 재단법인 한미동맹재단 이사장 |
| 2016년 3월 ~ 2021년 3월 | 세종대학교 이사장 |
| 2013년 3월 ~ 현재 | 대양학원 이사장 |
| 2008년 2월 ~ 2010년 9월 | 외교통상부 장관 |
| 2007년 3월 | 주일본 대사관 특명전권대사 |
| 2005년 9월 | 외교통상부 제1차관 |
| 2005년 7월 | 외교통상부 제2차관 |
| 2004년 3월 | 주필리핀 대사관 대사 |
| 2002년 3월 | 주이스라엘 대사관 대사 |
| 2001년 12월 | 대테러 및 아프간 문제 담당 대사 |
| 2001년 8월 | 장관 특별보좌관 |
| 1998년 4월 | 주미국 대사관 공사 |
| 1996년 3월 | 북미국장 |
| 1995년 3월 | 대통령비서실 외교비서관 |
| 1994년 1월 | 주 국제연합 공사 |
| 1992년 8월 | 공보관 |
| 1991년 12월 | 미주국 심의관 |
| 1988년 10월 | 주 미국 참사관 |
| 1988년 1월 | 장관 보좌관 |
| 1986년 9월 | 북미 과장 |
| 1985년 5월 | 대통령비서실 파견 |
| 1981년 7월 | 주 싱가포르 1등 서기관 |
| 1979년 12월 | 대통령비서실 파견 |
| 1976년 2월 | 주일본 대사관 등서기관 |
| 1973년 7월 | 외무부 입부 (제7회 외무고시) |
| 기타 | * 한반도 평화 만들기 이사 |
3. 1. 외교 경력
旭日大綬章, 욱일대수장일본어 수훈은 2015년 11월에 받았다.| 연도 | 직책 |
|---|---|
| 1973년 7월 | 외무부 입부 (제7회 외무고시) |
| 1976년 2월 | 주일본 대사관 3등 서기관 |
| 1979년 12월 | 대통령비서실 파견 |
| 1981년 7월 | 주싱가포르 대사관 1등 서기관 |
| 1985년 5월 | 대통령비서실 파견 |
| 1986년 9월 | 북미과장 |
| 1988년 1월 | 장관 보좌관 |
| 1988년 10월 | 주미국 대사관 참사관 |
| 1991년 12월 | 미주국 심의관 |
| 1992년 8월 | 공보관 |
| 1994년 1월 | 주UN 공사 |
| 1995년 3월 | 대통령비서실 외교비서관 |
| 1996년 3월 | 북미국장 |
| 1998년 4월 | 주미국 대사관 공사 |
| 2001년 8월 | 장관 특별보좌관 |
| 2001년 12월 | 대테러 및 아프가니스탄 문제 담당 대사 |
| 2002년 3월 | 주이스라엘 대사관 특명전권대사 |
| 2004년 3월 | 주필리핀 대사관 대사 |
| 2005년 7월 | 외교통상부 제2차관 |
| 2005년 9월 | 외교통상부 제1차관 |
| 2007년 3월 | 주일본 대사관 특명전권대사 |
| 2008년 2월 | 외교통상부 장관 (2010년 9월 4일 사임) |
3. 2. 대한민국 정부 경력
- 1973년 7월: 외무부 입부 (제7회 외무고시)
- 1976년 2월: 주일본 대사관 3등 서기관
- 1979년 12월: 대통령비서실 파견
- 1981년 7월: 주싱가포르 1등 서기관
- 1985년 5월: 대통령비서실 파견
- 1986년 9월: 북미과장
- 1988년 1월: 장관 보좌관
- 1988년 10월: 주미국 대사관 참사관
- 1991년 12월: 미주국 심의관
- 1992년 8월: 공보관
- 1994년 1월: 주국제연합 공사
- 1995년 3월: 대통령비서실 외교비서관
- 1996년 3월: 북미국장
- 1998년 4월: 주미국 대사관 공사
- 2001년 8월: 장관 특별보좌관
- 2001년 12월: 대테러 및 아프가니스탄 문제 담당 대사
- 2002년 3월: 주이스라엘 대사관 특명전권대사
- 2004년 3월: 주필리핀 대사관 대사
- 2005년 7월: 외교통상부 제2차관
- 2005년 9월: 외교통상부 제1차관
- 2007년 3월: 주일본 대사관 특명전권대사
- 2008년 2월 ~ 2010년 9월: 외교통상부 장관
3. 3. 기타 경력
| 연도 | 직책 |
|---|---|
| 2019년 4월 ~ 현재 | 보다나은미래를위한 반기문재단 이사[6] |
| 2017년 1월 ~ 현재 | 재단법인 한미동맹재단 이사장 |
| 2016년 3월 ~ 2021년 3월 | 세종대학교 이사장 |
| 2013년 3월 ~ 현재 | 대양학원 이사장 |
| 2001년 12월 | 대테러 및 아프간문제 담당대사 |
| 2001년 8월 | 장관특별보좌관 |
| 1995년 3월 | 대통령비서실 외교비서관 |
| 1992년 8월 | 공보관 |
| 1988년 1월 | 장관보좌관 |
| 1973년 7월 | 외무부 입부 (제7회 외무고시) |
| 기타 | * 한반도 평화 만들기 이사 |
4. 관련 사건과 논란
유명환은 여러 사건과 논란에 연루되었다. 대표적인 사건으로는 욕설 파문, 딸의 외교부 특채,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관련 발언 등이 있다. 이러한 사건들은 그의 경력에 오점을 남겼다. 특히, 딸의 특채 사건은 '공정한 사회'를 강조했던 당시 이명박 정부의 기조와 맞지 않아 큰 비판을 받았다.
4. 1. 욕설 파문
2009년 4월 22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동의안 처리를 위해 열린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에서 천정배 민주당 의원에게 "여기 왜 들어왔어? 미친XX."라고 발언하여 국회를 폄훼하는 욕설로 큰 파문이 일었다.[7]2010년 7월 24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는 "XX들아 차라리 북으로 가라", "젊은 애들이 전쟁이냐 평화냐고 해서 한나라당을 찍으면 전쟁이고 민주당을 찍으면 평화라고 해서 다 넘어가고… 그렇게 좋으면 차라리 김정일 밑에 가서 어버이 수령하고 살아야지"라며 한나라당을 지지하지 않으면 '친북주의자'라고 매도하는 발언으로 논란이 되었다.[8][9][10]
4. 2. 유명환 딸 외교부 특채 사건
2010년 9월 3일 유명환 장관은 딸 유현선이 외교통상부 5급 사무관 특별채용에 지원하며 제출한 외국어 시험성적 증명서의 유효기간이 지나 1차 모집에서 탈락했으나, 외교부가 지원자 전원을 탈락시킨 후 2차 모집에서 새 증명서를 제출하여 합격한 사실이 알려지며 특혜 논란에 휩싸였다. 이 과정에서 심사위원 5명 중 2명이 외교부 관료였고, 응시 자격 요건이 완화되는 등 특혜 의혹이 증폭되었다. 유 장관은 딸의 특채 사실을 몰랐다고 주장했으나, 인사 라인에서는 오히려 장관 딸이기 때문에 더 엄격하게 심사했다고 해명했다.[11][12][13][14]이명박 대통령은 이 사건에 대해 개탄하며 진상 조사를 지시했고,[15] '공정한 사회'라는 이념에 어긋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또한 유 장관이 과거 아세안지역안보포럼에서 한나라당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을 친북으로 매도한 발언과 북한의 권력 세습을 빗대어 비난하는 여론이 형성되었다.[16] 이후 유 장관의 딸은 특정 인사 담당자로부터 거의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받은 사실이 드러났고, 해당 심사위원 2명은 동일인에 의해 임명되었으며 그중 한 명은 자기 자신을 임명한 것으로 밝혀져 인사 특혜 의혹이 더욱 커졌다.[17][18] 유 장관에게 딸의 지원 사실이 보고되었다는 증언이 나오면서, 유 장관이 직접 지시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었다.[19]
결국 2010년 9월 4일, 유 장관은 여론 악화로 청와대에 사의를 표명했다.[20] 9월 5일에는 홍정욱 의원이 "외시 2부 합격자의 41%가 고위 외교관 자녀"라며 특혜 채용 의혹을 제기했고,[21] 이 사건은 외교부와 행정안전부 간의 갈등으로 비화되어 10월 4일 외교통상통일위원회 국정감사 불참으로 이어졌다.[22][23] 이 파문으로 유엔 외교 업무에도 차질이 빚어졌다.[24] 유현선은 이 사건으로 인해 합격을 포기했다.[3][4]
4. 3.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관련 발언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당시 IMF 구제금융을 받게 된 한국 경제 위기에 대해, 일본이 단기 외채를 회수한 것을 계기로 여러 나라가 잇달아 한국에서 자금을 빼낸 것이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5]5. 수상
참조
[1]
웹사이트
Yu Myung-Hwan Named S.Korean Vice Foreign Minister In Reshuffle
http://goliath.ecnex[...]
AsiaPulse News
2005-07-27
[2]
뉴스
South Korea Foreign Minister Yu Myung Hwan Offers to Quit, Spokesman Says
https://www.bloomber[...]
2010-09-04
[3]
뉴스
韓国外相が辞任へ=娘の縁故採用疑惑で
http://www.jiji.com/[...]
2010-09-04
[4]
뉴스
柳明桓外交通商部長官が辞意表明、長女の採用問題で
http://japanese.yonh[...]
2010-09-04
[5]
웹사이트
【コラム】文在寅政権発の韓日関係破綻の恐怖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04-22
[6]
웹사이트
前国連事務総長の潘基文氏 グローバルイシュー扱う財団設立へ
http://www.wowkorea.[...]
[7]
뉴스인용
유명환장관, 천정배 미친X, 막말 파문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04-28
[8]
뉴스인용
“젊은 애들 북한가서 살아라” 외교당국자 막말
http://www.hani.co.k[...]
한겨레
2009-07-25
[9]
뉴스인용
“그렇게 좋으면 북한가서 살지” 정부 고위당국자 발언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2009-07-26
[10]
뉴스인용
“‘막말’ 유명환 물러나라” 정치권 시끌
http://www.hani.co.k[...]
한겨레
2009-07-26
[11]
뉴스인용
유명환 장관 딸, 외교부 단독특채 파문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9-09-02
[12]
뉴스인용
외교부, '유 장관 딸인줄 몰랐다?' 장관 자신은 "더 엄격 심사" 시인···"피 거꾸로 솟아"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13]
뉴스인용
장관 딸 위한 맞춤형 공고?…꼬리 무는 의혹들
http://news.sbs.co.k[...]
SBS
[14]
뉴스인용
"유명환 장관, 딸 특채 위해 응시전형도 바꿨다"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15]
뉴스인용
유명환 딸 논란에 MB도 '격노'…경위 파악 지시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16]
뉴스인용
유명환 딸 특채 "세습좋아? 북한가라"
http://news.mt.co.kr[...]
머니투데이
[17]
뉴스
외교부 특채때 柳장관 딸에 '노골적' 특혜(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9-06
[18]
뉴스
행안부 "유 前장관 딸 면접에서 만점 받아"
https://news.naver.c[...]
조세일보
2010-09-06
[19]
뉴스
'외교부 특채' 파문…'몸통'은 유명환 본인?
https://news.naver.c[...]
프레시안
2010-09-07
[20]
뉴스
유명환 외교 사퇴... 행안부 특감은 계속 진행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1]
뉴스인용
"외시 2부 합격자 41%, 고위 외교관 자녀"
http://news.mt.co.kr[...]
머니투데이
2010-09-05
[22]
뉴스
왜 등뒤에서 칼 꽂나 외교부 내분조짐
http://news.khan.co.[...]
[23]
뉴스
‘딸 특채’ 유명환, 강의 핑계로 국정감사 불참
http://www.hani.co.k[...]
[24]
뉴스
'유명환 파문'으로 유엔 외교 차질
http://segye.com/Ar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