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우옌푹하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푹하오는 무왕 응우옌 푹 꿕의 아들로,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했다. 사후 태보군공에 추증되었으며, 응우옌 왕조가 재건된 후 효선왕으로 추존되었다. 1804년에는 준철온량영예명달선왕으로 재추존되었고, 선왕사가 세워져 제사가 지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우옌 왕조의 추존황제 - 응우옌푹코앗
    응우옌 푹 코앗은 베트남 응우옌 주의 제8대 군주로, 1744년 칭왕을 선포하고 독립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캄보디아 내란 개입과 참파 속국화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사치와 과세로 서산당의 난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 응우옌 왕조의 추존황제 - 죽득 황제
    죽득 황제는 뜨득 황제의 양자이자 응우옌 왕조의 제5대 황제였으나, 즉위 3일 만에 폐위되어 짧은 재위 기간으로 연호를 제정하지 못하고 육덕당의 당호를 따 죽득 황제라 불리게 되었으며, 사후 아들 타인타이 황제에 의해 복권되었다.
  • 응우옌 주 - 응우옌푹코앗
    응우옌 푹 코앗은 베트남 응우옌 주의 제8대 군주로, 1744년 칭왕을 선포하고 독립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캄보디아 내란 개입과 참파 속국화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사치와 과세로 서산당의 난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 응우옌 주 - 응우옌푹즈엉
    응우옌푹즈엉은 응우옌푹하오의 아들이자 응우옌푹코앗의 손자로 현명하고 덕이 있다는 평을 받았으나, 떠이선 반란으로 1777년 처형당했으며 후에 자롱 황제에 의해 효혜왕으로 추존되었다.
응우옌푹하오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국어 표기응우옌푹하오(Nguyễn Phúc Hạo)
한자 표기阮福昊
가타카나 표기겐푸쿠코우1
히라가나 표기げんふくこう1
정보
베트남어 표기응우옌푹하오(Nguyễn Phúc Hạo)
한월어 표기뉜푹하오(阮福昊)
왕족 정보
이름선왕(Tuyên Vương/宣王)
작위응우옌 주의 왕세자
재위 기간? ~ 1760년 4월 4일
작위 2응우옌 주의 추존 국왕
재위 기간 2(추존)
응우옌푹하오(Nguyễn Phúc Hạo/阮福昊/완복호)
별명해당사항 없음
다른 이름해당사항 없음
연호해당사항 없음
존호해당사항 없음
묘호해당사항 없음
시호준철온량영예명달선왕(Tuấn Triết Ôn Lương Anh Duệ Minh Đạt Tuyên Vương/濬哲溫良英睿明達宣王)
능호해당사항 없음
부친효무왕(孝武王) 응우옌푹코앗(阮福濶)
모친좌궁빈(左宮嬪) 쯔엉티호앙(張氏黄)
배우자해당사항 없음
출생일1739년 12월 27일
출생지해당사항 없음
사망일1760년 4월 4일
사망지해당사항 없음
매장지승천부 향차현 융호총(현 승천 순화성 향차현)

2. 생애

응우옌 푹 하오는 아버지 효무왕의 세자로 책봉되었다가 1760년에 사망하여 태보군공(太保郡公)에 추증되었고, 승천부(承天府) 향차현(香茶縣) 융호총(隆湖總) 융호사(隆湖社)에 안장되었으며,[4] 효무왕은 그가 죽은 지 백일 째 되는 날에 가창을 금지하게 하였다.

이후 완왕(阮王) 응우옌 푹 아인이 응우옌 왕조를 재건하자 '''효선왕'''(Hiếu Tuyên Vương|효선왕vi)으로 추존했으며, 태묘에 배향하였다. 1804년, 응우옌 푹 아인이 '''준철온량영예명달선왕'''(Tuấn Triết Ôn Lương Anh Duệ Minh Đạt Tuyên Vương|준철온량영예명달선왕vi)으로 재추존하고 매장지에 선왕사(宣王祠)를 세우고 주기적으로 제사지냈다.

2. 1. 출생과 가계

응우옌 푹 하오는 무왕(武王) 응우옌 푹 꿕과 좌궁빈(左宮嬪) 장씨 황(張氏黃) 사이에서 태어난 아홉째 아들(서자)이다.[2][3]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2], 경흥 21년(1760년) 무왕보다 먼저 갑작스럽게 사망했다.[2] 태보 군공(郡公)으로 봉해졌으며[2], 롱호(龍湖, 현재의 투아티엔-후에성흐엉짜 시사)에 묻혔다.[2]

2. 2. 왕세자 책봉과 죽음

응우옌 푹 하오는 무왕(武王) 응우옌 푹 꿕과 좌궁빈(左宮嬪) 장씨 황(張氏黃) 사이에서 태어난 아홉째 아들(서자)이다.[2][3] 무왕으로부터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2] 경흥 21년(1760년) 아버지보다 먼저 갑작스럽게 사망했다.[2] 태보 군공(郡公)으로 봉해졌으며,[2] 롱호(龍湖, 현재의 투아티엔-후에성흐엉짜 시사)에 묻혔다.[2]

1760년에 사망하여 태보군공(太保郡公)에 추증되었고, 승천부(承天府) 향차현(香茶縣) 융호총(隆湖總) 융호사(隆湖社)에 안장되었으며,[4] 효무왕은 응우옌 푹 하오가 죽은 지 백일 째 되는 날에 가창을 금지하게 하였다.

이후 완왕(阮王) 응우옌 푹 아인이 응우옌 왕조를 재건하자 응우옌 푹 하오를 '''효선왕'''(Hiếu Tuyên Vương|효선왕vi)으로 추존했으며, 그를 태묘에 배향하였다. 가륭 원년(1802년)에 조카 응우옌 푹 아잉이 응우옌 왕조를 건국하자, '''효선왕'''의 시호가 추증되었고, 자딘에 제사를 지냈다.[2]

1804년, 응우옌 푹 아인이 그를 '''준철온량영예명달선왕'''(Tuấn Triết Ôn Lương Anh Duệ Minh Đạt Tuyên Vương|준철온량영예명달선왕vi)으로 재추존하고 그의 매장지에 선왕사(宣王祠)를 세우고 주기적으로 제사지냈다. 자롱 3년(1804년)에 시호가 '''준철온량영예명달선왕'''으로 더해졌고, 롱호에 안치되었다.[2]

2. 3. 사후 추존

1760년에 사망하여 태보군공(太保郡公)에 추증되었고, 승천부(承天府) 향차현(香茶縣) 융호총(隆湖總) 융호사(隆湖社)에 안장되었으며,[4] 효무왕은 응우옌 푹 하오가 죽은 지 백일 째 되는 날에 가창을 금지하게 하였다.

이후 완왕(阮王) 응우옌 푹 아인이 응우옌 왕조를 재건하자 응우옌 푹 하오를 '''효선왕'''(Hiếu Tuyên Vương|효선왕vie)으로 추존했으며, 그를 태묘에 배향하였다.

1804년, 응우옌푹아인이 그를 '''준철온량영예명달선왕'''(Tuấn Triết Ôn Lương Anh Duệ Minh Đạt Tuyên Vương|준철온량영예명달선왕vie)으로 재추존하고 그의 매장지에 선왕사(宣王祠)를 세우고 주기적으로 제사지냈다.

참조

[1] 서적 東洋歴史大辞典 臨川書店 1986-10-01
[2] 문서 大南列伝前編
[3] 문서 ベトナム史略
[4] 문서 현 승천 순화성 향차현(承天順化省香茶縣)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