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우옌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 왕조는 1802년부터 1945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마지막 왕조였다. 이 왕조는 광남 완씨 출신인 가륭제가 건국했으며, 수도는 후에에 두었다. 응우옌 왕조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유교 문화를 수용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했다. 그러나 프랑스의 침략으로 인해 점차 영향력을 잃어갔고, 1862년에는 코친차이나를 프랑스에 할양하는 등 굴욕적인 조약을 체결했다. 이후 프랑스의 보호를 받는 상황에서 1945년 바오다이 황제의 퇴위로 멸망했다.

2. 역사

17세기 정씨와 응우옌씨 간의 전쟁은 불안한 평화로 끝났고, 양측은 모두 레 왕조에 충성을 표했지만 사실상 별개의 국가를 형성했다. 100년간의 국내 평화 후, 응우옌 봉건 영주들은 1774년 서산 봉기에 직면했다. 응우옌 영주 응우옌 푹 투언은 남쪽 꽝남성으로 도망쳤고, 공동 통치자 응우옌 푹 즈엉에게 수비대를 남겼다. 그는 서산 지도자 응우옌 냐크가 도착하기 전에 바다를 통해 더 남쪽 자딘성(현재 호찌민시 부근)으로 도망쳤고, 그의 군대는 응우옌 수비대를 물리치고 꽝남을 장악했다.[17]

1777년 초 응우옌 후에와 응우옌 르 지휘하의 대규모 서산 군대가 바다에서 자딘을 공격하여 점령하고 응우옌 영주군을 패퇴시켰다. 서산은 외세의 간섭을 거부하고 레 왕조의 완전한 복원을 위해 싸운 베트남 국민의 옹호자로 자신들을 내세웠기 때문에 폭넓은 대중적 지지를 받았다. 따라서 응우옌과 정씨 영주들을 제거하는 것이 우선순위로 여겨졌고, 사이공에서 포로로 잡힌 응우옌 가문 구성원 중 한 명을 제외한 모두가 처형되었다.

1930년에 출판된 탄 딘 쯔(1875–1955)의 책 ''Gia Long tẩu quốc''의 표지. 응우옌 아인의 망명을 묘사하고 있다.


1839년, 민망제의 통치하에 제국의 공식 명칭은 '''대월남(大越南, Great Vietnam)'''이었으며, 간략하게 '''대남(大南, Great South)'''으로 불리게 되었다.[6]

2. 1. 개요

19세기 이후,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열강의 침략으로 베트남은 식민지화되었다. 프랑스는 응우옌 왕조 내부의 혼란을 틈타 군대를 파병하여 제1차 후에 조약, 제2차 후에 조약을 맺고 베트남을 보호령에 편입시켰다.[6]

베트남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부의 지배 하에서 무거운 세금과 부역, 소금, 알코올, 아편의 전매 등 경제적 착취를 당했다.[6] 저항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은 비밀경찰에 의해 투옥되거나 사형을 당했다.[6] 베트남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부로부터 경제적 수탈뿐 아니라 전통 문화를 파괴당하고 프랑스 문화를 강요당하는 등 전형적인 식민지 정책의 압정을 겪었다.[6]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프랑스 본국이 독일에 점령되고, 중일 전쟁이 확대되자, 일본은 프랑스로부터 중화민국의 물자를 차단시키기 위해 비시 프랑스 정권과 친화 정책을 써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일본군 진주를 인정받았다.[6]

2. 2. 광남 완씨의 시대

레 왕조 대월국(후 레 왕조: 1532년~1789년) 시대에 현재의 중남부 베트남을 지배하고 있던 지방 왕권은 광남 완씨(완씨 광남국)였다. 응우옌 왕조의 초대 황제 가륭제(완복영, 완영)는 이 광남 완씨 출신이다.

후기 레 왕조 시대에 황실은 실권을 잃었고, 북 베트남(통킹) 지방을 지배하는 찐 가문과 남쪽의 응우옌 가문이라는 두 지방 호족에게 왕권이 분립되었다. 두 호족은 령강(송강)을 국경으로 서로 대치하고 있었다. 구전자료에 의하면 이 북-남 양국을 당시에는 쓰 당응와이(Xứ Đàng Ngoài|쓰 당응와이vi), 쓰 당쫑(Xứ Đàng Trong|쓰 당쫑vi)이라고 불렀고, 문헌에서는 '''북하''', '''남하'''라고 불렀다. 중국, 일본의 사료에서는 통킹국(교지국), 광남국이라고 불렀으며, 옛 문헌에서는 통킹, 교지국이라고 불렀지만, 두 호족 모두 공적으로는 대월국 황제의 신하를 자칭하여 독자적인 국호나 제호나 연호를 사용하지는 않았다.

1771년, 빈딘에서 완구 등 3형제(완악, 완혜, 완려)[112]가 주도한 떠이선의 난이 일어났다. 떠이선(Tây Sơn|떠이선vi)은 3형제가 봉기한 지명으로, 현재의 빈딘 성의 성도이다. 광남 완씨가 반란의 진압에 시간을 소요하자, 통킹의 찐 씨는 이것을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고 군사를 대거 이끌고 남하하였다. 1774년에 수도 부춘(Phú Xuân|푸쑤안vi)[113]을 함락하자, 예종은 남부로 탈출했다. 완씨 3형제(떠이선 응우옌 씨)는 찐 가문에게 항복하였고, 광남 완씨 잔당은 계속 토벌되었다. 1777년에는 남부 자딘(Gia Định)[114]이 함락당하면서, 거의 대부분의 왕족이 살해되어 광남 완씨의 응우옌 왕조는 막을 내렸다.

2. 3. 건국

레 왕조가 찐 가문에 의해 멸망하면서 명목상 찐씨의 세력으로 통일되었지만, 실제로는 응우옌씨의 옛 영토가 떠이선 응우옌씨 3형제에게 넘어갔을 뿐 남북 대립 구도는 여전했다. 남방의 왕자가 중부 북쪽 푸쑤언을 근거지로 하는 광남 응우옌씨에서 중부 남쪽 꾸이년을 근거지로 하는 응우옌악[115]으로 바뀌었을 뿐이었다.

베트남(Việt Nam|비엣남vi)이라는 국호는 기원전 2세기 조(Triệu) 왕조 시대 남월(한자)에서 유래한다. 1802년, 응우옌푹아인(이후 자롱제)이 응우옌 왕조를 세우고 청나라 가경제에게 '남월(Nam Việt)' 왕 칭호를 요청했으나, 황제는 이 이름이 중국 남부 지역을 포함하는 조도(Zhao Tuo)의 남월과 관련이 있다는 이유로 거절하고 '베트남(Việt Nam)'으로 부르기로 결정했다.[115] 1804년부터 1813년까지 자롱제는 베트남이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1777년 이후, 샴에 망명해 있던 응우옌푹아인은 샴 왕과 프랑스 선교사 피뇨 등의 지원을 받아[108] 떠이선조에 대한 반격을 계속했다. 결국 떠이선조의 내분을 틈타 10년간의 전쟁 끝에 떠이선조를 타도했다. 1802년 수도를 중부 북쪽 푸쑤언에 정하고[108] 광남 응우옌씨 왕조를 재건하고, 연호를 가륭(嘉隆)으로 정했다. 1804년에는 청나라 가경제로부터 '''베트남 국왕'''으로 책봉되었고, 베트남(越南) 국을 공식적인 국호로 하였다. 응우옌 왕조는 청나라에 "남월"이라는 국호를 요청했지만, 가경제는 "베트남(越南)"이라는 국호를 내렸다. "남월"이라는 국호에 응우옌 왕조의 영토적 야심을 경계했다는 견해도 있다.

응우옌 왕조는 청나라에 조공을 바쳐 형식적으로 종속되었지만, 국내의 여러 민족과 주변 국가에 대해서는 황제를 자칭하고,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여, "승천흥운(承天興運)"을 국시로 삼아, 소중화 제국을 건설했다.

2. 3. 1. 떠이선 왕조

광남 완씨 멸망 후, 떠이선 왕조완혜레 왕조의 정치에 개입하여 찐 왕조를 전복하고 수도를 부춘(현재의 후에)으로 옮겨 새로운 떠이선 왕조를 열었다.[108] 떠이선 왕조는 국호를 대내적으로는 대월, 대외적으로는 안남이라고 칭하였다. 그러나 이는 북방의 왕자가 찐 씨에서 완혜(광중제)로 바뀐 것일 뿐, 남북 대립 구도는 해소되지 못했다. 결국 떠이선 왕조의 남북 양 정부(쿠이놀, 푸쑤언)도 대치하며 항쟁에 돌입했다.

2. 3. 2. 응우옌 왕조

1777년 이후, 타이(시암)에 망명하고 있던 광남 완씨의 생존자 응우옌아인(이후 자롱제)은 시암 왕과 프랑스 선교사 등의 지원을 받아 끈질기게 떠이선 왕조에 항쟁하였으며, 결국 떠이선 왕조의 내분을 틈타 10년간의 싸움에 종말을 고하고 떠이선 왕조를 타도하게 되었다. 1802년에 수도를 중부 북방의 부춘[116]으로 정하고 광남 완씨의 응우옌 왕조를 재건하였다. 재건된 응우옌 왕조는 연호를 자롱(가륭)이라 고쳤다.[117] 1804년에는 청나라로부터 월남 국왕으로 봉해지고, 정식 국호를 "대월남국"으로 정하였다. 응우옌 왕조는 청나라에 조공을 바쳤지만, 주변의 여러 민족이나 제국에 대해서는 황제라고 칭했으며,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승천흥운(承天興運)을 국시로 삼아 베트남에 작은 중화제국을 구축했다. 국호는 물론이고 국시와 연호도 국내의 공문서에 모두 기재하도록 하였다.

대수묘호시호칭호연호성+휘성+자(즉위 전의 휘)재위
1세조고황제가륭제(嘉隆帝)가륭(嘉隆 / ザーロン / Gia Long)응우옌푹아인(Nguyễn Phúc Ánh)-1802년 - 1819년
2성조인황제명명제(明命帝)명명(明命 / ミンマン / Minh Mạng)응우옌푹끼에우(Nguyễn Phúc Kiểu)-1819년 - 1840년
3헌조장황제소치제(紹治帝)소치(紹治 / ティエウチ / Thiệu Trị)응우옌푹뚜옌(Nguyễn Phúc Tuyền)응우옌푹미엔똥(Nguyễn Phúc Miên Tông)1840년 - 1847년
4익종영황제자덕제(嗣德帝)자덕(嗣德 / トゥドゥク / Tự Đức)응우옌푹티(Nguyễn Phúc Thì)응우옌푹홍념(Nguyễn Phúc Hồng Nhậm)1847년 - 1883년
5공종혜황제육덕제[110]--응우옌푹응아이(Nguyễn Phúc Ưng Ái)
응우옌푹응쩐(Nguyễn Phúc Ưng Chân)
1883년
6(문랑군왕)협화제(協和帝)협화(協和 / ヒエプホア / Hiệp Hoà)응우옌푹탕(Nguyễn Phúc Thăng)응우옌푹홍젙(Nguyễn Phúc Hồng Dật)1883년
7간종의황제건복제(建福帝)건복(建福 / キエンフク / Kiến Phúc)응우옌푹하오(Nguyễn Phúc Hạo)응우옌푹응당(Nguyễn Phúc Ưng Đăng)
응우옌푹응호(Nguyễn Phúc Ưng Hỗ)
1883년 - 1884년
8(출제)함의제(咸宜帝)함의(咸宜 / ハムギ / Hàm Nghi)응우옌푹민(Nguyễn Phúc Minh)응우옌푹응릭(Nguyễn Phúc Ưng Lịch)[111]1884년 - 1885년
9경종순황제동경제(同慶帝)동경(同慶 / ドンカイン / Đồng Khánh)응우옌푹비엔(Nguyễn Phúc Biện)응우옌푹응티(Nguyễn Phúc Ưng Thị)
응우옌푹응드엉(Nguyễn Phúc Ưng Đường)
1885년 - 1888년
10(회택공)성태제(成泰帝)성태(成泰 / タインタイ / Thành Thái)응우옌푹찌에우(Nguyễn Phúc Chiêu)응우옌푹브우런(Nguyễn Phúc Bửu Lân)1888년 - 1907년
11유신제(維新帝)유신(維新 / ズイタン / Duy Tân)응우옌푹호앙(Nguyễn Phúc Hoảng)응우옌푹빈산(Nguyễn Phúc Vĩnh San)1907년 - 1916년
12홍종선황제계정제(啓定帝)계정(啓定 / カイディン / Khải Định)응우옌푹뚜언(Nguyễn Phúc Tuấn)응우옌푹브우다오(Nguyễn Phúc Bửu Đảo)1916년 - 1925년
13보대제(保大帝)보대(保大 / バオダイ / Bảo Đại)응우옌푹티엔(Nguyễn Phúc Thiển)응우옌푹빈투이(Nguyễn Phúc Vĩnh Thụy)1925년 - 1945년


2. 4. 초기

응우옌 왕조는 현재 베트남과 비슷한 영역을 지배한 최초의 통일 정권이었다. 초기에는 현재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에 북성총진을, 자딘(가정)을 중심으로 한 남부에 자딘성 총진을 두어 상당한 자치권을 인정했다.[118]

1815년, 가륭제(응우옌 푹 아인)는 청나라의 율법을 모델로 한 가륭율례(嘉隆律例)를 발표하면서 중국적인 제도가 도입되었다.[108] 제2대 황제 명명제[119] 시대인 1830년대에는 청나라 제도를 모방한 중앙집권화가 추진되어 과거제도나 성을 구분한 지방제도가 정비되었다. 이러한 중앙집권화 정책은 북부와 남부 모두에서 반발을 불렀고, 북부에서는 레 왕조의 자손을 칭하는 '레 유양의 난', 남부에서는 가정성 총진 레 문열의 아들 '레 문조개(려문조개)의 난' 등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다.[108]

대외적으로는 건국 시 후원자였던 시암과의 관계가 악화되어, 캄보디아라오스를 둘러싸고 전쟁을 벌였다. 내부 반란은 진압했지만, 캄보디아라오스 정세는 시암 측에 유리하게 진행되었다. 비록 국력은 최대에 이르렀지만, 주변국과의 분쟁으로 국력을 회복하지 못한 채 프랑스의 침략을 받게 된다.[108]

2. 5. 프랑스의 간섭과 코친차이나 할양 (1802년~1862년)

17세기 초부터 유럽 열강이 베트남에 통상을 요구했다. 응우옌 왕조 초기 얼마간 베트남과 프랑스는 교섭이 없었다. 자롱 황제는 건국의 공적을 인정하여 프랑스인을 우대했지만, 통상 요구는 거부하며 프랑스를 경계했고, 양국 관계는 악화되었다. 명명제 즉위(1820년) 후 프랑스인 우대 조치는 인정받지 못했고, 1826년 프랑스 군함 함장과 영사의 방문을 거부하며 양국 관계는 중단되었다.

이 시기 베트남에서 기독교가 박해받으며 양국 관계는 극도로 악화되었다. 명명제는 기독교를 탄압하여 1836년 유럽인 선교사 7명을 처형하고 수백 개의 교회를 파괴했다. 19세기 중반 베트남의 가톨릭 교도가 45만 명으로 늘자, 응우옌 왕조는 1840~1860년까지 유럽인 선교사 25명과 베트남 성직자 300명을 처형하는 등 대대적인 탄압을 가하여 2만 명의 신도가 죽고 마을이 파괴되었다.

1842년 영국이 중국에서 개입에 성공하자, 프랑스는 중국 진출을 위해 1843년 프랑수아 기조 외무장관은 장바티스트 세실 제독과 레오나르 샤르네르(Léonard Charner프랑스어) 대령의 지휘하에 베트남에 함대를 파병하였다. 프랑스는 중국 내 영국의 활동을 돕고, 베트남 내 프랑스 선교사 박해에 대한 보복을 핑계로 내세웠다.

프랑수아 기조는 세실을 베트남에 보내어 가톨릭 선교사 도미니크 레페브르(Dominique Lefèbvre프랑스어) 주교를 구출해 오도록 했다.(1845년) 1847년 즉위한 뜨득 황제도 쇄국정책을 펼쳤다. 1847년 프랑스 선교사 2명이 수감되자, 세실은 전함 2대와 라피에르(Augustin de Lapierre) 대령을 다낭에 보내 이들을 구출하고 베트남에서의 기독교 자유를 얻고자 했다. 라피에르 대령은 베트남 배들의 마스트를 해체하는 공격을 개시했고, 협상이 결렬되자 1847년 4월 14일 프랑스는 다낭 항에 정박 중이던 베트남 배들을 침몰시켰다. 1847년 4월 15일, 프랑스 함대와 베트남 배들 간 전투(다낭 폭격)가 벌어져 베트남 배 3척이 침몰하고 프랑스 함대는 도망쳤다.

프랑스에서는 나폴레옹 3세가 쿠데타(1851년)로 황제가 되었다. 그는 프랑스가 동아시아에 세력을 확장해야 한다고 믿었고, 문명화된 서구 문화를 전파해야 한다는 사상이 퍼져 있었다. 프랑스의 베트남 진출은 식민지화 목적이었다. 나폴레옹 3세는 영국과 연합하여 제2차 아편 전쟁(1858~1860년)을 치르면서 인도차이나에 프랑스 식민지를 구축하려 했다. 1857년 스페인 선교사 호세 마리아 디아스(San Jose María Díaz Sanjurjo) 신부가 살해되자[120], 그는 프랑스 선교사들에 대한 베트남의 박해에 응징하고 프랑스군 주둔을 강요하고자 1858년 전쟁 개시를 승인하였다. 1858년부터 베트남과 프랑스는 전쟁에 돌입하였다. 프랑스 해군은 리고 드 주누이(Rigault de Genouilly) 제독 지휘하에 다낭과 사이공을 점령(각각 1858년 9월 1일과 1859년 2월 17일)하였다. 사이공 점령은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식민지화의 시작이었다.[121] 프랑스는 1861년 대대적인 침략을 감행하였고, 뜨득 황제1862년 항복했다.

프랑스와 베트남은 사이공 조약을 체결하고 전쟁은 종결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남부 베트남의 비엔호아성, 자딘성[122], 딘뜨엉성(Định Tường) 3개 성[123]을 할양한다.
  • 베트남은 프랑스에 막대한 전쟁 배상금을 지불한다.
  • 프랑스 전함의 메콩강 자유 항해를 허용한다.[124]
  • 프랑스의 베트남 내 자유로운 가톨릭 포교 특권을 인정한다.
  • 3개 항구를 프랑스와의 무역을 위해 개항한다.
  • 베트남이 다른 나라와 교섭할 때 프랑스 황제의 동의를 받도록 한다.

2. 6. 홍강 통상 문제와 북부 베트남 공략(1867년~1883년)

1867년 프랑스는 남부 베트남과 사이공을 점령하고 코친차이나로 개명했고, 코친차이나 식민지화에 성공한 후 메콩강을 이용한 중국 윈난과의 통상로 개발을 추진했다. 그러나 메콩강 중류는 라오스, 캄보디아 국경 지대를 중심으로 급류와 암초가 많아 상류 항해가 불가능하여 통상로로 이용하기 어려웠다.

프랑스는 대안으로 통킹에서 홍강을 거슬러 올라가 중국 윈난에 도달하는 통상로를 주목했다. 1871년 프랑스 모험가이자 상인인 장 뒤퓌(Jean Dupuis)가 홍강을 통해 윈난에 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1872년 11월 베트남 정부의 허가 없이 무장군대를 이끌고 홍콩에서 홍강까지 물건을 운반했다.[125] 베트남인들의 저지를 뚫고 윈난으로 수하물을 운반했지만, 하노이로 돌아온 뒤퓌는 자신을 도운 베트남 동료들이 투옥되고 자신의 배와 부하들은 홍강에서 장사를 못하게 된 것을 알게 되었다.[125]

뒤퓌의 보호요청을 받은 프랑스령 코친차이나(베트남 남부) 총독 마리 쥘 뒤프레(Marie-Jules Dupré, 재위 1871~74년)는 프란시스 가르니에 해군 대령을 하노이에 파견하였다. 가르니에는 1873년 11월 5일 하노이에 도착해 베트남 관료들과 정면대결을 시작했다. 11월 20일 소규모 군대를 이끌고 하노이 성채를 공격해 베트남 군대를 이겼고, 송코이 강 삼각주 여러 곳을 점령했다. 하이즈엉, 닌빈 등지도 공격했다.

12월 중순경 베트남 정부는 류융푸가 이끄는 중국 흑기군(黑旗軍)에 협력을 요청했고, 1873년 12월 21일 가르니에는 하노이 성채를 공격해 온 흑기군을 격퇴하려다 전사했다.[126] 베트남은 프랑스의 외교적 압력 아래 사이공에서 1874년 3월 평화와 연맹 조약(제2차 사이공 조약, 갑술조약)을 체결하였다. 조약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프랑스와 베트남은 영구연맹하며, 베트남을 독립국으로 승인한다.
  • 베트남의 대외정책은 프랑스의 대외정책과 부합하여야 한다.
  • 베트남에서 천주교는 자유롭게 포교할 수 있다.
  • 하노이를 개항하고, 영해에서 운남에 이르는 수로로 대외무역을 개방하여, 프랑스 영사는 치외법권을 향유한다.
  • 조약체결 1년만에 후에에 공사를 파견한다.


이 조약은 베트남을 독립국으로 인정하는 대신 중국의 베트남에 대한 종주권을 부인하는 것이었다.

프랑스프로이센-프랑스 전쟁(1870년 7월 19일 – 1871년 5월 10일)에서 패한 후, 국력을 회복하여 베트남에 대한 적극적인 진출을 시도했다. 1881년 프랑스 의회는 240만 프랑을 베트남에서 군비로 사용하도록 승인하였다. 1881년 말, 홍강을 거슬러 올라가던 프랑스인이 흑기군에 저지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프랑스령 코친차이나(베트남 남부) 총독 르 밀 드 비렐 제독은 갑술조약(제2차 사이공 조약, 1874년) 위반을 문책하기 위해 앙리 리비에르(Henri Rivière|앙리 리비에르프랑스어) 해군 대령을 하노이에 파견하였다. 1882년 초 하노이에 도착한 리비에르는 교섭이 무익하다고 판단해 1882년 4월 하노이를 점령했다. 1883년에는 흑기군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뜨득의 원군 요청을 받은 청나라는 통킹 지방에 출병하였고, 흑기군도 떠이 선(西山)을 거점으로서 프랑스군과 대치했다.

1882년 청나라이홍장은 프랑스 공사 보우리(Bou-ree)와 톈진에서 담판을 시작하여 가조약 3조에 합의하였다. 중국은 군대를 운남, 귀주 성으로 철수시키고, 프랑스도 베트남을 침략 점거하지 않으며, 베트남 국왕의 위신을 떨어뜨리지 않으며, 보승(保勝)을 개항하여 중국과 프랑스가 여기에서 무역하며, 또한 이곳을 중국의 영토와 같은 비율로 세금을 징수하고, 중국과 프랑스는 경계를 설정하여 베트남 북부의 자치를 보호한다고 하였다. 톈진 담판의 가조약이 체결되자 프랑스군은 철군하고 군대를 파견하여 베트남 북부의 변경을 순시하였는데, 이 사실을 몰랐던 흑기군은 이들과 충돌을 일으켜 프랑스군을 물리쳤다.

1883년 7월 9일, 뜨득 황제가 사망하고, 7월 20일 죽득 황제가 즉위했지만 3일 만에 폐위되고, 7월 30일 히엡호아 황제가 옹립 되었다. 응우옌 왕조 내부의 혼란을 틈타 프랑스는 후에 공략을 결정하고, 1883년 8월 후에의 외항인 후안을 공략하고 그대로 후에로 진격했다. 응우옌 왕조는 저항하지 못하고 강화를 요청하여, 계미조약(제1차 후에조약, 알만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어, 안남(중기)은 완조에 의한 통치를 인정하였지만, 통깅(북기)에는 프랑스 영사관을 설치, 비엔투안 성(Bienthuan Provinces)을 프랑스에게 할양하며, 프랑스는 홍강의 양안에 군사 보급지를 설치하고 흑기군을 축출하기로 하였다.

히엡호아 황제는 즉위 후 완문상, 존실설의 두 명을 숙청하려 했지만, 반대로 두 사람에 의해 독살(11월 29일)되어 끼엔푹 황제가 옹립(12월 2일)되었다. 1883년 12월에 흑기군은 반격하여 하노이를 탈환하고 프랑스의 리비에르는 전사(1883년)했다. 패전 소식을 들은 프랑스 정부는 베트남 정벌군 파견을 결정하고, 응우옌 왕조와 프랑스 사이의 긴장도 높아졌다.

2. 7. 프랑스의 베트남 전역 지배(1884년~1887년)

1884년 6월, 갑신조약(제2차 후에조약, 파트노트르 조약)이 체결되면서 응우옌 왕조는 완전히 프랑스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 조약으로 베트남은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고, 프랑스는 베트남에 통감을 두게 되었다.

청나라프랑스의 베트남 보호권 인정 및 베트남 주둔 청나라 군대 철수를 내용으로 하는 '청-프 간명조약'을 체결하였으나, 철군 명령을 받지 못한 베트남 주둔 청나라 군대와 프랑스 군대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여 '북려충돌'이 일어났다.

프랑스는 타이완의 지룽을 공격하고, 청나라의 복건 함대를 격파하는 등 대대적인 중국 침략 계획을 실행했다. 끼엔푹 황제가 사망하고, 함응이 황제가 즉위한 후, 청나라는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하였다.[127] 육상 전투는 주로 중국과 베트남 국경, 베트남 영토에서 벌어졌으며, 진남관이 함락되었다가 풍자재가 이끄는 군대에 의해 수복되기도 했다. 해상 전투는 중국에게 불리했지만, 프랑스에게도 결정적으로 유리하지는 않았다.

영국, 미국, 독일 등의 중재로 1885년 4월, 프랑스 파리에서 '청-프 간명조약'의 유효성을 전제로 정전협정이 체결되었다. 청불 전쟁이 끝나고, 1885년 6월 이홍장과 프랑스 공사 파트노트르 사이에 톈진에서 "청-프 신약" (톈진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청나라는 베트남에 대한 종주권을 상실하고, 베트남을 프랑스의 보호국으로 인정하였다.

1885년 7월(음력 5월 23일), 프랑스의 강압적인 태도에 반발한 존실설은 쿠데타를 일으켜 프랑스 세력을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함응이 황제는 존실설과 함께 도피하여 저항을 계속했지만, 1885년 9월 프랑스는 함응이 황제의 퇴위를 선언하고 동경제를 옹립했다.

1885년 프랑스는 타이와 미얀마를 제외한 인도차이나 반도(현재의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를 식민지화하여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세웠고, 이로써 베트남 전역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포함되었다.

2. 8.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프랑스는 베트남 사회에 정치적, 문화적 변화를 가져왔고, 기독교를 전파했다.

2. 9. Names(국호)

Việt Nam|越南vi은 기원전 2세기 조(Triệu) 왕조로 거슬러 올라가는 남월(문자 그대로 "남쪽 베트남")의 변형이다.[1] 고대 중국어에서 "베트남어(Yue)"는 처음에는 도끼를 의미하는 상형 문자 "戉"(동음이의어)를 사용하여 기원전 약 1200년경 후기 상(Shang)나라의 갑골문과 청동기 문헌에 기록되었고, 나중에는 "越"로 쓰였다.[2] 당시에는 상나라 북서쪽에 있는 부족이나 족장을 가리켰다.[3] 기원전 8세기 초, 양쯔강 중류의 한 부족이 양월(Yangyue)이라고 불렸는데, 이 용어는 나중에 더 남쪽의 여러 민족에게 사용되었다.[3] 기원전 7세기에서 4세기 사이에, 월(Yue)/베트남(Việt)은 양쯔강 하류 유역의 월(Yue)나라와 그 백성을 가리켰다.[2][3] 기원전 3세기부터는 중국 남부와 남서부 및 베트남 북부의 비중국계 인구에 대해 사용되었으며, 민월(Minyue), 오월(Ouyue), 낙월(Lạc Việt) 등의 특정 민족 집단을 포함하여 백월(Bách Việt)이라고 총칭되었다.[2][3][4] 백월(Baiyue)/백월(Bách Việt)이라는 용어는 기원전 239년경에 편찬된 ''여씨춘추(Lüshi Chunqiu)''에 처음 등장했다.[5]

Việt Nam|越南vi 형태는 16세기 점복시 삼장정(Sấm Trạng Trình)에 처음 기록되었다. 이 이름은 16세기와 17세기에 새겨진 12개의 비석에서도 발견되었는데, 그중 하나는 하이퐁(Hải Phòng)의 보람사(Bao Lam Pagoda)에 있는 1558년에 제작된 비석이다.[8] 1802년, 응우옌푹아인(Nguyễn Phúc Ánh)(후에 자롱제가 됨)이 응우옌 왕조를 세웠다. 그의 통치 2년째에 그는 청나라의 가경제(Jiaqing Emperor)에게 안남에서 권력을 장악한 후 '남월(Nam Việt)' 왕(南越중국어 한자)이라는 칭호를 수여해 줄 것을 요청했다. 황제는 그 이름이 중국 남부의 광서(Guangxi)와 광동(Guangdong) 지역을 포함한 조도(Zhao Tuo)의 남월(Nanyue)과 관련이 있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따라서 청 황제는 그 지역을 "베트남(Việt Nam)"이라고 부르기로 결정했다.[9] 1804년부터 1813년까지 자롱제는 베트남이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1839년, 민망제의 통치하에 제국의 공식 명칭은 '''대월남(大越南, Great Vietnam)'''이었으며, 간략하게 '''대남(大南, Great South)'''으로 불리게 되었다.[6]

3. 문화

응우옌 왕조의 왕관


베트남은 약 1,000여 년 동안 중국의 영향을 받아 유교와 관료제 같은 중화 문물을 많이 받아들였다. 베트남인들은 스스로를 문명인이라 여겼고, 캄보디아 같은 이웃 국가들을 야만족이라 여기며 소중화 사상을 가졌다. 응우옌 왕조는 이러한 경향이 더 심해져서 캄보디아인들에게 중국 문화를 받아들이라고 종용했다. 베트남은 캄보디아에게 머리를 짧게 자르지 말고 한족처럼 길러 상투를 틀고, 한족식 의복을 입으라고 권유했다. 명나라가 멸망할 때 약 3,000여 명의 한족들이 청나라 통치를 거부하고 베트남으로 와서 현지 여성들과 혼인하여 정착했다. 이들은 명향(明鄕)이라 불렸으며, 청나라에 적개심을 가지고 만주식 변발을 하지 않고 청나라 풍습을 거부했다.

민망 황제는 100여 년 넘게 이어진 참파 왕국과의 갈등을 승리로 이끌었다. 당시 참파의 무슬림 지도자 카티프 수마는 베트남에 맞서 지하드를 선포했다. 베트남인들은 무슬림들에게 강제로 도마뱀이나 돼지고기를 먹게 하고, 힌두교도들에게 소고기를 먹게 하여 베트남 문화에 동화시키려 했기에 무슬림들의 반발이 컸다.

민망 황제는 소수민족들을 중국화시켰다. 그는 중국 문화를 열성적으로 받아들여 자국민을 한인(漢人)이라고 불렀다. 그는 “우리는 그들의 야만적인 풍습이 모두 사라지기를 바라야만 한다. 또한 그들이 점점 중국풍을 일상 속에 깊이 스며들게 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라고 말했다. 자롱 황제는 크메르인들을 차별했고, 민망 황제는 소수민족 문화를 베트남 문화에 강제로 융합시켰다.

응우옌 왕조는 청나라에서 받아들인 의복을 장려했다. 백묘족 여성들은 전통 바지 대신 청나라식 바지를 입었고, 청나라식 치파오가 베트남에 전래되어 베트남인들도 즐겨 입었다. 현대 베트남의 전통의상인 아오자이는 1920년대부터 발달했는데, 치파오의 영향을 받았다. 베트남 지역 관리들도 청나라식 의복을 장려했고, 베트남의 원래 전통의상이 아오자이로 대체되었다. 베트남 군주 응우옌푹코앗은 관리와 군대도 중국식 의상을 입도록 강제했다.

4. 여담

현재 응우옌 왕조의 직계 후손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 중인 응우옌 틱꽝득이 유일하게 남아있다. 그는 베트남 공산 정부를 피해 한국으로 망명했다.[22]

5. 역대 황제

응우옌 왕조는 1802년 응우옌푹아인(후에 자롱제)이 떠이선 왕조를 무너뜨리고 세운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이다. 자롱제는 청나라에 사신을 보내 '남월(Nam Việt)' 왕으로 책봉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청나라 가경제는 이 명칭이 조도남월과 혼동될 수 있다며 '베트남(Việt Nam)' 국왕으로 책봉했다.[22] 자롱제는 1804년부터 1813년까지 베트남이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사용했다.[23][24]

6. 역대 황후

대수황제시호정식 시호이름(성씨)재위 기간생몰 기간능호비고
(추존)응우옌 조조
(Triệu Tổ)
자신정황후
(Từ Tin Tĩnh Hoàng hậu)
자신소의홍인숙덕정황후
(Từ Tin Chiêu Ý Hoằng Nhân Thục Đức Tĩnh Hoàng hậu)
Nguyễn Thị Mai|응우옌 티 마이vi(추존)-장원릉
(Trường Nguyên Lăng)
(추존)응우옌 태조
(Thái Tổ)
자량가유황후
(Từ Lương Gia Dũ Hoàng hậu)
자량광숙명덕의공가유황후
(Từ Lương Quang Thục Minh Đức Ý Cung Gia Dũ Hoàng hậu)
Nguyễn Thị|응우옌 티vi(추존)-영기릉
(Vĩnh Cơ Lăng)
(추존)응우옌 희종
(Huy Tông)
휘공효문황후
(Huy cung hiếu Văn Hoàng hậu)
휘공자신온숙순장효문황후
(Huy cung Từ Thận Ôn Thục Thuận Trang hiếu Văn Hoàng hậu)
Mạc Thị Giai|막 티 자이vi(추존)1578년 ~ 1630년영연릉
(Vĩnh Diễn Lăng)
(추존)응우옌 신종
(Thần Tông)
정숙효소황후
(Trinh Thục Hiếu Chiêu Hoàng hậu)
정숙자정민예혜경효소황후
(Trinh Thục Từ Tĩnh Mẫu Duệ Huệ Kính Hiếu Chiêu Hoàng hậu)
Đoàn Thị An|도안 티 안vi(추존)1601년 ~ 1661년영연릉
(Vĩnh Diên Lăng)
(추존)응우옌 태종
(Thái Tông)
자민효철황후
(Từ Mẫn Hiếu Triết Hoàng hậu)
자민소성공정장신효철황후
(Từ Mẫn Chiêu Thánh Cung Tĩnh Trang Thận Hiếu Triết Hoàng hậu)
Châu Thị Viên|짜우 티 비엔vi(추존)1625년 ~ 1684년영흥릉
(Vĩnh Hưng Lăng)
자선효철황후
(Từ Tiên Hiếu Triết Hoàng hậu)
자선혜성정순정인효철황후
(Từ Tiên Huệ Thánh Trinh Thuận Tĩnh Nhân Hiếu Triết Hoàng hậu)
Tống Thị Đôi|똥 티 도이vi(추존)-광흥릉
(Quang Hưng Lăng)
(추존)응우옌 영종
(Anh Tông)
자절효의황후
(Từ Tiết Hiếu Nghĩa Hoàng hậu)
자절정숙혜민헌순효의황후
(Từ Tiết Tĩnh Thục Tuệ Mẫn Hiến Thuận Hiếu Nghĩa Hoàng hậu)
Tống Thị Lĩnh|똥 티 린vi(추존)1653년 ~ 1696년영무릉
(Vĩnh Mậu Lăng)
(추존)응우옌 현종
(Hiển Tông)
자혜효명황후
(Từ Huệ Hiếu Minh Hoàng hậu)
자혜정숙의덕경목효명황후
(Từ Huệ Cung Thục Ý Đức Kính Mục Hiếu Minh Hoàng Hậu)
Tống Thị Được|똥 티 드억vi(추존)1680년 ~ 1716년영청릉
(Vĩnh thanh Lăng)
(추존)응우옌 숙종
(Túc Tông)
자의효령황후
(Từ Ý Hiếu Ninh Hoàng hậu)
자의광순소헌숙혜효령황후
(Từ Ý Quang Thuận Chiêu Hiến Thục Huệ Hiếu Ninh Hoàng hậu)
Trương Thị Thư|쯔엉 티 트vi(추존)1690년 ~ 1720년영풍릉
(Vĩnh Phong Lăng)
(추존)응우옌 세종
(Thế Tông)
온성효무황후
(Ôn Thành Hiếu Vũ Hoàng hậu)
온성휘의장자육성효무황후
(Ôn Thành Huy Ý Trang Từ Dục Thánh Hiếu Vũ Hoàng hậu)
Trương Thị Dung|쯔엉 티 중vi(추존)1712년 ~ 1736년영태릉
(Vĩnh Thái Lăng)
(추존)응우옌 흥조
(Thế Tổ)
의정효강황후
(Ý Tĩnh Hiếu Khang hoàng hậu)
의정혜공안정자헌효강황후
(Ý Tĩnh Huệ Cung An Trinh Từ Hiến Hiếu Khang Hoàng hậu)
Nguyễn Thị Hoàn|응우옌 티 호안vi(추존)1738년 ~ 1811년서성릉
(Thụy Thánh Lăng)
제1대가륭제승천고황후
(Thừa Thiên Cao Hoàng hậu)
승천좌성후덕자인간공
제효익정순원고황후
(Thừa Thiên Tá Thánh Hậu Đức Từ Nhân Giản Cung Tề Hiếu Dục Chính Thuận Nguyên Cao Hoàng hậu)
Tống Thị Lan|똥 티 란vi1802년 ~ 1814년1762년 ~ 1814년천수릉
(Thiên Thọ Lăng)
순천고황후
(Thuận Thiên Cao Hoàng hậu)
순천흥성광유화기인선
자경덕택원공고황후
(Thuận Thiên Hưng Thánh Quang Dũ Hóa Cơ Nhân Tuyên Từ Khánh Đức Trạch Nguyên Công Cao Hoàng hậu)
Trần Thị Đang|쩐 티 당vi(추존)1769년 ~ 1846년천수우릉
(Thiên Thọ Hữu Lăng)
명명제의 생모.
제2대명명제좌천인황후
(Tá Thiên Nhân Hoàng hậu)
좌천여성단정공화독경
자휘명현순덕인황후
(Tá Thiên Lệ Thánh Đoan Chính Cung Hòa Đốc Khánh Từ Huy Minh Hiền Thuận Đức Nhân hoàng hậu)
Hồ Thị Hoa|호 티 호아vi(추존)1791년 ~ 1807년효동릉
(Hiếu Đông Lăng)
제3대소치제의천장황후
(Nghi Thiên Chương Hoàng Hậu)
의천찬성자유박혜재숙
혜달수덕인공장황후
(Nghi Thiên Tán Thánh Từ Dụ Bác Huệ Trai Túc Tuệ Đạt Thọ Đức Nhân Công Chương Hoàng hậu)
Phạm Thị Hằng|팜 티 항vi(추존)1810년 ~ 1901년창수릉
(Xương Thọ Lăng)
사덕제의 생모.
제4대사덕제여천영황후
(Lệ Thiên Anh Hoàng hậu)
여천보성장의순효근서
온자현명정수영황후
(Lệ Thiên Phụ Thánh Trang Ý Thuận Hiếu Cần Thứ Ôn Từ Hiền Minh Tĩnh Thọ Anh Hoàng hậu)
Vũ Thị Hài|부 티 하이vi(추존)1828년 ~ 1902년겸수릉
(Khiêm Thọ Lăng)
육덕제의 양모.
(추존)서태왕서태왕비
(Thụy Thái vương phi)
장숙서태왕비
(Trang Thục Thụy Thái vương phi)
Lê Thị Ứng|레 티 응vi-? ~ 1859년-육덕제의 생모.
제5대육덕제자명혜황후
(Từ Minh Huệ Hoàng hậu)
자명숙선유순혜황후
(Từ Minh Thục Thiện Nhu Thuận Huệ Hoàng hậu)
Phan Thị Điều|판 티 디에우vi(추존)1855년 ~ 1906년안릉
(An Lăng)
(추존)견태왕견태왕비
(Kiến Thái Vương Phi)
단유견태왕비
(Đoan Nhu Kiến Thái Vương Phi)
Bùi Thị Thanh|부 티 탄vi-1845년 ~ 1900년-건복제, 동경제의 생모.
제9대동경제보천순황후
(Phụ Thiên Thuần Hoàng hậu)
보천익성곤원창명목자
광후장정인수순황후
(Phụ Thiên Dực Thánh Khôn Nguyên Xương Minh Mục Từ Quảng Hậu Trang Tĩnh Nhân Thọ Thuần Hoàng hậu)
Nguyễn Hữu Thị Nhàn|응우옌흐우 티 냔vi(추존)1870년 ~ 1935년사명릉
(Tư Minh Lăng)
우천순황후
(Hựu Thiên Thuần Hoàng hậu)
우천상성곤의창덕관후
자화수강장숙순황후
(Hựu Thiên Tương Thánh Khôn Nghi Xương Đức Khoan Hậu Từ Hòa Thọ Khang Trang Túc Thuần Hoàng hậu)
Dương Thị Thục|즈엉 티 툭vi(추존)1868년 ~ 1944년사총릉
(Tư Thông Lăng)
계정제의 생모.
제12대계정제단휘황태후
(Đoan Huy Hoàng Thái Hậu)
-Hoàng Thị Cúc|호앙 티 꾹vi(추존)1890년 ~ 1980년응릉
(Ứng Lăng)
제13대보대제남방황후-Nguyễn Hữu Thị Lan|응우옌흐우 티 란vi1934년 ~ 1945년1913년 ~ 1963년-
태방황후
(Thái Phương Hoàng hậu)
-모니크 마리에 외젠 보도
(Monique Marie Eugene Baudot)
-1946년 ~-


참조

[1] 서적 East Asia Before the West: Five Centuries of Trade and Tribute Columbia University Press
[2] 서적 Throne and Mandarins: China's Search for a Policy during the Sino-French Controversy Harvard University Press
[3] 서적 Throne and Mandarins: China's Search for a Policy during the Sino-French Controversy Harvard University Press
[4] 서적 Indochina: An Ambiguous Colonization, 1858–1954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학술지 Re-assessing the Nguyễn Dynasty https://www.research[...] 2001
[6] 웹사이트 韩周敬: 越南阮朝嘉、明时期国号问题析论 https://wemedia.ifen[...] 2018-08-31
[7] 웹사이트 Người lao động Việt Nam được nghỉ ngày 1.5 từ bao giờ? https://www.archives[...] Trung tâm Lưu trữ quốc gia I (National Archives Nr. 1, Hanoi) – Cục Văn thư và Lưu trữ nhà nước (Stat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Department Of Việt Nam) 2019-01-21
[8] 웹사이트 Ai là tể tướng đầu tiên trong lịch sử Việt Nam? (Who is the first prime minister in Vietnamese history?) https://kienthuc.net[...] Vietnam Un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ssociations 2014-02-05
[9]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Le government in fifteenth century Vietnam. https://www.research[...]
[10] 웹사이트 Confucian Constitutionalism in Imperial Vietnam http://www.law.ntu.e[...] National Taiwan University
[11] 서적 A History of the Vietnames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2] 웹사이트 A Glimpse of Vietnam's History http://www.geocities[...]
[13] 웹사이트 Vietnam–Champa Relations and the Malay–Islam Regional Network in the 17th–19th Centuries – The Vietnamese Victory over Champa in 1693 http://kyotoreview.c[...] web archive
[14] 서적 The Making of South East Asia (RLE Modern East and South East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5
[15] 서적 New Perspectives on the History and Historiography of Southeast Asia: Continuing Explora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1
[16]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Tay Son Movement (1771–1802) http://www.englishra[...] EnglishRainbow
[17] 서적 #추정
[18] 서적 #추정
[19] 서적 #추정
[20] 서적 Indo-China Routledge 2013
[21] 서적 #추정
[22] 서적 #추정
[23] 서적 #추정
[24] 서적 #추정
[25] 서적 #추정
[26] 서적 #추정
[27] 서적 #추정
[28] 서적 #추정
[29] 서적 Danh tướng Việt Nam, tập 3 Nhà xuất bản Giáo dục
[30] 서적 #추정
[31] 서적 #추정
[32] 서적 #추정
[33] 서적 #추정
[34] 서적 #추정
[35] 서적 #추정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the Nguyen dynasty https://web.archive.[...] Hue Monuments Conservation Centre 2019-02-05
[44] 서적 The Art of Champa https://books.google[...] Parkstone International 2012
[45] 웹사이트 The Raja Praong Ritual: A Memory of the Sea in Cham- Malay Relations http://chamunesco.co[...] 2015-06-25
[46] 간행물 The Raja Praong Ritual: a Memory of the sea in Cham- Malay Relations Institute of Ocean and Earth Sciences, University of Malaya 2008-02-24
[47] 웹사이트 The Uprisings of Katip Sumat and Ja Thak Wa (1833–1835) https://web.archive.[...] 2015-06-25
[48] 백과사전 The conquest of Vietnam by France https://www.britanni[...] 2019-01-31
[49] 서적 Throne and Mandarins: China's Search for a Policy during the Sino-French Controversy Harvard University Press
[50] 웹사이트 Vietname em 2015: os portugueses reemergem, 500 anos depois https://observador.p[...] 2023-10-31
[51] 웹사이트 O jesuíta beirão a quem o Vietname deve o alfabeto https://www.dn.pt/18[...] 2020-05-04
[52] 서적 Japan's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in World War II: Selected Readings and Docu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53] 서적 Southern Vietnam under the Nguyễn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54] 서적 Vietnam: A History Penguin Books
[55] 간행물 In 1834 the 'Vien Co Mat' (secret affairs institute) was set up for the first time in the feudal history of Vietnam, comprising four high-ranking mandarins. This was the key agency in the royal court, just besides the king, which was entitled to ...
[56] 서적 The Vietnamese Response to French Intervention, 1862–1874
[57]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Vietnam War: A Political, Social, and ...
[58] 서적 Vietnam and the Chinese Model: A Comparative Study of Vietnamese and Chinese Govern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Harvard University Press
[59] 서적 Trung Kỳ Dân biến 1908
[60] 서적 Brother Enemy: The War After the War https://books.google[...] Harcourt Brace Jovanovich 1986
[61] 웹사이트 有个国家居然视自己是中国, 清政府做了一件事, 刺激到崩溃_历史_万花镜 http://www.wanhuajin[...] 2016-08-29
[62] 서적 Southern Vietnam under the Reign of Minh Mang (1820–1841): Central Policies and Local Response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8
[63] 서적 The Emergence of Modern South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0-11-18
[64] A dissertation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History) in The University of Michigan Reconceptualizing Southern Vietnamese Hi story from the 15th to 18th Centuries: Competition along the Coasts from Guangdong to Cambod https://web.archive.[...] 2017-01-29
[65] 서적 Empire, Colony, Genocide: Conquest, Occupation, and Subaltern Resistance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20-11-18
[66] 서적 Human Rights in Asia: A Comparative Legal Study of Twelve Asian Jurisdictions, France and the US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
[67] 웹사이트 Vietnam-Champa Relations and the Malay-Islam Regional Network in the 17th–19th Centuries http://kyotoreview.c[...] 2004-06-17
[68] 서적 Southern Vietnam Under the Reign of Minh Mạng (1820–1841): Central Policies and Local Response https://books.google[...] SEAP Publications 2016-06-22
[69] 서적 Southern Vietnam Under the Reign of Minh Mạng (1820–1841): Central Policies and Local Response https://books.google[...] SEAP Publications
[70] 서적 Southern Vietnam Under the Reign of Minh Mạng (1820–1841): Central Policies and Local Response https://books.google[...] SEAP Publications
[71] 웹사이트 Về lịch sử người Minh Hương và người Hoa ở Nam bộ http://www.vanhoahoc[...] Văn hóa học 2008-02-21
[72] 논문 越南的明鄉人與華人移民的族群認同與本土化差異 http://uibun.twl.nck[...] 國立成功大學越南研究中心
[73]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74] 백과사전 明鄉人 http://ap6.pccu.edu.[...] Chinese Culture University
[75] 서적 Vietnam and the Chinese Model: A Comparative Study of Vietnamese and Chinese Govern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 Asia Center
[76] 서적 Globalization: A View by Vietnamese Consumers Through Wedding Window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Utah
[77] 웹사이트 Angelasancartier.net http://angelasancart[...]
[78] 웹사이트 #18 Transcultural Tradition of the Vietnamese Ao Dai http://beyondvictori[...] 2010-03-14
[79] 웹사이트 Ao Dai – LoveToKnow http://fashion-histo[...]
[80] 웹사이트 The Ao Dai and I: A Personal Essay on Cultural Identity and Steampunk http://www.tor.com/2[...] 2010-10-20
[81] 서적 Vietnam https://books.google[...] Michelin Travel Publications
[82]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the Hmong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
[83] 서적 A History of Southeast Asia: Critical Crossroad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
[84] 서적 Southeast Asia in the Age of Commerce, 1450–1680: The Lands Below the Wind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0
[85] 서적 Searching for Vietnam: Selected Writings on Vietnamese Cultur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Kyoto University Press
[86] 서적 Sources of Vietnamese Tradi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2
[87] 서적 Vietnam and the Chinese Model: A Comparative Study of Vietnamese and Chinese Govern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 Asia Center
[88] 웹사이트 有个国家居然视自己是中国, 清政府做了一件事, 刺激到崩溃_历史_万花镜 http://www.wanhuajin[...]
[89] 웹사이트 张明扬 : 历史上异域的中国梦 _ 腾讯 · 大家 http://dajia.qq.com/[...]
[90] 웹사이트 越南名儒李文馥-龙文,乡贤,名儒-龙文新闻网 http://www.lwxww.cn/[...]
[91] 서적 Legal Reforms in China and Vietnam: A Comparison of Asian Communist Regim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0
[91] 서적 Legal Reforms in China and Vietnam: A Comparison of Asian Communist Regim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
[91] 서적 Legal Reforms in China and Vietnam: A Comparison of Asian Communist Regim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
[92] 서적 The Genesis of East Asia: 221 B.C. – A.D. 907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1
[93] 서적 'Lost worlds' or 'lost causes'?: biodiversity conservation, forest management, and rural life in Vietnam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93] 서적 'Lost worlds' or 'lost causes'?: biodiversity conservation, forest management, and rural life in Vietnam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94] 서적 Journal of Vietnamese Stud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5] 웹사이트 Q. How Confucian is/was Vietnam? https://cindyanguyen[...] 2016-03-09
[96] 웹사이트 Vai trò và vị trí đóng dấu của các loại ấn trên tài liệu Châu bản triều Nguyễn. 10/01/2012 – Lượt xem: 931 – Trải qua các triều đại, ấn chương Việt Nam ngày càng phong phú về loại hình và hình thể. https://luutru.gov.v[...] Cục Văn thư và Lưu trữ nhà nước (Stat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Department Of VietNam) 2012-01-10
[97] 뉴스 Seals of Nguyen Dynasty showcased. Around 140 seals of the Nguyen Dynasty are displayed at an exhibition which opened in Hanoi on October 12. https://www.vietnamb[...] VietNam Breaking News 2011-10-13
[98] 서적 Từ điển chức quan Việt Nam
[99] 웹사이트 Ấn triện đồng triều Nguyễn. – Ấn triện bằng đồng là loại liên quan đến uy quyền. Vua Nguyễn cấp ấn triện cho những bề tôi là để ban ủy quyền cho các bề tôi thay mặt vua cai trị dân. Nghiên cứu về ấn triện bằng đồng thời Nguyễn sẽ hiểu thêm về hệ thống quan chức triều Nguyễn cũng như nhiều vấn đề khác liên quan. http://baotanglichsu[...] Bào Tàng Lich Sù Quóc Gia (Vietnam National Museum of History) 2015-10-14
[100] 웹사이트 AP0670-Sogny-Marien. Titre : Hué, 1939 – Léon Sogny est élevé à la dignité nobiliaire de baron d'An Binh (13). https://www.aavh.org[...] L'Association des Amis du Vieux Huế 2013-09-17
[101] 웹사이트 AP0678-Sogny-Marien. Titre : Hué, 1939 – Léon Sogny est élevé à la dignité nobiliaire de baron d'An Binh (12). https://www.aavh.org[...] L'Association des Amis du Vieux Huế 2013-09-17
[102] 뉴스 No royal seal left in Hue today. VietNamNet Bridge – It is a great regret that none of more than 100 seals of the Nguyen emperors are in Hue City today. https://www.vietnamb[...] VietNam Breaking News 2016-02-10
[103] 웹사이트 Armorial of Vietnam http://www.hubert-he[...] De Rode Leeuw
[104] 뉴스 Admiring Dragons and Phoenixes on the Treasures of the Nguyen Dynasty. – This is also the name of the exhibition which is co-organized by the National Museum of History and Hue Monuments Conservation Center. The exhibition opening ceremony was on the morning of September 7 (7/9), at Hue Museum of Royal Antiquities. http://news.baothuat[...] Thua Thien Hue Online Newspaper 2018-09-08
[105] 웹사이트 Giải mã 'rồng 5 móng' của nhà Nguyễn. Để thể hiện tính độc lập giữa Hoàng đế Việt Nam và các nước láng giềng, Vua Gia Long đã có chỉ dụ về quy định các hình thêu, đúc rồng trên trang phục, đồ dùng của vua và hoàng thái tử chỉ được thêu rồng 5 móng, khác với rồng 4 móng của Trung Hoa. http://baotanglichsu[...] BẢO TÀNG LỊCH SỬ QUỐC GIA (VIETNAM NATIONAL MUSEUM OF HISTORY) 2012-06-03
[106] 서적 Đại Nam thực lục NXB Giáo dục 2002
[107] 웹사이트 Hymnes et pavillons d'Indochine https://gallica.bnf.[...]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2021-03-09
[108] 백과사전 阮朝 2020-07-09
[109] 백과사전 タイソン(西山)党の乱 2020-07-09
[110] 기타
[111] 기타
[112] 기타
[113] 기타
[114] 기타
[115] 기타
[116] 기타
[117] 기타
[118] 기타
[119] 기타
[120] 웹인용 OP Calendar/Martyrs of Vietnam https://web.archive.[...] 2018-07-16
[121] 서적 지도로 보는 세계사 생각의 나무 2006
[122] 기타
[123] 기타
[124] 기타
[125] 웹사이트 뒤퓌 http://preview.brita[...] 2011-09-28
[126] 웹사이트 가르니에 http://preview.brita[...] 2011-09-28
[12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