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천도룡기 (1986년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6년 홍콩에서 제작된 드라마 《의천도룡기》는 김용의 동명 무협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이 드라마는 장무기를 비롯한 조민, 주지약 등 주요 등장인물들의 이야기와 함께 다양한 인물들의 관계를 그린다. 대한민국에서는 1997년 KBS 2TV를 통해 방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용 원작의 텔레비전 드라마 - 소오강호 (2001년 드라마)
소오강호 (2001년 드라마)는 김용의 소설을 원작으로, 2001년에 중국에서 제작된 무협 드라마이며, 리야펑, 허칭 등이 출연하고, 장기중이 프로듀서를 맡았으며, 원작 소설을 각색하여 제작되어 논란이 있었지만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 김용 원작의 텔레비전 드라마 - 천룡팔부 (2003년 드라마)
2003년 제작된 드라마 《천룡팔부》는 김용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장기중이 제작 총 지휘를 맡았고, 후쥔, 린즈잉, 류이페이 등이 출연하였다. - 홍콩의 텔레비전 드라마 - 궁심계
궁심계는 당나라 후궁 내 암투를 그린 홍콩 TVB 드라마로, 유삼호와 요금령을 중심으로 궁궐 여성들의 권력 다툼, 우정과 배신, 사랑, 그리고 주요 인물들의 엇갈리는 운명을 다룬다. - 홍콩의 텔레비전 드라마 - 정무문 (드라마)
정무문은 1911년 신해혁명 이후 혼란한 중국을 배경으로 곽원갑의 제자 진진이 흑룡회의 음모에 맞서 복수하고 항일 투쟁을 벌이는 무협 드라마이다. - 김용 - 천룡팔부 (소설)
천룡팔부는 송나라 시대를 배경으로 단예, 소봉, 허죽 세 주인공의 삶과 민족 간 갈등, 무협 세계 군상들을 그린 김용의 무협 소설로, 불교 용어를 차용한 제목처럼 인간의 숙명과 무상함을 다루며 다양한 영상 매체로도 제작되었다. - 김용 - 소오강호
소오강호는 김용의 무협 소설로, 무림의 패권을 둘러싼 갈등과 사랑을 그리며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의천도룡기 (1986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倚天屠龍記 |
로마자 표기 | Yi Tian Tu Long Ji |
광둥어 발음 | Ji2 Tin1 Tou4 Lung4 Gei3 |
다른 이름 | The Heaven Sword & the Dragon Sabre (영어 제목) |
장르 | 무협 |
원작 | 루이 차의 《의천도룡기》 |
각본 | 관찬박 뤄한화 덩웨이링 리옌핑 류바이농 |
연출 | 두기봉 펑바이위안 진목승 우쥔청 넬슨 청 황진톈 |
출연 | 양조위 사시만 려미한 소미기 정유령 임달화 증강 |
오프닝 테마 | Kim Bun Sui Tsoi (劍伴誰在) |
오프닝 테마 가수 | 양조위, 매염방 |
테마 음악 작곡가 | Michael Lai |
국가 | 홍콩 |
언어 | 광둥어 |
에피소드 수 | 40 |
관련 작품 | 《신조협려》 (1983–1984) |
제작 | |
제작사 | TVB |
프로듀서 | 왕톈린 |
편집자 | 담링 |
방송 | |
방송 채널 | TVB Jade |
방송 기간 | 1986년 11월 3일 – 1986년 12월 30일 |
방송 시간 | 회당 42분 |
2. 줄거리
원작 소설 《의천도룡기》의 에피소드를 기반으로 한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3. 2. 기타 인물
양조위 (장무기), 여미한 (조민), 등추문 (주지약) 외 주요 등장인물 외, 원작 소설 및 드라마에 등장하는 기타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4. 한국판 성우진 (KBS)
- 김일 - 장무기(양조위)
- 정미숙 - 주지약(등취문)
- 여미한 - 조민
- 이호인 - 송원교
- 정기항 - 장삼풍(포방)
- 한호웅 - 청서
- 김은아 - 소초(소미기)
- 임수아 - 멸절사대(이향금)
- 온영삼 - 성곤(유강)
- 유동현 - 장송계
- 김준 - 은이정
- 김민석 - 유연주
- 유해무 - 포대화상
- 오한위 - 양불회
- 웅위만 - 기효부
- 임달화 - 장취산
- 정유령 - 은소소
- 진안영 - 은리
- 증강 - 사손
- 황선 - 유양왕
- 요계지 - 유대암
- 전웅 - 타사
- 서금강 - 장중개
- 이수기 - 막성곡
- 대지위 - 은리정
- 용천생 - 유련주
- 담병문 - 주장령
- 유단 - 하대충
- 왕만의 - 정민군
- 왕만재 - 송원교
- 하수영 - 송청서
- 진황 - 주전
- 맥자운 - 랑흔
- 증위명 - 팽영옥
- 장뢰 - 은야왕
- 임천 - 은천정
- 허소웅 - 위일소
- 량홍화 - 상우춘
- 정범생 - 육장학
- 주강 - 하불용
- 도대위 - 범요
- 호애미 - 금화파파
- 하계림 - 진우량
- 맥호위 - 주원장
- 사신영 - 황상의 여자
- 풍국 - 왕보보
- 관해산 - 오청우
- 인백 - 왕남곡
- 유벽의 - 주구진
- 증위만 - 모청영
- 증화선 - 곽상 (특별 출연)
- 락응위 - 도대금
- 유소명
- 고웅 - 각원 (특별 출연)
5. 방영
5. 1. 해외 방영
대한민국에서는 1997년 2월 24일부터 KBS 2TV를 통해 매주 금요일 밤 9시 45분에 방송되었으며, 3월 6일부터 목요일 밤 11시로 시간대가 변경되었다.[1] 다소 유치한 내용과 화면으로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1]6. 평가
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