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해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기원전 148년 전한 경제 2년에 설치되어 청주에 속했다. 전한 시대에는 26개 현을 관할했으며, 후한 시대에는 치천국, 고밀군, 교동국을 통폐합하여 군역을 넓혔다. 이후 북해국으로 격하되기도 했으며, 위진 시대를 거치며 폐지되었다. 수나라 때 청주가 북해군으로 개명되기도 했으며, 당나라 때 청주로 개칭되었다가 북해군으로 다시 개칭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쑤성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장쑤성의 군 - 오군
오군은 129년 후한 순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의 통치를 받았으며, 손책이 장악하여 오나라의 기반이 되었고, 경제적 번영과 군사적 중요성을 지녔으나, 당나라 때 소주로 개명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산둥성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산둥성의 군 - 제북군
제북군은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군으로, 전한 시대에는 제북나라로 바뀌었으며, 유흥거의 반란으로 폐지되었다가 제북군과 제남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 당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당나라의 군 - 예장군
예장군은 기원전 201년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당나라 시대까지 존속한 중국의 옛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관할 구역에 변화가 있었으며 수나라 때 잠시 폐지되었다가 당나라 때 재설치되기도 했다.
북해군 | |
---|---|
북해군 | |
역사 | |
설치 시기 | 기원전 202년경 |
폐지 시기 | 서진 초기 |
행정 구역 | |
속현 | 영릉(營陵) 평수(平壽) 안구(安丘) 고밀(高密) 창안향(昌安鄕) 극현(劇縣) 도창현(都昌縣) 평창현(平昌縣) 이향(夷鄕) 지향(芷鄕) 성양현(成陽縣) 최향(崔鄕) 식현(式縣) 후리현(侯里縣) 수광(壽光) 악망현(樂望縣) 순우현(淳于縣) 익현(益縣) 향현( 향縣) 농정현(農正縣) 모향(蓨鄕) 거향(鉅鄕) 박창현(博昌縣) 안향(安鄕) 임치(臨菑) |
인구 | |
호구 | 16만 3978호 (기원 2년) |
인구 | 71만 7630명 (기원 2년) |
관할 | |
속현 수 | 26개 현 |
위치 | |
위치 | 현재의 산둥 성 동부 |
2. 역사
북해군은 기원전 154년(경제 전2년) 교서국에서 분리된 6개 현을 기반으로 설치되었다.[16] 이후 전한 무제가 13주를 설치하면서 청주자사부에 소속되었다.
신나라 시기에는 일부 현의 이름이 변경되었다.
신나라 말기, 장보가 극현을 중심으로 제나라 지역을 평정하고 유영에게서 제왕으로 봉해졌으나, 29년 광무제에게 항복했다. 37년(후한 광무제 건무 13년)에는 치천국, 고밀군, 교동국 3국을 통합하여 군역이 확장되었다. 52년(후한 건무 28년)에는 유흥이 북해왕으로 봉해지면서 북해국이 설치되기도 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일부 현이 성양군으로 분리되었고, 206년(후한 헌제 건안 11년)에는 북해국에서 북해군으로 격하되었다.[22]
서진 초기에는 행정개편으로 인해 장광군, 동완군, 제남국, 제국 등으로 분할 편입되면서 사라졌다.
남북조 시대를 거치면서 북위 시기에는 하밀, 극, 도창, 평수, 교동 5개 현을 관할했다.
수나라 초기에는 청주에 속했다가, 대업 초에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청주가 북해군으로 개명되어 군역이 확장되었다.
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북해군을 청주로 개칭하고 청주총관부를 설치했다. 742년(천보 원년) 청주가 다시 북해군으로 개칭되었으나, 758년(건원 원년) 청주로 환원되면서 북해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2. 1. 전한
기원전 154년(경제 전2년), 교서국에서 6개 현을 분리하여 북해군을 설치했다.[16] 무제가 13주를 설치하면서 청주자사부에 소속되었다.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12만 7000호, 59만 3159명이 거주했다.아래는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총 26개 현(9현 17후국)을 관할했다.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였으며, 대략 현대의 웨이팡 시 중부·북부 지역에 해당한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영릉현 | 營陵縣 | 웨이팡 시 창러현 마송진(馬宋鎭)일대 | 혹 영구(營丘). 응소는 사상보의 도읍 영구라 했다. |
극괴후국 | 劇魁侯國 | 웨이팡시 창러현 북서 | |
안구현 | 安丘縣 | 웨이팡시 안추시 남서 | |
집후국 | 瓡[17]侯國 | ? | |
순우현 | 淳于縣 | 웨이팡시 안추시 북동 | 춘추 주(州) 공국의 도읍이다. |
익현 | 益縣 | 웨이팡시 서우광시 남 | |
평수현 | 平壽縣 | 웨이팡시 창러현 남동 | |
극후국 | 劇侯國 | 웨이팡시 창러현 서 | |
도창현 | 都昌縣 | 웨이팡시 창이시 북서 | 염관(鹽官)이 있다. |
평망후국 | 平望侯國 | 웨이팡시 서우광시 북동 | |
평적후국 | 平的侯國 | ? | |
유천후국 | 柳泉侯國 | 웨이팡시 창러현 남 | |
수광현 | 壽光縣 | 웨이팡시 서우광시 북동 | 염관(鹽官)이 있다. |
낙망후국 | 樂望侯國 | 웨이팡시 서우광시 동 | |
요후국 | 饒侯國 | 웨이팡시 서우광시 동 | |
짐현 | 斟縣 | 웨이팡시 남동 | 옛 나라로 우의 후예다. |
상독현 | 桑犢縣 | 웨이팡시 남 | 부증산(覆甑山)이 있어 개수(漑水)가 나와 동북으로 도창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
평성후국 | 平城侯國 | 웨이팡시 창이시 남동 | 기원전 31년(건시 2년) 교동경왕의 아들 유읍이 봉해져 북해군으로 옮겨졌다. |
밀향후국 | 密鄕侯國 | 웨이팡시 창이시 남동 | 기원전 31년(건시 2년) 3월 교동경왕의 아들 유회가 봉해져 북해군으로 옮겨졌다. |
양석후국 | 羊石侯國 | ? | 기원전 41년(영광 4년) 3월 교동경왕의 아들 유회가 봉해졌고 이후 북해군으로 옮겨졌다. |
낙도후국 | 樂都侯國 | ? | 기원전 31년(건시 2년) 교동경왕의 아들 유흔이 봉해져 북해군으로 옮겨졌다. |
석향후국 | 石鄕侯國 | ? | 기원전 41년(영광 4년) 3월 교동경왕의 아들 유리가 봉해졌고 이후 북해군으로 옮겨졌다. |
상향후국 | 上鄕侯國 | ? | 기원전 41년(영광 4년) 3월 교동경왕의 아들 유흡이 봉해졌고 이후 북해군으로 옮겨졌다. |
신성후국 | 新成侯國 | ? | 기원전 41년(영광 4년) 3월 교동경왕의 아들 유근이 봉해졌고 이후 북해군으로 옮겨졌다. |
성향후국 | 成鄕侯國 | 웨이팡시 안추시 북? | |
교양후국 | 膠陽侯國 | 웨이팡시 가오미시 북서 |
2. 2. 신나라
2. 3. 후한
신나라 말기, 장보가 이 군의 극현을 중심으로 제나라 지역을 평정하고 한나라 황제 유영에게서 제왕에 봉해졌으나, 29년 광무제에게 패배하고 항복했다.[20]37년(후한 광무제 건무 13년) 치천국, 고밀군, 교동국의 3국을 통폐합하면서 군역이 넓어졌다. 18성 158,641호 853,604명을 거느렸다.[20]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극현 | 劇縣 | 웨이팡 시 창러현 서 | 옛 기나라(紀國)이 있었던 기정(紀亭)이 현경내에 있었다. |
영릉현 | 營陵縣 | 웨이팡 시 창러현 남동 마송진(馬宋鎭)일대 | |
평수현 | 平壽縣 | 웨이팡 시 창러현 남동 | 전한 - 후한 교체기에 짐현이 통폐합되었고 옜 짐현은 짐성(斟城)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국(寒國)이 봉해진 한정(寒亭)이 현경내에 있었다. |
도창현 | 都昌縣 | 웨이팡 시 창이시 북서 | |
안구현 | 安丘縣 | 웨이팡 시 안추시 남서 | 거구정(渠丘亭)이 현경내에 있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순우현 | 淳于縣 | 웨이팡 시 안추시 북동 | 97년(후한 화제 영원 9년) 복구되었다. 밀향(密鄕)이 현경내에 있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평창후국 | 平昌候國 | 웨이팡 시 주청시 북 | 낭야국에서 이관되었다. 누향(蒌鄕)이 현경내에 있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주허후국 | 朱虛候國 | 웨이팡 시 린추현 남동 | 낭야국에서 이관되었다. 107년(후한 안제 영초 원년) 본군의 속현이 되었다. |
동안평현 | 東安平縣 | 쯔보시 동 | 치천국에서 이관되었다. |
고밀후국 | 高密候國 | 웨이팡 시 가오미시 남서 | 고밀국에서 이관되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창안후국 | 昌安候國 | 웨이팡 시 안추시 남동 | 고밀국에서 이관되었다. 후한초기 폐지되었다가 안제때 복구되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이안후국 | 夷安候國 | 웨이팡 시 가오미시 | 고밀국에서 이관되었다. 후한초기 폐지되었다가 안제때 복구되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교동후국 | 膠東候國 | 웨이팡 시 핑두시 | 교동국에서 이관되었다. |
즉묵후국 | 即墨候國 | 웨이팡 시 핑두시 남동 | 교동국에서 이관되었다. |
장무현 | 壯武縣 | 칭다오 시 지모시 서 | 교동국에서 이관되었다. 후한초기 폐지되었다가 안제때 복구되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하밀현 | 下密縣 | 웨이팡 시 창이시 동 | 교동국에서 이관되었다. 후한초기 폐지되었다가 안제때 복구되었다. |
정현 | 挺縣 | 옌타이 시 라이양시 남 | 교동국에서 이관되었다. |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장무, 순우, 고밀, 창안, 평창, 이안, 안구현이 신설된 성양군으로 이관되었다.[21] 206년(후한 헌제 건안 11년) 북해국에서 북해군으로 격하되었다.[22]
개편 전 | 개편 후 | ||
---|---|---|---|
북해국 | 극, 영릉, 평수, 도창, 주허, 동안평, 교동, 즉묵, 하밀, 정 | 북해군 | 극, 영릉, 평수, 도창, 주허, 동안평, 교동, 즉묵, 하밀, 정 |
안구, 순우, 평창, 고밀, 창안, 이안, 장무 | 성양군 | 안구, 순우, 평창, 고밀, 창안, 이안, 장무 |
52년 (후한 건무 28년)에 노왕 유흥이 북해왕으로 개봉되어 북해국이 설치되었다.
2. 4. 위진
진 시대에 북해군은 평수, 하밀, 교동, 즉묵의 4개 현을 관할했다.[23][24][25]서진 초기에 북해군은 다음과 같이 분할 편입되면서 사라졌다.
2. 5. 남북조 시대
남북조 시대 남조 송 시대에 북해군은 도창, 교동, 극, 즉묵, 하밀, 평수 등 6개 현을 관할했다.[25] 남조 제 시대에는 도창, 광요, 감여, 교동, 극, 하밀, 평수 등 7개 현을 관할했다.[25]북위 시대에 북해군은 하밀, 극, 도창, 평수, 교동 등 5개 현을 관할했으며, 청주에 속했다. 5현 17,587호 46,549명을 거느렸다.[25]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하밀현 | 下密縣 | 웨이팡 시 창이 시 동 위자진일대 | |
극현 | 劇縣 | 웨이팡 시 창러 현 서 서 요구진일대 | 서진대 낭야국으로 이관되었다가 후에 본군으로 돌아왔다. 창산(倉山)이 현경내에 있었다. |
도창현 | 都昌縣 | 웨이팡 시 웨이청 구 북 행부진(杏埠镇)일대 | 서위장총(徐偉長冢)이 현경내에 있었다. |
평수현 | 平壽縣 | 웨이팡 시 창러 현 남동 | 군의 치소가 있었다. 부산(浮山), 금관산(金關山)이 현경내에 있었다. |
교동현 | 膠東縣 | 웨이팡 시 동 | 봉명총(逢萌冢)이 현경내에 있었다. |
2. 6. 수나라
수나라 초 제군, 낙안군 등을 관할하던 청주에서 속군이 폐지되고 10여 개 현으로 개편되었다. 대업 초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청주가 북해군으로 개명되어 옛 제군, 낙안군 지역까지 군역이 확장되었다. 10현 147,845호를 거느렸다.[27]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익도현 | 益都縣 | 웨이팡 시 칭저우 시 | 제군에 속했으나 개황 초 제군이 폐지되었고 대업 초 북해군이 복치되자 북해군의 속현이 되었다. 요산, 연산이 현경 내에 있었다. |
임치현 | 臨淄縣 | 쯔보 시 린쯔 구 | 동안평현, 서안현과 함께 북제 때 폐지되었다. 596년 복구되었고 일부 지역에서 시수현이 신설되었다. 대업 초기 고양현과 시수현이 본현에 통폐합되었다. 사산, 규산, 우산, 직산이 현경 내에 있었다. |
천승현 | 千乘縣 | 둥잉 시 광라오 현 | 개황 초 낙안군이 폐지되면서 본군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
박창현 | 博昌縣 | 빈저우 시 보싱 현 호빈진(湖濱鎭) 채학촌(寨郝村) 일대 | 596년 낙안현(樂安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598년 신하현(新河縣)이 신설되었으나 대업 초 통폐합되었다. |
수광현 | 壽光縣 | 웨이팡 시 서우광 시 | 596년 여구현(閭丘縣)이 신설되었으나 대업 초 통폐합되었다. |
임구현 | 臨朐縣 | 웨이팡 시 린추 현 | 586년 창국현(昌國縣)에서 봉산현(逢山縣)으로 개명되었고 반양현(般陽縣)이 신설되었다. 대업 초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면서 반양현이 통폐합되었다. 봉산, 기산, 목릉산, 대현산, 문수, 오수가 현내에 있었다. |
도창현 | 都昌縣 | 웨이팡 시 웨이청 구 북 행부진(杏埠镇) 일대 | 기산, 부산, 백랑산이 현경 내에 있었다. |
북해현 | 北海縣 | 웨이팡 시 | 옛 북해군 하밀현(下密縣)이었다. 북제 때 북해군이 고양군으로 개명되었고 개황 초 군이 폐지되었다. 596년 그 지역이 유주(濰州)로 분리되었으나 대업 초 주가 폐지되면서 북해군의 속현이 되었고 이름 또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
영구현 | 營丘縣 | 웨이팡 시 창러 현 남동 | 북제 때 폐지되었으나 596년 복구되었다. 총각산, 여절산이 현경 내에 있었다. |
하밀현 | 下密縣 | 웨이팡 시 창이 시 동 위자진 일대 | 북위 때 교동현이다. 북제 때 폐지되었다가 586년 유수현(濰水縣)이란 이름으로 복구되었다. 대업 초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철산, 개수가 있었다. |
2. 7. 당나라
621년(무덕 4년)에 당나라에 의해 북해군은 청주로 개칭되었고, 청주총관부가 설치되었다. 742년(천보 원년)에 청주는 북해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에 북해군은 청주로 개칭되어 북해군의 호칭은 사라졌다.[1]3. 속현 목록
북해군의 속현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전한 시대: 경제 전2년(기원전 154년)에 설치되었으며, 총 26현(9현 17후국)을 관할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영릉현 | 營陵縣 | 웨이팡 시 창러현 마송진(馬宋鎭) 일대 | 혹 영구(營丘). 응소는 사상보의 도읍 영구라 했다. |
극괴후국 | 劇魁侯國 | 웨이팡 시 창러현 북서 | |
안구현 | 安丘縣 | 웨이팡 시 안추시 남서 | |
집후국 | 瓡[17]侯國 | ? | |
순우현 | 淳于縣 | 웨이팡 시 안추시 북동 | 춘추 주(州) 공국의 도읍이다. |
익현 | 益縣 | 웨이팡 시 서우광시 남 | |
평수현 | 平壽縣 | 웨이팡 시 창러현 남동 | |
극후국 | 劇侯國 | 웨이팡 시 창러현 서 | |
도창현 | 都昌縣 | 웨이팡 시 창이시 북서 | 염관(鹽官)이 있다. |
평망후국 | 平望侯國 | 웨이팡 시 서우광시 북동 | |
평적후국 | 平的侯國 | ? | |
유천후국 | 柳泉侯國 | 웨이팡 시 창러현 남 | |
수광현 | 壽光縣 | 웨이팡 시 서우광시 북동 | 염관(鹽官)이 있다. |
낙망후국 | 樂望侯國 | 웨이팡 시 서우광시 동 | |
요후국 | 饒侯國 | 웨이팡 시 서우광시 동 | |
짐현 | 斟縣 | 웨이팡 시 남동 | 옛 나라로 우의 후예다. |
상독현 | 桑犢縣 | 웨이팡 시 남 | 부증산(覆甑山)이 있어 개수(漑水)가 나와 동북으로 도창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
평성후국 | 平城侯國 | 웨이팡 시 창이시 남동 | 건시 2년(기원전 31년) 교동경왕의 아들 유읍이 봉해졌다. |
밀향후국 | 密鄕侯國 | 웨이팡 시 창이시 남동 | 건시 2년(기원전 31년) 3월 교동경왕의 아들 유회가 봉해졌다. |
양석후국 | 羊石侯國 | ? | 영광 4년(기원전 41년) 3월 교동경왕의 아들 유회가 봉해졌다. |
낙도후국 | 樂都侯國 | ? | 건시 2년(기원전 31년) 교동경왕의 아들 유흔이 봉해졌다. |
석향후국 | 石鄕侯國 | ? | 영광 4년(기원전 41년) 3월 교동경왕의 아들 유리가 봉해졌다. |
상향후국 | 上鄕侯國 | ? | 영광 4년(기원전 41년) 3월 교동경왕의 아들 유흡이 봉해졌다. |
신성후국 | 新成侯國 | ? | 영광 4년(기원전 41년) 3월 교동경왕의 아들 유근이 봉해졌다. |
성향후국 | 成鄕侯國 | 웨이팡 시 안추시 북? | |
교양후국 | 膠陽侯國 | 웨이팡 시 가오미시 북서 |
- 신나라: 전한의 속현 중 일부 명칭이 변경되었다.
전한 | 신 |
---|---|
영릉(營陵) | 북해정(北海亭) |
극괴(劇魁) | 상부(上符) |
안구(安丘) | 주질(誅郅) |
집(瓡) | 도덕(道德) |
익(益) | 탐양(探陽) |
평망(平望) | 소취(所聚) |
유천(柳泉) | 홍목(弘睦) |
수광(壽光) | 익평정(翼平亭) |
악도(樂都) | 발롱(拔壟) |
성향(成鄕) | 석악(石樂) |
- 후한 시대: 37년 (후한 광무제 건무 13년) 치천국, 고밀군, 교동국의 3국을 통폐합하면서 군역이 넓어졌고, 18성을 관할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일부 현이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극현 | 劇縣 | 웨이팡 시 창러현 서 | 옛 기나라(紀國)이 있었던 기정(紀亭)이 현경내에 있었다. |
영릉현 | 營陵縣 | 웨이팡 시 창러현 남동 마송진(馬宋鎭)일대 | |
평수현 | 平壽縣 | 웨이팡 시 창러현 남동 | 전한-후한교체기에 짐현이 통폐합되었고 옜 짐현은 짐성(斟城)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국(寒國)이 봉해진 한정(寒亭)이 현경내에 있었다. |
도창현 | 都昌縣 | 웨이팡 시 창이시 북서 | |
안구현 | 安丘縣 | 웨이팡 시 안추시 남서 | 거구정(渠丘亭)이 현경내에 있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순우현 | 淳于縣 | 웨이팡 시 안추시 북동 | 97년(후한 화제 영원 9년) 복구되었다. 밀향(密鄕)이 현경내에 있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평창후국 | 平昌候國 | 웨이팡 시 주청시 북 | 낭야국에서 이관되었다. 누향(蒌鄕)이 현경내에 있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주허후국 | 朱虛候國 | 웨이팡 시 린추현 남동 | 낭야국에서 이관되었다. 107년(후한 안제 영초 원년) 본군의 속현이 되었다. |
동안평현 | 東安平縣 | 쯔보시 동 | 치천국에서 이관되었다. |
고밀후국 | 高密候國 | 웨이팡 시 가오미시 남서 | 고밀국에서 이관되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창안후국 | 昌安候國 | 웨이팡 시 안추시 남동 | 고밀국에서 이관되었다. 후한초기 폐지되었다가 안제때 복구되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이안후국 | 夷安候國 | 웨이팡 시 가오미시 | 고밀국에서 이관되었다. 후한초기 폐지되었다가 안제때 복구되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교동후국 | 膠東候國 | 웨이팡 시 핑두시 | 교동국에서 이관되었다. |
즉묵후국 | 卽墨候國 | 웨이팡 시 핑두시 남동 | 교동국에서 이관되었다. |
장무현 | 壯武縣 | 칭다오 시 지모시 서 | 교동국에서 이관되었다. 후한초기 폐지되었다가 안제때 복구되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하밀현 | 下密縣 | 웨이팡 시 창이시 동 | 교동국에서 이관되었다. 후한초기 폐지되었다가 안제때 복구되었다. |
정현 | 挺縣 | 옌타이 시 라이양시 남 | 교동국에서 이관되었다. |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하밀현 | 下密縣 | 웨이팡 시 창이 시 동 위자진일대 | |
극현 | 劇縣 | 웨이팡 시 창러 현 서쪽 서요구진일대 | 서진 때 낭야국으로 이관되었다가 후에 본군으로 돌아왔다. 창산(倉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도창현 | 都昌縣 | 웨이팡 시 웨이청 구 북쪽 행부진(杏埠镇)일대 | 서위장총(徐偉長冢)이 현 경내에 있었다. |
평수현 | 平壽縣 | 웨이팡 시 창러 현 남동쪽 | 군의 치소가 있었다. 부산(浮山), 금관산(金關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교동현 | 膠東縣 | 웨이팡 시 동쪽 | 봉명총(逢萌冢)이 현 경내에 있었다. |
- 수나라 시대: 수나라 초기 제군, 낙안군 등을 관할한 청주에서 속군이 폐지되고 10여 개 현으로 개편되었다. 대업 초기에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청주가 북해군으로 개명됨에 따라 옛 제군, 낙안군 지역으로까지 군역이 확장되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익도현 | 益都縣 | 웨이팡 시 칭저우 시 | 제군에 속했으나 개황 초 제군이 폐지되었고, 대업 초 북해군이 복치되자 북해군의 속현이 되었다. 요산(堯山), 연산(鋋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임치현 | 臨淄縣 | 쯔보 시 린쯔 구 | 동안평현, 서안현과 함께 북제 때 폐지되었다. 596년 복구되었고 일부 지역에서 시수현(時水縣)이 신설되었다. 대업 초기 고양현과 시수현이 본현에 통폐합되었다. 사산(社山), 규산(葵丘), 우산(牛山), 직산(稷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천승현 | 千乘縣 | 둥잉 시 광라오 현 | 개황 초 낙안군이 폐지되면서 본군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
박창현 | 博昌縣 | 빈저우 시 보싱 현 호빈진(湖濱鎭) 채학촌(寨郝村) 일대 | 596년 낙안현(樂安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598년 신하현(新河縣)이 신설되었으나 대업 초 통폐합되었다. |
수광현 | 壽光縣 | 웨이팡 시 서우광 시 | 596년 여구현(閭丘縣)이 신설되었으나 대업 초 통폐합되었다. |
임구현 | 臨朐縣 | 웨이팡 시 린추 현 | 586년 창국현(昌國縣)에서 봉산현(逢山縣)으로 개명되었고 반양현(般陽縣)이 신설되었다. 대업 초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면서 반양현이 통폐합되었다. 봉산(逢山), 기산(沂山), 목릉산(穆陵山), 대현산(大峴山), 문수(汶水), 오수(浯水)가 현 내에 있었다. |
도창현 | 都昌縣 | 웨이팡 시 웨이청 구 북 행부진(杏埠镇) 일대 | 기산(箕山), 부산(阜山), 백랑산(白狼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북해현 | 北海縣 | 웨이팡 시 | 옛 북해군 하밀현(下密縣)이었다. 북제 때 북해군이 고양군으로 개명되었고 개황 초 군이 폐지되었다. 596년 그 지역이 유주(濰州)로 분리되었으나 대업 초 주가 폐지되면서 북해군의 속현이 되었고, 이름 또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
영구현 | 營丘縣 | 웨이팡 시 창러 현 남동 | 북제 때 폐지되었으나 596년 복구되었다. 총각산(叢角山), 여절산(女節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하밀현 | 下密縣 | 웨이팡 시 창이 시 동 위자진 일대 | 북위 때 교동현이다. 북제 때 폐지되었다가 586년 유수현(濰水縣)이란 이름으로 복구되었다. 대업 초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철산(鐵山), 개수(溉水)가 있었다. |
3. 1. 전한
전한 경제 전2년(기원전 154년) 교서국에서 삭감한 6현으로 설치되었다.[16] 무제가 13주를 설치하면서 청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12만 7000호, 59만 3159명이 있었다. 아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지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 총 26현(9현 17후국)으로, 대략 현대의 웨이팡 시 중부·북부 지역에 해당한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영릉현 | 營陵縣 | 웨이팡 시 창러현 마송진(馬宋鎭) 일대 | 혹 영구(營丘). 응소는 사상보의 도읍 영구라 했다. |
극괴후국 | 劇魁侯國 | 웨이팡 시 창러현 북서 | |
안구현 | 安丘縣 | 웨이팡 시 안추시 남서 | |
집후국 | 瓡[17]侯國 | ? | |
순우현 | 淳于縣 | 웨이팡 시 안추시 북동 | 춘추 주(州) 공국의 도읍이다. |
익현 | 益縣 | 웨이팡 시 서우광시 남 | |
평수현 | 平壽縣 | 웨이팡 시 창러현 남동 | |
극후국 | 劇侯國 | 웨이팡 시 창러현 서 | |
도창현 | 都昌縣 | 웨이팡 시 창이시 북서 | 염관(鹽官)이 있다. |
평망후국 | 平望侯國 | 웨이팡 시 서우광시 북동 | |
평적후국 | 平的侯國 | ? | |
유천후국 | 柳泉侯國 | 웨이팡 시 창러현 남 | |
수광현 | 壽光縣 | 웨이팡 시 서우광시 북동 | 염관(鹽官)이 있다. |
낙망후국 | 樂望侯國 | 웨이팡 시 서우광시 동 | |
요후국 | 饒侯國 | 웨이팡 시 서우광시 동 | |
짐현 | 斟縣 | 웨이팡 시 남동 | 옛 나라로 우의 후예다. |
상독현 | 桑犢縣 | 웨이팡 시 남 | 부증산(覆甑山)이 있어 개수(漑水)가 나와 동북으로 도창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
평성후국 | 平城侯國 | 웨이팡 시 창이시 남동 | 건시 2년(기원전 31년) 교동경왕의 아들 유읍이 봉해졌다. |
밀향후국 | 密鄕侯國 | 웨이팡 시 창이시 남동 | 건시 2년(기원전 31년) 3월 교동경왕의 아들 유회가 봉해졌다. |
양석후국 | 羊石侯國 | ? | 영광 4년(기원전 41년) 3월 교동경왕의 아들 유회가 봉해졌다. |
낙도후국 | 樂都侯國 | ? | 건시 2년(기원전 31년) 교동경왕의 아들 유흔이 봉해졌다. |
석향후국 | 石鄕侯國 | ? | 영광 4년(기원전 41년) 3월 교동경왕의 아들 유리가 봉해졌다. |
상향후국 | 上鄕侯國 | ? | 영광 4년(기원전 41년) 3월 교동경왕의 아들 유흡이 봉해졌다. |
신성후국 | 新成侯國 | ? | 영광 4년(기원전 41년) 3월 교동경왕의 아들 유근이 봉해졌다. |
성향후국 | 成鄕侯國 | 웨이팡 시 안추시 북? | |
교양후국 | 膠陽侯國 | 웨이팡 시 가오미시 북서 |
3. 2. 후한
신나라 말기, 장보가 이 군의 극현을 중심으로 제나라 지역을 평정하고 한나라 황제 유영에게서 제왕에 봉해졌으나, 29년 광무제에게 패배하고 항복했다.[20]37년(후한 광무제 건무 13년) 치천국, 고밀군, 교동국의 3국을 통폐합하면서 군역이 넓어졌다. 18성 158,641호 853,604명을 거느렸다.[20]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극현 | 劇縣 | 웨이팡 시 창러현 서 | 옛 기나라(紀國)이 있었던 기정(紀亭)이 현경내에 있었다. |
영릉현 | 營陵縣 | 웨이팡 시 창러현 남동 마송진(馬宋鎭)일대 | |
평수현 | 平壽縣 | 웨이팡 시 창러현 남동 | 전한-후한교체기에 짐현이 통폐합되었고 옜 짐현은 짐성(斟城)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국(寒國)이 봉해진 한정(寒亭)이 현경내에 있었다. |
도창현 | 都昌縣 | 웨이팡 시 창이시 북서 | |
안구현 | 安丘縣 | 웨이팡 시 안추시 남서 | 거구정(渠丘亭)이 현경내에 있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순우현 | 淳于縣 | 웨이팡 시 안추시 북동 | 97년(후한 화제 영원 9년) 복구되었다. 밀향(密鄕)이 현경내에 있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평창후국 | 平昌候國 | 웨이팡 시 주청시 북 | 낭야국에서 이관되었다. 누향(蒌鄕)이 현경내에 있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주허후국 | 朱虛候國 | 웨이팡 시 린추현 남동 | 낭야국에서 이관되었다. 107년(후한 안제 영초 원년) 본군의 속현이 되었다. |
동안평현 | 東安平縣 | 쯔보시 동 | 치천국에서 이관되었다. |
고밀후국 | 高密候國 | 웨이팡 시 가오미시 남서 | 고밀국에서 이관되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창안후국 | 昌安候國 | 웨이팡 시 안추시 남동 | 고밀국에서 이관되었다. 후한초기 폐지되었다가 안제때 복구되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이안후국 | 夷安候國 | 웨이팡 시 가오미시 | 고밀국에서 이관되었다. 후한초기 폐지되었다가 안제때 복구되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교동후국 | 膠東候國 | 웨이팡 시 핑두시 | 교동국에서 이관되었다. |
즉묵후국 | 卽墨候國 | 웨이팡 시 핑두시 남동 | 교동국에서 이관되었다. |
장무현 | 壯武縣 | 칭다오 시 지모시 서 | 교동국에서 이관되었다. 후한초기 폐지되었다가 안제때 복구되었다.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성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하밀현 | 下密縣 | 웨이팡 시 창이시 동 | 교동국에서 이관되었다. 후한초기 폐지되었다가 안제때 복구되었다. |
정현 | 挺縣 | 옌타이 시 라이양시 남 | 교동국에서 이관되었다. |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장무, 순우, 고밀, 창안, 평창, 이안, 안구현이 신설된 성양군으로 이관되었고,[21] 206년(후한 헌제 건안 11년) 북해국에서 북해군으로 격하되었다.[22]
개편 전 | 개편 후 | ||
---|---|---|---|
북해국 | 극, 영릉, 평수, 도창, 주허, 동안평, 교동, 즉묵, 하밀, 정 | 북해군 | 극, 영릉, 평수, 도창, 주허, 동안평, 교동, 즉묵, 하밀, 정 |
안구, 순우, 평창, 고밀, 창안, 이안, 장무 | 성양군 | 안구, 순우, 평창, 고밀, 창안, 이안, 장무 |
52년 (후한 건무 28년)에 노왕 유흥이 북해왕으로 개봉되어 북해국이 설치되었다.
3. 3. 북위
북위 시대에 북해군은 하밀, 극, 도창, 평수, 교동 5개 현을 관할했다.[25]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하밀현 | 下密縣 | 웨이팡 시 창이 시 동 위자진일대 | |
극현 | 劇縣 | 웨이팡 시 창러 현 서쪽 서요구진일대 | 서진 때 낭야국으로 이관되었다가 후에 본군으로 돌아왔다. 창산(倉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도창현 | 都昌縣 | 웨이팡 시 웨이청 구 북쪽 행부진(杏埠镇)일대 | 서위장총(徐偉長冢)이 현 경내에 있었다. |
평수현 | 平壽縣 | 웨이팡 시 창러 현 남동쪽 | 군의 치소가 있었다. 부산(浮山), 금관산(金關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교동현 | 膠東縣 | 웨이팡 시 동쪽 | 봉명총(逢萌冢)이 현 경내에 있었다. |
3. 4. 수나라
수나라 초기 제군, 낙안군 등을 관할한 청주에서 속군이 폐지되고 10여 개 현으로 개편되었다. 대업 초기에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청주가 북해군으로 개명됨에 따라 옛 제군, 낙안군 지역으로까지 군역이 확장되었다. 당시 북해군은 10개 현, 147,845호를 거느렸다.[27]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익도현 | 益都縣 | 웨이팡 시 칭저우 시 | 제군에 속했으나 개황 초 제군이 폐지되었고, 대업 초 북해군이 복치되자 북해군의 속현이 되었다. 요산(堯山), 연산(鋋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임치현 | 臨淄縣 | 쯔보 시 린쯔 구 | 동안평현, 서안현과 함께 북제 때 폐지되었다. 596년 복구되었고 일부 지역에서 시수현(時水縣)이 신설되었다. 대업 초기 고양현과 시수현이 본현에 통폐합되었다. 사산(社山), 규산(葵丘), 우산(牛山), 직산(稷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천승현 | 千乘縣 | 둥잉 시 광라오 현 | 개황 초 낙안군이 폐지되면서 본군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
박창현 | 博昌縣 | 빈저우 시 보싱 현 호빈진(湖濱鎭) 채학촌(寨郝村) 일대 | 596년 낙안현(樂安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598년 신하현(新河縣)이 신설되었으나 대업 초 통폐합되었다. |
수광현 | 壽光縣 | 웨이팡 시 서우광 시 | 596년 여구현(閭丘縣)이 신설되었으나 대업 초 통폐합되었다. |
임구현 | 臨朐縣 | 웨이팡 시 린추 현 | 586년 창국현(昌國縣)에서 봉산현(逢山縣)으로 개명되었고 반양현(般陽縣)이 신설되었다. 대업 초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면서 반양현이 통폐합되었다. 봉산(逢山), 기산(沂山), 목릉산(穆陵山), 대현산(大峴山), 문수(汶水), 오수(浯水)가 현 내에 있었다. |
도창현 | 都昌縣 | 웨이팡 시 웨이청 구 북 행부진(杏埠镇) 일대 | 기산(箕山), 부산(阜山), 백랑산(白狼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북해현 | 北海縣 | 웨이팡 시 | 옛 북해군 하밀현(下密縣)이었다. 북제 때 북해군이 고양군으로 개명되었고 개황 초 군이 폐지되었다. 596년 그 지역이 유주(濰州)로 분리되었으나 대업 초 주가 폐지되면서 북해군의 속현이 되었고, 이름 또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
영구현 | 營丘縣 | 웨이팡 시 창러 현 남동 | 북제 때 폐지되었으나 596년 복구되었다. 총각산(叢角山), 여절산(女節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하밀현 | 下密縣 | 웨이팡 시 창이 시 동 위자진 일대 | 북위 때 교동현이다. 북제 때 폐지되었다가 586년 유수현(濰水縣)이란 이름으로 복구되었다. 대업 초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철산(鐵山), 개수(溉水)가 있었다. |
4. 역대 군수·태수
시기 | 설명 |
---|---|
전한 | 기원전 148년 전한 경제 2년에 북해군이 설치되었다. 청주에 속했으며, 26개 현을 관할했다. 《한서》에 따르면 전한 말에 12만 7000호, 59만 3159명이 있었다.[1] |
후한 (북해상) | 52년(후한 건무 28년)에 노왕 유흥이 북해왕으로 개봉되어 북해국이 설치되었다. 북해국은 18개 현을 관할했다. * 동선 (광무제 시기) * 공융 (190년 ~ 196년) |
진 | 진 시대에 북해군은 평수, 하밀, 교동, 즉묵 등 4개 현을 관할했다. |
남조 송 | 남조 송 시대에 북해군은 도창, 교동, 극, 즉묵, 하밀, 평수 등 6개 현을 관할했다. |
남조 제 | 남조 제 시대에 북해군은 도창, 광요, 감여, 교동, 극, 하밀, 평수 등 7개 현을 관할했다. |
북위 | 북위 시대에 북해군은 하밀, 극, 도창, 평수, 교동 등 5개 현을 관할했다. |
수나라 | 583년 (개황 3년)에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북해군은 폐지되어 청주에 편입되었다.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청주는 북해군으로 개칭되었다. 익도, 임치, 천승, 박창, 수광, 임구, 도창, 북해, 영구, 하밀 등 10개 현을 관할했다. |
당나라 | 621년 (무덕 4년)에 당나라에 의해 북해군은 청주로 개칭되었고, 청주총관부가 설치되었다. 742년 (천보 원년)에 청주는 북해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건원 원년)에 북해군은 청주로 개칭되어 북해군의 호칭은 사라졌다. |
4. 1. 전한
기원전 148년 전한 경제 2년에 북해군이 설치되었다. 북해군은 청주에 속했으며, 영릉, 극괴, 안구, 瓡, 순우, 익, 평수, 극, 도창, 평망, 평적, 유천, 수광, 악망, 요, 짐, 상독, 평성, 밀향, 양석, 낙도, 석향, 상향, 신성, 성향, 교양 등 26개 현을 관할했다. 《한서》에 따르면 전한 말에 12만 7000호, 59만 3159명이 있었다.[1]4. 2. 후한 (북해상)
52년(후한 건무 28년)에 노왕 유흥이 북해왕으로 개봉되어 북해국이 설치되었다. 북해국은 극, 영릉, 평수, 도창, 안구, 순우, 평창, 주허, 동안평, 고밀, 창안, 이안, 교동, 즉묵, 장무, 하밀, 정, 관양 등 18개 현을 관할했다.현명 |
---|
극 |
영릉 |
평수 |
도창 |
안구 |
순우 |
평창 |
주허 |
동안평 |
고밀 |
창안 |
이안 |
교동 |
즉묵 |
장무 |
하밀 |
정 |
관양 |
참조
[1]
서적
Xihan Zhengqu Dili
People's Press
1987
[2]
문서
Book of Han
[3]
문서
Book of Later Han
[4]
문서
Book of Later Han
[5]
문서
Book of Song
[6]
문서
New Book of Tang
[7]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8]
문서
後漢書
[9]
문서
後漢書
[10]
서적
晋書
[11]
문서
宋書
[12]
문서
南斉書
[13]
문서
魏書
[14]
문서
隋書
[15]
문서
旧唐書
[16]
노트
[17]
노트
[18]
서적
한서
[19]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20]
문서
속한서
https://zh.wikisourc[...]
[21]
문서
삼국지
https://zh.wikisourc[...]
[22]
문서
후한서
https://zh.wikisourc[...]
[23]
문서
진서
https://zh.wikisourc[...]
[24]
문서
진서
https://zh.wikisourc[...]
[25]
문서
위서
https://zh.wikisourc[...]
[26]
노트
[27]
문서
수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