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는장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는장어속은 곰치아목에 속하는 가는장어과의 한 속이다. 현재까지 가는장어속에는 가는장어, Myroconger compressus, Myroconger gracilis, Myroconger nigrodentatus, Myroconger pietschi, Myroconger prolixus, Myroconger seychellensis 등 6종이 포함되어 있다. 뱀장어목의 계통 분류는 프로탕구일라과, 긴꼬리장어과, 스파게티장어과, 도요새장어과, 케마과, 톱니장어과, 모노그나투스과, 펠리칸장어과, 풍선장어과, 뱀장어과, 긴목장어과, 클롭시스과, 붕장어과, 먹붕장어과, 오리주둥이장어과, 갯장어과, 바다뱀과, 진흙장어과, 곰치과 등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뱀장어목 - 댓잎장어
    댓잎장어는 뱀장어목 어류의 유생인 렙토세팔루스를 의미하며, 측면으로 압착된 투명한 몸체와 긴 유생 기간, 해양 스노우를 먹는 특징을 보이며,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분포한다.
  • 뱀장어목 - 진흙장어과
    진흙장어과는 뱀장어목 곰치아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로서, Panturichthys와 Pythonichthys 두 개의 속을 포함한다.
  • 알베르트 귄터가 명명한 분류군 - 황어
    황어는 잉어과에 속하는 회유어로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잡식성이고 산란기에는 붉은 혼인색을 띠며 식용, 낚시 대상 등으로 활용된다.
  • 알베르트 귄터가 명명한 분류군 - 스클레로미스텍스속
    스클레로미스텍스속은 코리도라스속에 속했던 어류 속으로, 현재는 아스피도라스속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단일계통군으로 여겨지지만 종 간의 계통발생학적 관계 및 분류학적 지위는 불분명하며 스클레로미스텍스 바르바투스, 스클레로미스텍스 마크로프테루스 등의 하위 종을 포함한다.
가는장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가는장어속
학명Myroconger
명명자귄터, 1870
이명(영어)
(라틴어)
속 상위 분류가는장어과
과 명명자T. N. 길, 1890
모식종Myroconger compressus
모식종 명명자귄터, 1870
하위 분류
종 수6종, 본문 참조

2. 하위 종

현재까지 이 속에 포함되어 있는 종은 다음과 같다.[8][4][5]


  • 가는장어 (귄터, 1870) (붉은장어)
  • 가는장어 (캐슬, 1991)
  • 가는장어 (캐슬 & 베아레즈, 1995) (오렌지장어)
  • 가는장어 (에스핀돌라, 카이레스, 티게, 데 피나 & 데 멜로, 2021)
  • 가는장어 (캐슬 & 베아레즈, 1995)
  • 가는장어 (카르몹스카야, 2006)

3. 계통 분류

2013년 현재, 가는장어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9]

{| class="wikitable"

|-

! 곰치아목

|-

|

{| class="wikitable"

|-

| 진흙장어과

|-

|



|}

|}

3. 1. 뱀장어목의 계통도

wikitext

2013년 현재, 뱀장어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9]

{| class="wikitable"

|-

! 뱀장어목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스파게티장어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도요새장어과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모노그나투스과

|-

|



|}

|-

| 뱀장어과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긴목장어과, 클롭시스과, 붕장어과, 먹붕장어과

|-

|

{| class="wikitable"

|-

| 붕장어과, 오리주둥이장어과

|-

|

{| class="wikitable"

|-

| 붕장어과

|-

|



|}

|}

|}

|-

|

{| class="wikitable"

|-

| 클롭시스과

|-

| 곰치아목

|-

|

{| class="wikitable"

|-

| 진흙장어과

|-

|



|}

|}

|}

|}

|}

|}

참조

[1] 웹사이트 2024-11-10
[2] 웹사이트 2011-06-01
[3]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4] 웹사이트 2012-12-01
[5] 저널 A new species of the rare genus Myroconger Günther, 1870 (Anguilliformes: Myrocongridae) from Brazilian waters, tropical western Atlantic https://www.biotaxa.[...] 2021-04-29
[6] 웹사이트 2011-06-01
[7]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8] 웹사이트 2012-12-01
[9] 저널 A multi-locus molecular timescale for the origin and diversification of eel-like fishes (Order: Anguilliform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http://www.scienced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