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성 경구개 내파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 경구개 내파음은 국제 음성 기호에서 ʄ로 표기되며, 경구개와 혀 앞부분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유성 내파음의 일종이다. 후두를 하강시켜 성도 내에 기류를 생성하고,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아 소리를 낸다. 스와힐리어의 'j'나 신드어의 'ڄ'에서 이 소리가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파음 - 유성 치경 내파음
    유성 치경 내파음은 혀의 끝과 잇몸으로 조음되는 유성음이며, 후두를 하강시켜 기류를 생성하는 내파음이자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 통하는 통로를 막는 구강음이다.
  • 내파음 - 유성 구개수 내파음
    유성 구개수 내파음은 비폐쇄 기류 기구에 의한 흡기로 만들어지는 유성 구개수음의 일종으로, 혀 뒷부분과 연구개를 사용하여 조음하며 후두를 내려 발음한다.
유성 경구개 내파음
음성학 정보
IPA 기호ʄ
IPA 번호164
유니코드644
엑스-샘파J <
커션바움J`
브라유236
브라유2in
브라유3j
IPA 유니코드 0x0284
IPA 기호
소리
설명유성 경구개 내파음

2. 특징

2. 1. 조음 방법

2. 2. 조음 위치

3. 언어별 예시

언어방언단어IPA의미비고
풀라어[1]colspan=2 align=center|'가져가다'
콘소어[2]‘썩다/완전히 부패하다’
세르어[3]ƈaarsrr/ࢢَارْsrr'백선이 있다'/ɓ̥, ɗ̥, ʄ̊, ɓ, ɗ, ʄ/와 대조.
소말리아어[4]마이 마이어colspan="2" |
스와힐리어janasw'어제'/dʒ/와 자유 변이.
사라이키어ڄارݨ'알다'
신디어ڄِڀَ'혀'
툰니어[5]colspan="2" align=center" |'머무르다'
우어[6][7]펑시엔(cia1)'가정의'문어체


참조

[1] 서적
[2] 서적 A Grammar of Konso
[3] 서적
[4] 서적 Aspects of Maay phonology and morphology
[5] 서적
[6] 간행물 內爆音
[7] 웹사이트 吳語學堂 https://wugniu.com/s[...] 2024-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