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금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금옥은 일본 오사카 출신으로, 킨조 여자 전문학교(현 킨조가쿠인 대학교)를 졸업했다. 시집 『한 번 사라진 것은』으로 2004년 아카이토리 문학상과 미츠코시 사치오 소년시상을 수상했으며, 시지 '바오바브'와 '미미즈쿠'의 동인으로 활동했다. 또한, 도쿄도 나카노구에 거주하며 조선 민화를 재화한 작품을 다수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일 한국인 작가 - 고사명
일본의 작가이자 사상가인 고사명은 아동문학 작품으로 상을 받았으며,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생명 존중 사상을 바탕으로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펼치고 『탄니쇼』 연구와 현대적 해석을 통해 독자적인 사상을 정립하고 사회에 전파하는 데 힘썼다. - 재일 한국인 작가 - 구수연
구수연은 일본에서 영화 감독, 소설가, 작사가, CM 디렉터, 배우, 성우로 활동하는 재일 한국인 2세이다. - 대한민국의 아동문학 작가 - 이원수 (작가)
이원수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1926년 동시 〈고향의 봄〉으로 등단하여 동요, 동시, 동화, 소년소설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한국아동문학가협회 초대 회장을 역임하며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친일 작품으로 논란이 있다. - 대한민국의 아동문학 작가 - 마해송
마해송은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이자 언론인으로, 방정환 등과 색동회를 조직하여 아동문학 운동을 전개했으며, 광복 후에는 작품을 통해 사회상을 비판하는 등 대한민국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20세기 한국 사람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20세기 한국 사람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이금옥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작가 정보 | |
이름 | 이금옥 |
원어 이름 | 李錦玉 |
출생일 | 1929년 1월 30일 |
출생지 | 일본 오사카 |
사망일 | 2019년 7월 2일 |
직업 | 아동 문학 작가 |
국적 | 대한민국 |
장르 | 아동 문학 |
수상 | 제35회 붉은 새 문학상 제9회 미쓰코시 사토시오 소년상 |
2. 생애
=== 유년 시절과 교육 ===
이금옥은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났다.[2] 킨조 여자 전문학교(현 킨조가쿠인 대학교)를 졸업했다.[2]
=== 문학 활동 ===
오사카 출생으로, 킨조 여자 전문학교(현 킨조가쿠인 대학교)를 졸업했다. 2004년 시집 『한 번 사라진 것은』으로 제35회 아카이토리 문학상과 제9회 미츠코시 사치오 소년시상을 수상했다.[2] 시지(詩誌) '바오바브'와 '미미즈쿠'의 동인으로 활동했다.[2] 도쿄도 나카노구에 거주하며, 조선 민화를 재화(再話)한 작품을 다수 발표했다.[2]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이금옥은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났다.[2] 킨조 여자 전문학교(현 킨조가쿠인 대학교)를 졸업했다.[2]2. 2. 문학 활동
오사카 출생으로, 킨조 여자 전문학교(현 킨조가쿠인 대학교)를 졸업했다. 2004년 시집 『한 번 사라진 것은』으로 제35회 아카이토리 문학상과 제9회 미츠코시 사치오 소년시상을 수상했다.[2] 시지(詩誌) '바오바브'와 '미미즈쿠'의 동인으로 활동했다.[2] 도쿄도 나카노구에 거주하며, 조선 민화를 재화(再話)한 작품을 다수 발표했다.[2]3. 작품 세계
3. 1. 주요 작품 경향
4. 저서
- 『산넨 고개 한국의 무시무시함』일본어 박민기 그림, 이와사키 서점 1981, 이후 포문고
- 『요와무시고우케쓰 한국의 이야기 1』일본어 박민기 그림, 태평 출판사 1981
- 『 울부짖는 벼 담배 한국의 묵묵함 』일본어 박민기 그림, 이와사키 서점 1985
- 『사과의 오쿠리모노』일본어 박민기 그림, 한국청년사 1987 한국명작 그림책 시리즈
- 『이제 사라진 것은 이금옥시집』일본어 테라 잉크 2004 아이시의 포켓
- '이금옥·한귀의 옛날 이야기'일본어 김정애 그림, 소년사진신문사 2009
- * 「귀신의 케비는 낯설자」일본어
- * 「먹어보자의 호랑이와 할머니」일본어
- * 「씹는 빨갛게 꽃」일본어
- 『삼 년 고개 - 조선 옛날 이야기』일본어 박민이 그림 이와사키 서점 1981, 이후 포아 문고
- 『겁쟁이 호걸 - 조선의 옛날 이야기 1』일본어 박민이 그림 태평 출판사 1981
- 『줄지 않는 벼 단 - 조선 옛날 이야기』일본어 박민이 그림 이와사키 서점 1985
- 『사과의 선물』일본어 박민이 그림 조선청년사 1987, 조선 명작 그림책 시리즈
- 『한 번 사라진 것은 - 이금옥 시집』일본어 테라 잉크 2004, 어린이 시의 포켓
- 『이금옥·조선의 옛날 이야기』일본어 김정애 그림 소년사진신문사 2009
:1 "도깨비 토케비는 건망증쟁이"
:2 "식탐쟁이 호랑이와 할머니"
:3 "하느님께 으름꽃"
4. 1. 시집
이금옥의 시집은 다음과 같다.- 『산넨 고개 한국의 무시무시함』일본어 박민기 그림, 이와사키 서점 1981, 이후 포문고
- 『요와무시고우케쓰 한국의 이야기 1』일본어 박민기 그림, 태평 출판사 1981
- 『 울부짖는 벼 담배 한국의 묵묵함 』일본어 박민기 그림, 이와사키 서점 1985
- 『사과의 오쿠리모노』일본어 박민기 그림, 한국청년사 1987 한국명작 그림책 시리즈
- 『이제 사라진 것은 이금옥시집』일본어 테라 잉크 2004 아이시의 포켓
- '이금옥·한귀의 옛날 이야기'일본어 김정애 그림, 소년사진신문사 2009
- 「귀신의 케비는 낯설자」일본어
- 「먹어보자의 호랑이와 할머니」일본어
- 「씹는 빨갛게 꽃」일본어
- 『삼 년 고개 - 조선 옛날 이야기』일본어 박민이 그림 이와사키 서점 1981, 이후 포아 문고
- 『겁쟁이 호걸 - 조선의 옛날 이야기 1』일본어 박민이 그림 태평 출판사 1981
- 『줄지 않는 벼 단 - 조선 옛날 이야기』일본어 박민이 그림 이와사키 서점 1985
- 『사과의 선물』일본어 박민이 그림 조선청년사 1987, 조선 명작 그림책 시리즈
- 『한 번 사라진 것은 - 이금옥 시집』일본어 테라 잉크 2004, 어린이 시의 포켓
- 『이금옥·조선의 옛날 이야기』일본어 김정애 그림 소년사진신문사 2009
:1 "도깨비 토케비는 건망증쟁이"
:2 "식탐쟁이 호랑이와 할머니"
:3 "하느님께 으름꽃"
4. 2. 동화
이금옥은 여러 동화를 저술하였다. 1981년에는 박민이 그림의 『산넨 고개 한국의 무시무시함』을 이와사키 서점에서 출판하였고, 이후 포아 문고로도 출간되었다. 같은 해, 『요와무시고우케쓰 한국의 이야기 1』을 태평 출판사에서 출간하였다. 1985년에는 『 울부짖는 벼 담배 한국의 묵묵함 』을 이와사키 서점에서 출판하였다. 1987년에는 한국청년사에서 한국명작 그림책 시리즈로 『사과의 오쿠리모노』를 출판하였다. 2004년에는 테라인쿠에서 아이시의 포켓 시리즈로 『이제 사라진 것은 이금옥시집』을 출간했다. 2009년에는 김정애 그림의 '이금옥·한귀의 옛날 이야기'가 소년 사진신문사에서 출간되었다.5. 수상 경력
참조
[1]
뉴스
「赤い鳥文学賞」を受賞した詩人/児童文学者・李錦玉さん死去
http://chosonsinbo.c[...]
朝鮮新報
2019-08-01
[2]
서적
現代日本人名録
2002
[3]
뉴스
「赤い鳥文学賞」を受賞した詩人/児童文学者・李錦玉さん死去
http://chosonsinbo.c[...]
朝鮮新報
2019-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