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우옌푹코앗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 푹 코앗은 1738년 응우옌 푹 쭈의 뒤를 이어 응우옌 주(Nguyễn Chúa)의 군주가 되었다. 그는 1744년 칭왕하여 독립적인 지위를 확립하고, 캄보디아 내전에 개입하여 영토를 확장했다. 1753년에는 참파를 정벌하고, 1757년에는 캄보디아 왕자를 옹립하여 삭장, 짜빈, 캄포트, 시아누크빌 등을 할양받아 남부 베트남의 국경을 완성했다. 이후 주색과 향락에 빠져 농민 반란의 원인을 제공했으며, 1765년 사망 후 세종으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우옌 왕조의 추존황제 - 죽득 황제
    죽득 황제는 뜨득 황제의 양자이자 응우옌 왕조의 제5대 황제였으나, 즉위 3일 만에 폐위되어 짧은 재위 기간으로 연호를 제정하지 못하고 육덕당의 당호를 따 죽득 황제라 불리게 되었으며, 사후 아들 타인타이 황제에 의해 복권되었다.
  • 응우옌 왕조의 추존황제 - 응우옌푹하오
    응우옌푹하오는 응우옌 왕조 무왕의 아들이자 자롱 황제의 숙부로,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나 요절하여 사후 효선왕으로 추존되어 묘소에 사당이 세워지고 태묘에 배향되었다.
  • 후 레 왕조의 국공 - 응우옌낌
    응우옌낌은 후 레 왕조의 장군이자 응우옌 주의 추존 황제로, 막 왕조의 찬탈에 맞서 레 왕조 복원을 주도하여 응우옌 주의 사실상 시조로 여겨진다.
  • 후 레 왕조의 국공 - 찐끼엠
    찐끼엠은 후 레 왕조의 개국공신 찐카의 후손으로, 응우옌낌 사후 정권을 장악하여 찐씨 가문이 후 레 왕조의 정권을 잡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막 왕조를 여러 차례 북벌하고 태국공으로 진봉된 인물이다.
  • 후 레 왕조의 군공 - 찐끼엠
    찐끼엠은 후 레 왕조의 개국공신 찐카의 후손으로, 응우옌낌 사후 정권을 장악하여 찐씨 가문이 후 레 왕조의 정권을 잡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막 왕조를 여러 차례 북벌하고 태국공으로 진봉된 인물이다.
  • 후 레 왕조의 군공 - 부꽁뚜언
    부꽁뚜언은 후 레 왕조의 뚜옌꽝진 수장의 아들로, 반란을 일으켜 청나라와 막 왕조 잔당과 연합했으나 체포되어 처형당했다.
응우옌푹코앗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응우옌푹코앗 (阮福濶)
다른 이름응우옌푹히에우 (阮福曉)
응우옌푹코앗 (阮福濶/완복활)
별명효정후 (Hiểu Chính hầu/曉正侯)
효군공 (Hiểu Quận Công/曉郡公)
효국공 (Hiểu Quốc Công/曉國公)
자제도인 (Từ Tế Đạo Nhân/慈濟道人)
로마자 표기Nguyễn Phúc Khoát
시호건강위단신의성유인자예지효무황제 (Kiền Cương Uy Đoán thần Nghị Thánh Du Nhân Từ Duệ Trí Hiếu Vũ Hoàng Đế/乾剛威斷神毅聖猷仁慈睿智孝武皇帝)
묘호세종 (Thế Tông/世宗)
능호장태릉 (Trường Thái Lăng/長泰陵)
종교불교
직위
직위응우옌 주의 군주
재위 기간1738년 6월 7일 ~ 1765년 7월 7일
전임자응우옌푹쭈 (阮福澍)
후임자응우옌푹투언 (阮福淳)
생애
출생일1714년 9월 26일
사망일1765년 7월 7일 (50세)
부친응우옌푹쭈 (阮福澍)
모친쯔엉티투 (張氏書)
배우자쯔엉티중 (張氏容)
쩐티싸
응우옌푹응옥꺼우
자녀응우옌푹쯔엉
응우옌푹루언 (자롱 황제의 아버지)
응우옌푹하오 (응우옌푹즈엉의 아버지)
응우옌푹투언
왕조
왕가응우옌 Phúc

2. 생애

응우옌 푹 코앗은 참파를 속령으로 만들고 캄보디아 동쪽 영토를 할양받은 이후에는 전쟁을 일으키지 않고 주색과 향락에 빠져 살았다. 이로 인해 세금 부담이 커진 농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었고, 이는 서산당의 난과 같은 농민 반란의 계기가 되었다. 그는 무력을 남용하고 여색을 밝히며 세금을 과중하게 부과하여 베트남 남부 민중의 불만이 고조되었고, 이것이 훗날 서산당 봉기의 원인이 되었다.[1]

까인흥 26년 5월 20일(1765년 7월 7일), 응우옌 푹 코앗은 52세(만 50세)의 나이로 서거하였다. 시호는 건강위단신의성유인자예지효무왕(Kiền Cương Uy Đoán Thần Nghị Thánh Du Nhân Từ Duệ Trí Hiếu Vũ Vương)이며, 묘호는 세종(Thế Tông)이다. 그의 사후, 열여섯째 아들 응우옌푹투언이 왕위를 계승하였다.[1] 그의 손자 응우옌푹아인이 1803년 응우옌 왕조를 건국하자 건강위단신의성유인자예지효무황제(Kiền Cương Uy Đoán Thần Nghị Thánh Du Nhân Từ Duệ Trí Hiếu Vũ Hoàng Đế)로 추존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빈흐우 4년 6월 8일(1738년 7월 23일) 부친 응우옌 푹 쭈가 사망하자 군주의 자리에 올랐다. 호는 자제도인(Từ Tế Đạo Nhân|자제도인vie)이다.

까인흥 원년(1739년), 그의 후궁이었던 우궁빈(右宮嬪) 쯔엉 티 중(Trương Thị Dung|장씨용vie)을 부인으로 추봉하였으며, 이후 왕비로 추존하였다.

까인흥 5년(1744년), 군주는 후 레 왕조의 황제가 받은 봉호를 취소하고, 자체적으로 칭왕을 하여 신분을 격상시켰다. 이후, 역대 응우옌 주 군주와 정실을 왕과 왕비로 격상시켜 재추존하였다. 그리고 당시 제후국의 관직명, 군대 등을 재편하여 독립적인 호칭 및 관제로 개편하였다.

까인흥 8년(1747년), 캄보디아 왕국에 내란이 발생하자, 이듬해 국왕 응우옌 푹 코앗은 캄보디아의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캄보디아의 왕자 안동(អង្គទង/Ang Tong/安東)을 지원하여 내란 진압을 도와주었으며, 이후에 왕위를 잇게 하였다.

2. 2. 칭왕과 행정 개편

빈흐우 4년(1738년 7월 23일) 부군 응우옌 푹 쭈가 서거하자 군주의 자리에 올랐다. 호는 자제도인(Từ Tế Đạo Nhân|자제도인vie)이다.

까인흥 5년(1744년), 응우옌 푹 코앗은 후 레 왕조의 황제가 받은 봉호를 취소하고, 자체적으로 칭왕하여 신분을 격상시켰다. 이후, 역대 응우옌 주 군주와 정실을 왕과 왕비로 격상시켜 재추존하였다. 그리고 당시 제후국의 관직명, 군대 등을 재편하여 독립적인 호칭 및 관제로 개편하였다.[3]

2. 3. 캄보디아와의 관계 및 영토 확장

까인흥(景興) 8년(1747년), 캄보디아 왕국에 내란이 발생하자, 이듬해 국왕 응우옌푹코앗은 캄보디아의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캄보디아의 왕자 안동(អង្គទង/Ang Tong)을 지원하여 내란 진압을 도와주었으며, 이후에 왕위를 잇게 하였다. 응우옌푹코앗은 군대를 파병하여 캄보디아에 진입, 반란을 일으킨 왕자를 지원하여 새로 즉위한 캄보디아 국왕 안톤(Ang Tong)과 대항하였다.[1] 응우옌씨의 군대는 석장을 점령하고 승세를 타고 캄보디아 수도 우동 성하에 도착했다.[1] 안톤은 현재 끼엔장 부근에 반독립국을 건설한 하선 총병 막티엔사(鄚天賜, 막구의 후계자)에게 중재를 요청하여 베트남에 대한 영토 할양을 청하며 평화를 구했다.[1]

까인흥(景興) 14년(1753년), 응우옌푹코앗은 응우옌 꾸 찐(Nguyễn Cư Trinh)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캄보디아 사이에 있는 참파를 정벌하게 하였다.

까인흥(景興) 18년(1757년), 다시 내란이 일어난 캄보디아에서 이번에는 왕자 안돈(អង្គតន់/Ang Ton)을 우테이 2세(ឧទ័យទី២/Outay II)로 왕위를 계승하게 하였으며, 캄보디아 왕이 이에 대한 보답으로 삭장(朔莊), 다영(茶榮), 공포(貢布), 방손(磅遜) 등을 할양시켜 주었다. 10년 후, 응우옌푹코앗은 막티엔사와 함께 캄보디아 왕자의 신변을 확보하여 왕위에 앉히고 이를 우테이 2세로 삼았다.[1] 캄보디아 국왕은 석장, 짜빈, 깜못, 꼼뽕솜을 포함한 7개 성의 땅을 베트남에 할양하였다.[1] 이로써 지금의 남부 베트남 영토의 국경과 비슷한 경계를 완성 시켰다.

참파를 속령으로 만들고, 캄보디아의 동쪽 영토를 할양받은 응우옌푹코앗은 이후에는 전쟁을 일으키지 않았다.

2. 4. 통치 말기와 죽음

빈흐우 4년(1738년) 6월 8일, 부군 응우옌 푹 쭈가 서거하자 응우옌 푹 코앗이 군주의 자리에 올랐다. 그는 스스로를 자제도인(Từ Tế Đạo Nhân|자제도인vie)이라 칭했다. 까인흥 5년(1744년), 후 레 왕조의 황제가 내린 봉호를 취소하고 스스로 왕을 칭하며 신분을 격상시켰다. 역대 응우옌 주 군주와 정실을 왕과 왕비로 추존하고, 제후국의 관직명과 군대를 독립적인 호칭 및 관제로 개편했다.

까인흥 8년(1747년), 캄보디아 왕국에 내란이 발생하자 이듬해 캄보디아의 왕자 안동(អង្គទង/Ang Tong/안동)을 지원하여 내란 진압을 도왔고, 이후 왕위를 잇게 하였다. 같은 해, 응우옌 푹 코앗은 군대를 파병하여 캄보디아에 진입, 반란을 일으킨 왕자를 지원하여 새로 즉위한 캄보디아 국왕 안톤(Ang Tong)과 대항하였다. 응우옌 씨의 군대는 석장을 점령하고 승세를 타고 캄보디아 수도 우동 성하에 도착했다. 안톤은 현재 끼엔장 부근에 반독립국을 건설한 막티엔뜨에게 중재를 요청하여 베트남에 대한 영토 할양을 청하며 평화를 구했다.[1]

까인흥 14년(1753년), 응우옌 꾸 찐(Nguyễn Cư Trinh|완거정vie)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캄보디아 사이에 있는 참파를 정벌하게 하였다.

까인흥 18년(1757년), 다시 내란이 일어난 캄보디아에서 왕자 안돈(អង្គតន់/Ang Ton)을 우테이 2세(ឧទ័យទី២/Outay II)로 왕위에 앉혔다. 캄보디아 왕은 이에 대한 보답으로 삭장, 다영, 공포, 방손 등을 할양했다. 10년 후, 응우옌 푹 코앗은 막티엔뜨와 함께 캄보디아 왕자의 신변을 확보하여 왕위에 앉히고 이를 우테이 2세로 삼았다. 캄보디아 국왕은 석장, 짜빈, 깜못, 꼼뽕솜을 포함한 7개 성의 땅을 베트남에 할양했다.[1] 이를 통해 현재의 남부 베트남 영토와 비슷한 경계가 완성되었다.

참파를 속령으로 만들고 캄보디아 동쪽 영토를 할양받은 응우옌 푹 코앗은 이후 전쟁을 일으키지 않고 주색과 향락에 빠져 살았다. 국왕의 주색과 향락으로 인해 세금 부담이 커진 농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었고, 이는 서산당의 난과 같은 농민 반란의 계기가 되었다. 응우옌 푹 코앗은 무력을 남용하고 여색을 밝히며 세금을 과중하게 부과하여 베트남 남부 민중의 불만이 고조되었고, 이것이 훗날 서산당 봉기의 원인이 되었다.[1]

까인흥 26년 5월 20일(1765년 7월 7일), 응우옌 푹 코앗은 52세(만 세)의 나이로 서거하였다. 1765년, 응우옌 푹 코앗은 사망하여 장태릉(Trường thái Lăng)에 안장되었다. 시호는 건강위단신의성유인자예지효무왕(Kiền Cương Uy Đoán Thần Nghị Thánh Du Nhân Từ Duệ Trí Hiếu Vũ Vương)이며, 묘호는 세종(Thế Tông)이었다. 열여섯째 아들 응우옌푹투언이 왕위를 계승하였다.[1]

3. 문화 정책

응우옌푹코앗은 1774년에 베트남 여성의 전통적인 치마 대신 중국식 바지와 튜닉을 입도록 명령했다.[12] 그러나 한족(漢族)의 의복은 바지와 치마를 모두 포함하는 여러 벌의 의복으로 구성되며, 이는 한복 역사 전반에 걸쳐 꾸언(quần, 裙) 또는 뜨엉(thường, 裳)이라고 불린다. 응우옌푹코앗은 한나라, 당나라, 명나라의 중국 의복을 참조했다.[13]

응우옌푹코앗은 1750년에 선교사와 기독교를 금지했지만,[14] 서양 선교사의 음악은 들었다.[15]

4. 봉호, 시호, 능호

후 레 왕조에서 받은 초기 봉호는 전수영장영(前水營掌營) 겸 '''효정후'''(Hiểu Chính hầu/曉正侯)이다. 즉위 후 받은 봉호는 절제수보제영(節制水步諸營) 겸 총내외평장군국중사(總內外平章軍國重事) 겸 태보(太保) 겸 '''효군공'''(Hiểu Quận Công/曉郡公)으로 진봉하였고, 까인흥(景興) 원년(1740년)에 태부(太傅) 겸 '''효국공'''(Hiểu Quốc Công/曉國公)으로 진봉하였다. 까인흥 5년(1744년)에 정식으로 칭왕을 하면서 봉호를 폐지하고 완왕(阮王)으로 칭하였다.[1]

사후 시호는 건강위단신의성유인자예지'''효무왕'''(Kiền Cương Uy Đoán thần Nghị Thánh Du Nhân Từ Duệ Trí Hiếu Vũ Vương/乾剛威斷神毅聖猷仁慈睿智孝武王)으로 추존하였고, 응우옌 왕조가 건국되고 칭제 후인 자롱(嘉隆) 5년(1806년)에 묘호를 '''세종'''(Thế Tông/世宗)으로, 시호를 건강위단신의성유인자예지'''효무황제'''(Kiền Cương Uy Đoán thần Nghị Thánh Du Nhân Từ Duệ Trí Hiếu Vũ Hoàng Đế/乾剛威斷神毅聖猷仁慈睿智孝武皇帝)로 재추존하였다.[1]

능호는 '''장태릉'''(Trường Thái Lăng/長泰陵)이다.[1]

5. 가족 관계

응우옌푹코앗(阮福濶)은 18명의 왕자와 12명의 왕녀를 두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후비

봉호시호이름(성씨)별칭생몰년도국구(장인/장모)비고
우궁빈
(右宮嬪)
온성태비
(溫誠太妃)
쯔엉 티 중
(張氏容/장씨용)
1712년 ~ 1736년[16][17][18]
궁빈
(宮嬪)
혜정성모원사
(慧淨聖母元師)
응우옌 티 응옥까우
(阮氏玉球/완씨옥구)
1734년 ~ 1804년[19][20]
귀인
(貴人)
자민소의열부인
(慈敏昭儀列夫人)
쩐 티 싸
(陳氏麝/진씨사)
1716년 ~ 1750년
좌궁빈
(左宮嬪)
쯔엉 티 호앙
(張氏黃/장씨황)
좌궁빈
(左宮嬪)
쯔엉 티 빗
(張氏璧/장씨벽)
좌궁빈
(左宮嬪)
똥 티
(宋氏/송씨)
좌궁빈
(左宮嬪)
쯔엉 티 꼬
(張氏璣/장씨기)
좌궁빈
(左宮嬪)
부 티 후옌
(武氏暄/무씨훤)
우궁빈
(右宮嬪)
똥 티 꾸옌
(宋氏絹/송씨견)
응우옌 티 코아
(阮氏誇/완씨과)
당 티 쭉
(鄧氏竹/등씨죽)
쩐 티 타인
(陳氏靑/진씨청)


5. 2. 왕자

응우옌푹코앗은 슬하에 18명의 왕자를 두었다. 다음은 응우옌푹코앗의 왕자 목록이다.[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순번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자식비고
1성공
(成公)
강정
(剛正)
응우옌 푹 쯔엉
(Nguyễn Phúc Chương
/阮福暲)
1732년 ~ 1763년온성태비
쯔엉 티 중
1녀
2황고
(皇考)
응우옌 푹 루언
(Nguyễn Phúc Luân
/阮福㫻)
1733년 ~ 1765년온성태비
쯔엉 티 중
6남 4녀
3문덕후
(文德侯)
응우옌 푹 마오
(Nguyễn Phúc Mão
/阮福昴)
1734년 ~ 1773년응우옌 티 코아1남
4성군공
(誠郡公)
응우옌 푹 끄엉
(Nguyễn Phúc Cường
/阮福㫛)
1735년 ~ 1775년5남
5의공
(懿公)
정직
(正直)
응우옌 푹 죽
(Nguyễn Phúc Dục
/阮福昱)
1735년 ~ ?온성태비
쯔엉 티 중
3남
6응우옌 푹 짯
(Nguyễn Phúc Chất
/阮福晊)
1737년 ~ 1777년2남
7군공
(郡公)
응우옌 푹 낀
(Nguyễn Phúc Kính
/阮福曔)
1737년 ~ 1775년귀인
쩐 티 싸
3남
8응우옌 푹 반
(Nguyễn Phúc Bản
/阮福昄)
1739년 ~ ?귀인
쩐 티 싸
1남
9왕세자
(王世子)
응우옌 푹 하오
(Nguyễn Phúc Hạo
/阮福昊)
1739년 ~ 1760년좌궁빈
쯔엉 티 호앙
1남
10응우옌 푹 안
(Nguyễn Phúc An
/阮福晏)
1740년 ~ 1772년당 티 쭉3남
11응우옌 푹 뚜언
(Nguyễn Phúc Tuấn
/阮福晙)
1742년 ~ 1764년귀인
쩐 티 싸
12군공
(郡公)
응우옌 푹 옌
(Nguyễn Phúc Yến
/阮福㬫)
1743년 ~ 1776년귀인
쩐 티 싸
3남
13군공
(郡公)
응우옌 푹 단
(Nguyễn Phúc Đạn
/阮福暺)
1744년 ~ 1786년쩐 티 타인2남
14응우옌 푹 꾸옌
(Nguyễn Phúc Quyền
/阮福鬈)
1749년 ~ ?
15군공
(郡公)
응우옌 푹 지에우
(Nguyễn Phúc Diệu
/阮福曜)
1753년 ~ ?응우옌 티 응옥까우
16정왕
(定王)
응우옌 푹 투언
(Nguyễn Phúc Thuần
/阮福淳)
1754년 ~ 1777년응우옌 티 응옥까우1녀응우옌 주 제9대 군주.
17군공
(郡公)
충렬
(忠烈)
응우옌 푹 쑤언
(Nguyễn Phúc Xuân
/阮福春)
1757년 ~ 1780년궁빈
부 티 후옌
18복륭공
(福隆公)
화정
(和靖)
응우옌 푹 탕
(Nguyễn Phúc Thăng
/阮福昇)
1762년 ~ 1819년우궁빈
똥 티 꾸옌
4남 1녀


5. 3. 왕녀

이름생몰년도생모비고
1응우옌 티 응옥뚜옌
(Nguyễn Thị Ngọc Tuyên
/阮氏玉瑄
/완씨옥선)
1738년 ~ 1809년좌궁빈
똥 티[34]
2응우옌 티 응옥응우옌
(Nguyễn Thị Ngọc Nguyện
/阮氏玉願
/완씨옥원)
1726년 ~ 1773년기록 미상.[35]
3응우옌 티 응옥타인
(Nguyễn Thị Ngọc Thành
/阮氏玉珹
/완씨옥성)
1740년 ~ 1783년[36]
4응우옌 티 응옥아이
(Nguyễn Thị Ngọc Ái
/阮氏玉璦
/완씨옥애)
1743년 ~ 1775년[37]
5응우옌 티 응옥무오이
(Nguyễn Thị Ngọc Muội
/阮氏玉玥
/완씨옥모)
1749년 ~ 1825년좌궁빈
쯔엉 티빗[38]
6응우옌 티 응옥꾸안
(Nguyễn Thị Ngọc Quận
/阮氏玉琚
/완씨옥거)
1751년 ~ 1776년[39]
7응우옌 티 응옥투
(Nguyễn Thị Ngọc Thụ
/阮氏玉璹
/완씨옥수)
1739년 ~ 1775년좌궁빈
쯔엉 티 꼬[40]
8응우옌 티 응옥쑤옌
(Nguyễn Thị Ngọc Xuyến
/阮氏玉玔
/완씨옥천)
[41][42]
9응우옌 티 응옥자오
(Nguyễn Thị Ngọc Dao
/阮氏玉瑤
/완씨옥요)
온성태비
쯔엉 티 중
10응우옌 티
(Nguyễn Thị
/阮氏
/완씨)
기록 미상.
11응우옌 티 응옥꼬
(Nguyễn Thị Ngọc Cơ
/阮氏玉璣
/완씨옥기)
12응우옌 티
(Nguyễn Thị
/阮氏
/완씨)
기록 미상.


6. 연표

세종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기1739년1740년1741년1742년1743년1744년1745년1746년1747년1748년
육십간지기미(己未)경신(庚申)신유(辛酉)임술(壬戌)계해(癸亥)갑자(甲子)을축(乙丑)병인(丙寅)정묘(丁卯)무진(戊辰)
후 레 왕조
연호
빈흐우(永祐)
5년
6년
까인흥(景興)
원년
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
세종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서기1749년1750년1751년1752년1753년1754년1755년1756년1757년1758년
육십간지기사(己巳)경오(庚午)신미(辛未)임신(壬申)계유(癸酉)갑술(甲戌)을해(乙亥)병자(丙子)정축(丁丑)무인(戊寅)
후 레 왕조
연호
10년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
세종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
서기1759년1760년1761년1762년1763년1764년1765년
육십간지기묘(己卯)경진(庚辰)신사(辛巳)임오(壬午)계미(癸未)갑신(甲申)을유(乙酉)
후 레 왕조
연호
20년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


참조

[1] 서적 Political Events and Economic Ideas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04-01-01
[2] 서적 The Chinese Repository https://books.google[...] proprietors.
[3] 서적 Journal of the North Chin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https://books.google[...] Kelly & Walsh.
[4] 서적 The Currency of the Farther East from the Earliest Times Up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Noronha & Company
[5] 서적 The Tây Sơn Uprising: Society and Rebellion in Eighteenth-century Vietn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6] 서적 The Making of South East Asia (RLE Modern East and South East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5-05-15
[7] 서적 The Making of South 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서적 Strange Parallels: Volume 1, Integration on the Mainland: Southeast Asia in Global Context, c.800–183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05-26
[9] 서적 A Brief Chronology of Vietnam's History
[10] 서적 The Mandarin road to old Hué: narratives of Anglo-Vietnamese diplomacy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eve of the French conquest https://books.google[...] Archon Books 1970-06
[11] 서적 Journal of the Malaysi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1961 https://books.google[...] The Branch
[12] 서적 Southeast Asia in the Age of Commerce, 1450-1680: The Lands Below the Wind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0-05-09
[13] 서적 Sources of Vietnamese Tradi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2-08-21
[14] 서적 The China Review, Or, Notes and Queries on the Far East https://books.google[...] "China Mail" Office
[15] 서적 Tamkang Review https://books.google[...] Graduate Institute of Western Languages and Literature Research, Tamkang College of Arts and Sciences
[16] 문서 수의부인(Tu Nghi Phu Nhân/修儀夫人)
[17] 문서 쯔엉 반 상(Trương Văn Sáng/張文創/장문창) / 부인(Phu nhân/夫人) 똥 티(Tống thị/宋氏/송씨)
[18] 문서 응우옌 왕조가 세워진 후에는 황후로 추존되어, 시호를 자의광순소헌숙혜효령황후(Từ Ý Quang Thuận Chiêu Hiến Thục Huệ Hiếu Ninh Hoàng Hậu/慈懿光順昭憲淑惠孝寧皇后)로 개칭하였다.
[19] 문서 소륭교주(Thiệu Long Giáo chủ/紹隆教主)
[20] 문서 윤국공(Dận Quốc Công/胤國公) 응우옌 푹 디엔(Nguyễn Phúc Điền/阮福沺/완복전)
[21] 문서 응우옌 푹 짜(Nguyễn Phúc Trà/阮福茶/완복다)
[22] 문서 응우옌 푹 꺼(Nguyễn Phúc Cộ/阮福椇/완복구)
[23] 문서 응우옌 왕조 초대 황제 자롱 황제(嘉隆帝)의 아버지.
[24] 문서 응우옌 푹 반(Nguyễn Phúc Văn/阮福文/완복문) / 똔 텃 마오(Tôn Thất Mão/尊室昴/존실묘)
[25] 문서 응우옌 푹 타인(Nguyễn Phúc Thành/阮福誠/완복성) / 똔 텃 타인(Tôn Thất Mão/尊室誠/존실성)
[26] 문서 응우옌 푹 바오(Nguyễn Phúc Bảo/阮福寶/완복보)
[27] 문서 응우옌 주 제10대 군주 응우옌 푹 즈엉(阮福暘)의 아버지.
[28] 문서 응우옌 푹 찌에우(Nguyễn Phúc Chiêu/阮福昭/완복소)
[29] 문서 응우옌 푹 다(Nguyễn Phúc Đa/阮福多/완복다)
[30] 문서 응우옌 푹 비엠(Nguyễn Phúc Viêm/阮福炎/완복염)
[31] 문서 응우옌 푹 쯔엉(Nguyễn Phúc Trường/阮福長/완복장)
[32] 문서 경부도인(Khánh Phủ Đạo Nhân/慶暊道人) / 응우옌 푹 한(Nguyễn Phúc Hân/阮福昕/완복흔)
[33] 문서 국숙공(Quốc Thục Công/國叔公) / 똔 텃 탕(Tôn Thất Thăng/尊室昇/존실승)
[34] 문서 응우옌 끄우 통(Nguyễn Cửu Thống/阮久統/완구통)
[35] 문서 쯔엉 푹 탕(Trương Phúc Thăng/張福嵊/장복승)
[36] 문서 유군공 응우옌 끄우 꾸안
[37] 문서 응우옌 끄우 삿
[38] 문서 쯔엉 푹 다오
[39] 문서 귀국공민공 똥 푹 쿠옹
[40] 문서 쯔엉 푹 냑
[41] 문서 응우옌 끄우 뚜
[42] 문서 응우옌 티 응옥후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