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지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지완은 조선 시대의 인물로, 1682년 숙종의 명으로 일본에 파견된 통신사행의 정사로 임명되었다. 그는 조선과 일본의 관계를 정상화하고 무역 관계를 증진하는 데 기여했다. 가족 관계로는 이조판서를 지낸 윤강이 아버지이며, 형제로는 좌의정을 지낸 윤지선, 병조판서를 지낸 윤지인이 있다. 부인은 밀양 박씨 박천구의 딸이며, 아들 윤채, 윤재, 윤헌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장애인 정치인 - 궁예
궁예는 신라 왕족의 서자로 추정되며 후삼국시대에 후고구려를 건국하고 태봉으로 국호를 변경한 인물이며, 말년에 폭정을 일삼다 신하들에게 축출되어 사망했다. - 한국의 장애인 정치인 - 허조
허조는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청백리로서 태종과 세종을 섬기며 예악 제도 정비와 민생 안정에 기여하고 이조판서로서 관리 임용의 공정성을 확립했으며, 강직한 성품으로 백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여 사회 안정에 공헌하여 사후 세종묘에 배향되고 문경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635년 출생 - 헨리 모건
헨리 모건은 17세기 카리브해에서 스페인 제국을 공격하며 명성을 얻은 웨일스 출신의 사략선 선장이자 해적이며, 후에 자메이카의 부총독을 역임했고, 그의 이름은 럼주 브랜드 '캡틴 모건'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 1635년 출생 - 로버트 훅
로버트 훅은 현미경을 이용한 세포 발견과 훅의 법칙 정립 등 다양한 업적을 남긴 영국의 과학자이자 왕립학회의 실험 큐레이터 및 그레셤 대학의 기하학 교수로서 과학 발전에 기여했지만, 아이작 뉴턴과의 관계로 인해 업적이 평가절하되기도 했다. - 1718년 사망 - 도쿠가와 쓰나에다
도쿠가와 쓰나에다는 에도 시대 미토 번의 3대 번주로, 선대 번주 도쿠가와 미쓰쿠니의 양자였으나, 재정난 속에서 개혁을 추진하다 농민 반발로 실패했고, 노가쿠에 심취했으며 쇼군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 1718년 사망 - 칼 12세
칼 12세는 대북방 전쟁 초기에 군사적 재능을 발휘하여 스웨덴을 강대국으로 이끌었지만, 폴타바 전투 패배 후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 귀환 후 노르웨이 침공 중 사망하며 스웨덴 절대 군주제 종식의 계기가 된 스웨덴의 국왕이다.
윤지완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윤지완 |
한자 | 尹趾完 |
로마자 표기 | Yun Jiwan |
출생일 | 1635년 |
사망일 | 1718년 |
사망 장소 | 조선 한성부에서 병사 |
사망 나이 | 84세 |
국적 | 조선 |
관직 | |
직책 | 前 조선국 우의정 |
재임 시작 | 1694년 5월 20일 |
재임 종료 | 1695년 2월 3일 |
이전 | 민암 |
다음 | 유상운 |
학력 및 정치 | |
학력 | 1662년 문과 |
정당 | 소론 세력 |
종교 | 유교 성리학 |
가족 관계 | |
부모 | 윤강(부) |
기타 | |
![]() |
2.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윤엄 | |
조부 | 윤민헌 | |
아버지 | 윤강(尹絳) | 이조판서 |
어머니 | 동래 정씨 | 정광성(鄭廣成)의 딸 |
생모 | 문화 유씨 | 유익(柳杙)의 딸 |
이복 형 | 윤지미(尹趾美) | |
형 | 윤지선 | 좌의정 |
동생 | 윤지경(尹趾慶) | |
동생 | 윤지인(尹趾仁) | 병조판서 |
동생 | 윤지희(尹趾禧) | |
부인 | 밀양 박씨 | 박천구(朴天球)의 딸 |
아들 | 윤채(尹寀) | |
아들 | 윤재(尹宰) | 윤지미에게 출계 |
아들 | 윤헌(尹憲) | |
조카 | 윤재, 윤실, 윤식, 윤정, 윤연(尹㝚), 윤수, 윤심, 윤용, 윤교(尹㝯), 윤휴, 윤환(尹寏) |
2. 1. 증조부 및 조부
- 증조부: 윤엄
- 조부: 윤민헌
2. 2. 부모
- 아버지 : 윤강(尹絳) - 이조판서를 역임했다.
- 생모 : 문화 유씨, 유익(柳杙)의 딸이다.[2]
- 어머니 : 동래 정씨, 정광성(鄭廣成)의 딸이다.[1]
2. 3. 형제
2. 4. 배우자
박천구(朴天球)의 딸 밀양 박씨이다.[1]
2. 5. 자녀
2. 6. 조카
1682년 숙종은 일본에 사신을 파견했고, 윤지완이 정사(正使)였다.[2] 이 외교 사절단은 일본과 조선 양국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무역을 위한 정치적 기반을 구축하는 통로 역할을 했다.[3] 이 사절단은 조선 조정에서 명시적으로 "통신사(通信使)"로 확인되었으며, 관계가 "정상화"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4]
3. 1682년 일본 통신사
4. 윤지완을 연기한 배우
참조
[1]
간행물
Name of Cultural Properties, ''Yakjojechalbi'' (Stele of agreement)
http://jikimi.cha.go[...]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6
[2]
서적
Korea in the middle: Korean studies and area studies
2007
[3]
간행물
Foreign Affairs and Frontiers in Early Modern Japan: A Historiographical Essay
2002
[4]
서적
Frontier contact between Chosŏn Korea and Tokugawa Japan
https://books.google[...]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