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사관학교 화랑대교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사관학교 화랑대교당은 육군사관학교 내 원불교 종교시설로, 2010년 8월 종교 행사가 시작되어 2016년 1월에 준공되었다. 요진건설산업 최준명 회장의 기부로 건립되었으며, 세미나실, 기도실, 사무동, 교무생활관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매주 정기 종교 행사와 함께 신정절, 대각개교절, 법인절, 석존성탄절, 육일대재, 명절대재 등의 경절행사 및 성지순례가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불교 -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는 1946년 유일학림으로 설립되어 1971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로,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아름다운 캠퍼스와 다채로운 행사로 풍성한 대학 생활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대한민국 육군 장교를 양성하는 4년제 군사 교육 기관으로, 1946년 개교하여 서울 노원구에 위치하며 지·인·용을 교훈으로 일반 학문, 군사학, 강도 높은 군사 훈련을 통해 정예 육군 장교를 양성하고, 1998년부터 여성 생도 입학을 허용하여 졸업생들은 소위로 임관한다.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은 육군사관학교 내에 위치한 군사 박물관으로,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의 군사 유물을 전시하며, 제1, 2 전시실, 육사기념관, 옥외 및 야외 전시장을 갖추고 있다.
육군사관학교 화랑대교당 | |
---|---|
기본 정보 | |
![]() | |
종교 | 원불교 |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육군사관학교 내 |
상세 정보 | |
창건 | 1984년 |
주관 | 원불교 군종 |
특징 | 육군사관학교 종교 시설 |
2. 역사
육군사관학교 원불교 종교행사는 2010년 8월부터 시작하였다. 종교행사에 참여하는 인원이 증가하면서 강의실과 세미나실, 강당 등으로 장소를 변경하여 행사를 진행하였다. 2014년 7월 11일 초대 원불교 군종장교 조경대 교무가 부임하여 교당 건립을 위한 준비를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요진건설산업(주) 최준명 회장이 신축 공사비 27억 원을 전액 기부하였고, 유명 건축가들의 공모와 설계 설명회를 통해 양수인 건축가의 작품이 선정되었다. 육군사관학교 화랑대교당은 육사회관에서 정비대 생활관을 따라 좌측에 자리하며, 2015년 6월 29일 착공하여 2016년 1월 7일에 준공되었다.
2. 1. 건립 배경
육군사관학교 원불교 종교행사는 2010년 8월부터 시작하였다. 종교행사에 참여하는 인원이 증가하면서 강의실과 세미나실, 강당 등으로 장소를 변경하여 행사를 진행하였다. 2014년 7월 11일 초대 원불교 군종장교 조경대 교무가 부임하여 교당 건립을 위한 준비를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2. 2. 건립 과정
2010년 8월부터 육군사관학교에서 원불교 종교행사가 시작되었다. 종교행사 참여 인원이 증가하면서 강의실, 세미나실, 강당 등에서 행사를 진행하다가, 2014년 7월 11일 초대 원불교 군종장교 조경대 교무가 부임하여 교당 건립을 위한 준비를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요진건설산업(주) 최준명 회장이 신축 공사비 27억 원을 전액 기부하였고, 유명 건축가들의 공모와 설계 설명회를 통해 양수인 건축가의 작품이 선정되었다. 육군사관학교 화랑대교당은 육사회관에서 정비대 생활관을 따라 좌측에 자리하며, 2015년 6월 29일 착공하여 2016년 1월 7일에 준공되었다.
3. 교무
wikitable
이름 | 임기 |
---|---|
조경대 | 2014년 ~ 2019년 |
최성남 | 2019년 ~ 현재 |
3. 1. 역대 교무
wikitable이름 | 임기 |
---|---|
조경대 | 2014년 ~ 2019년 |
최성남 | 2019년 ~ 현재 |
4. 시설
화랑대교당은 연면적 934.91m2, 지상 2층의 철근 콘크리트 건물로 원불교 주요 교리인 사은 사요(四恩四要)를 형상화하였다.
==== 세미나실 ====
세미나실은 학년별 단회실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총 4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무무늬가 새겨진 콘크리트 벽면으로 마감했다.[1]
==== 기도실 ====
화랑대교당에는 단회실 사이에 학년별 기도실이 마련되어 있어, 위계질서가 명확한 생도들의 사생활을 보호한다.[1] 대각전과 법당은 개방된 넓은 공간이기 때문에 혼자 기도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여 설계되었다.[1] 조경원 군종장교(교무)는 "개별 기도실 공간 마련은 희사주인 요진그룹 최준명 회장의 아이디어"라며 "기숙생활을 하는 생도들이 마음의 안식을 얻도록 설계했고, 생도들이 언제든지 기도하고 참선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고 말했다.[1]
==== 사무동 ====
사무동은 건물 가운데 공간에 위치해 교당의 기둥 역할을 하는 곳이다.[1]
==== 교무생활관 ====
교무생활관은 교무실(사무)과 숙소로 구성되어 있다. 생활관 앞에는 테라스를 둬 생도들의 상담과 휴게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테라스는 각 학년별 단회실 사이에도 둬 생도 선후배 간 소통의 공간으로, 또는 교당스테이 때는 야영 공간으로 활용한다.[1]
4. 1. 세미나실
세미나실은 학년별 단회실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총 4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무무늬가 새겨진 콘크리트 벽면으로 마감했다.[1]4. 2. 기도실
화랑대교당에는 단회실 사이에 학년별 기도실이 마련되어 있어, 위계질서가 명확한 생도들의 사생활을 보호한다.[1] 대각전과 법당은 개방된 넓은 공간이기 때문에 혼자 기도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여 설계되었다.[1] 조경원 군종장교(교무)는 "개별 기도실 공간 마련은 희사주인 요진그룹 최준명 회장의 아이디어"라며 "기숙생활을 하는 생도들이 마음의 안식을 얻도록 설계했고, 생도들이 언제든지 기도하고 참선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고 말했다.[1]4. 3. 사무동
사무동은 건물 가운데 공간에 위치해 교당의 기둥 역할을 하는 곳이다.[1]4. 4. 교무생활관
교무생활관은 교무실(사무)과 숙소로 구성되어 있다. 생활관 앞에는 테라스를 둬 생도들의 상담과 휴게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테라스는 각 학년별 단회실 사이에도 둬 생도 선후배 간 소통의 공간으로, 또는 교당스테이 때는 야영 공간으로 활용한다.[1]5. 종교 행사
원불교의 종교 행사로는 일요일 오전 예회와 수요일 저녁 예회가 있고, 매일 아침 좌선과 저녁 염불이 있다.
5. 1. 정기 행사
원불교의 종교 행사로는 일요일 오전 예회와 수요일 저녁 예회가 있고, 매일 아침 좌선과 저녁 염불이 있다.5. 2. 경절행사
5. 2. 1. 신정절
원불교 사대명절의 하나로, 1월 1일 법신불과 스승에게 세배를 올리고, 동지간에 인사를 교환한다.지나간 한 해를 결산하고 새 해의 계획을 세우며, 희망찬 앞날을 기원하는 날이다. 신정절의 기념식으로는 타종식과 기도식이 있는데, 1월 1일 새벽 5시 원불교중앙총부에서 진행한다.
신정절 기념식은 1월 1일 원불교 각 교당 및 기관에서 진행한다.[2]
5. 2. 2. 대각개교절

대각개교절에서 대각이란 진리를 크게 깨닫는 것이고, 개교란 종교의 문을 열었다는 뜻이다. 원불교 교조인 소태산 대종사가 진리를 깨닫고, 원불교를 창시한날(1916.4.28)을 기념하는 날이며 원불교의 가장 큰 경축일이다.[2] 소태산 대종사의 탄생일보다 대각일을 제1의 경축일로 하고, 탄생기념까지 겸하고 있다. 원불교는 4월 1일부터 5월 5일까지 대각개교 경축기간으로 정하고, 특별법회·사상강연회·성지순례·예술제·체육대회 등 각종 경축행사를 거행하며, 각종 사회 봉공활동을 펼치는 등 대각과 개교의 의의를 원불교 교단뿐만 아니라 인류사회가 공유할 수 있는 행사와 사업(은혜잔치, 법잔치, 놀이잔치)을 전개한다.[2] 또한, 공동생일을 겸하게 한 것은 육신의 태어남과는 다른 차원에서, 곧 원불교에 입교함으로써 교법정신으로 다시 태어남을 의미하는 정신의 생일을 상징하여 공동생일로서 축하한다.[2]
5. 2. 3. 법인절
법인절은 원불교의 4대 경절 중 하나로, 8월 21일 구인제자가 백지혈인의 법인성사로써 법계의 인증을 얻은 것을 경축하는 날이다.[2]법인절 기념식은 매년 8월 21일 원불교중앙총부 반백년기념관에서 진행하고 있다.[2]
5. 2. 4. 석존성탄절
석존은 인도의 서가모니 부처를 존숭하여 부르는 말로서, 석존성탄절은 서가모니 부처가 음력 4월 8일에 탄생한 일을 축하하고 기리는 날이다.원불교에서는 교조인 소태산 대종사가 불교의 서가모니 부처를 연원불(淵源佛)로 모시고 부처님 법과 깊은 인연이 있음을 밝히면서, 이에 서가모니 부처의 탄생을 함께 축하한다.[2]
5. 2. 5. 육일대재
원불교의 이재(二齎)중 하나로 소태산 대종사의 열반을 기념하는 날이며 소태산 대종사를 비롯하여 일체생령들을 추모하는 향례이다.대재는 소태산 대종사 이하 원불교의 모든 조상 및 인류 역사상의 모든 성현과 일체 생령을 길이 추모하여 정례로 합동 향례를 올리는 것이다.[2]
5. 2. 6. 명절대재
역대 선령열위를 추모하는 명절대재(12월 1일)는 원불교의 중요한 행사 중 하나이다. 명절대재는 육일대재(6월 1일)와 함께 매년 두 차례 봉행되지만, 형편에 따라 12월 1일 전후 가까운 예회일에 거행할 수도 있다.[2]명절대재는 소태산 대종사를 비롯한 역대 선령열위를 영모전에 공동향례하여, 모든 교도들이 보은하는 마음을 합하고 정성을 다하며 위의를 갖춤으로써 법계향화(法系香火)가 영원히 이어지도록 하는 의미를 지닌다.[2] 이는 일제 강점기의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민족의 얼을 지키고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고자 했던 원불교의 정신을 계승하는 중요한 의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5. 3. 성지순례
군종생도와 군종병을 대상으로 하는 성지 순례가 있다.참조
[1]
웹인용
생도 친화적 교당 건축 돋보여
http://www.wonnews.c[...]
원불교신문
2020-10-25
[2]
웹인용
원불교소개
http://guide.won.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