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이 (항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마이(Imai)는 남십자자리의 델타별(δ Crucis)의 고유 명칭으로,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분광형 B2 IV의 준거성이며, 청백색 빛을 뿜어내고,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의 후보로 여겨진다. 이 별은 전갈자리-센타우루스자리 성협의 LCC 구성원이며, 나이는 1600만 ~ 2000만 년 사이로 추정된다.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의 국기에 남십자성의 일부로, 브라질 국기에서는 미나스제라이스주를 상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십자자리 - 가크룩스
남십자자리에서 가장 밝은 붉은색 거성인 가크룩스는 준규칙 변광성으로, 여러 국가의 국기에 남십자자리의 별로서 나타난다. - 남십자자리 - 아크룩스
아크룩스는 남십자자리의 알파별로, 대한민국에서는 관측할 수 없으며, 겉보기 등급 1.40의 아크룩스 A와 2.09의 아크룩스 B로 이루어진 쌍성이다. -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 - 스피카
스피카는 지구에서 약 25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α별로, "처녀의 밀 이삭"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분광쌍성이자 회전 타원체 변광성으로 두 개의 청색거성으로 이루어져 빠른 자전과 강한 상호 중력으로 인해 특이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밝은 쌍성계이다. -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 - 미르잠
미르잠은 큰개자리에서 네 번째로 밝은 큰개자리 베타별의 고유 명칭으로, 약 6시간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이자 태양 질량의 약 12~13배에 달하는 청백색 거성이며, 국부 거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미르잠 터널과 관련되어 있으며, 브라질 국기에서 아마파 주를 상징하고 미국 해군 화물선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 B형 준거성 - 스피카
스피카는 지구에서 약 25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α별로, "처녀의 밀 이삭"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분광쌍성이자 회전 타원체 변광성으로 두 개의 청색거성으로 이루어져 빠른 자전과 강한 상호 중력으로 인해 특이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밝은 쌍성계이다. - B형 준거성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는 겉보기 등급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분출 변광성이자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변광성의 대표 별로, 빠른 회전 속도와 적도 팽창, 뜨거운 가스 원반을 특징으로 하며 X선 방출 메커니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분광 쌍성을 포함하는 다중성계이며 'Navi'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마이 (항성)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마이 |
별자리 | 남십자자리 |
바이어 명명법 | 남십자자리 델타 (δ Cru) |
밝은별 목록 | HR 4656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106490 |
스미소니언 천문대 목록 | SAO 239791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59747 |
소천성표 | CD-58 4466 |
다른 이름 | FK5 455 |
로마자 이름 | Imai |
다른 이름 (영어) | Delta Crucis |
관측 정보 | |
시대 | J2000 |
겉보기 등급 | 2.79 |
특징 | |
분광형 | B2 IV |
B-V 색 지수 | -0.235 |
U-B 색 지수 | -0.921 |
변광성 분류 | β Cep |
측정값 | |
시선 속도 | +22.2 km/s |
적경 고유 운동 | -35.81 mas/yr |
적위 고유 운동 | -10.36 mas/yr |
연주 시차 | 9.45 ± 0.15 mas |
절대 등급 | -3.2 |
물리적 특징 | |
질량 | 8.9 ± 0.1 태양질량 |
반지름 | 8.0 태양반경 |
표면 중력 | 3.88 |
광도 | 10,000 태양광도 |
표면 온도 | 22,570 ± 1,840 켈빈 |
자전 속도 | 210 km/s |
나이 | 18.1 ± 3.2 백만 년 |
기타 정보 | |
적방 편이 | 0.000074 |
2. 명칭
'''이마이'''(Imai)는 에티오피아의 무르시족이 남십자자리 델타별을 부르는 명칭이다.[2] 무르시족은 이 별이 저녁 황혼녘 서쪽 하늘에서 보이지 않게 될 즈음(8월 말) 오모강이 범람하여 강변의 이마이 ''imai'' 풀을 눕게 한 뒤 물이 빠진다고 믿었다.[2] 2016년 8월 10일 국제천문연맹 산하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은 남십자자리 델타에 무르시족의 고유 명칭 '''이마이'''를 정식으로 부여하였다.[3][4]
이마이의 분광형은 B2 IV로 주계열에서 이탈하여 적색거성으로 진화하는 중간 과정에 있으며 먼 미래에 백색왜성으로 생명을 마칠 것이다. 현재 이마이는 외포층의 유효온도 22,570,000에서 태양 광도의 약 1만 배에 이르는 에너지를 복사하여 청백색 빛을 뿜고 있다. 이마이는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의 유력 후보이다. 자전 속도는 매우 빨라 초당 210 킬로미터에 이른다.
중화권에서 이마이는 아크룩스, 베크룩스, 가크룩스와 함께 십자가(十字架)를 구성하며, 이마이 하나만을 일컫는 명칭은 십자가4(十字架四)이다.[5]
[1]
웹사이트
Crux Australis: o Cruzeiro do Sul
http://www.asterdomu[...]
Artigos: Planetario Movel Inflavel AsterDomus
2013-12-06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은 '''남십자자리 델타''' ''Delta Crucis''이다. 포르투갈어로는 팔리다 ''Pálida'' (희미한 것)라고도 불린다.[1]
3. 특성
이마이는 전갈자리-센타우루스자리 성협(무거운 항성들로 구성된 OB 성협으로 이들은 같은 곳에서 태어난 뒤 우주 공간을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면서 이동 중이다.) 내 센타우루스자리-남십자자리 아래쪽(LCC) 구성원이다. 이 성협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OB 성협으로 LCC 구성원인 이마이의 나이는 1600만 ~ 2000만 년 사이이다.
4. 문화
오스트레일리아 중앙부 허만스버그 인근에 거주하는 아란다, 루리차족은 이마이를 포함하여 가크룩스-센타우루스자리 감마-센타우루스자리 델타 넷이 그리는 사각형을 이리트징가 ''Iritjinga'' (수리매)로 부른다.[6]
이마이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국기에 남십자성의 일부로 등장하며, 브라질의 국기에서는 미나스제라이스주를 상징한다.[7]
참조
[2]
보도자료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www.pas.roche[...]
IAU.org
[3]
웹인용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8-09-17
[4]
웹인용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8-09-17
[5]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29 日
http://aeea.nmns.edu[...]
2011-05-22
[6]
서적
Explorers of the Southern Sky: A History of Australian Astronom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웹인용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https://flagspot.net[...]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