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모 (당 현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모(李瑁)는 당 현종과 무혜비의 아들로, 어릴 적 이름은 이청(李淸)이었다. 725년 수왕에 봉해졌으며, 733년 13세의 나이로 양귀비와 결혼했으나, 이후 현종이 양귀비를 후궁으로 삼으면서 양귀비를 빼앗기고, 황궁에서 쫓겨나 불교 승려가 되었다. 안사의 난 때 현종을 따라 촉으로 피난했으며, 당 대종 치세에 태부로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 현종의 황자 - 당 숙종
    당 숙종은 안사의 난으로 혼란한 시기에 즉위하여 당나라 재건을 위해 노력했으나 환관 정치 심화와 왕권 약화라는 한계에 직면한 당나라의 제9대 황제이다.
  • 775년 사망 - 김대성 (건축가)
    김대성은 신라 시대에 불국사와 석굴암 창건을 주도한 인물로, 재상의 아들로 태어나 이찬 벼슬을 지냈으며 부모의 장수와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며 불국사 등을 창건했고, 그의 업적은 신라 불교 문화와 예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775년 사망 - 기비노 마키비
    기비노 마키비는 나라 시대의 학자이자 정치가, 외교관으로, 견당사로 당나라에 유학하여 다양한 학문을 섭렵한 후 쇼무 천황의 신임을 받아 요직을 역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고, 우대신까지 승진하여 태정관을 이끌었으며, 양로율령 수정 작업에도 참여한 인물이다.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이모 (당 현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모 (李瑁)
아명이청(李淸), 이창(李琩)
불교 승려 법명기용(岐溶)
작위수왕(壽王)
출생일720년 3월 ~ 725년 4월 사이
사망일775년 2월 12일 (대력 10년 정월 8일)
사망지허난 성 뤄양
아버지현종
어머니무혜비 (생모), 원헌황후 양씨 (적모)
형제당 숙종 이형(이복 형)
배우자양옥환(후에 양귀비), 위씨 (위소훈의 딸), 측실 8명 (위씨 외 7명)
자녀이애, 이비, 이점, 이항, 이걸, 딸 22명
관직
주요 경력국자좨주

2. 생애

719년당 현종과 무혜비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릴 적 이름은 이청(李淸)이었다.[4] 궁중에서는 18랑(十八郞)으로 불렸다.[4] 무혜비가 낳은 아들들이 모두 요절하여, 현종의 형인 영왕 이헌의 집에서 자랐다.[4] 이헌의 부인 원씨가 이모를 양육했으며, 원씨는 젖을 먹이며 자신의 아이라고 말했다.[4] 십수 년 동안 영왕의 저택에 있었기 때문에, 왕에 봉해지는 것이 늦어졌다.

현종은 영왕 이린 (이모의 형) 등이 어렸을 때 그들의 배알을 인정하지 않았으나, 이모가 7세 때 형들과 배알했을 때, 그 당시의 배무(군주 앞에서 기쁨을 나타내는 예)가 의례에 합당했기에 현종은 그를 뛰어난 재능을 가졌다고 인정했다고 전해진다.

725년 3월, 수왕에 봉해져 궁중에 들어갔다.[6] 727년 익주 대도독·검남절도대사를 요령(遙領)했다. 735년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를 더하고, 모(瑁)로 개명했으며, 양옥환(후의 양귀비)을 비(妃)로 맞이했다.[7]

733년 13세의 나이로 1년 연상인 양옥환과 결혼했다.[4] 736년 2월 10일,[7] 이모는 촉주(현 쓰촨성 청두) 호적 담당 관리였던 양현염(楊玄琰)의 딸 양옥환과 결혼하였다. 735년에는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를 제수받고, 이름은 모(瑁)로 개명했다. 737년 어머니 무혜비가 사망하고, 740년에는 양옥환이 현종의 눈에 띄어 출가하여 여도사가 되었다.

745년 8월 28일, 현종은 이모에게 위소훈(韋昭訓)의 셋째 딸을 새로운 아내로 하사했다.[8] 이후 양씨는 무혜비처럼 황제의 총애를 받게 되었다.

이모는 당 현종의 아들이자 총애를 받던 무혜비의 아들이었다.[4] 733년 13세의 나이로 1년 연상인 양옥환과 결혼했다.[7] 무혜비와 이림보는 이모를 황태자로 책봉하려 했으나, 737년 무혜비가 사망하고[4] 738년 이복형 이유가 고력사의 천거로 황태자에 책봉되면서 실패했다.[4]

740년, 현종이 양옥환의 미모에 반하여 그녀를 자신의 후궁으로 삼았다.[8] 이 과정에서 양옥환은 잠시 태진(太真)이라는 법명을 가진 도교 여승이 되기도 했다.[8] 이모는 양옥환을 빼앗기고, 736년에 측실로 들인 위씨(後室 韋氏)를 비롯한 측실들과 그 사이에서 낳은 서얼 자녀들과 함께 황궁에서 쫓겨났다.[8] 이후 '''기용'''(岐溶)이라는 법명으로 불교 승려로 출가하였으나, 자유 축첩을 일삼으며 5남 22녀(27남매)를 두었다.[8]

745년 8월 28일, 현종은 이모에게 위소훈(韦昭训)의 셋째 딸을 새로운 아내로 하사했다.[8] 756년, 안사의 난이 발발하자 현종을 따라 촉으로 피난했다.[4] 피난 중 진현례와 병사들이 양국충 등을 살해하자, 현종의 명으로 병사들을 위무했다.[4] 당 대종 치세인 775년 2월에 사망하여 태부(太傅)로 추증되었다.[4]

2. 1. 초기 생애

이모(李瑁)는 719년당 현종과 무혜비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릴 적 이름은 이청(李淸)이었다.[4] 궁중에서는 18랑(十八郞)으로 불렸다.[4] 무혜비가 낳은 아들들이 모두 요절하여, 현종의 형인 영왕 이헌의 집에서 자랐다.[4] 이헌의 부인 원씨가 이모를 양육했으며, 원씨는 젖을 먹이며 자신의 아이라고 말했다.[4] 십수 년 동안 영왕의 저택에 있었기 때문에, 왕에 봉해지는 것이 늦어졌다.

현종은 영왕 이린 (이모의 형) 등이 어렸을 때 그들의 배알을 인정하지 않았으나, 이모가 7세 때 형들과 배알했을 때, 그 당시의 배무(군주 앞에서 기쁨을 나타내는 예)가 의례에 합당했기에 현종은 그를 뛰어난 재능을 가졌다고 인정했다고 전해진다.

725년 3월, 수왕에 봉해져 궁중에 들어갔다.[6] 727년 익주 대도독·검남절도대사를 요령(遙領)했다. 735년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를 더하고, 모(瑁)로 개명했으며, 양옥환(후의 양귀비)을 비(妃)로 맞이했다.[7]

2. 2. 수왕 책봉과 혼인

725년 4월 27일, 이모는 수왕(壽王)에 봉해졌다.[6] 처음 이름은 이청(李清)이었고, 어머니 무혜비(武恵妃)가 713년부터 현종의 총애를 받았지만 낳은 아들은 모두 요절했다. 그래서 이모가 태어났을 때, 현종의 형인 영왕 이헌의 저택에 맡겨져 원씨(元氏)에게 길러졌다. 원씨는 젖을 먹이며 자신의 아이라고 말했다.[5] 십수 년 동안 영왕의 저택에 있었기 때문에 왕에 봉해지는 것이 늦어졌고, 궁중에서는 18랑이라고 불렸다. 725년 3월, 수왕에 봉해져 궁중에 들어갔다.

733년 13세의 나이로 1년 연상인 양옥환(楊玉環)과 결혼했다.[4] 736년 2월 10일,[7] 이모는 촉주(현 쓰촨성 청두) 호적 담당 관리였던 양현염(楊玄琰)의 딸 양옥환과 결혼하였다. 735년에는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를 제수받고, 이름은 모(瑁)로 개명했다. 737년 어머니 무혜비가 사망하고, 740년에는 양옥환이 현종의 눈에 띄어 출가하여 여도사가 되었다.

745년 8월 28일, 현종은 이모에게 위소훈(韋昭訓)의 셋째 딸을 새로운 아내로 하사했다.[8] 이후 양씨는 무혜비처럼 황제의 총애를 받게 되었다.

2. 3. 황태자 책봉 실패와 양귀비와의 이별

이모는 당 현종의 아들이자 총애를 받던 무혜비의 아들이었다.[4] 733년 13세의 나이로 1년 연상인 양옥환과 결혼했다.[7] 무혜비와 이림보는 이모를 황태자로 책봉하려 했으나, 737년 무혜비가 사망하고[4] 738년 이복형 이유가 고력사의 천거로 황태자에 책봉되면서 실패했다.[4]

740년, 현종이 양옥환의 미모에 반하여 그녀를 자신의 후궁으로 삼았다.[8] 이 과정에서 양옥환은 잠시 태진(太真)이라는 법명을 가진 도교 여승이 되기도 했다.[8] 이모는 양옥환을 빼앗기고, 736년에 측실로 들인 위씨(後室 韋氏)를 비롯한 측실들과 그 사이에서 낳은 서얼 자녀들과 함께 황궁에서 쫓겨났다.[8] 이후 '''기용'''(岐溶)이라는 법명으로 불교 승려로 출가하였으나, 자유 축첩을 일삼으며 5남 22녀(27남매)를 두었다.[8]

2. 4. 불교 귀의와 말년

이모는 13세 시절이던 733년에 1년 연상 양옥환과 결혼했다.[7] 그러나 738년 모후 무혜비가 훙서한 후, 740년 현종 이융기에게 양옥환을 빼앗겼다.[4] 양옥환을 빼앗긴 이모는 '기용(岐溶)'이라는 법명으로 불교 승려로 출가하였다.[4] 불교 승려가 된 후에도 자유 축첩(自由 蓄妾)하여 슬하에 5남 22녀를 두었다.

745년 8월 28일, 현종은 이모에게 위소훈(韦昭训)의 셋째 딸을 새로운 아내로 하사했다.[8] 756년, 안사의 난이 발발하자 현종을 따라 촉으로 피난했다.[4] 피난 중 진현례와 병사들이 양국충 등을 살해하자, 현종의 명으로 병사들을 위무했다.[4] 당 대종 치세인 775년 2월에 사망하여 태부(太傅)로 추증되었다.[4]

3. 가족 관계


  • 아버지: 당 현종
  • 어머니: 정순황후 무씨 (貞順皇后 武氏; 699–737)

배우자와 자녀:

  • 양 귀비, 홍농 양씨(弘農楊氏; 719–756), 이름은 양옥환(楊玉環)
  • 수왕비 경조 위씨(壽王妃 京兆韦氏), 장군 위소훈(韦昭训)의 셋째 딸
  • *양성 현주 (陽城縣主; 771 – 827), 이름은 이응현(应玄), 22번째 딸
  • **추윤(丘允)에게 시집가 자녀 9명 (아들 다섯, 딸 넷)을 둠
  • 불명:
  • *이애, 덕양군왕(德陽郡王 李僾), 첫째 아들
  • *이배, 제양군왕(济陽郡王 李伓), 둘째 아들
  • *이참, 광양군왕(广陽郡王 李偡), 셋째 아들
  • *이강, 설국공(薛国公 李伉), 넷째 아들
  • *이걸 (李傑), 다섯째 아들
  • *청원 현주(清源县主, 사망 757), 여섯째 딸

3. 1. 부모

아버지는 당 현종이며, 어머니는 정순황후 무씨(貞順皇后 武氏; 699–737)이다.

3. 2. 배우자

이모의 정실은 양옥환(楊玉環)(719-756)이다. 계실은 위소훈(韦昭训)의 셋째 딸인 수왕비 경조 위씨이다. 최소 2명의 측실이 있었으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

3. 3. 자녀


  • 이애, 덕양군왕 (첫째 아들)
  • 이배, 제양군왕 (둘째 아들)
  • 이참, 광양군왕 (셋째 아들)
  • 이강, 설국공 (넷째 아들)
  • 이걸 (다섯째 아들)

당 현종의 22녀 양성현주(陽城縣主, 771년 ~ 827년) 이응현(李应玄)은 추윤(丘允)에게 하가하여 5남 4녀를 두었다. 당 현종의 6녀 청원현주(清源县主)는 757년에 사망했다.

3. 3. 1. 아들


  • 이애, 덕양군왕 (첫째 아들)
  • 이배, 제양군왕 (둘째 아들)
  • 이참, 광양군왕 (셋째 아들)
  • 이강, 설국공 (넷째 아들)
  • 이걸 (다섯째 아들)

3. 3. 2. 딸

당 현종의 22녀 양성현주(陽城縣主, 771년 ~ 827년) 이응현(李应玄)은 추윤(丘允)에게 하가하여 5남 4녀를 두었다. 당 현종의 6녀 청원현주(清源县主)는 757년에 사망했다. 그 외 당 현종에게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딸이 20명 있었다.

4. 평가 및 대중문화

4. 1. 평가

4. 2. 대중문화

참조

[1] 서적 Old Book of Tang
[2] 문서
[3] 서적 Old Book of Tang
[4] 문서
[5] 서적 Jiu Tang Shu
[6] 서적 Jiu Tang Shu
[7] 서적 Zizhi Tongjian
[8] 서적 Quan Tang Wen
[9] 문서
[1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