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종암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다. 대구 출생으로 대구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대구은행에서 근무하다가 퇴사 후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중국 동북 지방에서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의열단에 가담하여 활동했으며, 다나카 요시이치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925년 국내에서 체포되어 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했으며, 196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빈 이씨 - 이동휘
이동휘는 대한제국 군인 출신으로 신민회 활동, 독립군 양성, 한인사회당 조직,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고려공산당 창당 등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을 이끈 인물이다. - 하빈 이씨 - 이찬원
이찬원은 《내일은 미스터트롯》에서 3위를 차지하며 이름을 알린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로,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음반 활동을 하며, 2022년과 2023년 KBS 연예대상에서 수상하고 광고 모델로 활동하며 기부를 실천한다. - 의열단 - 김시현 (1883년)
김시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2대 및 제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 의열단 - 신채호
신채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전개한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역사가, 문필가로, 민족주의적 역사관과 독립운동에 대한 열정으로 한국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동구 (대구광역시) 출신 - 서정환
서정환은 전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선수 시절 유격수로 활약하며 도루왕을 차지했고, 은퇴 후 코치와 감독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KBO 경기 감독관으로 활동한다. - 동구 (대구광역시) 출신 - 강대식
강대식은 대구 동구의회 의원과 동구청장을 거쳐 제21대, 22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국민의힘 대구광역시당 위원장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이종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종암 |
원래 이름 | 李鍾巖 |
![]() | |
출생일 | 1896년 1월 12일 |
출생지 | 조선 경상도 대구 南山 동구 |
사망지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대구형무소에서 병으로 옥사 |
국가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본관 | 하빈(河濱) |
종교 | 유교(성리학) |
정당 | 무소속 |
배우자 | 서희안 |
직책 | |
직책명 | 군무부 행정관 |
장관 | 노백린 대한 임정 군무총장 김희선 대한 임정 군무총장 직무대행 서리 |
차관 | 이춘숙 대한 임정 군무차장 김희선 대한 임정 군무차장 직무대행 서리 |
임기 | 1920년 2월 29일 ~ 1920년 5월 31일 |
대통령 | 이승만 대한 임정 대통령 |
총리 | 이동휘 대한 임정 국무총리 |
거주지 | |
학력 및 경력 | |
학력 | 1913년 경상남도 부산고등상업학교 중퇴 |
경력 | 前 의열단 초급행동대원 |
훈장 | |
서훈 |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
웹사이트 |
2. 주요 이력
이종암은 대구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대구고등농림학교와 부산고등상업학교를 중퇴하였다. 1915년 대구은행에 입사하여 출납계 주임으로 근무하다 1917년 퇴사하였다. 이후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중국 동북 지방에서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김대지, 구영필 등의 동지를 규합하였다.
2. 1. 출생, 어린 시절 및 성장
慶尙北道 大邱|경상북도 대구중국어 동구에서 출생한 그는 1908년 대구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10년 대구고등농림학교를 중퇴, 부산고등상업학교에 전입하였으나 1913년 중퇴하였다. 1915년 대구은행에 입사하여 출납계 주임으로 근무하다 1917년 퇴사하였다.2. 2. 대한 독립 운동
1917년 대구은행 퇴사 후 독립운동에 투신, 중국 동북 지방을 왕래하며 비밀결사(秘密結社)를 조직하고 김대지, 구영필 등의 동지를 규합하였다. 부산연합은행 자금을 활용하여 미주(美洲) 유학을 시도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좌절된 후 상하이(上海)를 거쳐 지린(吉林)으로 이동하였다. 1918년 지린성 닝안 현 둥징청(東京城) 간민소학교(墾民小學校) 급사로 주소를 두고, 펑톈 성 퉁화 현(奉天省 通化縣) 무관학교(武官學校)에 입학하였다. 1919년 3·1 운동 발발 후 무관학교를 중퇴하고 본격적인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1919년 김원봉, 이성우, 황상규 등과 함께 의열단을 조직하였다. 김성근에게 폭탄 제조 방법을 습득하고, 곽재기, 이성우 등과 상하이에서 폭탄과 권총을 구입, 국내 반입을 시도하였다. 대구은행 재직 시절 자금은 의열단 활동 자금 및 펑톈(奉天) 삼광상회(三光商會) 설치 자본금으로 활용되었다.
1922년 김원봉, 김익상, 오성륜 등과 다나카 요시이치(田中義一) 일본 육군 대장 암살을 계획하고 실행하였으나 실패하였다. 1925년 군자금 모금을 위해 국내 잠입 중, 신채호의 의열단 선언서(義烈團 宣言書)를 지참하고 대구에서 활동하다 체포되었다. 1926년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1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1930년 대구형무소에서 병사하였다.
3. 사후
196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