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후근지휘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후근지휘부는 중화민국 육군의 후근 지원을 담당하는 부대이다. 1955년 육군공급사령부로 창설되어 육군후근사령부, 육군보수지휘부를 거쳐 2012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임무는 군수 지원, 기술 지원, 훈련 및 교육, 기지 관리 등이며, 각 지구 지원 지휘부와 직할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육군후근지휘부는 후근 분야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중화민국 육군의 군수 지원 능력은 한반도 안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강구 (타이베이시) - 트랜스아시아 항공 235편 추락 사고
트랜스아시아 항공 235편 추락 사고는 2015년 2월 4일 타이베이 쑹산 공항을 출발한 ATR 72-600기가 엔진 고장과 조종사의 부적절한 대처로 지룽강에 추락하여 43명이 사망하고 트랜스아시아 항공이 해산된 사고이다. - 난강구 (타이베이시) - 난강소프트웨어단지역
난강소프트웨어단지역은 2009년 개통한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의 고가역으로, 네이후구에 위치하며 난강소프트웨어단지구, 네이후 기지, YouBike 대여소 등 주변 시설과 함께 난강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 중화민국 육군의 사령부 및 지휘부 - 마쭈 방위지휘부
마쭈 방위지휘부는 위키백과 등재 기준을 충족할 만큼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상세 내용 작성이 현재 불가능합니다. - 중화민국 육군의 사령부 및 지휘부 - 중국 육군총사령부
중국 육군총사령부는 중일 전쟁 시기인 1944년 12월 윈난성 쿤밍에 설립된 군 사령부로, 허잉친이 초대 육군총사령관을 맡아 여러 지역의 군대를 통제하고 일본 항복 후 종전 업무를 수행했으나, 국공 내전 패배로 부정적인 평가도 있다. - 중화민국 육군 - 마쭈 방위지휘부
마쭈 방위지휘부는 위키백과 등재 기준을 충족할 만큼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상세 내용 작성이 현재 불가능합니다. - 중화민국 육군 - 둥인 지구지휘부
둥인 지구지휘부는 위키백과 페이지 제목이나 현재 내용이 없어 해당 지휘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페이지 작성을 위해서는 각 섹션별 요약 및 원본 소스가 필요합니다.
육군후근지휘부 | |
---|---|
육군후근지휘부 | |
![]() | |
![]() | |
일반 정보 | |
이름 | 육군후근지휘부 |
로마자 표기 | Luggun Hugeun Jihwibu |
영어 이름 | ROCA Logistics Command |
활동 기간 | 1955년 9월 1일 |
병과 | 군수 |
명령 체계 | 국방부 육군사령부 |
2. 역사
1955년 9월 1일, 주대만 미군 군사고문단의 권고에 따라 중화민국 국군의 총근제도가 폐지되었다. 이에 국방부 육군사령부의 제4서 및 각 후근업처, 그리고 연합후근사령부(연합총부, 연근부)의 각 관련 특업서를 모아 조직을 개편하여 육군공급사령부(육군공급사령부 (육공부)/陸軍供應司令部 (陸供部)zh-tw)를 설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합총부의 기술근무병과학교(技勤兵科學校)가 육군으로 이관되었다.
1966년, 육군총사령부는 후근정책 및 주계업무를 담당하는 직속 부서인 후근서(後勤署)를 다시 설립하였다. 육군공급사령부는 전문적인 후근 업무를 집행하였다.
1975년 11월 1일, 육군후근사령부로 개편되었다.
1998년 7월 1일, 육근부 운송서(運輸署)와 산하 부대가 연합후근사령부로 편입되었다. 1999년 7월 1일, 정실안(精實案)에 따라 배급서, 보수서와 같은 직속부서가 육군후근사령부로 편입되었다.
2006년 1월 1일, 정진안(精進案)에 따라 육근부를 폐지하고 연근부로 통합하였다. 2008년 2월 1일, 정진안의 두 번째 단계를 검토하여 육군보수지휘부를 편성하였다. 장수지/江修志zh-tw 소장이 취임하여 4년 뒤에 폐지될 때까지 복무하였다.
2012년 12월 24일, 국방부의 조직 조정에 따라 육군보수지휘부는 폐지되었다.
2012년 12월 28일, 국방부는 정수안(精粹案) 계획에 따라 국방부 산하 연합후근사령부를 폐지하였다. 직속 단위 부대는 육군보수지휘부로 편입되었고, 육군보수지휘부는 다시 육군후근지휘부(육군후근지휘부 (육근부)/陸軍後勤指揮部 (陸勤部)zh-tw)로 되돌려졌다.
2. 1. 창설 배경 (1955년 이전)
1955년 9월 1일, 주대만 미군 군사고문단은 미국군 병참체계와의 호환을 위해 중화민국 국군의 총근제도 폐지를 권고하였다. 이에 따라 국방부 육군사령부의 제4서 및 각 후근업처, 그리고 연합후근사령부(연합총부, 연근부)의 각 관련 특업서를 모아 조직을 개편, 육군공급사령부(육공부)를 설립하였다. 연합총부의 기술근무병과학교(技勤兵科學校)는 육군으로 이관되었다.2. 2. 육군공급사령부 시대 (1955년 ~ 1975년)
1955년 9월 1일, 주대만 미군 군사고문단의 권고에 따라 국군총근제도가 폐지되었다. 이에 국방부 육군사령부의 제4서 및 각 후근업처, 그리고 연합후근사령부(연합총부, 연근부)의 각 관련 특업서를 모아 조직을 개편하여 육군공급사령부(육군공급사령부 (육공부)/陸軍供應司令部 (陸供部)zh-tw)를 설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합총부의 기술근무병과학교(技勤兵科學校)가 육군으로 이관되었다.1966년, 육군총사령부는 후근정책 및 주계업무를 담당하는 직속 부서인 후근서(後勤署)를 다시 설립하였다. 육군공급사령부는 전문적인 후근 업무를 집행하였다.
2. 3. 육군후근사령부 시대 (1975년 ~ 2008년)
1955년 9월 1일, 주대만 미군 군사고문단의 권고에 따라 국방부 육군사령부의 제4서 및 각 후근업처, 연합후근사령부의 각 관련 특업서를 모아 육군공급사령부(육공부)를 설립하였다. 연합총부의 기술근무병과학교(技勤兵科學校)는 육군으로 이관되었다.1966년, 육군총사령부는 후근정책 및 주계업무를 맡은 직속 부서인 후근서(後勤署)를 다시 설립하였다. 육군공급사령부에서는 전문적인 후근 업무를 집행하였다.
1975년 11월 1일, 육군후근사령부로 개편되었다.
1998년 7월 1일, 육근부 운송서(運輸署)와 산하 부대가 연합후근사령부로 편입되었다. 1999년 7월 1일, 정실안(精實案)에 따라 배급서, 보수서와 같은 직속부서가 육군후근사령부로 편입되었다.
2006년 1월 1일, 정진안(精進案)에 따라 육근부를 폐지하고 연근부로 통합하였다. 2008년 2월 1일, 정진안의 두 번째 단계를 검토하여 육군보수지휘부를 편성하였다. 장수지/江修志zh-tw 소장이 취임하여 4년 뒤에 폐지될 때까지 복무하였다.
2. 4. 육군보수지휘부 시대 (2008년 ~ 2012년)
2008년 2월 1일, 정진안(精進案)의 두 번째 단계를 검토하여 육군보수지휘부를 편성하였다. 초대 지휘관은 장수지/江修志zh-tw 소장이 맡았으며, 4년 뒤 부대가 폐지될 때까지 복무하였다. 2012년 12월 24일, 국방부의 조직 조정에 따라 육군보수지휘부는 폐지되었다.2. 5. 육군후근지휘부 시대 (2012년 ~ 현재)
2012년 12월 28일, 국방부는 정수안(精粹案) 계획에 따라 국방부 산하 연합후근사령부를 폐지하였다. 직속 단위 부대는 육군보수지휘부로 편입되었고, 육군보수지휘부는 다시 육군후근지휘부로 되돌려졌다. 이에 앞서 2012년 12월 24일, 국방부의 조직 조정에 따라 육군보수지휘부가 폐지되었으나, 2008년 2월 1일에 정진안의 두 번째 단계를 검토하여 육군보수지휘부가 편성되었고, 장수지/江修志zh-tw 소장이 취임하여 4년 뒤 폐지될 때까지 복무하였다.3. 조직 구조
3. 1. 본부 및 직할 부대
본부중대는 소교 1명이 지휘하는 연장(連長) 1개로 구성되어 있다.[1] 육군병기정비발전소(병정소)는 소장이 지휘하며, 육군통신전자기재기지근무창(통기창)은 상교가 창장으로 있다.
각 지구후근지원지휘부는 다음과 같다.[1]
- 육군 제1지구지원지휘부(1지부): 상교 지휘, 펑후 지구 담당.
- 육군 제2지구지원지휘부(2지부): 상교 지휘, 동부지구 담당.
- 육군 제3지구지원지휘부(3지부): 소장 지휘, 북부지구 담당. 운송병군은 타오위안시 다시구에 주둔한다.
- 육군 제4지구지원지휘부(4지부): 소장 지휘, 남부지구 담당.
- 육군 제5지구지원지휘부(5지부): 소장 지휘, 중부지구 담당.
- 육군 진먼 지구지원대대(진지영): 중교 지휘, 神豹부대 소속. 운송대대와 탄약대대를 포함한다.
- 육군 마쭈 지구지원대대(마지영): 중교 지휘, 운송대대를 포함한다.
각 지구지원지휘부 직할에는 보급, 급유(보급급유창), 보수(종합보수창), 운송(운송병군), 위근(위생대대), 탄약(탄약창) 부대가 있다.[1]
3. 2. 지구지원지휘부
육군 제1지구지원지휘부(1지부)는 펑후 지구[1], 육군 제2지구지원지휘부(2지부)는 동부지구[1], 육군 제3지구지원지휘부(3지부)는 북부지구[1], 육군 제4지구지원지휘부(4지부)는 남부지구[1], 육군 제5지구지원지휘부(5지부)는 중부지구를 관할한다.[1] 제3지구지원지휘부 예하에는 운송병군이 주둔하고 있으며, 주대는 타오위안시 다시구에 위치한다.육군 진먼 지구지원대대(진지영)는 神豹부대에 속해 있으며,[1] 예하에 운송대대, 탄약대대를 두고 있다. 육군 마쭈 지구지원대대(마지영) 예하에는 운송대대가 있다.[1]
각 지구지원지휘부 직할에는 보급, 급유를 담당하는 보급급유창, 보수를 담당하는 종합보수창, 운송을 담당하는 운송병군, 위생을 담당하는 위생대대, 탄약을 담당하는 탄약창이 있다.[1]
3. 3. 지구지원지휘부 직할 부대
본부중대는 소교 1명이 지휘하는 연장(連長) 1명으로 구성된다.[1] 육군병기정비발전소(병정소)는 소장 1명이 주임으로 있다.[1] 육군통신전자기재기지근무창(통기창)은 상교 1명이 창장을 맡고, 육군항공기지근무창(항근창)과 육군비탄광전기지근무창(비근창)은 각각 소장 1명이 창장을 맡는다.[1] 육군후근훈련소(후훈소)는 소장 1명이 지휘관을 맡고, 육군휘발유차(汽車)기지근무창(汽基창)은 상교 1명이 창장을 맡는다.[1] 육군후근지휘부 부식공급센터(부공소)는 상교 1명이 주임을 맡는다.[1]4. 주요 임무 및 기능
4. 1. 군수 지원
4. 2. 기술 지원
4. 3. 훈련 및 교육
육군후근지휘부는 후근 분야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후근훈련소는 이러한 교육훈련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4. 4. 기지 관리
5. 대한민국과의 관계
중화민국 육군은 제2차 국공내전, 주월 중화민국 군사고문단, 대만 해협 위기 등의 군사 교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과 중화민국은 군수 지원 분야에서 상호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추진할 수 있다. 양국은 공동 훈련을 통해 군수 지원 능력을 향상시키고, 기술 협력을 통해 군수 지원 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공유를 통해 군수 지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후근지휘부의 군수 지원 능력은 한반도 안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유사시 대한민국에 대한 군수 지원 가능성과 그 의미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중화민국 육군은 제2차 국공내전, 대만 해협 위기 등에서 군수 지원 경험을 축적했다.
5. 1. 군사 교류
중화민국 육군은 제2차 국공내전, 주월 중화민국 군사고문단, 대만 해협 위기 등의 군사 교류 역사를 가지고 있다.5. 2. 협력 강화 방안
대한민국과 중화민국은 군수 지원 분야에서 상호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추진할 수 있다. 양국은 공동 훈련을 통해 군수 지원 능력을 향상시키고, 기술 협력을 통해 군수 지원 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공유를 통해 군수 지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5. 3. 한반도 안보에 대한 기여
중화민국 육군 후근지휘부의 군수 지원 능력은 한반도 안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유사시 대한민국에 대한 군수 지원 가능성과 그 의미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중화민국 육군은 제2차 국공내전, 대만 해협 위기 등에서 군수 지원 경험을 축적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