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의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의론은 기독교 기독론에서 예수에게 두 개의 의지가 있다고 보는 입장으로, 예수에게 단 하나의 의지만 있다고 보는 일의론에 반대된다. 고백자 막시무스에 의해 옹호되었으며, 예수의 본성 안에 있는 완전한 인성을 강조한다. 681년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양의론이 정통으로 채택되었고, 칼케돈 기독교와 가톨릭 교회는 이를 신학적으로 받아들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세기 기독교 - 그레고리오 선교
    6세기 말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앵글로색슨족에게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해 아우구스티누스를 단장으로 파견한 선교 활동인 그레고리오 선교는 앵글로색슨족의 기독교화와 앵글로색슨 교회의 발전,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관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이의론
교의 정보
이름양의설
영어 이름Dyothelitism
로마자 표기Yang-ui-seol
분류기독교 신학
내용예수는 두 가지 의지, 즉 신적인 의지와 인간적인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기독교 교리
반대단의설

2. 역사

양의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의지에 대한 신학적 논쟁 속에서 등장하였다. 일의론은 예수에게 단 하나의 의지만 있다고 본 반면,[2] 양의론은 그리스도의 본성에 있는 완전한 인성을 강조하며 두 가지 의지를 주장했다.[3] 이 논쟁은 681년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양의론이 정통으로 인정받으며 일단락되었다.[4]

2. 1. 일의론 논쟁

양의론(Dyothelitism)은 기독론에서 예수에게 단 하나의 의지만 있다고 보는 일의론(Monothelitism)에 반대되는 입장이다. 고백자 막시무스가 양의론을 옹호하였다.[1] 일의론자와 양의론자의 갈등은 '인격'과 '의지'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에서 비롯되었다. 일의론자들은 단일 인격은 갈등 없이 단일 의지만 가질 수 있다고 믿었지만,[2] 양의론자들은 그리스도의 본성 안에 있는 완전한 인성을 강조하였다.[3]

일의론과 양의론 논쟁은 681년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종결되었다. 공의회는 451년 칼케돈 공의회 선언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한 인격 안에 두 가지 본성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예수의 한 인격 안에는 두 가지 "의지" 또는 "작동 방식"이 있다고 선언하였다:[4]

> 지극히 경건하신 주님, 저희는 옛 로마 교황 성 아가토와 그에게 종속된 공의회에서 보낸 제안의 가르침을 받아들이고, 거기에 포함된 의미를 따르며,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참 하나님 안에는 두 개의 본성이 혼란스럽지 않고, 변하지 않으며, 분리되지 않으며, 또한 두 개의 자연스러운 의지와 두 개의 자연스러운 작용이 있다고 생각하고, 고백하며, 믿습니다. 그리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참 하나님의 두 본성 안에 오직 하나의 의지와 하나의 작용이 있다고 가르치고, 현재 말하는 모든 사람들을 저희는 저주합니다.

칼케돈 기독교는 양의론을 신학적으로 정통으로 받아들인다.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5]

> 68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3차 공의회에서 교회는 그리스도가 신적 의지와 인간적 의지, 두 개의 의지와 두 개의 자연적 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고백했습니다. 그것들은 서로 대립하지 않고, 성육신하신 말씀이 아버지와 성령과 함께 우리의 구원을 위해 신적으로 결정한 모든 것을 아버지께 순종하며 인간적으로 원하셨다는 방식으로 협력합니다. 그리스도의 인간적 의지는 ‘저항하거나 반대하지 않고, 오히려 그의 신적이고 전능한 의지에 복종합니다.’

2. 2.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681년에 열려 양의론을 정통 교리로 확립하고 일의론을 이단으로 규정하였다.[4] 이 공의회는 칼케돈 공의회(451년)의 선언을 따라 예수 그리스도 안에 두 가지 본성과 두 가지 의지가 존재함을 명확히 하였다.[4]

가톨릭교회 교리서칼케돈 기독교가 양의론을 신학적으로 정통으로 받아들인다고 명시한다.[5]

3. 주요 내용

양의론(Dyothelitism)은 기독론에서 예수에게 단 하나의 의지만 있다고 보는 일의론(Monothelitism)에 반대되는 입장이다. 일의론자들은 단일 인격은 갈등 없이 단일 의지만을 가질 수 있다고 믿었다.[2]

681년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한 인격 안에 두 개의 "의지" 또는 "작동 방식"이 있다고 선언했다.[4]

3. 1. 칼케돈 기독교의 입장

고백자 막시무스가 옹호한 양의론은 일의론에 반대되는 입장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한 인성을 강조한다.[1][3] 칼케돈 기독교(개신교, 천주교, 정교회)는 양의론을 신학적으로 정통으로 받아들인다.[5]

681년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451년 칼케돈 공의회의 선언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한 인격 안에 두 개의 본성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의지" 또는 "작동 방식"이 있다고 선언했다.[4]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5]

3. 2.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그리스도가 신적 의지와 인간적 의지, 즉 두 가지 의지와 두 가지 자연적 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가르친다.[5] 이 두 의지는 서로 대립하지 않고 협력하는데, 성육신하신 말씀이 아버지와 성령과 함께 우리의 구원을 위해 신적으로 결정한 모든 것을 인간적으로 원하셨다는 방식으로 협력한다. 그리스도의 인간적 의지는 저항하거나 반대하지 않고, 그의 신적이고 전능한 의지에 복종한다.[5] 이는 681년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확정된 교리이다.[5]

참조

[1] 웹사이트 Maximus the Confessor https://www.ligonier[...] 2024-02-09
[2] 간행물 On Dyothelitism Versus Monothelitism: The Divine Preconscious Model https://onlinelibrar[...] 2016-01
[3]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IV: Mediaeval Christianity. A.D. 590-1073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ccel.org/cce[...] 2024-02-09
[4]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 Sixth Ecumenical Council: Constantinople III, 680-681 http://www.fordham.e[...] 2016-01-07
[5]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IntraText https://www.vatican.[...] 2024-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