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제 만나러 갑니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제 만나러 갑니다》는 2011년 12월부터 현재까지 방송되고 있는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초기에는 이산가족이나 실향민 출신들의 인터뷰를 통해 만남을 주선하는 형식으로 시작했으나, 이후 탈북 미녀들이 출연하여 북한과 남한의 생활을 비교하는 토크쇼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2021년부터는 역사 속 이야기를 다루는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으로 포맷이 바뀌었다. 프로그램에는 다양한 탈북민 패널과 전문가들이 출연하며, 2020년에는 '인민 트로트 대전'과 같은 특집 방송도 진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탈북자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북한 현실을 왜곡한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북 관계를 소재로 한 작품 - 광장 (소설)
    광장은 최인훈이 1960년에 발표한 소설로, 남한 사회의 '밀실성'과 북한 사회의 '획일성'을 비판하며 이념적 갈등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 주인공 이명준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
  • 남북 관계를 소재로 한 작품 - 카인의 후예 (소설)
    카인의 후예는 1946년 북한의 농지 집단화를 배경으로, 지주 박훈이 토지 개혁에 휘말리고 오작녀와 월남을 계획하는 과정을 그린 소설이다.
  • 채널A의 예능 프로그램 - 아이콘택트
    아이콘택트는 채널A에서 방영된 프로그램으로, 강호동, 이상민, 하하가 MC를 맡아 눈맞춤을 통해 감동과 재미를 선사하는 특별한 만남을 주선했다.
  • 채널A의 예능 프로그램 - 개밥 주는 남자
    《개밥 주는 남자》는 연예인과 반려견의 일상을 담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콘셉트와 출연진으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방영되었으며, 시즌 2에서는 외로운 연예인과 반려견의 만남을, 이후에는 《개묘한 여행》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방송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토크 쇼 - 비정상회담
    비정상회담은 JTBC에서 방영된 예능 프로그램으로, 세계 각국 청년들이 한국 사회 문제들을 토론하며 국제 이슈와 문화 차이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높은 인기를 얻었으나, 토론 깊이 부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토크 쇼 - 유자식 상팔자
    유자식 상팔자는 손범수와 오현경이 MC를 맡아 다양한 가족들의 사춘기와 갈등을 다룬 JTBC의 가족 예능 프로그램이다.
이제 만나러 갑니다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Ije mannareo gamnida
프로그램 종류예능
방송 국가대한민국
사용 언어한국어
방송 채널채널A
방송 시간매주 일요일 밤 11시 ~ 월요일 새벽 1시
방송 분량90분
방송 시작일2011년 12월 4일
방송 횟수676회
화면 해상도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채널A 이제 만나러 갑니다 홈페이지
제작진
기획이진민
프로듀서공효순
책임 프로듀서이승연
연출이진민, 공효순
조연출신재호
출연진
진행자남희석, 김종민

2. 방송 포맷 변천사

'이제 만나러 갑니다'는 방송 초기부터 현재까지 여러 차례 포맷 변화를 겪었다.

방송 초기에는 이산가족이나 실향민 출신 일반 주민들의 인터뷰를 나누는 형식이었으나, 이후 연예인적 기질을 가진 탈북 여성들이 출연하는 토크쇼 형식으로 바뀌었다. 2021년 6월부터는 역사 속 이야기를 다루는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2. 1. 초기 (2011.12 ~ 2012.04)

방송 초기 이 프로그램은 탈북자들이 헤어진 가족들과 재회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에피소드는 사람들의 집이나 식당에서 촬영되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은 재회를 성사시키지 못했고, 곧 "화려한 게임 쇼 형식의 세트"에서 촬영되는 버라이어티 쇼 형식으로 바뀌었다.[1] 방송 초기에는 이산가족이나 실향민 출신의 일반 주민들과 인터뷰를 나누는 형식이었다.

2. 2. 2기 (2012.04 ~ 2021.06)

2012년 4월부터 2021년 6월까지 '탈북 미녀'라고 불리는, 연예인적 기질을 가진 탈북 여성들이 중심이 되어 북한에서의 경험과 남북한 간의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하는 토크쇼 형식으로 변경되었다.[1] 이 시기부터 스튜디오 녹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출연자들은 주로 젊은 여성 탈북자들(제작진이 "탈북 미녀"라고 칭함)로, 북한과 남한에서의 경험을 이야기한다. 그들은 북한의 생활 방식, 제품, 음식 등을 주제로 토론한다.[1] 남성 패널들은 출연자들에게 질문을 하고, 코미디 꽁트, 노래, 춤 등을 선보인다.[3][4]

2019년 기준으로 약 400명의 탈북자들이 이 프로그램에 출연했다.[1] 가장 유명한 탈북자 출연자는 활동가 박연미이다.[5]

2. 3. 3기 (2021.06 ~ 현재)

2021년 6월부터 현재까지 역사 속 이야기를 다루는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으로 포맷이 변경되었다.

3. 출연진

'이제 만나러 갑니다'는 탈북 미녀들과 북한 관련 전문가들이 출연하여 남북한의 화합을 모색하는 소통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다. 방송 초창기에는 탈북자들의 가족 상봉을 주선하기도 했으나, 이후 버라이어티 쇼 형식으로 바뀌었다.[1] 2019년 기준으로 약 400명의 탈북자들이 이 프로그램에 출연했다.[1]

출연진은 크게 진행자, 탈북민 패널, 전문가 패널로 나뉜다.

구분상세
진행자남희석, 김태훈, 김종민, 진중권, 썬 킴, 김진 기자
탈북민 패널김아라, 신은하, 류희진, 박유성, 박연미
전문가 패널박새암, 임영선, 김성민, 김길선, 태영호, 고영환, 하태경


3. 1. 진행자 (MC)



진중권은 PD(정파)계열 출신으로, NL(정파) 계열 운동권 출신인 하태경과 함께 출연하여 남한 진보세력의 역사에 대해 토론하기도 한다.

3. 2. 탈북민 패널


  • 강나라[1]
  • 김아라 - 어머니와 함께 2009년(18세)에 한국에 입국하였다.[1]
  • 류희진 - 2014년 12월에 탈북했다.[1]
  • 박명호 - 2006년 가족을 이끌고 탈북했다.[1]
  • 이순실 - 2007년 한국으로 입국에 성공했다.[1]
  • 신은하 - 2003년 대한민국에 입국하였다.[1]
  • 신은희 - 2003년 대한민국에 입국하였다.[1]
  • 최송죽[1]
  • 한수애[1]
  • 박유성 - 함경북도 회령시 출신의 방송인. 탈북 남성 방송인 중 젊은 세대에서 가장 유명한 방송인이기도 하다.[1]
  • 박은희 - 강원도 원산시 출신의 탈북민.[1]
  • 이도건 - 평양시 출신의 탈북민. 2020년대에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이다. 주성하 기자의 유튜브에 출연하여 연평도 포격전에 대한 증언을 한 적 있다.[1]
  • 이철은 - 황해남도 연백군 출신의 탈북민, 전 국가보위성 요원으로 2016년에 수영을 해 귀순을 한 탈북민이다. 북한 보위부에 관해 증언을 하거나 신세대의 동향에 대해 설명한다.[1]
  • 김금혁(구 활동명 김준혁)[1][2]
  • 박연미 - 이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에게 알려진 대표적인 탈북민 활동가이다.[5]

3. 3. 전문가 패널


  • 박새암 - 거의 항상 출연하지만 가끔 다른 패널들과 교대하는 경우가 있다.
  • 임영선 - 통일방송 대표. 인민군 장교 출신. 1993년에 북한에서 국가전복을 기도하려다 실패하여 탈북하였다.
  • 김성민 - 자유북한방송 대표.
  • 김길선 - 기자 출신. 김일성종합대학 졸업. 여성 전문가. 현재 유튜브 채널 '김길선의 평양만사'를 운영하고 있다.
  • 태영호 - 국민의힘 의원, 본 프로그램의 팬. 어느 인터뷰하는 곳에서 자신이 이제 만나러 갑니다의 팬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외교관으로서 북한의 당시 상황에 대해 증언한다.
  • 고영환 - 태영호보다 먼저 탈북한 북한 외교관 출신 전문가이다.
  • 하태경 - NL 계열 운동권 출신이다 보니 주로 남한의 진보세력에 대한 역사를 이야기할 때 자주 출연하여 PD계열 출신인 진중권과 아웅다웅하는 꽁트(...)를 선보일 때가 있다.
  • (이름 불명) - 전직 장성이니만큼 주로 군 관련 이슈가 있으면 출연한다. 대부분 이슈에서 보수적인 스탠스를 취하고 있다.[2]

4. 특집 방송

2020년 4월 5일 433회에서 '인민 트로트 대전'이 특집으로 방송되었다. 출연진들이 트로트 대결을 벌였으며, 대전광역시에서 류지원이 우승하였다.

4. 1. 인민 트로트 대전 (2020.04.05)

이름수상
류지원아모르 파티대상 (100만)
유현주 & 윤설미당신이 좋아노력상
박명호님은 먼 곳에인기상 (화장품)
강은정목포행 완행열차
이소율 & 최주연오라버니
이순실진진자라
이별향엄지 척
조수림십 분 내로
류희진 & 정유나이따, 이따요


5. 논란 및 비판

이 프로그램은 탈북 출연자들에 의해 남한 사람들이 탈북자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을 바꾸고 탈북자라는 낙인을 없애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6] 2017년 4월, 세이 로즈가 진행하는 다큐멘터리 ''Unreported World''가 이 프로그램에 대해 제작되었다.

5. 1. 북한 현실 왜곡

이 프로그램은 시청률을 높이기 위해 북한에서의 삶의 부정적인 측면을 과장하거나 왜곡한다는 비판도 받았다.[7]

6. 결방 및 편성 변경

2023년 12월 31일 방송사 사정으로 결방되었다.

참조

[1] 뉴스 Where North and South Korea Meet: On TV https://www.nytimes.[...] 2019-05-08
[2] 에피소드 Secret State of North Korea https://www.pbs.org/[...] 2014-01-14
[3] 뉴스 North Korean defectors parade themselves on South Korean talent show https://www.telegrap[...] 2012-06-21
[4] 뉴스 North Korean defectors shine on South Korean TV show https://www.usatoday[...] 2013-06-15
[5] 뉴스 탈북자 박연미, '이만갑'서 7년만에 언니 찾은 사연 공개 http://www.ikoreadai[...] Korea Daily 2014-10-22
[6] 뉴스 From tyranny to reality TV: Meet the celebrity defector women of North Korea https://gpinvestigat[...] 2017-10-09
[7] 저널 South Korean Broadcasters Change the Way They Cover North Korea https://thediplomat.[...] 2018-11-02
[8] 문서 이만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