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천도룡기 (1986년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6년 홍콩에서 제작된 드라마 《의천도룡기》는 김용의 동명 무협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이 드라마는 장무기를 비롯한 조민, 주지약 등 주요 등장인물들의 이야기와 함께 다양한 인물들의 관계를 그린다. 대한민국에서는 1997년 KBS 2TV를 통해 방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용 원작의 텔레비전 드라마 - 소오강호 (2001년 드라마)
    소오강호 (2001년 드라마)는 김용의 소설을 원작으로, 2001년에 중국에서 제작된 무협 드라마이며, 리야펑, 허칭 등이 출연하고, 장기중이 프로듀서를 맡았으며, 원작 소설을 각색하여 제작되어 논란이 있었지만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 김용 원작의 텔레비전 드라마 - 천룡팔부 (2003년 드라마)
    2003년 제작된 드라마 《천룡팔부》는 김용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장기중이 제작 총 지휘를 맡았고, 후쥔, 린즈잉, 류이페이 등이 출연하였다.
  • 홍콩의 텔레비전 드라마 - 궁심계
    궁심계는 당나라 후궁 내 암투를 그린 홍콩 TVB 드라마로, 유삼호와 요금령을 중심으로 궁궐 여성들의 권력 다툼, 우정과 배신, 사랑, 그리고 주요 인물들의 엇갈리는 운명을 다룬다.
  • 홍콩의 텔레비전 드라마 - 정무문 (드라마)
    정무문은 1911년 신해혁명 이후 혼란한 중국을 배경으로 곽원갑의 제자 진진이 흑룡회의 음모에 맞서 복수하고 항일 투쟁을 벌이는 무협 드라마이다.
  • 김용 - 천룡팔부 (소설)
    천룡팔부는 송나라 시대를 배경으로 단예, 소봉, 허죽 세 주인공의 삶과 민족 간 갈등, 무협 세계 군상들을 그린 김용의 무협 소설로, 불교 용어를 차용한 제목처럼 인간의 숙명과 무상함을 다루며 다양한 영상 매체로도 제작되었다.
  • 김용 - 소오강호
    소오강호는 김용의 무협 소설로, 무림의 패권을 둘러싼 갈등과 사랑을 그리며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의천도룡기 (1986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홍콩 VCD 커버 아트
홍콩 VCD 커버 아트
원제倚天屠龍記
로마자 표기Yi Tian Tu Long Ji
광둥어 발음Ji2 Tin1 Tou4 Lung4 Gei3
다른 이름The Heaven Sword & the Dragon Sabre (영어 제목)
장르무협
원작루이 차의 《의천도룡기
각본관찬박
뤄한화
덩웨이링
리옌핑
류바이농
연출두기봉
펑바이위안
진목승
우쥔청
넬슨 청
황진톈
출연양조위
사시만
려미한
소미기
정유령
임달화
증강
오프닝 테마Kim Bun Sui Tsoi (劍伴誰在)
오프닝 테마 가수양조위, 매염방
테마 음악 작곡가Michael Lai
국가홍콩
언어광둥어
에피소드 수40
관련 작품《신조협려》 (1983–1984)
제작
제작사TVB
프로듀서왕톈린
편집자담링
방송
방송 채널TVB Jade
방송 기간1986년 11월 3일 – 1986년 12월 30일
방송 시간회당 42분

2. 줄거리

원작 소설 《의천도룡기》의 에피소드를 기반으로 한다.

3. 등장인물


  • 양조위(梁朝偉) - 장무기 역
  • 등취문(鄧萃雯) - 주지약 역
  • 여미한(黎美嫺) - 조민 역
  • 소미기(邵美琪) - 소소 역
  • 정유령(鄭裕玲) - 은소소 역
  • 임달화(任達華) - 장취산 역
  • 증강(曾江) - 금모사왕 사손 역
  • 포방(鮑方) - 장삼풍
  • 황윤재(黃允材) - 송원교 역
  • 여한지(黎漢持) - 양소 역
  • 도대우(陶大宇) - 범요 역
  • 남천(藍天) - 은천정 역
  • 허소웅(許紹雄) - 위일소 역
  • 장뢰(張雷) - 은야왕 역
  • 오천미(吳茜薇) - 양불회 역
  • 관해산(關海山) - 호청우 역
  • 증화청(曾華倩) - 곽양 역
  • 이향금(李香琴) - 멸절사태 역
  • 유강(劉江) - 성곤 (원진) 역
  • 고웅(高雄) - 각원 역
  • 유단(劉丹) - 하태충 역
  • 황신(黃新) - 여양왕 역
  • 여요상(黎耀祥) - 합장군 역
  • 진영준(陳榮峻) - 한천엽 역
  • 허귀림(何貴林) - 진우량
  • 사녕(謝寧) - 황의여자 역


3. 1. 주요 인물


  • 장무기(張無忌) (배우: 양조위, 한국판 성우: 김일): 본작의 주인공.
  • 조민(趙敏) (배우: 여미한(黎美嫺)): 원나라의 군주. 총명하고 지략이 뛰어나다.
  • 주지약(周芷若) (배우: 등취문(鄧萃雯), 한국판 성우: 정미숙): 아미파의 제자.
  • 소소(小昭) (배우: 소미기(邵美琪), 한국판 성우: 김은아): 자삼용왕 대의사의 딸.
  • 은소소(殷素素) (배우: 정유령(鄭裕玲)): 천응교 교주 은천정의 딸이자 장취산의 아내, 장무기의 어머니.
  • 장취산(張翠山) (배우: 임달화(任達華)): 무당파 장삼풍의 제자, 장무기의 아버지.
  • 사손(謝遜) (배우: 증강(曾江)): 장무기의 의부(義父).
  • 장삼풍(張三豐) (배우: 포방(鮑方), 한국판 성우: 정기항): 무당파의 창시자.
  • 송원교(宋遠橋) (배우: 황윤재(黃允材), 한국판 성우: 이호인): 무당파 장삼풍의 제자.
  • 양소(楊逍) (배우: 여한지(黎漢持)): 광명좌사.
  • 범요(范遙) (배우: 도대우(陶大宇)): 광명우사.
  • 은천정(殷天正) (배우: 남천(藍天)): 백미응왕.
  • 위일소(韋一笑) (배우: 허소웅(許紹雄)): 청익복왕.
  • 은야왕(殷野王) (배우: 장뢰(張雷)): 은천정의 아들.
  • 양불회(楊不悔) (배우: 오천미(吳茜薇)): 양소와 기효부의 딸.
  • 호청우(胡青牛) (배우: 관해산(關海山)): 나비곡의선.
  • 곽양(郭襄) (배우: 증화청(曾華倩)): 곽정과 황용의 차녀, 아미파의 창시자 (특별 출연).
  • 멸절사태(滅絕師太) (배우: 이향금(李香琴), 한국판 성우: 임수아): 아미파의 장문인.
  • 성곤(成崑) (배우: 유강(劉江), 한국판 성우: 온영삼): 원진(圓眞)이라고도 불린다.
  • 각원(覺遠) (배우: 고웅(高雄)): (특별 출연).
  • 하태충(何太沖) (배우: 유단(劉丹)): 곤륜파 장문인.
  • 여양왕(汝陽王) (배우: 황신(黃新)): 조민의 부친.
  • 합장군(哈將軍) (배우: 여요상(黎耀祥))
  • 한천엽(韓千葉) (배우: 진영준(陳榮峻))
  • 진우량(陳友諒) (배우: 허귀림(何貴林))
  • 황의여자(黃衫女子) (배우: 사녕(謝寧)): 양과와 소용녀의 후예.

3. 2. 기타 인물

양조위 (장무기), 여미한 (조민), 등추문 (주지약) 외 주요 등장인물 외, 원작 소설 및 드라마에 등장하는 기타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오한위 (양불회)
  • 웅위만 (기효부)
  • 소미기 (소소)
  • 임달화 (장취산)
  • 정유령 (은소소)
  • 진안영 (은리)
  • 증강 (사손)
  • 황선 (유양왕)
  • 유강 (성곤)
  • 요계지 (유대암)
  • 전웅 (
  • 서금강 (장중개)
  • 이수기 (막성곡)
  • 대지위 (은리정)
  • 포방 (장삼봉)
  • 용천생 (유련주)
  • 담병문 (주장령)
  • 유단 (하대충)
  • 왕만의 (정민군)
  • 이향금 (멸절사태)
  • 왕만재 (송원교)
  • 하수영 (송청서)
  • 진황 (주전)
  • 맥자운 (랑흔)
  • 증위명 (팽영옥)
  • 장뢰 (은야왕)
  • 임천 (은천정)
  • 허소웅 (위일소)
  • 량홍화 (상우춘)
  • 정범생 (육장학)
  • 주강 (하불용)
  • 도대위 (범요)
  • 호애미 (금화파파)
  • 하계림 (진우량)
  • 맥호위 (주원장)
  • 사신영 (황상의 여자)
  • 풍국 (왕보보)
  • 관해산 (오청우)
  • 인백 (왕남곡)
  • 유벽의 (주구진)
  • 증위만 (모청영)
  • 증화선 (곽상) (특별 출연)
  • 락응위 (도대금)
  • 유소명
  • 고웅 (각원) (특별 출연)

4. 한국판 성우진 (KBS)


  • 김일 - 장무기(양조위)
  • 정미숙 - 주지약(등취문)
  • 여미한 - 조민
  • 이호인 - 송원교
  • 정기항 - 장삼풍(포방)
  • 한호웅 - 청서
  • 김은아 - 소초(소미기)
  • 임수아 - 멸절사대(이향금)
  • 온영삼 - 성곤(유강)
  • 유동현 - 장송계
  • 김준 - 은이정
  • 김민석 - 유연주
  • 유해무 - 포대화상
  • 오한위 - 양불회
  • 웅위만 - 기효부
  • 임달화 - 장취산
  • 정유령 - 은소소
  • 진안영 - 은리
  • 증강 - 사손
  • 황선 - 유양왕
  • 요계지 - 유대암
  • 전웅 - 타사
  • 서금강 - 장중개
  • 이수기 - 막성곡
  • 대지위 - 은리정
  • 용천생 - 유련주
  • 담병문 - 주장령
  • 유단 - 하대충
  • 왕만의 - 정민군
  • 왕만재 - 송원교
  • 하수영 - 송청서
  • 진황 - 주전
  • 맥자운 - 랑흔
  • 증위명 - 팽영옥
  • 장뢰 - 은야왕
  • 임천 - 은천정
  • 허소웅 - 위일소
  • 량홍화 - 상우춘
  • 정범생 - 육장학
  • 주강 - 하불용
  • 도대위 - 범요
  • 호애미 - 금화파파
  • 하계림 - 진우량
  • 맥호위 - 주원장
  • 사신영 - 황상의 여자
  • 풍국 - 왕보보
  • 관해산 - 오청우
  • 인백 - 왕남곡
  • 유벽의 - 주구진
  • 증위만 - 모청영
  • 증화선 - 곽상 (특별 출연)
  • 락응위 - 도대금
  • 유소명
  • 고웅 - 각원 (특별 출연)

5. 방영

5. 1. 해외 방영

대한민국에서는 1997년 2월 24일부터 KBS 2TV를 통해 매주 금요일 밤 9시 45분에 방송되었으며, 3월 6일부터 목요일 밤 11시로 시간대가 변경되었다.[1] 다소 유치한 내용과 화면으로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1]

6. 평가

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