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돈바리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돈바리과는 인도-태평양 열대 해역에 분포하는 조기어류의 과이다. 눈과 입이 크고 몸이 가늘고 긴 형태적 특징을 가지며, 야행성으로 소형 무척추동물이나 작은 물고기를 포식한다. 육돈바리과는 아칸토클리니나아과와 육돈바리아과의 두 아과로 분류되며, 일부 분류에서는 육돈바리속을 별도의 과로 분류하기도 한다. 자리돔과와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으며, 오발렌타리아류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돈바리과 - 노토그랍투스속
    노토그랍투스속은 노토그랍투스과에 속하는 물고기 속으로, 점박이노토그랍투스, 카우프만노토그랍투스, 리빙스톤노토그랍투스의 세 종을 포함하며 최대 7.5cm에서 10cm까지 성장한다.
  • 알베르트 귄터가 명명한 분류군 - 황어
    황어는 잉어과에 속하는 회유어로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잡식성이고 산란기에는 붉은 혼인색을 띠며 식용, 낚시 대상 등으로 활용된다.
  • 알베르트 귄터가 명명한 분류군 - 가는장어속
    가는장어속은 뱀장어목 곰치아목에 속하는 어류 속으로, 붉은장어와 오렌지장어 등 6종이 속해 있으며 진흙장어과에 속한다.
육돈바리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학명Plesiopidae
명명자Günther, 1861
이명Acanthoclinidae
영어 이름Longfins, Roundheads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류강
상목극기류
분류 미정
아과Plesiopinae 귄터, 1861
Acanthoclininae 귄터, 1861
설명
과에 속하는 속본문 참조

2. 형태

눈과 입은 크고, 머리는 둥글다[5]. 몸은 가늘고 길다. 등지느러미는 길고 1개이며, 가시 줄기는 11-18개이다[6]. 배지느러미는 길고, 1개의 가시와 2-4개의 연조로 이루어져 있다[4]. 뒷지느러미의 가시 줄기는 3-10개이다[6].

3. 생태

많은 종이 야행성이며, 낮에는 산호나 바위 등의 그늘에 숨어 있다가 밤에 소형 무척추동물이나 작은 물고기를 포식한다[5]。 제비활치속과 ''Trachinops'' 속의 일부는 낮에도 활동하며 플랑크톤을 포식한다[5]。 어미는 바위 등에 낳은 알을 돌보며, 구강 보호를 하는 종도 있다[5]。 일본 근해에서는 5속 11종이 알려져 있다[6]

4. 분포

인도-태평양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연안부의 조수 웅덩이산호초, 해중 동굴에 서식한다.[6]

5. 하위 분류

일부 분류에서는 노토그랍투스속(''Notograptus'')을 별도의 과로 나누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FishBase의 분류 체계를 따른다. 육돈바리과는 크게 두 개의 아과로 나뉜다.[2]


  • 가시줄나비고기아과 (Acanthoclininae)
  • 나비고기아과 (Plesiopinae)

5. 1. 가시줄나비고기아과 (Acanthoclininae)

Günther, 1861[2][4]

  • ''Acanthoclinus'' Jenyns, 1841 - 뉴질랜드 근해에 서식하는 5종을 포함한다.
  • ''Acanthoplesiops'' Regan, 1912
  • ''Beliops'' Hardy, 1985 - 서태평양에 서식하는 2종을 포함한다.
  • ''Belonepterygion'' McCulloch, 1915
  • ''Notograptus'' Günther, 1867 - 서태평양에 서식하는 2종을 포함한다. 일부 분류에서는 이 속을 별도의 과(육돈바리과)로 분류하기도 한다.

5. 2. 나비고기아과 (Plesiopinae)

나비고기아과(Plesiopinaela)는 귄터가 1861년에 명명하였다. 2024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속(genus)을 포함한다.[4]

  • Assessor Assessorla 휘틀리, 1935
  • Calloplesiops Calloplesiopsla 파울러와 빈, 1930 - 대표종: 얼룩나비고기
  • Fraudella Fraudellala 휘틀리, 1935 - 오스트레일리아 근해에 서식하는 1종 포함.
  • Paraplesiops Paraplesiopsla 블리커, 1875 - 오스트레일리아 근해에 서식하는 5종 포함.
  • Plesiops Plesiopsla 오켄, 1817 - 대표종: 나비고기
  • Steeneichthys Steeneichthysla 앨런 & 랜들, 1985 - 동인도양과 서태평양에 서식하는 2종 포함.
  • Trachinops Trachinopsla 귄터, 1861 - 인도-태평양에 서식하는 4종 포함.

6. 계통 분류

다음은 베탕쿠르(Ricardo Betancur-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8] 육돈바리과는 오발렌타리아류에 속하며, 자리돔과와 가장 가까운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 이 두 과가 이루는 그룹은 프세우도크로미스과, 그라마과, 후악치과, 그리고 베도라치상목(학치목과 베도라치목 포함)을 포함하는 더 큰 그룹과 자매 관계에 있다. 이 전체 그룹은 다시 콩그로가두스과와 자매 그룹을 이루며, 더 나아가 암바시스과, 망상어과, 숭어목 등이 포함된 그룹과 계통적으로 연관된다.

참조

[1] WoRMS Plesiopidae Günther, 1861
[2]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sites.google[...] Wiley
[3]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Plesiopidae Günther, 1861 https://www.marinesp[...] 2023-05-03
[4] 웹사이트 FAMILY Details for Plesiopidae - Roundheads https://www.fishbase[...] 2023-05-03
[5] 웹사이트 PLESIOPIDAE https://fishesofaust[...] 2023-05-04
[6] 도서 小学館の図鑑Z 日本魚類館
[7] FishBase
[8] 논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BMC Evolutionary Biology, BMC series 201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