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비 야속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비 야속진은 고려 충선왕의 후궁으로, 충숙왕의 어머니이다. 원나라 황족 출신은 아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충선왕이 세자 시절 원나라에 머물 때 혼인한 것으로 보인다. 1316년에 원나라에서 사망하여 고려에서 장례를 치렀으며, 사후 의비로 추증되었다. 그녀는 충선왕과의 사이에서 두 아들을 두었는데, 장남은 광릉군 왕감이며, 차남은 고려 충숙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세기 여자 - 바그다드 하툰
바그다드 하툰은 일 칸국 아미르 추판의 딸이자 아부 사이드 칸의 아내로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독살 의혹과 아르파 케운에 의해 살해당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으며 권력욕에 눈이 멀었다는 비판과 시대의 여걸이라는 옹호론이 공존하는 인물이다. - 1316년 사망 - 루이 10세
루이 10세는 프랑스와 나바라의 왕으로, 나바라 왕국을 상속받아 통치하다 프랑스 왕으로 재임하며 귀족과의 갈등, 플랑드르 문제, 왕실 수입 증대 개혁을 추진했고 농노제 폐지 칙령과 유대인 귀환 허용 칙령을 발표했으나 테니스 경기 후유증으로 사망 후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했다. - 1316년 사망 - 홍규 (고려 후기)
홍규는 고려 후기 무신정권 종식에 기여하고 원나라와의 관계 속에서 활동한 문신으로, 임유무 제거에 가담하여 무신정권 종식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원나라와의 외교 및 정치 활동을 통해 고위 관직을 역임하고 충선왕의 장인이 되어 익성군, 남양부원군에 봉해졌다. - 몽골계 한국인 - 태조 (조선)
고려 말 무신으로서 위화도 회군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뛰어난 리더십으로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나, 왕위 계승 갈등으로 인해 상왕으로 물러났다. - 몽골계 한국인 - 충선왕
충선왕은 고려 제26대 왕으로 즉위 후 원나라 간섭 속에서 심양왕에 봉해졌으며, 고려와 심양을 동시에 통치하는 동군연합을 이루었으나 개혁 정치는 실패하고 티베트로 유배되었다.
의비 야속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배우자 | 충선왕 |
봉작 | 비 |
시호 | 의비 (懿妃) |
휘 | 야속진 (也速眞) |
원 이름 | 예쉬진 (也速眞, Yěsùzhēn) |
출생 | 미상 |
출생지 | 원나라 |
사망 | 1316년 음력 7월 18일 |
사망지 | 원나라 |
묻힌 곳 | 연릉 |
국적 | 원나라, 고려 |
가문 | 왕씨 (혼인으로) |
자녀 | 세자 감, 충숙왕 |
가계 | |
아버지 | 미상 |
어머니 | 미상 |
2. 생애
그녀의 가계에 대해서는 기록이 전혀 남아있지 않고 시호에도 공주(公主)라는 단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원나라 황족 출신은 아니었을 것으로 보인다[9].
1316년 (충숙왕 3년) 음력 7월 18일에 원나라에서 사망했다[11]. 그녀의 시신은 음력 8월 3일 고려로 들어왔으며[12], 음력 8월 20일에 장례를 치렀다[13]. 시신은 화장 후 가매장되었다가 사망 3년 후에 능을 마련하였고, 능호는 '''연릉'''(衍陵)이라 하였다[14]. 영정은 청운사(靑雲寺)를 거쳐 묘련사(妙蓮寺)에 봉안되었다[15]. 사후에 '''의비'''(懿妃)에 추증되었다[16].
[1]
문서
Lunar calendar
충선왕은 세자로 있던 시절 원나라에 자주 머물렀는데, 아마 이때 그녀와 혼인한 것으로 보인다[9]. 의비 소생의 둘째 아들인 충숙왕이 1294년에 태어난 것을 볼때, 적어도 그녀는 1296년 충선왕과 결혼한 정비 계국대장공주보다 빨리 충선왕에게 시집을 왔을 것으로 보인다[10].
1316년(충숙왕 3년) 음력 7월 18일에 원나라에서 사망했다[11]. 그녀의 시신은 음력 8월 3일 고려로 들어왔으며[12], 음력 8월 20일에 장례를 치렀다[13]. 그녀의 시신은 화장 후 가매장되었다가 사망 3년 후에 능을 마련하였고, 능호는 '''연릉'''(衍陵)이라 하였다[14]. 그녀의 영정은 청운사(靑雲寺)를 거쳐 묘련사(妙蓮寺)에 봉안되었다[15]. 사후에 '''의비'''(懿妃)에 추증되었다[16].
남편 충선왕과의 사이에서 아들 둘을 낳았다. 장남은 광릉군에 봉해진 왕감(王鑑)으로, 한때 세자에 책봉되었다가 1310년 음력 5월에 부왕 충선왕에 의해 살해당했다[17]. 이에 의비의 차남이 대신 왕위에 올랐으니, 그가 곧 충숙왕이다.
3. 사망과 장례
야속진의 장례 준비가 고려에서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신은 화장되어 원나라에 묻혔으며, 고려 관리 김이(金怡)가 매달 묘를 찾아 고기와 술을 바쳤다. 3년 후, 충숙왕은 어머니의 묘를 칸발리크 근처 서산에 있는 묘소로 옮기려 했으나, 김이는 이에 반대했다. 김이는 점술가에게 돈을 주고 왕에게 "자신의 나라에 모시면 나중에 재앙이 없을 것"이라고 말하게 했다.[5] 그 후 음력 8월 3일에 시신이 고려로 옮겨졌고, 음력 8월 20일에 장례가 거행되었다. 왕은 설득당하여 야속진의 유해를 고려로 가져와 사망 3년 후 묘역이 준비된 연릉(衍陵)에 안장했다.[6] 위패는 "청운사(靑雲寺)"를 거쳐 "묘련사(妙蓮寺)"에 봉안되었다.
4. 가족 관계
항목 내용 부 불명 모 불명 남편 충선왕 장남 광릉군 감 (? ~ 1310년)[17] 차남 충숙왕 (1294년 ~ 1339년, 재위 : 1313년 ~ 1330년, 1332년 ~ 1339년)[17] - 고려의 제27대 왕
참조
[2]
서적
高麗王家とモンゴル皇族の通婚関係に閲する覚書
http://repository.ku[...]
Kyoto University Press
[3]
서적
고려사 (高丽史)
http://db.history.go[...]
1451-01-01
[4]
서적
고려사 (高丽史)
http://db.history.go[...]
1451-01-01
[5]
문서
본국에 안치(安置)하면 나중에 화(禍)가 없을 것입니다 (安庴本國, 無後禍)
[6]
서적
고려사 (高丽史)
http://db.history.go[...]
1451-01-01
[7]
서적
[8]
문서
《고려사》 권34 〈세가〉권34 - 충숙왕 3년 7월 무오(戊午) 기사
[9]
웹사이트
〈의비〉항목
https://terms.naver.[...]
[10]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2000-03-25
[11]
문서
《고려사》권34〈세가〉권34 - 충숙왕 3년 7월 - 의비가 원에서 죽다
[12]
문서
《고려사》권34〈세가〉권34 - 충숙왕 3년 8월 - 의비의 영구가 원에서 오다
[13]
문서
《고려사》권34〈세가〉권34 - 충숙왕 3년 8월 - 의비를 장사지내다
[14]
웹사이트
〈연릉〉항목
https://terms.naver.[...]
[15]
문서
《고려사》권35〈세가〉권35 - 충숙왕 8년 5월 - 의비의 영정을 묘련사로 옮기다
[16]
문서
《고려사》권89〈열전〉권2 - 의비 야속진
[17]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왕감〉항목
http://people.aks.ac[...]
2012-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