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와힐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 해안에서 기원한 반투어군 언어로, 아랍어, 페르시아어, 힌디어, 포르투갈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현재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탄자니아, 케냐, 우간다 등 동아프리카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 또는 국어로 사용된다. 방언으로는 키웅구자, 키아무 등이 있으며, 5천만에서 1억 5천만 명 사이의 화자를 가지고 있다. 1999년 김윤진과 권명식이 편저한 스와힐리어-한국어 사전이 발행되었고, 2011년에는 장승훈이 스와힐리어 진료 사전을 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와힐리어 - 코모로어
코모로어는 코모로 제도에서 사용되는 반투어의 일종으로, 네 가지 방언으로 나뉘며 라틴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명사 부류 체계와 반투어 언어의 동사 구조를 가진다. - 케냐의 언어 - 오로모어
오로모어는 동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아프리카 전체에서 네 번째로 많은 사용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복잡한 음운 체계 및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1991년 라틴 문자 기반 쿠베 정서법이 채택되어 오로미아 주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 케냐의 언어 - 칼렌진어
칼렌진어는 케냐와 탄자니아에서 사용되는 닐로트어족의 언어이며, 다양한 하위 분류와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다른 언어와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다. - 우간다의 언어 - 구자라트어
구자라트어는 인도 구자라트 주를 중심으로 약 6천만 명이 사용하는 인도아리아어로, 12세기부터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풍부한 어휘를 가진, 인도 헌법 지정 언어이자 구자라트 주의 공용어이다. - 우간다의 언어 - 룬디어
룬디어는 키룬디, 룬지어 등으로도 불리며 부룬디의 공용어이고, 반투어군에 속하며 다양한 방언과 자음, 모음, 성조로 이루어진 음운 체계를 가지고, 접두사를 사용하는 문법과 16개의 명사 부류, 시제 등을 나타내는 동사 활용을 특징으로 한다.
스와힐리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스와힐리어 |
고유 이름 | Kiswahili |
고유 이름 로마자 표기 | Kiswahili |
고유 이름 아랍 문자 표기 | كِسوَحِيلِ |
민족 | 스와힐리 |
사용 국가 | 탄자니아 케냐 모잠비크 코모로 마요트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 지역 바주니 제도 (소말리아 일부) 소말리아 남부 (브라바네스 참조) 말라위 마다가스카르 오만 |
사용 인구 | 제1 언어: 526만 5천 80명 (2019–2023) 제2 언어: 9239만 3천 400명 (2019–2021) |
사용 시기 | 2019–2021 |
사용자 수 레이블 | 화자 |
언어 계통 색상 | 니제르콩고어족 |
어족 | 니제르콩고어족 대서양콩고어파 볼타콩고어군 베누에콩고어군 반토이드어군 남부반토이드어군 반투어군 북동부반투어군 북동해안반투어군 사바키어군 |
방언 | 브라바네스 바주니 콩고 스와힐리어 마퀘 므와니 시디 소코트라 |
조어 | '원시 스와힐리어' |
문자 체계 | 로마자 (로마자 스와힐리어 알파벳) 아랍 문자 (아랍 문자 스와힐리어 알파벳) 스와힐리어 점자 |
공용어 국가 | |
국제 기구 | |
소수 언어 사용 국가 | |
정부 기관 | |
탄자니아 | Baraza la Kiswahili la Taifa |
케냐 | Chama cha Kiswahili cha Taifa |
우간다 | Baraza la Kiswahili la Afrika Mashariki |
ISO 정보 | |
ISO 639-1 | sw |
ISO 639-2 | swa |
ISO 639-3 | swa |
언어 코드 | |
언어 코드 1 | swc |
언어 코드 1 설명 | 콩고 스와힐리어 |
언어 코드 2 | swh |
언어 코드 2 설명 | 해안 스와힐리어 |
언어 코드 3 | ymk |
언어 코드 3 설명 | 마퀘 (?) |
언어 코드 4 | wmw |
언어 코드 4 설명 | 므와니 (?) |
기타 정보 | |
링구아스피어 | 99-AUS-m |
거스리 | G.42–43; G.40.A–H (피진 및 크리올) |
글롯로그 | swah1254 |
글롯로그 참조 | 스와힐리어 (G.40) |
2. 역사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 연안 지역의 여러 민족의 모어가 되는 반투어족 중 하나이다. 수 세기에 걸친 아랍계 상인과 반투계 여러 민족의 교역 속에서 현지 반투어에 아랍어의 영향이 더해져 형성된 언어이며, 어휘의 약 50%가 아랍어에서 유래한다.[109] 그러나 아랍어의 영향은 어휘 차용에 그치고 어근은 반투어이기 때문에 피진 언어나 크리올 언어가 아니라 반투어의 하나로 분류된다. 또한 페르시아어, 독일어, 포르투갈어, 인도의 언어, 영어에서 차용한 차용어도 볼 수 있다.
모어 사용자는 잔지바르 전역과 케냐 및 탄자니아 연안에서만 사용되지만, 현재 동아프리카에서는 주로 제2언어로 수천만 명이 사용하고 있으며, 다른 모어를 가진 민족 간의 공통어 역할을 하고 있다. 탄자니아, 케냐에서는 공용어, 콩고민주공화국에서는 국어로 지정되어 있다. 우간다는 1992년 스와힐리어를 초등학교 필수 과목으로 지정했고(실태는 따르지 않고 있음), 2005년에는 동아프리카 연방 구상을 염두에 두고 공용어로 지정했다.
스와힐리어와 그 근연어는 코모로의 거의 전역(코모로어 참조), 부룬디, 르완다, 잠비아 북부, 말라위, 모잠비크, 소말리아 남부 연안 지역 일부에서도 사용된다.[110] 코모로어는 스와힐리어의 근연어이지만, 아랍어에서 차용한 요소가 더 많다.[111]
알려진 가장 오래된 스와힐리어 문서는 1711년 킬와 섬에서 아랍 문자로 쓰인 편지이다. 이것은 킬와 왕국의 술탄이 모잠비크의 포르투갈인과 현지 동맹국에게 보낸 것이다. 이 편지는 현재 인도의 고아에 있는 역사 공문서 보관소에 소장되어 있다.[114] 이 외에 알려진 가장 오래된 스와힐리어 문서 중 하나로 1728년의 『Utendi wa Tambuka』(Tambuka의 이야기)라는 제목의 아랍 문자로 된 서사시가 있다. 라틴 문자가 일반화된 것은 유럽 여러 나라의 식민지화 이후의 일이다.
2. 1. 기원과 발전
스와힐리어는 아프리카 동부 해안의 섬인 잔지바르에서 기원했다. 잔지바르에서 쓰이는 방언은 키웅구자(웅구자어)라고 불린다.[19] 스와힐리어의 핵심은 동아프리카 해안의 방투어군에서 유래하며, 웅구자어, 펨바어 및 미지켄다어군과, 그리고 다소 적은 정도이지만 다른 동아프리카 방투어에서 어원을 공유한다.[22]역사언어학자들은 스와힐리어 어휘의 약 15%가 아랍어에서 직접 유래했고, 초기에는 아랍 노예 무역 상인들에 의해 동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전파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아랍어의 영향을 상당히 중요하게 여긴다.[5][20][21] 스와힐리어(Swahili)라는 단어는 해안을 뜻하는 아랍어(Omani Arabic) 지역 명칭에서 유래했다.
→ | → | سَوَاحِلِيّ|사와힐리ar | ||
سَاحِل|사힐ar | سَوَاحِل|사와힐ar | |||
해안 | 해안들 (불규칙 복수형) | 해안의 |
오만 아랍어는 스와힐리어의 대부분의 아랍어 외래어의 원천이다.[25][26] 역사적으로 스와힐리어 어휘의 약 16~20%는 외래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며, 그 대부분은 아랍어이지만, 페르시아어, 힌디어, 포르투갈어, 말레이어 등 다른 언어들도 기여했다.[23]
원어 | 비율 |
---|---|
아랍어 (주로 오만 아랍어) | 15% |
영어 | 4.6% |
포르투갈어 | 0.9–1.0% |
힌디어 | 0.7–3.9% |
페르시아어 (주로 이란 페르시아어) | 0.4–3.4% |
말라가시어 | 0.2–0.4% |
토마스 스피어는 "재고찰된 초기 스와힐리어 역사"라는 글에서 스와힐리어가 사바키어군에서 물려받은 많은 문법, 어휘 및 음운을 유지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실제로, 일상 어휘를 고려하여 100단어 목록을 사용하면 72~91%가 사바키어군(모어로 보고됨)에서 유래했고, 4~17%가 다른 아프리카 언어에서 유래한 외래어였다. 아프리카가 아닌 언어에서 유래한 것은 2~8%에 불과했으며, 아랍어 외래어는 그 중 극히 일부였다.[27] 다른 자료에 따르면 스와힐리어 어휘의 약 40%가 아랍어에서 유래한다.[5][28] 원래는 아랍 문자로 쓰였다.[29]
스와힐리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문서는 1711년 탄자니아 킬와 키시와니에서 아랍 문자로 쓰여 모잠비크의 포르투갈인과 그들의 지역 동맹국에게 보낸 편지이다. 원본 편지는 인도 고아의 역사 기록 보관소에 보존되어 있다.[30][31]
1800년경부터 스와힐리어는 내륙으로 전파되기 시작한다. 해안과 내륙 간의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특히 해안의 잔지바르시티에 근거지를 둔 오만 왕국부사이드 왕조의 사이드 사이드 왕 아래에서 카라반 무역이 급속도로 확장되었다. 노예와 상아 등을 구하기 위해 내륙으로 카라반이 들어가면서, 링가프랑카로서 스와힐리어의 확장이 시작되었다. 1880년대에 기독교 선교사에 의해 스와힐리어의 라틴 문자 표기가 개발되면서, 아라비아 문자를 통해 이어져 온 이슬람교와의 강한 유대가 약해지고, 순수한 교역 언어가 된 스와힐리어는 기독교인 등에게도 받아들이기 쉬운 것이 되었다.[116] 19세기 말이 되면 잔지바르 술탄국 영토였던 해안 지방은 영국과 독일에 분할되었지만, 두 나라 모두 지배 언어로 스와힐리어를 중시하여 적극적으로 보급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독일령이었던 탕가니카가 영국령이 되자, 영국은 이 지역을 영국령 동아프리카 식민지로 통합하여 지역 내 링가프랑카로 스와힐리어를 이용했다.
이 시기까지의 스와힐리어는 방언의 연속체였고, 표준어가 존재하지 않았다. 1928년 6월 몬바사에서 동아프리카 식민지 간 회의가 열려 표준어 채택이 공식적으로 결정되었다. 후보는 케냐의 몬바사 방언과 잔지바르의 잔지바르 도시 지역 방언이었지만, 이슬람과 결합되어 있는 몬바사 방언에 비해 교역 언어로 더 넓은 지역에 퍼져 있던 잔지바르 도시 지역 방언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1930년에는 영토 간 언어 위원회가 설치되어 잔지바르 도시 지역 방언을 기반으로 한 표준어 제정이 시작되었다. 이 위원회에는 스와힐리어 모어 화자가 없었지만, 이를 통해 표기법이 확립되었고, 사전 편찬 등을 통해 표준 스와힐리어는 이 시기에 확립되었다.[117]
2. 2. 식민지 시대
동아프리카 해안을 지배했던 다양한 식민 세력은 스와힐리어의 성장과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아랍인들이 동아프리카에 도착하면서 스와힐리어를 무역 언어이자 현지 반투족에게 이슬람을 가르치는 언어로 사용했다. 이로 인해 스와힐리어는 처음에 아랍 문자로 쓰이게 되었다.[32] 이후 포르투갈과의 접촉은 스와힐리어 어휘의 증가로 이어졌다. 16세기에 포르투갈이 이 지역의 패권을 장악하면서, 그동안 이 지역의 상업 언어였던 아랍어의 영향력이 약해지고, 대신 스와힐리어가 상업 언어로 부상했다.독일이 베를린 회의 이후 지역을 장악하면서 스와힐리어는 제도적 수준에서 공식화되었다. 이미 널리 사용되는 언어임을 확인한 독일은 스와힐리어를 학교에서 사용하는 공식 언어로 정착시켰다. 따라서 스와힐리어로 수업하는 학교는 정부, 무역, 사법 시스템에서 독일어 Schulede에서 유래한 '슐레(Shule)'라고 불린다. 동아프리카의 주요 스와힐리어 사용 지역을 장악한 독일은 알파벳 체계를 아랍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변경했다.[32]
제1차 세계 대전 후 영국은 독일령 동아프리카를 장악했는데, 스와힐리어가 해안 지역뿐 아니라 대부분 지역에 뿌리내리고 있음을 발견했다. 영국은 스와힐리어를 동아프리카 지역 전체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공식화하기로 결정했다(하지만 영국 동아프리카 [케냐와 우간다] 대부분 지역에서는 영어와 다양한 닐로트어 및 기타 반투어를 사용했고, 스와힐리어는 주로 해안 지역에 국한되었다).[32] 19세기 말 잔지바르 술탄국 영토였던 해안 지방은 영국과 독일에 분할되었지만, 두 나라 모두 지배 언어로 스와힐리어를 중시하여 적극적으로 보급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독일령이었던 탕가니카가 영국령이 되자, 영국은 이 지역을 영국령 동아프리카 식민지로 통합하여 지역 내 링구아프랑카로 스와힐리어를 이용했다.
그러나 이 시기까지의 스와힐리어는 방언의 연속체였고, 소위 표준어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래서 1928년 6월 몸바사에서 동아프리카 식민지 간 회의가 열려 표준어 채택이 공식적으로 결정되었다. 후보는 케냐의 몬바사 방언과 잔지바르의 잔지바르 도시 지역 방언이었지만, 이슬람과 결합되어 있는 몬바사 방언에 비해 교역 언어로 더 넓은 지역에 퍼져 있던 잔지바르 도시 지역 방언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1930년에는 영토 간 언어 위원회가 설치되어 잔지바르 도시 지역 방언을 기반으로 한 표준어 제정이 시작되었다. 이 위원회에는 스와힐리어 모어 화자가 없었지만, 이를 통해 표기법이 확립되었고, 사전 편찬 등을 통해 표준 스와힐리어는 이 시기에 확립되었다.[117] 1928년 6월 케냐, 탕가니카, 우간다, 잔지바르 대표들이 참석한 영토 간 회의가 몸바사에서 열렸다. 해당 지역의 표준 스와힐리어로 잔지바르 방언이 선택되었고,[33] 스와힐리어 표준 철자가 채택되었다.[34]
2. 3. 독립 이후
탄자니아에서 스와힐리어가 국어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61년 탕가니카 독립 이후부터이다. 정부는 국가 통합을 위해 스와힐리어를 사용하기로 결정했고, 정부, 무역, 예술 등 모든 분야에서 스와힐리어가 사용되었다. 초등학교에서는 스와힐리어로, 중학교에서는 영어로 수업했지만 스와힐리어 교육은 계속되었다.[43]1964년 탕가니카와 잔지바르 통합 후, 스와힐리어 연구소(TUKI)가 설립되었다. 1970년 TUKI는 다르에스살람대학교와 통합, 바라자 라 키스와힐리 라 타이파(BAKITA)가 설립되었다. BAKITA는 스와힐리어를 국가 통합 수단으로 개발, 옹호하는 단체로, 스와힐리어 발전 분위기 조성, 정부 및 기업의 스와힐리어 사용 장려, 관련 단체 활동 조정, 언어 표준화 등의 활동을 한다. BAKITA의 비전은 다음과 같다.[44]
1. 탄자니아에서 키스와힐리어 개발과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 조정한다.
2. 동아프리카, 아프리카 및 전 세계에서 키스와힐리어를 적극적, 효과적으로 증진한다.
BAKITA만이 스와힐리어 사용을 승인할 수 있다.
2012년 현재, 스와힐리어는 탄자니아에서 가장 중요하다. 탕가니카 독립과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었고, 1964년 잔지바르와 합병하여 '''탄자니아 연합공화국'''이 된 후에도 이 정책은 추진되었다. 줄리어스 니레레 탕가니카 초대 대통령은 언어 통일을 국가 통일의 중요 요소로 보고 스와힐리어 보급에 공헌했다. 1967년 국립 스와힐리어 심의회를 설립, 정부 차원에서 어휘와 문법을 정비했다.
탄자니아 정부 관련 문서는 기본적으로 스와힐리어로 작성된다. 언론에서도 적극 사용되며, 초등 교육은 스와힐리어로 이루어진다. 정부도 다양한 형태로 보급을 도모한다. 탄자니아 국민 প্রায় 100%가 스와힐리어를 이해하며, 이는 국가 정치 안정에 기여한다.[122] 그러나 고등 교육에서는 영어 교육이 유지되고, 스와힐리어 고등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는다.[123]
3. 음운
다양한 언어와 문화적 배경을 가진 광범위한 지역에서 통용되는 공용어로 발전한 경위 때문인지, 스와힐리어는 사하라 사막 이남의 언어로서는 드물게 성조를 갖지 않는다. 다만 몬바사에서 사용되는 Mvita 방언은 예외이다.
3. 1. 홀소리 (모음)
표준 스와힐리어는 , , , , 의 다섯 가지 음소를 가지고 있다.[59] 모음은 강세와 관계없이 축약되지 않는다.[59] /u/의 발음은 국제 음성 기호(IPA)의 /u/와 /o/의 중간 정도이며, 연속되는 모음은 별개의 모음으로 발음된다.[118]엘렌 컨티니-모라바에 따르면, 강세와 관계없이 모음은 절대 축약되지 않는다.[59] 그러나 에드가 폴로메에 따르면, 이 다섯 개의 음소는 발음이 다를 수 있다. 폴로메는 , , , 는 강세를 받는 음절에서만 그렇게 발음된다고 주장한다. 무강세 음절이나 전비음화 자음 앞에서는 , , , 로 발음된다. 'E'는 'w' 뒤에서 중간 위치로 발음되는 경우도 흔하다. 폴로메는 는 'w' 뒤에서만 그렇게 발음되고, 다른 상황에서는 특히 ('y') 뒤에서는 로 발음된다고 주장한다. 'A'는 어말 위치에서 로 발음될 수 있다.[60]
스와힐리어의 장모음은 모음이 두 번 쓰여 표기된다. (예: kondoo|콘도오sw)
3. 2. 닿소리 (자음)
스와힐리어의 닿소리(자음)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59][61]
몇몇 스와힐리어 방언에는 유기음도 존재하지만, 스와힐리어 표기법에는 표시되지 않는다.[62] 음소는 대부분 짧은 떨림소리() 또는 단일 탭()으로 소리내며, 는 와 자유 변이를 나타내며 일부 화자만 구별한다.[60]
일부 아랍어 차용어에서는 원래의 강세 자음 과 연구개음 을 재현하거나, 모음을 길게 하여 강세 또는 세기를 표현하기도 한다.[62]
4. 문자
스와힐리어는 현재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고유한 음가를 나타내는 몇 가지 이중자음이 있는데, ''ch'', ''sh'', ''ng'' 및 ''ny''가 그것이다. ''q''와 ''x''는 사용되지 않으며,[63] ''c''는 ''ch'' 이중자음, 동화되지 않은 영어 차용어, 그리고 가끔 광고에서 ''k''를 대체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 언어는 이전에는 주로 아랍 문자인 아자미 문자로 쓰였다. 이 문자로 많은 문헌이 제작되었다. 라틴 문자가 도입되면서 아자미 문자의 사용은 크게 줄었다. 그러나 아랍 문자로 스와힐리어를 쓰는 전통은 계속되고 있다.[72]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를 거쳐 21세기에 이르기까지 스와힐리 서기관과 학자들에 의해 아랍 문자의 "스와힐리화" 과정이 진행되어 왔다.
과거에는 아랍 문자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공적인 자리나 학교 교육에서는 라틴 문자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도 이슬람교도의 사적인 편지 등에서 아랍 문자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스와힐리어 알파벳 | |||||||||||||||||||||||
---|---|---|---|---|---|---|---|---|---|---|---|---|---|---|---|---|---|---|---|---|---|---|---|
A | B | Ch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O | P | R | S | T | U | V | W | Y | Z |
/a/ | /b/ | /tʃ/ | /d/ | /e/ | /f/ | /g/ | /h/ | /i/ | /ɟ/ | /k/ | /l/ | /m/ | /n/ | /o/ | /p/ | /r/ | /s/ | /t/ | /u/ | /v/ | /w/ | /j/ | /z/ |
Dh | Gh | Ng' | Ny | Sh | Th | ||||||||||||||||||
/ð/ | /ɣ/ | /ŋ/ | /ɲ/ | /ʃ/ | /θ/ |
- q와 x는 사용되지 않는다.
- c는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항상 ch로 쓰인다.
- ng'는 자음 /ŋ/을 나타내지만, ng처럼 아포스트로피가 없으면 이중 자음 /ŋg/이 된다.
아랍 문자 스와힐리어 | 라틴 문자 스와힐리어 |
---|---|
ا | aa |
ب | b p mb mp bw pw mbw mpw |
ت | t nt |
ث | th? |
ج | j nj ng ng' ny |
ح | h |
خ | kh h |
د | d nd |
ذ | dh? |
ر | r d nd |
ز | z nz |
س | s |
ش | sh ch |
ص | s, sw |
ض | ? |
ط | t tw chw |
ظ | z th dh dhw |
ع | ? |
غ | gh g ng ng' |
ف | f fy v vy mv p |
ق | k g ng ch sh ny |
ك | |
ل | l |
م | m |
ن | n |
ه | h |
و | w |
ي | y ny |
스와힐리어를 아랍 문자로 표기하는 경우, 아랍어에서 유래한 단어는 원래 아랍어와 같이 표기된다. 이때, 스와힐리어에서는 발음상 구분되지 않는 음소도 아랍어대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다음은 스와힐리어 특유의 아랍 문자 표기에 대한 설명이다. nd, nj, ny는 해당하는 아랍 문자를 두 글자 나란히 표기한다. p, ch를 표기하는 문자는 아랍어에는 없지만, 스와힐리어에서는 페르시아어와 마찬가지로 b, j의 점을 3개로 늘려 표기한다. g는 아랍 문자 gh의 점을 2개로 늘리고 점을 가로로 나란히 표기하며, ng는 n과 점이 2개인 gh를 나란히 표기한다. v는 아랍 문자 w의 위에 점 3개를 더하여 표기한다. 모음 표기에 대해서는 대륙식과 잔지바르식이 약간 다르다. 스와힐리어는 원칙적으로 모음의 장단을 구분하지 않는 언어이며, 아랍어에서 유래한 어휘를 제외하고는 모든 모음을 모음 부호로만 표기한다. a, i, u는 아랍어 모음 부호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 e에 대해서는 대륙에서는 자음 아래에 세로로 직선을 긋고, 잔지바르에서는 레점과 같은 부호를 자음 아래에 찍는다. o에 대해서는 대륙에서는 u의 부호를 180도 회전시킨 것을 자음 위에 찍고, 잔지바르에서는 레점을 자음 위에 찍는다.[119]
5. 문법
스와힐리어 문법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방언과 표준 스와힐리어 간에 차이가 있다.[48] 명사, 형용사, 수사는 보통 명사의 접두사를 취하며, 동사는 다른 접두사 체계를 가진다.
단수 | 복수 | |||||
---|---|---|---|---|---|---|
mtoto | mmoja | anasoma | watoto | wawili | wanasoma | |
아이 | 1 | 읽고 있다 | 아이들 | 2 | 읽고 있다 | |
(한 명의) 아이가 독서하고 있다 | 두 명의 아이가 독서하고 있다 | |||||
kitabu | kimoja | kinatosha | vitabu | viwili | vinatosha | |
책 | 1 | 충분하다 | 책들 | 2 | 충분하다 | |
한 권의 책으로 충분하다 | 두 권의 책으로 충분하다 | |||||
ndizi | moja | inatosha | ndizi | mbili | zinatosha | |
바나나 | 1 | 충분하다 | 바나나들 | 2 | 충분하다 | |
한 개의 바나나로 충분하다 | 두 개의 바나나로 충분하다 |
같은 명사 어근에 다른 명사 클래스의 접두사를 붙여 파생어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 클래스인 ''mtoto (watoto)''(아이), 추상명사 클래스인 ''utoto''(아이임), 축소어 클래스인 ''kitoto (vitoto)''(유아), 증대어 클래스인 ''toto (matoto)''(나이 든 아이) 등이 있다.
스와힐리어의 명사 클래스 체계는 문법적 성의 일종이지만, 유럽 언어와는 다르게 의미적인 관련성에 기반한다. 그러나 명사 클래스를 단순한 범주로 파악하기는 어렵다.
과거 스와힐리어에서는 시각장애인 등의 장애인을 '사물'로 표현하는 차별적인 어법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많은 장애인과 인권 단체들이 이러한 어법에 반대하며 '사람' 클래스로 표현하는 어법을 확산시키고 있다.
"Jambo"는 스와힐리어로 "안녕"을 뜻하며, "Hujambo.", "Hamjambo."와 같이 인칭접두사를 붙여 인사말로 사용한다.
5. 1. 명사류
스와힐리어 명사는 명사류로 나뉘는데, 이는 다른 언어의 성과 거의 비슷하다. 스와힐리어에서는 접두사가 비슷한 사물의 그룹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m-''은 단수 인간을 나타내고 (mtoto|아이sw), ''wa-''는 복수 인간을 나타내며 (watoto|아이들sw), ''u-''는 추상 명사를 나타낸다 (utoto|어린 시절sw). 어떤 언어에서 형용사와 대명사가 명사의 성에 일치해야 하는 것처럼, 스와힐리어에서도 형용사, 대명사, 심지어 동사까지 명사와 일치해야 한다. 이것은 모든 반투어족의 특징적인 특징이다.반투어 전체의 특징이기도 하지만, 명사는 여러 종류로 분류되며, 종류에 따라 특정 접두사가 붙는다. 그 종류를 '''명사류'''라고 한다. 또 어떤 종류의 명사를 수식하는가에 따라 형용사가 변화하고, 어떤 종류의 명사를 주어 또는 목적어로 하는가에 따라 동사가 변화한다. 이 때문에 문맥상 명확한 경우 주어나 목적어를 생략할 수 있다.
마인호프 체계에 따라 단수와 복수를 따로 세면, 원어에는 22개의 류가 있었다고 여겨지며, 대부분의 반투어는 적어도 그중 10개의 류를 가지고 있다. 스와힐리어에는 16개의 류가 있으며, 그중 6개 류가 단수 명사, 5개 류가 복수 명사, 1개 류가 추상 명사, 1개 류가 동사의 부정사(명사적 취급), 3개 류가 주로 장소를 나타낸다.
류 | 접두사 | 단수 | 의미 | 복수 | 의미 |
---|---|---|---|---|---|
1, 2 | m-/mu-, wa- | mtu | 사람 | watu | 사람들 |
3, 4 | m-/mu-, mi- | mti | 나무 | miti | 나무들 |
5, 6 | Ø/ji-, ma- | jicho | 눈 | macho | 눈들 |
7, 8 | ki-, vi- | kisu | 칼 | visu | 칼들 |
9, 10 | Ø/n-, Ø/n- | ndoto | 꿈 | ndoto | 꿈들 |
11 | u- | ua | 꽃 | ||
14 | u- | utoto | 어린 시절 |
단수가 ''m-''이고 복수가 ''wa-''로 시작하는 명사는 「생물」, 특히 「사람」을 나타낸다(예: mtu|사람sw・watu|사람들sw, mdudu|벌레sw・wadudu|벌레들sw). 단수가 ''m-''이고 복수가 ''mi-''로 시작하는 명사는 「식물」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예: mti|나무sw・miti|나무들sw). 동사의 부정사는 ''ku-''로 시작한다(예: kusoma|읽다sw). 그 외의 류는 구분이 복잡하다. 단수가 ''ki-''이고 복수가 ''vi-''로 시작하는 명사는 종종 연장 등의 「인공물」을 나타낸다. 이 ''ki-/vi-'' 교체는 어근이 ''ki-''로 시작하는 외래어에도 적용된다(예: kitabu|책sw( 아랍어의 ''kitāb''에서 유래) → vitabu|책들sw). 이 류는 「언어」도 나타내며(예: Kiswahili|스와힐리어sw), 지소사로도 사용된다. 과거 반투어에서는 별개였던 류가 합쳐진 것이다. ''u-''로 시작하는 명사는 대개 추상 명사를 나타내며, 복수는 없다(예: utoto|어린 시절sw). ''n-''이나 ''m-'' 또는 접두사 없이 시작하고, 단복수가 같은 류도 있다. 단수가 ''ji-'' 또는 접두사 없고, 복수가 ''ma-''로 시작하는 류는 종종 증대사로 사용된다.
5. 2. 동사 복합체
스와힐리어 동사가 동사 그대로(동사 어간 그대로) 사용되는 것은 명령형뿐이며, 일반적으로는 주어에 대응하는 접두사, 시제 표시, 목적어를 나타내는 접두사 등 다양한 접두사가 복합적으로 추가된다. 더 나아가 동사의 의미를 확장하는 접미사가 추가되기도 한다. 이러한 복합체를 동사 복합체라고 한다.목적어의 접두사는 목적어와 일치하는 것이 사용된다.[51][45]
6. 방언
스와힐리어에는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서로 간에 의사소통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73] 1930년 표준 스와힐리어는 잔지바르 방언을 기반으로 제정되었다.[120] 20세기에 스와힐리어 사용 지역이 확장되면서 케냐 내륙의 업컨트리 스와힐리어(내륙 스와힐리어)나 콩고 분지의 콩고 스와힐리어와 같은 새로운 방언이 생겨났다.[120]
Maho(2009)는 다음 방언들을 별개의 언어로 간주한다.
- 킴와니(Kimwani): 케림바 제도와 모잠비크 북부 해안에서 사용된다.
- 침위니(Chimwiini): 소말리아 남부 해안의 바라와(Barawa) 마을과 그 주변 소수 민족이 사용한다.
- 키바주니(Kibajuni): 소말리아-케냐 국경 양쪽 해안과 섬, 바주니 제도(Bajuni Islands)(라무 군도의 북부)에 거주하는 바주니 소수 민족이 사용하며, 키티쿠(Kitikuu)와 키군야(Kigunya)라고도 불린다.
- 소코트라 스와힐리어(Socotra Swahili) (멸종)
- 시디어(Sidi)**: 인도 구자라트주 (멸종되었을 가능성 있음)
나머지 방언들은 몬바사-라무 스와힐리어와 펨바 스와힐리어 두 그룹으로 나뉜다.
- 몬바사-라무 스와힐리어
- 라무
- 키아무(Kiamu)[75]는 라무(Lamu)(아무(Amu)) 섬과 그 주변에서 사용되며, 아랍 문자로 쓰인 18세기와 19세기 고전 시의 중요한 자료가 있다.[76]
- 키파테(Kipate)는 파테 섬(Pate Island)의 지역 방언이다. 18세기와 19세기 시의 중요한 고전 자료도 있다.[76]
- 킹고지(Kingozi)는 라무와 소말리아 사이 인도양 연안에서 사용되었던 멸종된 방언으로, 시에서 여전히 사용되기도 한다.
- 몬바사
- 키좀부(Chijomvu)는 몬바사 지역의 하위 방언이다.
- 킴비타(Kimvita)는 몬바사의 주요 방언이다. 키웅구자(Kiunguja)와 함께 주요 방언이며, 18세기와 19세기 아랍 문자로 쓰인 중요한 고전 자료가 있다.[80]
- 킹가레(Kingare)는 몬바사 지역의 하위 방언이다.
- 킴리마(Kimrima)는 팡가니(Pangani), 방가(Vanga), 다르에스살람(Dar es Salaam), 루피지(Rufiji), 마피아 섬(Mafia Island) 주변에서 사용된다.
- 키웅구자(Kiunguja)는 잔지바르 시(Zanzibar City)와 웅구자(잔지바르) 섬(Unguja (Zanzibar) Island) 주변에서 사용된다.
- 맘브루이, 말린디
- 키치치푼디(Chichifundi), 케냐 남부 해안의 방언
- 츠와카(Chwaka)
- 키붐바(Kivumba), 케냐 남부 해안의 방언
- 누시베(Nosse Be) (마다가스카르)
- 펨바 스와힐리어
- 키펨바(Kipemba)는 펨바 섬(Pemba Island)의 지역 방언이다.
- 키툼바투(Kitumbatu)와 키마쿤두치(Kimakunduchi)는 잔지바르 섬의 시골 방언이다.
- 마쿤두치(Makunduchi)
- 마피아, 음브웨라(Mbwera)
- 킬와(Kilwa) (멸종)
- 킴가오(Kimgao)는 킬와 지구(Kilwa District)와 그 남쪽에서 사용되었다.
Maho는 다양한 코모로어 방언들을 세 번째 그룹으로 포함하지만, 다른 대부분의 권위자들은 코모로어를 스와힐리어와는 별개의 사바키어로 간주한다.[81]
7. 현황
스와힐리어는 탄자니아, 케냐, 우간다(2005년부터)의 공용어이다. 콩고민주공화국의 4대 법적 국민어 중 하나이며, 르완다, 부룬디, 소말리아, 마요트를 포함한 코모로, 모잠비크, 말라위의 일부 지역에서도 쓰인다. 2004년부터는 아프리카 연합에서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 포르투갈어, 에스파냐어(2003년부터)에 이어 6번째로 업무어로 지정되었다.[35]
스와힐리어의 총 화자 수(모어 및 제2언어 사용자 포함)는 5천만 명에서 2억 명까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6천만 명에서 1억 5천만 명으로 추산된다.[35] 케냐, 콩고 민주 공화국, 르완다, 우간다, 탄자니아에서 수천만 명이 사용하는 제2언어가 되었으며, 이들 국가에서는 공용어 또는 국어이다. 탄자니아, 특히 탕가, 프와니, 다르에스살람, 므트와라, 린디 해안 지역에서는 많은 사람들에게 모어이다. 탄자니아 내륙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 언어와 방언의 영향을 받은 억양으로 스와힐리어가 사용된다. 이 지역에서는 도시에서 태어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모어이고, 농촌 지역에서는 제2언어로 사용된다. 부룬디, 코모로, 말라위, 모잠비크, 잠비아, 르완다에서 비교적 적은 수의 사람들이 스와힐리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언어를 사용한다.[36] 동아프리카 공동체는 2015년 동아프리카 스와힐리어 위원회(EAKC)라는 기관을 설립했다. 이 기관은 현재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언어를 장려하고, 지역 통합 및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개발 및 사용을 조정하는 주요 기관 역할을 하고 있다.[10]
스와힐리어는 아프리카에서 언어 기술 응용 프로그램이 개발된 최초의 언어 중 하나이다. 아르비 후르스카이넨은 초기 개발자 중 한 명이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에는 철자 검사기[39], 품사 태깅[40], 언어 학습 소프트웨어[40], 2,500만 단어의 분석된 스와힐리어 텍스트 말뭉치[41], 전자 사전[40], 스와힐리어와 영어 간의 기계 번역[40]이 포함된다. 언어 기술의 개발은 현대적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스와힐리어의 지위를 강화한다.[42] 또한, 스와힐리어 위키백과는 상당수의 기여자와 문서를 보유한 아프리카 언어 위키백과 중 하나이다.
탄자니아에서 스와힐리어가 국어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61년 탕가니카 독립 이후 정부가 국가 통합을 위한 언어로 스와힐리어를 사용하기로 결정하면서부터다. 1964년 탕가니카와 잔지바르가 통합된 후, 영토간 언어위원회를 바탕으로 타아시시 야 우춘구지 와 키스와힐리(TUKI, 스와힐리어 연구소)가 설립되었다. 1970년 TUKI는 다르에스살람대학교와 통합되었고, 바라자 라 키스와힐리 라 타이파(BAKITA)가 설립되었다. BAKITA는 탄자니아에서 스와힐리어를 국가 통합의 수단으로 개발하고 옹호하는 데 전념하는 단체이다. BAKITA의 비전은 "1. 탄자니아에서 키스와힐리어의 개발과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조정한다. 2. 동아프리카, 아프리카, 그리고 전 세계에서 키스와힐리어를 증진하는 데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참여한다."이다.[44]
탄자니아, 케냐에서는 공용어, 콩고민주공화국에서는 국어로 지정되어 있다. 우간다는 1992년 스와힐리어를 초등학교 필수 과목으로 지정했고(실태는 따르지 않고 있음), 2005년에는 동아프리카 연방 구상을 염두에 두고 공용어로 지정했다. 스와힐리어와 그 근연어는 코모로의 거의 전역(코모로어 참조), 부룬디, 르완다, 잠비아 북부, 말라위, 모잠비크, 소말리아 남부 연안 지역 일부에서도 사용된다.[110] 아프리카 연합에서는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아랍어와 함께 6개 공용어 중 하나이다. 스와힐리어 사용자의 증가와 언어의 지위 상승에 따라 세계 각국의 방송국이 스와힐리어 방송을 시작하고 있다. 스와힐리어권 이외에서 스와힐리어 방송을 하고 있거나 했던 방송국은 BBC 월드 서비스, 미국의 소리, 도이체 벨레, 러시아의 목소리, 중국국제방송, 라디오 프랑스 인터내셔널, 라디오 수단, 라디오 남아프리카 등이 있다.
2012년 현재, 스와힐리어의 중요성이 가장 높은 곳은 탄자니아이다. 1960년 탕가니카 독립과 동시에 스와힐리어는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1964년 잔지바르와 합병하여 '''탄자니아 연합공화국'''이 되었는데, 잔지바르에서는 원래부터 스와힐리어 모어 화자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이 정책은 더욱 추진되었다. 이 정책을 기획하고 추진한 사람은 탕가니카 초대 대통령인 줄리어스 니레레이다. 1967년에는 국립 스와힐리어 심의회를 설립하여 어휘와 문법 정비를 정부 차원에서 실시했다. 탄자니아에서는 국민의 거의 100%가 스와힐리어를 이해한다고 여겨지며, 국가 내에서 동일한 언어가 통용되는 것은 탄자니아의 정치 안정에 크게 기여한다고 여겨진다.[122] 한편, 고등 교육에서는 영어 교육이 유지되고 있으며, 스와힐리어로 하는 고등 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123]
케냐에서는 스와힐리어가 국어이며, 영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2010년 8월 27일에 공포된 새로운 헌법에서 그 지위가 명확하게 규정되었다. 케냐에서도 스와힐리어는 링구아프랑카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당수의 사람들이 공통어로 스와힐리어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수도 나이로비에서 사용되는 스와힐리어는 표준 스와힐리어와 상당히 다르며, 나이로비 스와힐리어라고 불리는 방언이 사용되고 있다.[125] 이웃 나라 탄자니아와 달리 학교 교육에서는 영어가 교육 언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초기 교육에서는 여러 민족 언어도 지정되어 있지만, 모어 화자가 적은 스와힐리어는 해안 지역의 모어 화자 지역을 제외하고는 교육 언어가 되지 않고 있다. 또한, 공용어로서도 영어의 사용이 우세하다. 1970년대부터 수도 나이로비를 중심으로, 나이로비 스와힐리어와는 또 다른, 셰잉(Sheng)이라고 불리는 스와힐리어 방언이 발생했다. 셰잉(Sheng)은 스와힐리어(Swahili)와 영어(English)의 합성어이며, 그 이름처럼 스와힐리어의 나이로비 방언에 영어와 루히야어, 키쿠유어, 캄바어, 루오어와 같은 인근 여러 민족의 언어 어휘를 많이 도입한 것이다.
우간다에서는 스와힐리어의 지위가 케냐와 탄자니아에 비해 낮다. 2005년 영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이는 스와힐리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케냐와 탄자니아와의 동아프리카 연방 구상을 염두에 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우간다 국내에서는 스와힐리어는 북부 나일롯계 민족이 공용어로 사용할 뿐이며, 오랫동안 공용어로 사용되어 온 영어나 공용어로서 영향력이 있는 부간다어에 비하면 스와힐리어의 중요성은 낮다.[127]
콩고민주공화국에서는 스와힐리어가 공용어는 아니지만 4대 공용어 중 하나이며, 링갈라어, 루바어, 콩고어와 함께 국어로 지정되어 있다. 스와힐리어 사용 지역은 동부와 남부이며, 구 카탕가주와 북키부주, 남키부주, 마니에마주, 구 동부주 남부, 구 서카사이주 동부 등이 사용 지역이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링구아 프랑카로서의 보급이며, 모어 화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교육 언어는 프랑스어이며, 스와힐리어를 비롯한 4개의 국어는 초등학교 처음 2년 동안만 교수 언어로 사용되고, 그 이후에는 학과로도 가르치지 않는다.[128]
르완다에서는 거의 100%의 국민이 르완다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스와힐리어는 상업 언어로 사용되는 정도였으나, 주변국과의 관계 때문에 2017년에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2015년부터는 학교 교육에서 필수 언어가 되었다.
8. 한국어 스와힐리어 사전
1999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에서 김윤진과 권명식이 편저한 스와힐리어-한국어 사전이 발행되었다. 이 사전은 800여 쪽 분량이지만, 영어의 영향을 받은 동부아프리카의 스와힐리어만을 다루고,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은 콩고민주공화국(약 2천5백만 명의 사용자), 부룬디, 르완다 등지의 스와힐리어는 제외되었다.
2011년에는 코이카 소속 내과 의사 장승훈(DrTanzania)이 스와힐리어 사용 국가에서의 진료 활동을 위해 스와힐리어 진료 사전을 만들었다. 이 사전은 PDF 파일과 안드로이드 앱 형식으로 무상 배포되었으며, 90여 쪽 분량이다. 한국어-영어-스와힐리어로 표기되었고, 실제 환자 진료 상황에 맞추어 구성되었으며, 스와힐리어 의학 사전과 인체도를 포함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Swahili; The Linguasphere Register of the World's Languages and Speech Communities; Sub-Saharan Africa
[Oxford, Linguasphere Press, Routledge]
[2]
서적
The Swahili: Reconstructing the History and Language of an African Society, 800–15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7-06-10
[3]
웹사이트
Sadc Adopts Kiswahili as 4th Working Language
https://ec.europa.eu[...]
2019-08-30
[4]
웹사이트
The Story of Swahili
https://www.ohioswal[...]
2022-06-21
[5]
뉴스
'It's time we move from the coloniser's language'
https://www.bbc.com/[...]
2022-02-17
[6]
웹사이트
Swahili language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7]
서적
Swahili state and society : the political economy of an African language
East African Educational Publishers
1995
[8]
서적
[9]
웹사이트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Extractive Industries and Mineral Value Addition
http://www.eac.int/t[...]
East African Community
[10]
웹사이트
Press Release on EAKC
https://www.eac.int/[...]
[11]
뉴스
Kiswahili gets minister's stamp to be taught in SA schools
https://www.sowetanl[...]
2018-09-17
[12]
웹사이트
Botswana to Introduce Swahili Language in Local Schools
https://www.language[...]
2020-10-12
[13]
웹사이트
Pandemic disrupts Kiswahili adoption plans
https://neweralive.n[...]
2020-11-03
[14]
웹사이트
AAU to Start Teaching Kiswahili Language – Ethiopian Monitor
https://ethiopianmon[...]
2022-02-09
[15]
웹사이트
Tanzania to send Kiswahili teachers to South Sudan
https://thisisafrica[...]
2019-03-13
[16]
서적
[17]
서적
[18]
웹사이트
UNESCO declares July 7 World Kiswahili Language Day
https://www.uonbi.ac[...]
2021-11-24
[19]
서적
Swahili and Sabaki: A Linguistic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
서적
The Swahili: Reconstructing the History and Language of an African Societ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1]
논문
Early Swahili History Reconsidered
[22]
서적
Swahili Language Handbook
https://files.eric.e[...]
Centre for Applied Linguistics
[2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Swahili Language
http://www.glcom.com[...]
[24]
서적
Loanwords in Swahili
De Gruyter
[25]
논문
Arabic Loans in East African Languages through Swahili: A Survey
https://journals.pan[...]
PAS Journals Repository
[26]
서적
[27]
논문
Early Swahili History Reconsidered
[28]
웹사이트
A Guide to Swahili - 10 facts about the Swahili language
http://www.bbc.co.uk[...]
[29]
웹사이트
Swahili history
http://www.glcom.com[...]
glcom.com
[30]
서적
Ivory and Slaves in East Central Africa
Heinemann
[31]
논문
Les cités-Etats swahili et la puissance omanaise (1650–1720)
[32]
웹사이트
Baba yetu
http://wikisource.or[...]
Wikisource
[33]
웹사이트
Swahili
http://aboutworldlan[...]
About World Languages
[34]
웹사이트
Dictionaries and the Standardization of Spelling in Swahili
http://lexikos.journ[...]
Lexikos
[35]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https://clp.arizona.[...]
Taylor & Francis
[36]
서적
The Swahili
[37]
논문
The Ethnic Label Zinjibari: Politics and Language Choice Implications Among Swahili Speakers in Oman
2012-01-01
[38]
서적
The Swahili-speaking Peoples of Zanzibar and the East African Coast
Ethnologue
[39]
웹사이트
Zana za Uhakiki za Microsoft Office 2016 – Kiingereza
http://www.microsoft[...]
2019-10-23
[40]
웹사이트
Salama
http://77.240.23.241[...]
2019-10-23
[41]
웹사이트
Helsinki Corpus of Swahili 2.0 (HCS 2.0) – META-SHARE
http://metashare.csc[...]
2019-10-23
[42]
서적
Sustainable language technology for African languages
Routledge Publishers
[43]
웹사이트
The Failure of Language Policy in Tanzanian Schools
http://www.socialstu[...]
2020-10-13
[44]
웹사이트
Vision and Mission of The National Kiswahili Council
https://www.bakita.g[...]
2020-10-13
[45]
뉴스
Uganda finally adopts Kiswahili as official language
https://www.theeasta[...]
2022-07-13
[46]
웹사이트
CHAKITA:Chama Cha Kiswahili Cha Taifa
http://chakita.org/
2022-06-21
[47]
뉴스
CS Matiangi: Kiswahili to remain compulsory in new curriculum
https://www.kbc.co.k[...]
2022-06-21
[48]
서적
Indigenous Language Acquisition, Maintenance, and Loss and Current Language Policies
IGI Global
[49]
웹사이트
The variability of Kiswahili In Bujumbura
https://ul.qucosa.de[...]
2023-09-04
[50]
뉴스
Burundi : l'apprentissage du français en perte de vitesse
https://information.[...]
2024-11-21
[51]
뉴스
Kiswahili language compulsory in primary, secondary schools – Cabinet
https://www.monitor.[...]
2022-07-13
[52]
웹사이트
The Federal Republic of Somalia Provisional Constitution of 2012.
https://www.ilo.org/[...]
[53]
보고서
Chimwiini: Endangered Status and Syntactic Distinctiveness
https://web.archive.[...]
[54]
논문
When northern Swahili met southern Somali
https://library.oape[...]
[55]
논문
"Ambiguous citizens": Kenyan Somalis and the question of belonging
2018-06-16
[56]
서적
We Do Not Have Borders: Greater Somalia and the Predicaments of Belonging in Kenya
http://dx.doi.org/10[...]
Ohio University Press
2022-01-19
[57]
언어
Mushungulu
[58]
웹사이트
Glottolog 4.5 – Northeast Coastal Bantu
https://glottolog.or[...]
2022-01-25
[59]
서적
Swahili Phonology
Eisenbrauns
[60]
보고서
Swahili Language Handbook
https://files.eric.e[...]
2019-09-12
[61]
서적
Modern Swahili Grammar
East African Publishers
[62]
논문
Aspiration in Swahili Adjectives and Verbs
https://web.archive.[...]
2003-01-01
[63]
웹사이트
A Guide to Swahili – The Swahili alphabet
https://www.bbc.co.u[...]
BBC
2019-12-25
[64]
논문
An Historical Review of the Arabic Rendering of Swahili Together with Proposals for the Development of a Swahili Writing System in Arabic Script (Based on the Swahili of Mombasa)
[65]
서적
Noun Classification in Swahili
[66]
참고자료
[67]
서적
Revivalistics: From the Genesis of Israeli to Language Reclamation in Australia and Beyond
Oxford University Press
[68]
서적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
Palgrave Macmillan
[69]
서적
The acquisition of Swahili
[70]
설명
[71]
undefined
[72]
블로그 게시글
Swahili Ajami: An Introduction
https://ajami.hypoth[...]
2020-10-07
[73]
undefined
[74]
서적
History of Kiswahili Poetry, A.D. 1000–2000: A Report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Kiswahili Research, University of Dar es Salaam
2022-11-11
[75]
서적
KIAMU, archipel de Lamu (Kenya): Analyse phonétique et morphologique d'un corpus linguistique et poétique
http://archive.org/d[...]
2013
[76]
웹사이트
SOAS Swahili manuscripts
https://digital.soas[...]
varia
2022-11-11
[77]
서적
Grammaire des dialectes swahilis
Procure des PP. du Saint-Esprit
1909
[78]
서적
Four centuries of Swahili verses
DARF PUBLISHERS
1979
[79]
웹사이트
The online version of the New Updated Guthrie List, a referential classification of the Bantu languages
https://brill.com/fi[...]
Brill
2022-11-11
[80]
웹사이트
SOAS Swahili manuscripts
https://digital.soas[...]
varia
2022-11-11
[81]
서적
The Swahili: Reconstructing the History and Language of an African Society, 800–15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6-06-15
[82]
Ethnologue
[83]
Ethnologue
[84]
서적
Kenya: identity of a nation
https://books.google[...]
New Africa Press
2017-09-15
[85]
Ethnologue
[86]
뉴스
African Swahili music lives on in Oman
https://www.reuters.[...]
2011-10-05
[87]
서적
Journalism education in countries with limited media freedom
Peter Lang
[88]
웹사이트
Alamin Mazrui
https://www.poetrytr[...]
2023-12-21
[89]
웹사이트
Kithaka wa Mberia
https://www.poetrytr[...]
2023-12-21
[90]
서적
Swahili Tales as Told by Natives of Zanzibar
https://archive.org/[...]
Bell and Daldy
1870
[91]
서적
Swahili Tales as Told by Natives of Zanzibar
https://archive.org/[...]
Bell and Daldy
1870
[92]
서적
Swahili Tales as Told by Natives of Zanzibar
https://archive.org/[...]
Bell and Daldy
1870
[93]
서적
Swahili Tales as Told by Natives of Zanzibar
https://archive.org/[...]
Bell and Daldy
1870
[94]
서적
Swahili Tales as Told by Natives of Zanzibar
https://archive.org/[...]
Bell and Daldy
1870
[95]
서적
Swahili Tales as Told by Natives of Zanzibar
https://archive.org/[...]
Bell and Daldy
1870
[96]
서적
Swahili Stories from Arab Sources
https://archive.org/[...]
Zanzibar
1881
[97]
서적
Swahili Stories from Arab Sources
https://archive.org/[...]
Zanzibar
1881
[98]
서적
Swahili Stories from Arab Sources
https://archive.org/[...]
Zanzibar
1881
[99]
서적
A History of Swahili Prose from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Brill
1983
[100]
서적
Kamusi la Kiswahili Fasaha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01]
웹사이트
When elephants fight, it is the grass that suffers
https://www.oxfordre[...]
2021-06-13
[102]
뉴스
New York Times
1936-03-26
[103]
웹사이트
Animals – 27 Fascinating African Proverbs About Elephants, One of the Big 5 Animals
https://howafrica.co[...]
2021-06-13
[104]
웹사이트
https://afriprov.org[...]
2021-06-13
[105]
서적
Swahili Tales as Told by Natives of Zanzibar
https://archive.org/[...]
Bell and Daldy
1870
[106]
웹사이트
Swahili Reading
https://mylanguages.[...]
2023-12-21
[107]
일반
[108]
웹사이트
http://wikisource.or[...]
[109]
서적
アラビア語の世界 歴史と現在
三省堂
2015-09-20
[110]
서적
The Swahili
1985
[111]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112]
논문
The ethnic label Zinjibari: Politics and language choice implications among Swahili speakers in Oman
http://etn.sagepub.c[...]
2012
[113]
서적
The Swahili-speaking Peoples of Zanzibar and the East African Coast
Ethnologue
1961
[114]
서적
Ivory and Slaves in East Central Africa
London
1975
[115]
서적
'Ni wapi Tunakwenda': Hip Hop Culture and the Children of Arusha
Pluto Pres
[116]
서적
新書アフリカ史
講談社現代新書
2003-02-20
[117]
서적
アフリカのことばと社会 多言語状況を生きるということ
三元社
2009-04-30
[118]
일반
[119]
서적
Taathira za Kiarabu katika Kiswahili pamoja na kamusi thulathiya (Kiswahili-Kiarabu-Kiingereza)
Dar es Salaam University Press
1993
[120]
서적
アフリカを知る事典
平凡社
1989-02-06
[121]
서적
民族の共存・交流のかたち 一九七〇年代、コンゴ(旧ザイール)東部における多言語併用の動態から
2001
[122]
서적
民主主義がアフリカ経済を殺す: 最底辺の10億人の国で起きている真実
日経BP社
2010-01-18
[123]
서적
アフリカのことばと社会 多言語状況を生きるということ
三元社
2009-04-30
[124]
서적
事典世界のことば141
大修館書店
2009-04-20
[125]
서적
ケニアを知るための55章
明石書店
2012-07-01
[126]
서적
言語的多様性とアイデンティティ、エスニシティ、そしてナショナリティ ケニアの言語動態
三元社
2009-04-30
[127]
서적
アフリカのことばと社会 多言語状況を生きるということ
三元社
2009-04-30
[128]
서적
アフリカのことばと社会 多言語状況を生きるということ
三元社
2009-04-30
[129]
웹사이트
http://www.sfs.osaka[...]
[130]
서적
アフリカ学入門 ポップカルチャーから政治経済まで
明石書店
2010-07-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