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감은 고려 충선왕의 서장자로, 충숙왕의 형이었다. 일찍이 광릉군에 봉해졌다가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충선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왕위를 물려주려다 실패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한 오해로 인해 사형당했다. 1310년, 충선왕은 왕감과 그를 따르던 김중의 등을 죽였으며, 같은 해 9월에 왕감을 반장하고 백관이 소복하고 장송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왕세자 - 정성군
    정성군은 고려 공양왕의 맏아들로, 1389년 세자에 책봉되었으나, 1392년 공양왕 폐위 후 폐세자가 되어 유배되었고, 1394년 부왕과 함께 사사되었다.
  • 1310년 사망 - 주시 내친왕 (1287년)
    고레이제이 천황 시대에 태어난 주시 내친왕은 1293년 내친왕으로 책봉, 1309년 준삼궁이 되어 사쿠헤이몬인으로 불렸으며 24세에 사망, 그녀의 와카는 칙찬와카집에 수록되어 높은 평가를 받았다.
  • 한국계 몽골인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한국계 몽골인 -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
    원 순제와 기황후 사이에서 태어난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은 고려 출신 어머니의 배경으로 몽골 귀족의 반대에 부딪히며 권력 투쟁을 겪었고, 명나라의 대도 함락 후 북원을 건국하여 저항했으나 실패하고 카라코룸에서 사망했다.
왕감
기본 정보
이름왕감
작위광릉군
감 (鑑)
의충 (宜忠)
신분
직업고려의 왕족
봉호영가군 승선사 (永嘉軍承宣使)
왕조
생애
출생고려
사망1310년 5월, 대원 제국
매장지고려
가족 관계
아버지충선왕
어머니의비 야속진
관직
책봉세자 (世子, 1308년경 ~ 1310년 5월)
이전 직위왕원 세자
다음 직위왕정 세자

2. 생애

충선왕의 서장자이자 의비의 아들이며, 충숙왕의 동복 친형이었다. 광릉군(廣陵君)에 봉해졌다가 세자(世子)로 책봉되었다. 충선왕 복위 2년 충선왕원나라에 있으면서 왕위를 세자에게 물려주려 하였으나 신하들의 만류로 중단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참소와 오해가 생겨 세자 감은 부왕에게 사형당했다.[1]

1310년 5월 충선왕이 원에 있을 때 세자 감과 그를 따르던 김중의(金重義) 등을 죽이고, 같은 해 9월 성 남쪽에 반장(返葬: 객지에서 죽은 사람을 고향으로 옮겨 장사지냄)하니 백관(百官)이 소복을 입고 장송(葬送)하였다.[1]

2. 1. 초기 생애와 세자 책봉

충선왕의 서장자로 어머니는 몽골 출신 의비이고, 충숙왕의 동복 친형이었다. 일찍이 광릉군(廣陵君)이 되었다가 뒤에 세자(世子)로 책봉되었다.[1] 충선왕 복위 2년(1310년) 충선왕원나라에 있으면서 왕위를 세자에게 전하고자 하다가 따르는 신하들의 만류로 중단하였다.[1]

2. 2. 왕위 계승 시도와 좌절

충선왕의 서장자로 어머니는 몽골 출신 의비이고 충숙왕의 동복 친형이었다. 일찍이 광릉군(廣陵君)이 되었다가 뒤에 세자(世子)로 책봉되었다. 충선왕 복위 2년 충선왕원나라에 있으면서 왕위를 세자에게 전하고자 하다가 따르는 신하들의 만류로 중단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생긴 참소와 오해로 말미암아 세자 감은 부왕에 의하여 사형에 처하게 된다.

1310년 5월 충선왕이 원에 있을 때 세자 감과 그를 따르던 종자 김중의(金重義) 등을 죽이고[1] 같은 해 9월에 성의 남쪽에 객지에서 죽은 사람을 그가 살던 곳이나 그의 고향으로 옮겨서 장사를 지내는 것을 뜻하는 반장(返葬)을 하니 백관(百官)이 소복하고 이를 장송(葬送)하였다.[1]

2. 3. 죽음과 장례

1310년 5월 충선왕원나라에 있을 때 세자 왕감과 그를 따르던 종자 김중의(金重義) 등을 죽였다. 같은 해 9월에 성의 남쪽에 반장(返葬: 객지에서 죽은 사람을 그가 살던 곳이나 그의 고향으로 옮겨서 장사를 지냄)하니, 백관(百官)이 소복하고 이를 장송(葬送)하였다.

참조

[1] 서적 韓國人名字號辭典 https://books.google[...] Qiming Cultural Society 1988-01-01
[2]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8-01
[3] 서적 https://books.google[...] Woongjin Knowledge House 2004-01-01
[4] 백과사전 왕감(王鑑)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