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촨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촨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남서부에 위치한 성으로, "쓰촨"이라는 이름은 4개의 행정 구역을 의미하는 데서 유래되었다. 약 200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고촉 문명이 발달했다. 진나라에 의해 통치된 후 중원 문화에 편입되었고, 삼국 시대에는 촉한이 건국되었다. 이후 여러 왕조의 지배를 거쳐 1001년 북송에 의해 현재의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지리적으로는 티베트 고원과 쓰촨 분지로 나뉘며, 다양한 기후를 보인다. 주요 산업은 농업, 광업, 공업이며, 관광 자원도 풍부하다. 인구는 한족이 대다수이며, 소수 민족도 거주한다. 행정 구역은 부성급시, 지급시, 자치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촨성 - 쓰촨 분지
쓰촨 분지는 중국 내륙에 위치한 약 229,500km²의 저지대로, 폐쇄적인 지형, 비옥한 토양, 온난한 기후를 특징으로 하며 중국의 곡창 지대이자 독특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곳이다. - 쓰촨성 - 황룽 풍경구
황룽 풍경구는 쓰촨성 쑹판 현에 위치하며, 석회화 지형, 고원 습지, 멸종 위기 동물 서식지, 그리고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된 자연 경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쓰촨성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쓰촨성 |
중국어 표기 | 四川省 |
간체 | 四川省 |
번체 | 四川省 |
병음 | Sìchuān Shěng |
로마자 표기 | Sicheon Sheng |
약칭 | 川 / 蜀 |
약칭 (병음) | Chuān / Shŭ |
위치 | 중국 서남부 |
성도 | 청두시 |
최대 도시 | 청두시 |
면적 | 485,000 제곱킬로미터 |
면적 순위 | 5위 |
인구 (2020년) | 83,674,866 명 |
인구 순위 | 5위 |
인구 밀도 | 172 명/제곱킬로미터 |
인구 밀도 순위 | 22위 |
ISO 3166-2 | CN-SC |
웹사이트 | 쓰촨성 공식 웹사이트 |
중국어 표기 | 四川 |
로마자 표기 (병음) | Sìchuān |
로마자 표기 (우편) | Szechwan 또는 Szechuan |
로마자 표기 (웨이드-자일스) | Ssu4-ch'uan1 |
로마자 표기 (사천어) | Si4-cuan1 |
로마자 표기 (주음부호) | ㄙˋㄔㄨㄢ |
로마자 표기 (광둥어) | sei3cyun1 |
로마자 표기 (오어) | sy3tshoe1 |
로마자 표기 (백화자) | Sù-chhoan |
로마자 표기 (대만어) | Sì-tshuan |
로마자 표기 (하카어) | Si-tshôn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
![]() | |
정치 및 정부 | |
정치 체제 | 중화인민공화국 성 |
인민대표대회 | 쓰촨성 인민대표대회 |
당 서기 | 왕샤오후이 |
인민대표대회 주임 | 왕샤오후이 |
성장 | 스샤오린 |
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 톈샹리 |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 | 147명 |
행정 구역 | |
지급시 | 21개 |
현급 행정구역 | 181개 |
향급 행정구역 | 5,011개 |
지리 | |
최고점 | 7,556 미터 |
최고점 위치 | 궁가산 |
인구 통계 | |
민족 구성 | 한족 95% 이족 2.6% 티베트족 1.5% 창족 0.4% 기타 0.5% |
언어 및 방언 | 서남관화 (쓰촨어) 캄 티베트어 객가어 |
경제 | |
총 GDP (2023년) | 6조 130억 위안 (미화 8,530억 달러) |
1인당 GDP (2023년) | 71,835 위안 (미화 10,194 달러) |
기타 | |
인간 개발 지수 (2022년) | 0.762 (높음) |
중국어 명칭 (이족어) | ꌧꍧ (syp chuo) |
2. 명칭
'쓰촨(四川)'이라는 이름은 북송 함평 4년(1001년) 기존의 서천로와 협로를 나누어 익주로, 이주로, 재주로, 기주로 등 4개 로를 설치하여 천협사로(川峽四路)로 통칭한 것에서 유래하였다.[1] 고대에는 이 지역에 있던 파나라, 촉나라의 이름을 따 파촉(巴蜀)으로 불렸으며, 당나라 중기인 757년 검남절도사가 검남동천절도사와 검남서천절도사로 분리되면서 처음 이 지역을 천(川)으로 지칭하게 되었다.[1] 이때 천(川)은 넓은 들판(平川廣野)을 의미하며, 흔히 민강, 금사강, 타강, 가릉강 등 네 개의 하천이 흘러 붙인 이름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1]
'사천(四川)'이라는 이름은 북송 함평 4년(1001년)에 유래했다. 당시 기존의 서천로와 협로를 나누어 익주로, 이주로, 재주로, 기주로 등 4개 로를 설치하고 천협사로(川峽四路)로 통칭했는데, 여기서 '사천'이라는 명칭이 비롯되었다. 고대에는 이 지역에 있던 파나라, 촉나라의 이름을 따 파촉(巴蜀)이라고 불렸다.[20][21] 당나라 중기인 757년 검남절도사(劍南節度使)가 검남동천절도사와 검남서천절도사로 분리되면서 처음 이 지역을 천(川)으로 지칭하게 되었는데, 이때 천(川)은 넓은 들판(平川廣野)을 의미한다. 흔히 민강, 금사강, 타강, 가릉강 등 네 개의 하천이 흘러 붙인 이름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3. 역사
약 200만 년 전 사천 지역에서 인류 활동이 시작되었고, 지금으로부터 2만 5천 년 전 문명이 출현하기 시작하여 삼성퇴 문명으로 대표되는 고도로 발달한 고촉 문명이 형성되었다. 진(秦) 왕조가 쓰촨을 통치한 이후 쓰촨은 점차 중원 문화에 유입되기 시작하여 중국 역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3. 1. 고촉 문명
약 200만 년 전 사천 지역에서 인류 활동이 시작되었고, 지금으로부터 2만 5천 년 전 문명이 출현하기 시작하여 삼성퇴 문명으로 대표되는 고도로 발달한 고촉 문명이 형성되었다. 진(秦) 왕조가 쓰촨을 통치한 이후 쓰촨은 점차 중원 문화에 유입되기 시작하여 중국 역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고대 역사 연구에 따르면, 약 200만 년 전 구석기 시대 초기 사천에서 인류 활동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지금으로부터 7~8천 년 전 사천 지역은 점차 신석기 시대로 진입하였다. 약 4~5천 년 전, 사천 지역은 고대 전설 시기로 접어들었는데, 이 시기는 유적의 고고학적 발굴과 구두로 전해지는 전설이 늦어도 상대(商代)에는 성도 평원이 이미 노예사회에 진입했음을 증명한다.
쓰촨 분지는 오랫동안 문명의 발견이 없었지만, 1986년에 광한시의 삼성퇴 유적에서 대량의 청동기 유물이 발견되면서 고대 촉나라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가장 중요한 토착 국가는 바(Ba)와 촉(Shu)이었다.
바(Ba)는 산시성(Shaanxi)과 후베이성(Hubei)의 한수 계곡에서 사천성(Sichuan)으로 뻗어 가릉강(Jialing River)을 따라 중경(Chongqing)에서 양자강(Yangtze)과 합류하는 지점까지 이어졌다.[20]
촉(Shu)은 민강 유역, 청두와 사천성 서부 지역을 차지했다.[20] 초기 촉나라의 존재는 중국의 주요 역사 기록에 거의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주나라의 동맹국으로 ''서경''에 언급되어 있다.[21] 촉나라에 대한 기록은 주로 진나라(Jin dynasty (266–420))에 편찬된 ''화양국지''[22][23]와 한나라에 편찬된 ''蜀王本紀''[24]와 같은 지역지에 기록된 신화와 역사적 전설의 혼합물이다. 여기에는 백성에게 농업을 가르치고 죽은 후 뻐꾸기로 변신했다는 두우에 관한 이야기와 같은 민간 이야기가 담겨 있다.[25]
최근 광한시에서 삼성퇴 유적이 발굴되면서 3000년 전 고촉 땅에 존재했던 가면 왕국이 밝혀졌다.
3. 1. 1. 바오둔 문화
'''바오둔 문화'''는 청두시 신진현 바오둔촌에서 발견된 기원전 2500년에서 기원전 1750년경의 유적지이다. 신석기 시대의 성벽에 둘러싸인 취락이 청두 평원의 민강 선상지에 복수로 존재했다. 최대의 유적인 바오둔 유적은 1990년대에 발견되었고 발굴이 계속되고 있다.
3. 1. 2. 삼성퇴 유적
'''삼성퇴 유적'''(三星堆遺跡)은 쓰촨성 광한시(廣漢市) 삼성퇴에서 발견된 유적으로, 기원전 2600년경에서 기원전 850년경의 유적으로 추정된다. 1986년에 대량의 청동기 유물이 발견되면서 알려졌다.[25] 이곳에서는 눈이 올라간 가면과 세로 눈의 가면, 황금 지팡이 등 특이한 유물이 많이 출토되었고, 자안패(子安貝)나 상아 등도 출토되어 권력 계층의 존재를 보여준다.[25]
삼성퇴 유적의 청동기는 원시적인 과정 없이 고도로 발달된 기술을 보여주는데, 이는 황하 유역에서 기술이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만, 장강 문명과 마찬가지로 문자는 발견되지 않았다.[25]
이 유적은 1929년 한 농부가 옥과 돌 유물을 발견하면서 처음 알려졌지만, 본격적인 발굴은 1986년에 이루어졌다. 고고학자들은 두 개의 주요 제사장에서 화려한 청동 유물과 옥, 금, 토기, 돌 유물을 발견했다.[26] 이러한 발견은 쓰촨 지역의 문화와 기술이 중국 중북부의 황하(Yellow River) 유역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3. 2. 전국~삼국 시기
진 혜문왕 9년(기원전 316년), 진은 천하 통일을 준비하였고, 돌소(石牛)로 길을 내어 촉을 토벌하였다. 촉을 점령한 진은 촉(蜀)과 한중(漢中) 두 군(郡)을 세웠다. 사천 지역에서는 점진적으로 진의 제도가 실시되어 봉건 사회로 진입하기 시작했다. 진 소양왕에서 장양왕 시기(기원전 247~227년), 촉군태수(蜀郡太守) 이빙은 촉 지역을 개발하기 위해 여러 중대 조치를 취하였다. 그 예로 두장옌을 건설하고, 검강(檢江)과 비강(郫江) ― 현(現) 난허(南河)와 진장강(錦江)사이 ―의 수로를 열어 청두 평원을 날로 풍요롭게 하여 진시황의 중국 통일에 중요한 물질적 자원을 제공하였다.
서한(西漢) 시기 이후 쓰촨 지역은 사회, 경제, 문화가 빠르게 발전하여 번영의 수준이 관중 지역을 넘어서 ‘천부지국(天府之國)’으로 불리었으며 이는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한 경제의 즉위시기, 촉군태수에 오른 문옹은 청두에 중국의 첫 번째 관영 학당인 문옹석실을 세웠고 이때부터 촉 지역은 학문이 대성하여 제노(齊魯)지역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서한 시기 말, 익주를 점거한 공손술은 국호를 성가라 하고 청두에 도읍을 세웠다.
동한 말(189~214년), 익주는 또다시 유언 부자(父子)에 의해 할거되었다. 이후 유비는 청두에서 제위에 올랐는데 이를 역사적으로 '촉한'(蜀漢, 221년~263년)이라 한다. 촉한의 영토는 오늘날의 충칭, 쓰촨성, 윈난성지역 대부분, 구이저우성 전체, 산시(陝西)와 간수성 일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위, 촉, 오 삼국이 병립하는 국면이 형성되었다. 촉한의 승상(丞相) 제갈량은 온 마음을 다하여 정치를 돌보아 촉나라 사회와 경제를 크게 발전시켰다.[20][21][22][23][24][25][26][28]
3. 3. 양진~수당 시기
촉한 염흥(炎興) 원년(263년), 촉이 위에 의해 멸망한 직후, 사마염(司馬炎)이 진(晉) 왕조를 세웠다. 서진(西晉) 영흥 3년(306년), 이웅(李雄)은 성도에서 황제 자리에 올랐고 국호를 대성(大成)이라 하였다. 동진(東晉) 함강(鹹康) 4년(338년), 이웅의 조카 이수(李壽)가 국호를 '한(漢)'으로 고쳤기 때문에, 역사에서는 이 두 국가를 합쳐 '성한(成漢)'이라 부른다. 성한은 '십육국'(十六國) 중 가장 먼저 건국된 국가로, 전성기에는 그 영토가 쓰촨 분지와 주변 일부 지역까지 확장되었다.
동진 영화(永和) 3년(347년)에서 수 개황(開皇) 원년(581년)까지 쓰촨 지역은 수 왕조의 영토에 편입되었고, 동진, 전진(前秦), 초종(譙緃), 남조(南朝)의 송(宋)·제, 양, 북조(北朝)의 서위(西魏), 북주(北周) 순으로 총 8개 정권의 통치를 받았다. 이 시기에는 정치가 불안정하여 전쟁이 자주 발생했고, 사회 경제는 정체 상태에 머물렀다.
수당 시대에 쓰촨 지역은 사회가 안정되고 경제가 전성기를 맞이하면서 '양일익이(揚一益二; 揚은 지금의 장난(江南) 지역)'라고 불렸다. ‘안사의 난’이 일어나자 당 현종은 촉으로 피난했다. 이후에도 당 덕종은 주비의 난, 당 희종은 황소의 난을 피해 촉으로 피신하는 등 여러 당나라 황제들이 촉 지역으로 피신했다.
당 천우 4년(907년), 당나라가 멸망하고 왕건(王建)과 맹지상(盟知祥)이 각각 18년과 31년에 걸쳐 쓰촨 지역에 전촉과 후촉 정권을 세웠다. 전촉과 후촉 모두 초기에 ‘휴양생식(休養生息)’ 정책을 펼쳐 중원 지역의 전투에 휘말리지 않았기 때문에, 쓰촨 일대는 전국에서 가장 번영한 지역이 되었다. 북송 건덕 3년(965년) 송나라 군대가 후촉을 멸망시켰다.
3. 4. 송원~명청 시기
송·원 시기 쓰촨 지역에서는 왕소파(王小波)의 난, 이순(李順)의 난 등 대규모 농민 봉기가 여러 차례 일어났다. 그러나 전국 다른 지역과 비교해 여전히 안정되어 있었던 쓰촨 지역은 사회 경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양송(兩宋) 시기에는 금과 몽골을 저지하는 후방이 되었다. 원 초기 쓰촨 지역은 반세기 동안 이어진 전란으로 경제가 크게 파괴되었다.
명 홍무(洪武) 4년(1371년), 명 왕조는 군사를 일으켜 쓰촨 지역을 명 왕조의 영토로 편입시켰다. 명 말기 장헌충(張獻忠)의 봉기군이 쓰촨 지역에 들어와 대서 정권(1644년~1646년)을 세우고 성도를 서경(西京)으로 삼았다. 청 초기 30여 년간 쓰촨은 줄곧 전란에 휩싸여 있었고 강희(康熙) 20년(1681년)에서야 비로소 안정된 시기에 접어들었다. 가경(嘉慶) 원년(1796년), 쓰촨, 하북(河北), 산시 지역에서 백련교도의 난이 발발하였고, 봉기는 9년 후에 진압되었다.
송 말기에서 청 초기, 쓰촨 지역은 전대미문의 전란 속에서 인구가 급감하고 경제가 쇠퇴하였다. 그리하여 조정은 명 초와 청 초 두 차례에 걸쳐 대규모 이민 운동을 추진하였는데 이를 역사적으로 '호광전사천'(湖廣塡四川)이라 한다. 두 차례의 이민 운동으로 인구가 부족했던 쓰촨은 대량의 노동력을 얻을 수 있었고 이로써 사회경제가 빠르게 회복되었다.
3. 5. 근대~현재
1840년, 아편 전쟁으로 중국 근대사가 시작되었다. 1895년 이홍장과 일본 정부 대표 이토 히로부미가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면서 쓰촨성의 충칭이 무역항으로 개방되어 본격적인 근대에 들어섰다. 이로 인해 쓰촨 사회의 경제는 점차 붕괴되고 반식민지화되면서 민족자본주의의 싹이 트기 시작했다.
1860년대에는 석달개가 쓰촨에 진입한 후 성도 교안 사건과 의화단 운동이 일어났다. 쓰촨에서 일어난 보로운동(保路運動)은 신해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1911년 청두는 독립된 군 정부를 세웠고, 1912년 쓰촨은 정식으로 중화민국의 한 성(省)이 되었다. 그러나 이후 쓰촨은 21년간 군벌 혼전 시기에 빠졌다가 1933년 류샹이 장제스의 쓰촨성 진입 시도를 막고 평정하였다.
항일전쟁이 발발하자 중국 연해와 연강 지역의 공업, 광업 기업, 고등 교육 기관, 문화 단체가 쓰촨 지역으로 옮겨왔고, 쓰촨은 중국의 후방이 되었다. 동시에 300만 쓰촨 군이 출병하여 항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1949년 12월 10일, 장제스는 아들 장징궈와 함께 청두에서 타이완으로 탈출했다. 그 후 쓰촨과 시캉 지역은 정권이 교체되었다. 1950년에는 천동(川東)・천서(川西)・천남(川南)・천북(川北)의 네 행정구(行署區)가 설치되었으나, 1952년 이들은 합쳐져 쓰촨성으로 회복되었다. 1954년 7월 기존의 중앙직할시(直轄市) 충칭시가 쓰촨성에 편입되어 성할시(省轄市)로 바뀌었다. 1955년, 시캉 성이 폐지되고 진사강(金沙江) 이동(以東) 지역이 쓰촨성으로 편입되었다. 1997년 충칭시, 완셴시(萬縣市), 푸링시(涪陵市), 첸장(黔江) 지역이 쓰촨에서 분리되어 충칭직할시가 재건되었다.
4. 지리
중화인민공화국 남서부 장강 상류에 위치한 쓰촨성은 중국에서 5번째로 면적이 넓은 행정 구역으로, 대한민국 면적의 약 4.9배에 달한다. 북쪽으로는 간쑤성과 산시성, 동쪽으로는 충칭시, 남쪽으로는 구이저우성과 윈난성, 서쪽으로는 티베트 자치구와 접하고 있다.
바다와 접해 있지는 않지만, 중국 최대급 호수인 루구호를 가지고 있으며, 새우 등 수산물의 주요 산지이기도 하다. 과거 쓰촨성에 속했던 충칭은 1997년 직할시로 분리되었다. 성 북부의 민산산맥과 서부, 남부에는 티베트족, 이족, 창족 등 소수 민족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또한, 자이언트판다의 서식지로 유명하며, 중국 최대 판다 보호구인 워룽자연보호구가 있다.
4. 1. 지형
중화인민공화국 남서부 지역 장강(창강) 상류에 위치한 쓰촨성(四川省)은 북위 26˚03′-34˚19′, 동경 97˚21′~108˚31′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성 전체 길이는 가로 1075km, 세로 921km이며 면적은 약 491,147km2이다. 크게 서부의 티베트고원과 동쪽의 쓰촨 분지로 나뉜다.쓰촨성은 룽먼산(龍門山)-다량산(大涼山)을 경계로 동부 쓰촨 분지와 분연산 지역(盆緣山地區) 및 서부 천서고산고원(川西高山高原)과 천서남산지(川西南山地)로 나뉜다. 지형이 매우 복잡하고, 티베트고원(青藏高原), 헝돤산맥(橫斷山脈), 윈구이고원(雲貴高原), 친링산맥(秦嶺)-다바산맥(大巴山)산지 등을 포함해 대 지형을 형성한다. 중국 지형의 제1, 2계단에 걸쳐있고, 북서쪽에서 남동쪽을 향해 기울어진 서고동저 형태를 취한다. 천서지역 다쉐산맥(大雪山脈)의 궁가산(貢嘎山)은 해발 7,556m로 성에서 가장 높은 곳이다.
험준한 산악 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부에는 쓰촨 분지(四川盆地)가 펼쳐져 내륙임에도 불구하고 온난하고 비옥한 벼농사(米作) 지역이기 때문에 “천부지국(天府之国)”이라고 불린다. 성내 최고봉은 다쉐산맥(大雪山脈)의 미냐꽁카(ミニヤコンカ) 산 정상(7,556m)이다.
4. 2. 수문
장강 유역에 속하며, 주요 지류로는 야룽강(雅礱江), 다두허(大渡河)와 칭이강(青衣江)을 포함한 민강(岷江), 타강(沱江), 자링강(嘉陵江, 부강(涪江), 거강(渠江) 포함), 츠수이허(赤水河) 등이 있다. 수력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여 대량의 수력발전소가 있다.[45]쓰촨성의 호수는 대부분 빙식호(冰蝕湖), 용식호(溶蝕湖), 언색호(堰塞湖)를 위주로 서부와 북서부 고산고원 지역에 주로 분포해 있으며, 크고 작은 호수를 합하면 모두 1000개가 넘는다. 잘 알려진 호수로는 공해(邛海), 루구호(瀘沽湖) 등이 있다. 쓰촨성 북부의 약어개(若爾蓋)는 중국의 중요한 습지 지역이다.[45]
4. 3. 기후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쓰촨성은 지형과 계절풍의 영향으로 다양한 기후를 보인다. 동부의 사천분지는 아열대 습윤기후에 속하며, 서부 고원 지역은 지형의 영향으로 기후가 수직적으로 변화한다. 북부 기후는 아열대에서 아한대 기후로 점차 바뀌며, 수직적으로는 아한대에서 영동대까지 다양한 기후 유형이 나타난다. 사천분지의 연간 일조 시간은 300~1600시간으로, 중국 전체에서 일조량이 가장 적은 지역 중 하나이다.[45]4. 3. 1. 기온
동부 사천분지의 연평균 기온은 14°C~19°C로, 장강 중・하류 등 같은 위도의 다른 지역보다 1°C가량 높다. 가장 추운 1월 평균 기온은 3°C~8°C이고, 가장 더운 7월 평균 기온은 25°C~29°C이며, 봄과 가을 기온은 연평균 기온과 비슷하다. 쓰촨 지역은 사계절이 뚜렷하며, 연중 280~300일은 서리가 내리지 않는다.[45]천서고원(川西高原) 대부분 지역의 연평균 기온은 8°C 이하이다. 그중 1월 평균 기온은 -5°C 안팎이고, 7월 평균 기온도 10°C~15°C에 불과하여 연중 여름이 없고 겨울이 길다. 천서남산지(川西南山地)의 연평균 기온 또한 지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골짜기 지역은 15°C~20°C, 산지는 5°C~15°C로 낮은 편이다.[45]
4. 3. 2. 강수량
쓰촨 분지의 연 강수량은 900~1200mm이며, 분지 주변 산지의 강수량이 분지 안쪽보다 많다. 분지 중에서도 서연산지(西緣山地)의 연 강수량이 가장 높아 1300~1800mm에 이른다. 계절별로 보면, 쓰촨의 겨울철 강수량은 연간 총 강우량의 3~5%로 낮은 편이다. 반면 여름철 강수량은 연간 총 강수량의 80%를 차지할 정도로 많다. 겨울에는 건조하고 여름에는 비가 많이 오는 특성을 보인다.쓰촨고원 대부분 지역의 강우는 적은 편이다. 연 강수량은 600~700mm 정도이며, 그중 진사강 하곡의 강수량은 400mm밖에 되지 않아 쓰촨성에서 강우량이 가장 적은 지역이다. 우기는 6~9월로, 이 기간 동안 연간 총 강우량의 70~90%가 내린다. 11~4월은 건기이다. 천서남산(川西南山) 지역은 다른 곳과 강수 차이가 크고 건조하고 습한 계절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5. 환경자원
쓰촨성은 여행 자원이 풍부하고 자연경관이 아름다워 관광객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2004년 쓰촨성 여행 총수입은 566.23억위안으로 성 GDP의 8.6%를 차지했다. 쓰촨성은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에 이어 4번째로 72시간 무비자 국경 통과 도시이며, 25개 국내외 직항 항공편이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다. 2013년 방문객은 약 210만 명이었으며, 이 중 한국인 방문객은 약 12만 명으로 전년 대비 6천 명 증가하는 등 한국인 여행객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쓰촨성에는 현재 유네스코가 지정한 5곳의 세계유산이 있다. (아래 표 참조) UN에서 포함시킨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는 자연보호구 4곳, 국가4A급 여행경구 17곳, 국가급풍경명승구 15곳, 국가급자연보호구 17곳, 국가급산림공원 25곳, 세계 지질공원 1곳, 국가급지질공원 8곳,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62곳, 중국역사문화명성 7곳, 중국우수여행도시 10곳이 있다.
쓰촨성의 세계유산 | |||
---|---|---|---|
명칭 | 유형 | 등재 시기 | 장소 |
구채구 풍경구 | 자연유산 | 1992년 | 아바 |
황룡풍경구 | 자연유산 | 1992년 | 아바 |
어메이산과 낙산대불 | 복합유산 | 1997년 | 러산 |
청성산과 도강언 | 문화유산 | 2000년 | 청두 |
쓰촨 팬더 서식지 | 자연유산 | 2006년 | 청두, 아바, 간쯔, 야안 |
중국 내에서 쓰촨성이 보유한 여행 자원의 순위는 높으나, 2004년 쓰촨성 여행 총수입은 전국 9위에 그쳐 쓰촨성이 가진 풍부한 자원에 비해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쓰촨성은 관광객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6. 행정구역
(km2)
(201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