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슬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슬비는 가는 물방울이 바람에 흩날리듯이 지표면 가까이 내리는 현상으로, 층운에서 내리거나 땅에 닿아 안개가 된 층운에서 내리기도 한다. 강수량은 적지만, 해안가나 산간 지역에서는 그 이상이 되기도 하며, 안개와 비슷하게 빛의 산란을 일으켜 시야를 흐리게 한다. 이슬비는 주로 아열대 해양 지역에서 발생하며, 레이더를 통해 관측된다. 어는 이슬비는 위험할 수 있으며, 대기 중 입자상 물질은 이슬비 발생을 억제하여 구름의 알베도를 증가시켜 지구 온도를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가설이 있다. 한국에서는 '가랑비'로 불리며 문학 작품에서 가을의 정취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2. 특징

이슬비는 가는 물방울이 바람에 흩날리듯이 지표면 가까이까지 드리워진 운저가 낮은 층운에서 내린다. 땅에 닿아 안개가 된 층운에서 내리는 경우도 있다.[6][8] 내리는 모습이 부드럽고 거의 부유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10]

강수량은 1시간에 1 mm를 넘는 경우가 적지만, 조건이 좋은 해안가나 산간 지역에서는 그 이상이 되기도 한다.[6][8][9]

층운(또는 안개를 구성하는 층운)의 구름 속에서, 구름 입자(안개 입자)가 주로 충돌·병합하여 성장하여, 비의 크기까지는 커지지 않지만, 낙하할 때 이슬비가 된다.[9]

보통의 중에서도 강우대의 가장자리에서 내리는 것, 또는 아주 약한 비가 내릴 때, 빗방울은 증발에 의해 이슬비의 크기까지 가늘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빗방울의 밀도는 낮다. 고층운 등에서 약간 내리는 비가 이러한 성질을 띠지만, 이슬비는 아니다.[8][9]

이슬비가 내릴 때는 안개와 비슷하여, 빛이 산란되기 때문에 멀리 있는 물체의 윤곽이 흐릿하게 보인다.[6][8][9][10]

3. 발생

이슬비는 세계의 넓은 해양 지역, 특히 아열대의 더 추운 지역에서 가장 흔한 형태의 강수 현상이다. 이러한 지역은 해양 층적운과 무역풍 적운이 지배하며, 이는 해양 경계층 내에 완전히 존재한다. 표면 축적률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이슬비가 이러한 지역의 구름 구조, 범위 및 복사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 인해 과학자들은 이슬비를 감지할 수 있는 고주파 레이더와 같은 더 정교하고 민감한 기기를 설계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이슬비의 양이 구름 형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해양 경계층 내의 상승 기류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슬비의 양이 증가하는 것은 구름 방울 농도가 낮은 깨끗한 공기 덩어리에서 형성되는 해양 구름에서 발견되는 경향이 있다. 구름과 이슬비 사이의 이러한 상호 연결은 대와동 모의실험과 같은 고해상도 수치 모델링을 사용하여 탐구할 수 있다.

영국 본머스의 이슬비.

4. 영향

대부분의 이슬비는 인간에게 미미한 영향을 미칠 뿐이지만, 어는 이슬비는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어는 이슬비는 과냉각된 이슬비 방울이 어는점 이하의 온도를 가진 표면에 떨어질 때 발생한다.[3] 이 방울은 충돌 시 즉시 얼어붙어 도로 표면에 얇은 얼음막(때로는 블랙 아이스라고 함)이 생긴다.

텍사스 A&M 대학교[4]의 대기 과학자 그룹은 인간 활동으로 인해 대기 중에 발생한 입자상 물질(미세 입자)이 이슬비를 억제할 수 있다고 가설을 세웠다. 이 가설에 따르면, 이슬비는 구름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효과적인 수단이기 때문에, 이슬비 억제는 해양 층운 구름의 두께, 범위 및 수명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지역적에서 전 지구적 규모로 구름 알베도를 증가시키고, 대기를 냉각시키는 효과로 이어진다. 복잡한 전 지구 기후 모델을 사용한 추정 결과에 따르면, 이 효과는 온실 효과 증가가 전 지구 표면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가리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2005년 기준으로 기후 모델에서 에어로졸, 구름, 이슬비 간의 상호 작용을 정확하게 시뮬레이션하는 데 필요한 화학적 및 물리적 과정을 충분히 표현하여 입자상 물질 변화가 전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5]

4. 1. 에어로졸과의 관계

텍사스 A&M 대학교[4]의 대기 과학자 그룹은 인간 활동으로 인해 대기 중에 발생한 입자상 물질(미세 입자)이 이슬비를 억제할 수 있다고 가설을 세웠다. 이 가설에 따르면, 이슬비는 구름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효과적인 수단이기 때문에, 이슬비 억제는 해양 층운 구름의 두께, 범위 및 수명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지역적에서 전 지구적 규모로 구름 알베도를 증가시키고, 대기를 냉각시키는 효과로 이어진다. 복잡한 전 지구 기후 모델을 사용한 추정 결과에 따르면, 이 효과는 온실 효과 증가가 전 지구 표면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가리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2005년 기준으로 기후 모델에서 에어로졸, 구름, 이슬비 간의 상호 작용을 정확하게 시뮬레이션하는 데 필요한 화학적 및 물리적 과정을 충분히 표현하여 입자상 물질 변화가 전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5]

5. 관측

국제 기상 통보식에서는 이슬비의 강도, 착빙 여부, 다른 강수 동반 여부 등을 구분하여 보고한다.[11] 이슬비의 기본 기호는 이다.[10][13][14]

라디오 기상 통보 등 일본식 일기도에서의 이슬비의 날씨 기호는 비의 기호에 가타카나 '키'를 붙인 ''이다.[15]

항공 기상 통보식에서는 '강수 현상' 란의 DZ가 이슬비를 나타낸다.[17]

일본에서는 기상청이 관구 기상대 등 거점에서 날씨나 대기 현상의 육안 관측을 실시하여 이슬비, 안개, 싸락눈 등을 구분하여 기록하고 있다. 다만, 자동 기상 관측 장치(아메다스)를 도입한 대부분의 지방 기상대에서는 빗방울 크기 판별의 어려움으로 인해 2019년 2월에 대기 현상 기록을 폐지했다.[14][18][19]

6. 한국에서의 이슬비

한국에서는 이슬비를 '가랑비'라고도 부른다.[20][21] 하이쿠에서는 가을의 계절어로 사용되어 문학 작품에서 가을의 정취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활용된다.

과거 한국에서는 이슬비를 별도로 구분하여 기록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자동 관측 시스템으로 대체되면서 상세한 관측 기록은 어려워졌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기후 변화 대응 정책의 일환으로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이슬비 발생 및 기후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National Weather Service Observing Handbook No. 8, Aviation Weather Observations for Supplementary Aviation Weather Reporting Stations (SAWRS), Manual Observations 1996-10
[2] 서적 Aim/Far https://books.google[...] McGraw Hill Professional 2006
[3] 서적 The Rough Guide to Weather https://books.google[...] Penguin 2007
[4] 웹사이트 Can Aerosols Influence Weather Patterns? https://today.tamu.e[...] 2019-05-24
[5] 웹사이트 Are aerosols reducing coastal drizzle and increasing cloud cover? http://www.eurekaler[...] Eurekalert.org 2013-08-25
[6] 간행물 気象観測の手引き https://www.jma.go.j[...] 気象庁 1998-09
[7] 웹사이트 予報用語 降水 https://www.jma.go.j[...] 気象庁 2023-01-24
[8] 웹사이트 Drizzle https://cloudatlas.w[...]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세계기상기관) 2023-03-04
[9] Kotobank 2023-01-26
[10] 서적 最新気象の事典
[11] 문서 96종의 날씨
[12] 문서 시정 정보
[13] 웹사이트 国際式の天気記号と記入方式 https://www.jma.go.j[...] 気象庁 2023-01-21
[14] 웹사이트 天気欄と記事欄の記号の説明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3-01-21
[15] 웹사이트 天気の種類はいくつあるのですか。その記号も教えてください。 https://official.rik[...] 理科年表オフィシャルサイト(国立天文台、丸善出版) 2022-01-21
[16] 문서 METAR, TAF
[17] 웹사이트 METAR報とTAF報の解説 https://www.jma-net.[...] 那覇航空測候所 2023-01-21
[18] 웹사이트 地方気象台等における目視観測通報の自動化等について https://www.data.jma[...] 札幌管区気象台 2023-01-24
[19] 웹사이트 天気の「快晴」がなくなった 「歴史的転換」迎えた観測 https://www.asahi.co[...] 2020-04-03
[20] Kotobank 2023-01-26
[21] Kotobank 2023-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