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흥 (북해정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흥은 후한의 제후로, 건무 2년(26년) 노왕에 봉해졌으나 공으로 폄작되기도 했다. 숙부의 양자가 되어 구씨 현령을 거쳐 홍농 태수로 선정을 베풀었고, 이후 노왕으로 다시 봉해진 후 북해왕으로 옮겨졌다. 명제의 존경을 받았으며, 영평 7년(64년)에 사망하여 정왕의 시호를 받았고, 아들 유목이 작위를 이었다.

2. 생애

건무 2년(26년) 왕에 봉해졌으나, 11년 후 으로 폄작되었다. 건무 15년(39년), 노애공(魯哀公)으로 추봉된 숙부 유중의 양자가 되어 집안을 이었고, 수(守) 구씨(緱氏令)이 되었다. 유흥은 명철하고 송사를 잘 들어주어 명성이 높았고, 홍농태수로 영전되어 역시 선정을 베풀었다.

건무 19년(43년), 다시 노왕으로 승격되었다. 태수로 있은 지 4년 후 조정에 은퇴를 청원하여 서울로 돌아왔고, 건무 27년(51년) 봉지로 부임하였다. 이듬해에 노나라가 동해나라의 지군으로 편입되었기 때문에 북해나라로 옮겨졌다.

건무 30년(54년), 아들 유복(劉復)이 임읍(臨邑侯)로 봉해지고 중원 2년(57년)에는 또 다른 두 아들이 현후(縣侯)에 봉해졌다. 명제는 유흥을 공경하여 문안을 올렸다.

영평 7년(64년)에 죽어 시호왕(靖王)이라 하였고, 아들 유목이 작위를 이었다.

2. 1. 초기 생애와 노왕 책봉

유연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26년(건무 2년), 광무제의 형인 유중의 뒤를 이어 왕에 봉해졌다.[1] 37년 (건무 13년), 노공으로 강봉되었다.[1] 39년 (건무 15년), 시험 삼아 구씨 현령을 대행했다. 유흥은 지모에 밝고, 사람들의 소송을 잘 들었기에 명성을 얻었다. 홍농 태수로 전임되어 역시 선정을 베풀어 알려졌다. 태수로서 정사를 돌본 지 4년, 은퇴를 청하여 낙양으로 소환되어 봉조청이 되었다. 43년 (건무 19년), 노왕으로 다시 책봉되었다.[1]

2. 2. 지방관으로서의 치적

건무 15년(39년), 숙부 유중의 양자가 되어 가문을 이었고, 수(守) 구씨(緱氏令)이 되었다. 유흥은 명철하고 송사를 잘 들어주어 명성이 높았고, 홍농태수로 영전되어 역시 선정을 베풀었다.[1] 태수로 있은 지 4년 후 조정에 은퇴를 청원하여 서울로 돌아왔다.

2. 3. 노왕 복위와 북해왕 전봉

26년(건무 2년), 광무제의 형인 유중의 뒤를 이어 노왕에 봉해졌다. 37년(건무 13년), 노공으로 강봉되었다.[1] 39년(건무 15년), 시험 삼아 구씨현 현령을 대행했다. 유흥은 지모에 밝고, 사람들의 소송을 잘 들었기에 명성을 얻었다. 홍농태수로 전임되어 역시 선정을 베풀어 알려졌다. 태수로서 정사를 돌본 지 4년, 은퇴를 청했다. 낙양으로 소환되어 봉조청이 되었다. 43년(건무 19년), 노왕으로 다시 봉해졌다.[1] 51년(건무 27년), 처음으로 노국으로 내려갔다. 52년(건무 28년), 노국이 동해국에 편입되어, 유흥은 북해국왕으로 옮겨 봉해졌다.

56년 (건무중원 원년) 2월, 광무제가 동쪽으로 순행하여 태산에 이르자, 유흥은 동악에서 참조했다.[1]

2. 4. 북해왕 시절과 죽음

건무 27년(51년), 봉지인 노국으로 부임하였다. 이듬해인 건무 28년(52년), 노국이 동해국에 편입되었기 때문에 북해국으로 옮겨졌다.[1]

건무중원 원년(56년) 2월, 광무제가 동쪽으로 순행하여 태산에 이르자, 유흥은 동악에서 광무제를 알현했다.[1] 명제는 유흥을 공경하여 영평 6년(63년) 1월에 문안을 올렸다.[2]

영평 7년(64년) 8월 무진일에 유흥은 사망했다.[2] 시호왕(靖王)이라 하였고, 아들 유목이 작위를 이었다.

3. 가계


  • 아버지: 유황
  • 숙부: 유중 (양부)
  • 아들

이름내용
유목북해경왕, 유흥의 뒤를 이었다.[1]
유복임읍후, 54년 (건무 30년)에 봉해졌다.[1]
불명57년 (건무중원 2년)에 유흥의 다른 두 아들이 현후에 봉해졌다.[1]


4. 출전


  • 범엽의 《후한서
  • * 권1상 광무제기 上
  • * 권1하 광무제기 下
  • * 권2 현종효명제기
  • * 권14 종실사왕삼후열전
  • 후한서》 권14 열전 4

참조

[1] 서적 後漢書 光武帝紀下
[2] 서적 後漢書 明帝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