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뇌제 1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반 뇌제 1부는 모스크바 대공국의 대공 이반 4세가 러시아의 차르로 즉위하면서 시작되는 이야기이다. 이반은 강력한 국가 건설을 선포하지만, 보야르, 성직자, 외세의 반발에 직면한다. 아나스타시야와의 결혼, 카잔 칸국과의 전쟁, 그리고 병환과 회복을 겪으며 이반은 권력을 강화해 나간다. 아나스타시야의 죽음 이후, 이반은 민중의 지지를 얻어 다시 모스크바로 돌아와 통치를 재개한다. 영화는 이반의 숙청과정까지 다루며, 가부키 연출 기법을 활용한 점이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역사 영화 - 전함 포템킨
《전함 포템킨》은 1905년 러시아 전함 포템킨호의 반란을 배경으로 혁명의 정당성과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감독의 1925년 무성 선전 영화이며, 특히 오데사 계단 시퀀스는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친 명장면으로 평가받는다. - 소련의 역사 영화 - 크미치스
크미치스는 17세기 스웨덴 대홍수 시기를 배경으로, 용감한 기병 장교 안제이 크미치츠가 반역 행위에 연루되어 쫓기다 야스나 구라 수도원을 지키고 왕을 구출하는 등 영웅적인 활약을 펼친 후, 혐의를 벗고 올렌카와 결혼하는 내용을 담은 영화이다. -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 감독 영화 - 전함 포템킨
《전함 포템킨》은 1905년 러시아 전함 포템킨호의 반란을 배경으로 혁명의 정당성과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감독의 1925년 무성 선전 영화이며, 특히 오데사 계단 시퀀스는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친 명장면으로 평가받는다. -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 감독 영화 - 퀘 비바 멕시코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이 멕시코 영화 제작을 구상한 것을 바탕으로 그리고리 알렉산드로프가 제작한 영화 《¡Qué viva México!》는 마야 문명 시대부터 멕시코 혁명, 죽은 자들의 날을 거쳐 멕시코 사회를 묘사하는 여러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 소련의 서사 영화 - 전함 포템킨
《전함 포템킨》은 1905년 러시아 전함 포템킨호의 반란을 배경으로 혁명의 정당성과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감독의 1925년 무성 선전 영화이며, 특히 오데사 계단 시퀀스는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친 명장면으로 평가받는다. - 소련의 서사 영화 - 사드코
알렉산드르 프투슈코 감독의 1952년 소련 영화 《사드코》는 노브고로드의 구슬리 연주자 사드코가 행복의 새를 찾아 떠나는 판타지 여정을 그린 작품으로, 베니스 영화제 은사자상 수상 후 《신밧드의 마법의 항해》로 각색되어 재개봉되기도 했다.
이반 뇌제 1부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영화 정보 | |
감독 |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 |
각본 |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 |
음악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주연 | 니콜라이 체르카소프 |
촬영 | 안드레이 모스크빈, 에두아르드 티세 |
제작사 | 알마-아타 스튜디오 |
배급사 | 도호 |
개봉일 | 1944년 12월 30일 (제1부) 1958년 월일 불명 (제2부) 1948년 11월 20일 |
상영 시간 | 99분 (제1부), 88분 (제2부) |
언어 | 러시아어 |
2. 줄거리
모스크바 대공국의 대공이었던 이반 4세는 자신을 모스크바의 차르로 옹립한다. 대관식에서 이반은 러시아의 여러 세력을 통합해 차르를 중심으로 한 강력한 국가를 건설하겠다고 공포한다. 그러나 보야르들과 성직자들, 그리고 외세는 이반의 선언에 반발하고, 이반의 숙모인 예프로시니야는 자신의 아들 블라디미르를 차르로 올리려고 시도한다. 차르로 등극한 이반은 곧 유력 보야르 집안의 딸인 아나스타시야와 결혼하는데, 황족인 동시에 이반의 친구이자 예전부터 아나스타시야에게 연모를 품었던 안드레이는 이 일을 계기로 이반과 사이가 나빠진다.
한편 보야르의 수탈에 시달리던 민중들이 난을 일으켜 황궁으로 들어간다. 민중들과 마주친 이반은 슬기롭게 대처하면서 이들을 자신의 우호 세력으로 포섭한다. 동시에 이반 앞으로 카잔 칸국의 사신들이 와 카잔의 칸이 모스크바를 멸망시키겠다고 엄포한다. 민중들 앞에서 이반은 카잔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민중들은 열렬히 환호한다. 카잔에 당돌한 이반은 성 밑에 화약을 설치해 카잔의 성을 파괴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작전이 크게 성공하면서 카잔은 모스크바의 손 안으로 들어간다.
카잔 원정 후 돌아오는 길에 이반은 큰 병을 앓아 죽을 위기에 놓인다. 예프로시니야는 이반이 죽을 것이라 짐작하고 황족들과 보야르를 불러 이반의 어린 아들이 아닌 블라디미르에게 충성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아나스타시야를 통해 이반이 죽지 않았음을 확인한 안드레이는 혼자 블라디미르를 향한 충성을 거부하고, 이 과정을 지켜본 이반은 보야르를 더욱 불신하는 동시에 안드레이를 더욱 신임한다. 병에서 회복된 이반은 보야르와 성직자들을 내치면서 권력을 다져나가는 동시에 안드레이를 시켜 해외 원정을 단행한다.
그러나 개혁 정책이나 해외 원정이 모두 수월하게 진행되지 않는 가운데, 예프로시니야는 차르의 권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아나스타시야를 독살한다. 절망에 빠진 이반에게 측근 바스마노프는 새로운 인재들을 등용해 보야르를 진압해야 함을 역설한다. 이반은 자신의 지배 정통성을 민중에게서 얻기 위해 모스크바를 떠나 시골에 머무르고, 민중들은 추운 날씨를 뚫고 들판을 가로질러 이반에게 다시 나라를 다스려달라고 간청한다. 민중의 지지를 확보한 이반은 다시 모스크바로 돌아온다.
2. 1. 제1부 (1944년)
모스크바 대공국의 대공이었던 이반 4세는 자신을 모스크바의 차르로 옹립한다. 대관식에서 이반은 러시아의 여러 세력을 통합해 차르를 중심으로 한 강력한 국가를 건설하겠다고 공포한다. 그러나 보야르들과 성직자들, 그리고 외세는 이반의 선언에 반발하고, 이반의 숙모인 예프로시니야는 자신의 아들 블라디미르를 차르로 올리려고 시도한다. 차르로 등극한 이반은 곧 유력 보야르 집안의 딸인 아나스타시야와 결혼하는데, 황족인 동시에 이반의 친구이자 예전부터 아나스타시야에게 연모를 품었던 안드레이는 이 일을 계기로 이반과 사이가 나빠진다.한편 보야르의 수탈에 시달리던 민중들이 난을 일으켜 황궁으로 들어간다. 민중들과 마주친 이반은 슬기롭게 대처하면서 이들을 자신의 우호 세력으로 포섭한다. 동시에 이반 앞으로 카잔 칸국의 사신들이 와 카잔의 칸이 모스크바를 멸망시키겠다고 엄포한다. 민중들 앞에서 이반은 카잔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민중들은 열렬히 환호한다. 카잔에 당돌한 이반은 성 밑에 화약을 설치해 카잔의 성을 파괴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작전이 크게 성공하면서 카잔은 모스크바의 손 안으로 들어간다.
카잔 원정 후 돌아오는 길에 이반은 큰 병을 앓아 죽을 위기에 놓인다. 예프로시니야는 이반이 죽을 것이라 짐작하고 황족들과 보야르를 불러 이반의 어린 아들이 아닌 블라디미르에게 충성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아나스타시야를 통해 이반이 죽지 않았음을 확인한 안드레이는 혼자 블라디미르를 향한 충성을 거부하고, 이 과정을 지켜본 이반은 보야르를 더욱 불신하는 동시에 안드레이를 더욱 신임한다. 병에서 회복된 이반은 보야르와 성직자들을 내치면서 권력을 다져나가는 동시에 안드레이를 시켜 해외 원정을 단행한다.
그러나 개혁 정책이나 해외 원정이 모두 수월하게 진행되지 않는 가운데, 예프로시니야는 차르의 권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아나스타시야를 독살한다. 절망에 빠진 이반에게 측근 바스마노프는 새로운 인재들을 등용해 보야르를 진압해야 함을 역설한다. 이반은 자신의 지배 정통성을 민중에게서 얻기 위해 모스크바를 떠나 시골에 머무르고, 민중들은 추운 날씨를 뚫고 들판을 가로질러 이반에게 다시 나라를 다스려달라고 간청한다. 민중의 지지를 확보한 이반은 다시 모스크바로 돌아온다.
2. 2. 제2부 (1946년)
민중의 뜨거운 요청을 받아 다시 황위에 오른 이반이었지만, 궁정 내에서는 여전히 그의 숙모 예프로시니야를 중심으로 한 반(反) 이반 파의 저항을 받았다. 이반은 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대대적인 숙청을 감행한다.3. 등장인물
- 니콜라이 체르카소프 - 이반 뇌제 역 (고하시 마사야)
- 류드밀라 첼리콥스카야 - 아나스타샤 황후 역 (히라키 히사코)
- 세라피마 빌만/Serafima Birman영어 - 에프로시니야 스타리츠카야/Yefrosinya Staritskaya영어 역
- 파벨 카도치니코프/Pavel Kadochnikov영어 - 블라디미르 공 역 (스기 히로유키)
- 미하일 나즈바노프/Mikhail Nazvanov영어 - 쿠르브스키 공 역 (아리마 마사히코)
- 미하일 자로프/Mikhail Zharov영어 - 스쿠라토프 역 (타카기 히토시)
※괄호 안은 일본어 더빙 (TV판, 첫 방송 1969년 1월 15일 NHK '극영화' 9:00-12:00[2])
4. 제작
에이젠슈테인은 1928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2대 이치카와 사단지의 가부키 첫 해외 공연을 관람하고 큰 감명을 받았다. 그 영향으로, 제1부에서는 클로즈업 숏으로 주인공이 "미에"를 끊는, 가부키적인 양식의 연출을 사용하고 있다.
이반 뇌제 1부의 음악에 대해서는 이반 뇌제 (프로코피예프) 문서를 참고하라.
4. 1. 연출
에이젠슈테인은 1928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2대 이치카와 사단지의 가부키 첫 해외 공연을 관람하고 큰 감명을 받았다. 그 영향으로, 제1부에서는 클로즈업 숏으로 주인공이 "미에"를 끊는, 가부키적인 양식의 연출을 사용하고 있다.4. 2. 음악
이반 뇌제 1부의 음악에 대해서는 이반 뇌제 (프로코피예프) 문서를 참고하라.참조
[1]
문서
ソ連で上映されたのはスターリンの死後、[[1958年]]になってからであった。
[2]
웹사이트
番組表検索結果詳細
https://www.nhk.or.j[...]
NHKクロニクル
2021-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