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원봉은 1898년 경상남도 밀양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의열단을 조직하여 단장으로 활동하며 무장 투쟁을 이끌었고, 이후 한국독립당, 조선의용대 등을 결성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1942년에는 한국 광복군 부사령관을 역임했으나, 광복 후 월북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국가검열상, 노동상 등 요직을 맡았다. 6.25 전쟁 당시 북한군 지휘관으로 활동했으며, 1958년 숙청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원봉은 대한민국에서 독립운동가로 평가받지만, 월북 후 행적으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서훈 및 유공자 지정 문제도 정치적 쟁점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자살한 정치인 - 허가이
허가이는 소련파 북한 정치인으로, 해방 후 북한 정권 수립에 핵심 역할을 했으나 김일성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에는 암살 의혹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자살한 정치인 - 김달현 (1941년)
김달현은 1941년 평안남도 출생으로 김일성종합대학과 모스크바대학교를 졸업하고, 국가과학원 부원장, 정무원 위원회 위원장, 부총리 등을 역임했으며, 1992년 서울을 방문하여 노태우 대통령과 회담하고 강성산 총리 대행을 지냈으나 김정일과의 갈등으로 1993년 좌천되어 2000년 사망했다. - 금릉 대학 동문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금릉 대학 동문 - 조동호
조동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사회운동가, 언론인으로, 여운형과 함께 중국 망명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하고, 귀국 후 동아일보 논설위원, 조선공산당 설립 참여,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선전부장 등을 역임하며 민족 자주와 독립을 위해 헌신했다. - 1958년 자살 - 필립 반 잔트
네덜란드 출신 미국 배우 필립 반 잔트는 20년간 140편 이상의 영화와 TV 드라마에 출연하며 활발히 활동했지만, 말년에는 경제적 어려움과 우울증으로 인해 생을 마감했다. - 1958년 자살 - 다니야마 유타카
다니야마 유타카는 일본의 수학자이며, 타원 곡선의 L-함수와 보형 형식 사이의 관계에 대한 추측을 제기하여 앤드루 와일스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에 기여했다.
김원봉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및 사망 | |
출생일 | 1898년 (추정) |
출생지 | 대한제국 경상남도 밀양시 |
사망일 | 1958년 (추정) |
사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정치 및 직책 | |
직업 | 정치인, 군인 |
소속 정당 | 조선로동당, 조선민족혁명당 |
주요 직책 | 국가검열상 로동상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임정 국무위원 및 군무부장 조선인민공화당 중앙위원장 겸 당무위원 조선로동당 고문 겸 당무위원 북 국가부수반 겸 국가수반 권한대행 |
내각 직책 | 국가검열상 |
임기 시작 | 1948년 9월 9일 |
임기 종료 | 1952년 5월 8일 |
내각 | 제1기 내각 |
수상 | 김일성 |
군사 경력 | |
소속 군대 | 한국 광복군 |
복무 기간 | 1941년–1945년 |
계급 | 장군 |
참전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
학력 | |
학력 |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졸업 신흥무관학교 자퇴 중국 난징 금릉대학 2년 수료 황푸 군관학교 졸업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김주익 |
어머니 | 이경념 (생모), 천연이 (계모) |
배우자 | 박차정, 최동선 |
자녀 | 김철건, 김중건, 김학봉 |
기타 정보 | |
훈장 | 북한 로력훈장 (1952년, 1958년) |
본관 | 김해 김씨 |
2. 생애
1898년 경상남도 밀양에서 태어났다. 1911년 일장기를 변소에 버린 사건으로 밀양공립보통학교에서 자퇴하고 동화학교에 편입했다. 1912년에는 표충사에서 수도하면서 독학했고, 1913년 서울 중앙학교에 편입학했다. 1916년 중국 천진 덕화학당에 입학했고, 1918년에는 남경 금릉대학에 입학했다.
1919년 만주로 가서 신흥무관학교에 입학했다가 자퇴하고 길림에서 의열단을 창단했다.[1] 1923년에는 단재 신채호에게 '조선혁명선언' 집필을 부탁했다. 1926년 의열단원 나석주가 동양척식주식회사와 식산은행에 폭탄을 투척했다.
1927년 중국공산당의 남창 봉기에 참가했다. 1931년 박차정과 결혼했다. 1938년 조선의용대를 창설하고 대장에 취임했다.[1] 1942년 조선의용대 화북지대가 조선의용군으로 개편되었다. 1944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장에 취임하고, 아내 박차정이 사망했다. 1945년 봄 최동선과 재혼했다. 같은 해 9월 중국 체제 중 조선인민공화국 임시내각 군사부장에 선임되었으나, 미군정에 의해 조선인민공화국이 부정되어 해산되었다.[23]
1947년 수도경찰청 수사국장 노덕술에게 체포되어 고문을 당했다. 이때 고문의 고통보다는 심리적 치욕을 느꼈다고 한다. 1948년 남북협상에 참여했다가 북한에 남았다. 같은 해 9월 북한 내각의 국가검열상에 취임했다.[27] 1952년에는 내각 노동상에 취임했다. 1958년 회갑을 맞아 훈장을 받았으나, 10월에 숙청되었다.[29]
2. 1. 출생과 가계
김원봉은 1898년 경상남도 밀양군 밀양읍 내이리 901번지에서 아버지 김주익(金周益)과 어머니 이경념(李京念) 사이에서 태어났다. 김해 김씨 참판공파 17세손이다.[1] 어머니 이경념은 그가 4살 되던 해 동생 경봉을 낳다가 사망했다. 아버지 김주익은 천연이(千蓮伊)와 재혼하여 8남 2녀를 두었고, 박순남이라는 서모에게서는 3명의 이복 동생이 태어났다. 이 중 김익봉은 어려서 요절했고, 계모 천연이가 낳은 배다른 동생들 중 김봉철, 김봉기, 김덕봉, 김구봉은 뒤에 보도연맹원으로 몰려 한국전쟁 중 처형됐다.서얼의 후예였던 탓에 신분은 중인이었고, 선조들 중에는 역관을 몇 명 배출했다. 할아버지 김철화(金哲和)가 역관이었고, 아버지 김주익은 30여 마지기의 농사를 짓는 중농(中農)이었다. 아버지에게는 김주오(金周五)라는 동생과 손아래 여동생이 있었다. 그의 고모는 독립운동가 황상규에게 시집갔는데, 약산의 재능을 알아본 황상규는 그에게 한학을 가르쳤다.
아버지 김주익은 첫아들이 태어나자, 밀양읍내에 살던 자신의 외가 친척이자 정3품 통정대부 시종원 시종을 지낸 윤희규(尹憘圭)를 찾아가 아들의 이름을 지어달라고 부탁했다. 역술에도 소질이 있던 윤희규는 아이가 '장상(將相)이 될 팔자를 타고 났다'며 돌림자인 봉에다가 으뜸 원(元)자를 따서 원봉이라 이름 지어주었다.
2. 2. 유년기 및 청소년기
1898년 경상남도 밀양에서 아버지 김주익(金周益), 어머니 이경념(李京念)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김해 김씨(金海金氏) 출신이다.[1]어려서 서당에서 한문을 배우다가 1908년 밀양공립보통학교에 편입학하였다. 1911년 11월 천황 생일에 동창 한봉인(韓鳳仁), 윤세주, 강인수(姜仁壽) 등과 함께 일장기를 변소에 넣었다는 혐의로 심한 구타를 당했다. 혐의를 부인하다가 홀로 퇴교당했고, 다시 보통학교 2학년 과정에 편입하여 졸업했다.
1910년 동화중학교(同和中學校) 2학년으로 편입하여 학업을 이어갔다. 교장 전홍표(全鴻杓)의 영향으로 항일사상을 갖게 되었다. 전홍표는 학생들에게 '우리가 목숨이 붙어있는 한 우리 민족의 원수 강도인 일본과의 투쟁을 단 하루도 게을리 해선 안 된다'는 점과, '빼앗긴 국토를 되찾고 도로 잃어버린 주권을 회복하기 전에는 우리는 언제나 부끄럽고, 슬프고, 언제나 비참하다'는 등의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훈시를 하였고, 김원봉은 그의 훈화에 감화되었다. 그러나 동화중학교는 얼마 못가 총독부의 압력에 의해 폐교되었다.
동화중학교가 폐교된 후, 김원봉은 표충사로 들어가 손자병법과 한비자, 오자 등과 같은 병서를 읽으며 독립운동에 대한 뜻을 품게 되었다.
1913년 경성 중앙중학교로 편입하여 김성수, 유근, 안재홍 등을 스승으로 만나 가르침을 받았고, 윤치영, 변영로 등과도 교류하였다. 중앙학교 재학 중 김약수, 이여성 등과 교류하였으며, 이들과 평생 친구가 되었다. 또한 중앙중학교를 먼저 졸업한 김두봉, 윤치영과 나중에 졸업하게 된 김무정 등을 만나 친분관계를 쌓았다.
1916년 봄 경성 중앙중학교를 졸업한 뒤 독립 운동에 뜻을 두고 중국으로 건너갔다.[1]
2. 3. 의열단 창설과 무장 투쟁
1919년 11월 9일 길림성에서 양건호, 한봉근, 곽재기, 김옥 등과 회합하여 일본의 침략 본거지를 파괴할 것을 결의하고 의열단을 조직하여 의백에 취임, 국내의 기관 파괴, 요인 암살 등 여러 차례 무정부주의적 항일 투쟁 활동을 벌였다.[1] 단원은 김원봉, 양건호, 곽재기, 김옥, 윤세위, 윤치형, 이성우, 강세우, 한봉인, 신철휴, 배동선, 서상락, 권준 등 13명이었다. (의열단 참고.)김원봉은 의열단의 공약 10조를 발표하였다.
의열단이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는 조선총독부 총독 이하 고관, 주조선 일본군 주둔군 수뇌, 대만총독부 총독과 대만총독부 고관, 매국적, 친일파 거두, 적의 밀정, 반민족적 귀족 및 대지주를 설정하였다.
의열단원들은 각자 한 사람이 여러 개의 가명을 사용하고 있었고, 사진 이외에는 본인을 찾는 일이 쉽지 않았다. 사진 촬영 뒤에는 반드시 원판과 필름까지 가져가거나 찢어버리거나 라이터, 성냥 등으로 바로 소각했으므로 사진도 찾기 어려웠다. 약산은 이들이 연락할 대상으로 암호를 정하고, 힘 력(力)자를 공중에 손가락으로 써서 신호를 주고, 확인은 얼굴을 오른쪽으로 저으면서 신호를 하게 했다. 그는 자기가 만난 사람을 설득시켜서 동지로 만들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면 집요하게 며칠간 시간이 들더라도 반드시 자기 사람으로 만들었다. 그는 자신의 동지와 부하들을 위해서는 재산을 능히 잃고도 전혀 아까워하지 않았으며, 비용 투자는 물론이고 때로는 동지와 부하들의 가난함과 궁핍 소식을 들으면 자기가 입은 옷을 벗어주거나 시계 등을 전당포에 전당 잡히게 하였다. 그의 변함없는 신뢰에 감동한 청년들은 자발적으로 사지로 달려가게 된다.
1920년 초, 김원봉은 단원들을 국내에 투입시키기 위해 총기와 폭탄 반입을 계획한다. 그는 많은 폭발물과 총기를 국내로 반입하여 조선총독부 요인들과 주요 친일파들을 척살하고, 국내의 자본을 빼가는 동양척식회사 등의 폭파를 계획하기로 결정하고 자신이 소지한 비상금 1000KRW을 내놓았다. 이어 이종암이 내놓은 1000KRW, 윤치형과 구영필 등에게 각각 맡겨둔 300KRW 등을 포함한 약 3000KRW 가량의 돈으로 1919년 12월 말 김원봉 본인과 이종암, 곽재기, 이성우 등과 함께 상하이로 가서 무기를 구해오기로 하고 길림 성을 출발했다.
상하이 보창로 보강리 60호에 살던 재중교포 김대지(밀양 내이동 출신이다.)를 만나 그의 집을 근거지로 하고 상하이의 프랑스 불조계 마당로에 있던 임시정부를 찾아가 여러 번의 설득 끝에 폭탄 세 개와 탄피 제조기와 폭약 재료, 뇌관, 심지, 기름 등을 받아 1920년 3월 초 자동차로 비밀리에 길림성으로 되돌아왔다.
한편 김원봉과 이성우는 상하이에 더 체류하면서 임시정부의 별동대인 '구국모험단'의 단장 김성근(金聲根)을 만나, 그를 어렵게 설득하여 그로부터 폭탄 제조 기술을 배우게 된다. 며칠간 김성근의 집에 머무르던 김원봉과 이성우는 김성근에게서 폭탄제조법을 배우다가 직접 폭탄을 제조할 수 있는 재료들과 화약, 심지, 뇌관 등을 선물로 받고 그를 데리고 길림성으로 다시 되돌아온다. 첫 폭탄 제조가 성공을 거두고 한적한 곳에서 그들이 직접 제조한 폭탄도 성능이 양호하고 성공적이었다.
1920년 3월 중순, 김원봉은 혈기만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보고 의열단을 몇 개의 조로 나누어 무기 입수와 연구, 준비를 하기로 한다. 김원봉은 이성우, 곽재기 등과 함께 상하이로 가서 무기를 구입하기로 하고, 자금 조달책은 황상규, 윤세주, 김상윤(金相潤) 등이 소수의 청년들을 데리고 국내로 들어가서 활동하기로 정하였다. 지린성을 중심으로 한 의열단 근거지는 이종암에게 지휘책임을 맡기고 신철휴 등과 함께 지린성에서 조직을 돌보다가 적당한 시점에 입국하기로 정한다. 무기의 운반책은 이병철과 마산에 있던 배중세가 맡기로 하고, 무기를 인계받을 사람으로는 밀양 사람 김병환으로 정했다. 이들은 국내에 들어가 국내에서는 보다 많은 거사 동지들을 포섭하기로 계획을 세우고, 또다시 국내에 돌아가서 1개월 이내에 의거를 단행할 계획을 세운다. 그는 상하이에 체류하면서 연락으로 의열단원들을 시켜 상하이에서 입수한 폭탄 등을 연구하여 그 설계도를 만든 뒤 폭탄 제조에 활용하였다.
1919년 12월, 이미 불조계에서 입수했던 폭탄 중 일부는 만주의 우체국을 통해 조선과의 국경지대인 안둥 현의 중국 세관에 근무하는 영국인 포우인 앞으로 택배로 보내고, 상하이에서 다롄을 거쳐 기차로 안둥 현에 도착한 곽재기가 임시정부의 외무부차장이자 김원봉과 친하던 장건상의 서한을 포우인에게 증표로 보이고 이 소포를 찾아, 의열단의 안둥 현 비밀연락소를 후원던 이병철(李炳喆)이 운영하던 원보상회(元寶商會)에서 고량 수수 20가마니 속에 폭탄을 숨기고 일부는 길림 성의 본부로 보내고, 일부는 1920년 4월 12일 안둥역전의 택배 회사 의신공사를 통해 밀양에 있는 한 미곡상으로 보냈다. 보낸 폭탄은 4월 15일에 밀양으로 도착한다.
1920년 3월 중순, 신철휴 등이 국내에 잠입했다는 소식을 접한다. 이어 이종암은 다시 상하이로 돌아와 김원봉 등과 힘을 합쳐 폭탄 13개, 미제 권총 2자루 및 은제 탄환 100발과 몇 개의 소총을 프랑스 조계 오흥리에 살던 중국인 무기거래상 단익삼(段益三)에게 개당 230KRW을 주고 구입했다. 일설에는 임시정부의 별동대인 구국모험단이 가지고 있던 것을 의열단에서 가져간 것이라고도 한다. 이때 입수한 폭탄과 총의 일부는 택배로 이병철에게 보낸 뒤 쌀가마니에 숨겨서 밀양으로 보낸다. 수수 5가마니에 각각 나눠서 넣고, 다른 20여 가마니에도 분산시킨 뒤에 부산진역전의 김영국 운송점으로 보내고, 마산역전의 배중세 미곡상과 밀양역전 김병환 미곡상에 배달하고 일부는 진영역전 강원석 미곡상의 창고에 각각 보관케 했다. 동지들은 당초 계획대로 입국에 성공하였다.
1920년 5월, 계획이 지연되면서 김원봉은 이종암을 국내로 보내고 혼자 상하이에 남게 되었다. 5월 초 원보상회에 들린 이종암은 2월 말에 이병철이 국내로 보낸 폭탄 3개가 김병환의 집에서 밀양경찰서 경찰관들에게 발각되어 압수당했다는 소식을 접한다. 1차 검거에도 뒤에 보낸 폭탄 13개와 권총 2정과 탄환 등은 발각되지 않았고 따라서 지장은 없으리라 믿고 국내로 잠입한다. 이종암이 국내에 진입하자 배중세는 나머지 폭탄과 총기를 김병환에게 넘겼고, 김병환은 총독부의 눈을 피해 강원석 미곡상과 진영억전 근처 창원군 동면 무점리 강상진의 집에 운반, 은닉시키고 조선총독부 외 동양척식회사, 경성일보 등의 동태를 살피고 있었다.
김원봉은 이들과 전보와 전화로 비밀 교신을 하며 거사를 지휘했다. 그러나 1920년 6월 16일 곽재기, 이성우, 한봉근, 윤세주, 신철휴, 김기득 등 의열단의 간부 6명이 경성부 인사동에 있던 모 중국인 요리집 2층에서 거사를 논의하던 중, 경기도 경찰청 제3부의 김태석에게 매수당한 의열단원 배신자의 밀고로 모두 체포된다. 이들은 모두 재판에 회부되었고 징역 10년가량의 형기를 받고 투옥당했다. 사건이 발각되자 김원봉은 자신이 지시한 것임을 언론에 발표하고 이로써 의열단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발각되지 않은 폭탄들이 존재했고 이는 그해 말의 부산과 밀양에서 벌어질 거사용으로 사용된다. 재판이 진행되는 중 그는 검거되지 않은 다른 동지들과 연락하여 새로운 거사를 준비한다. 1920년 9월 14일 의열단원 박재혁은 부산경찰서 서장실에 폭탄을 던져 하시모토(橋本秀平) 서장을 살해하고 경찰서 직원들에게 중상을 입혔다. 12월 27일 밀양 출신 의열단원 최수봉이 밀양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했다.
1920년 6월, 의열단원들의 체포 소식을 접한 김원봉은 싱가포르에 체류 중이던 의열단원 박재혁을 급히 소환한다. 9월 초 박재혁은 상하이로 왔다. 박재혁을 만난 김원봉은 그에게 동지들의 복수를 위해 바로 부산으로 가게 하였다.
"박 동지! 지금 부산으로 가서 부산경찰서장을 죽이고 오시오. 그 자를 죽이되 그냥 죽일 것이 아니라 누구의 손에 무슨 까닭으로, 왜 죽지 않으면 안 되는지를 깨닫도록 단단히 그의 죄를 밝힐 필요가 있소."
1920년 9월 초순, 박재혁은 배편으로 부산항으로 갔다. 박재혁을 전송한 뒤로 그는 이 말 한마디가 살아서 돌아올 수도 있는 동지를 죽인 것은 아닌가 하며 오래 자책했다 한다. 박재혁은 일본 수송선을 타고 나가사키로 갔다. 여기서 시모노세키를 거쳐서 연락선으로 부산에 갈 생각이었으나 나가사키에 가서 보니 시모노세키를 거치지 않고도 쓰시마 섬의 이즈하라 항을 거쳐 부산항을 가는 배편이 있어서 바로 그 배편으로 부산항에 갔다. 박재혁은 입국 직전 그에게 편지 한 통을 보냈다.
"어제 나가사키에 무사히 도착했습니다. 거래가 뜻대로 순조롭게 잘 되고 있으니 이것이 여러분들의 염려 덕택인가 합니다. 초가을 바다 바람에 몸과 마음이 모두 즐겁습니다. 많은 이득을 거둘 수 있을 것 같습니다만, 다시는 당신의 모습을 볼 수 없을 것만 같습니다. 1920년 9월 4일 와담 드림"
9월 13일, 박재혁에게서 부산항 도착 소식을 접하였다. 박재혁은 가족들을 만난 뒤 14일 고서적 장수를 가장하여 골동품 수집이 취미인 부산경찰서장 하시모토를 면회 요청하였다. 하시모토는 순순히 면회에 응했고 박재혁은 고서적을 꺼내는 척 하다가 폭탄을 꺼내 던졌다. 서장과 현장에 있던 순사들과 비서진 등이 그 자리에서 중상을 입고, 서장은 부산의 병원으로 옮겨지던 중 죽었다. 나머지 순사들과 보조원들은 부상을 당하거나 불구가 되었다. 박재혁은 떠나지 않고 "나는 의열단원이다. 네놈들의 소행으로 이번에 우리 동지들이 구속되고 말할 수 없는 고초를 겪고 있다. 네놈들은 우리의 원수다. 죽어 마땅한 줄을 너희놈들도 잘 알고 있겠지"라고 외친 뒤 체포되었다. 박재혁은 체포 후 유치장에 옮겨졌다가 부산지법에서 사형 선고를 받고, 1921년 2월 14일 대구 복심법원에서 무기형을 언도받고 복역하다가, 고문 후유증, 폭탄 파편 등으로 인한 상처와 폐병으로 고통을 받던 중 단식으로 3월 12일에 옥사했다.
1920년 9월, 박재혁의 투탄 소식을 접한 의열단원 최수봉은 밀양경찰서에서 동지들을 많이 검거하였으므로 밀반입한 무기로 제2차 거사 계획을 세운다. 이어 12월에 밀양경찰서를 목표로 삼기로 하고 그에게 연락하였다. 1920년 12월 27일 월요일 아침 비밀리에 폭탄을 숨긴 뒤 밀양경찰서에 투척한다. 12월 27일 오전 9시 30분경 서장실에서 와타나베(度邊末次郞)가 순사 19명 등을 불러놓고 특별 순시를 할 때 최수봉은 창밖에서 수류탄을 던졌다. 이 중 한 발의 수류탄은 순사부장 조선인 남경오(南慶吾)에게 맞았으나 불발이었고, 한 발의 폭탄은 경찰서 본관의 사무기구를 파괴했다.
최수봉은 도주하다가 근처의 지인인 황석(黃錫)의 집에 숨어있다가 25cm 단도를 꺼내 자결하려고 배를 긋고 15cm를 그었으나 체포되었다. 바로 추격한 일본군에 의해 병원으로 후송된 뒤 치료, 1921년 4월 16일 대구복심법원 형사 2부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항소, 경성고법에서는 5월 23일에 사형이 집행되어 1921년 7월 8일 사형이 집행되었다. 이 사건으로 의열단원 한봉인과 부단장 양건호, 그밖에 이수택, 고인덕, 이원경, 김상윤, 구영필(김상윤 이하 미체포) 등이 이미 투옥, 복역 중이었으나 일본 경찰은 최수봉의 시신을 매장하려고 대기하던 청년들 수십여 명을 구속, 처벌하였다. 곳곳에서 의열단 색출로 여러 사람이 체포되자 김원봉은 부산경찰서 투탄과 밀양경찰서 투탄은 자신이 지시한 것임을 밝힌다.
1920년 5월 만주 봉천(奉天)의 광성연초공사(廣成煙草公司)의 기계감독으로 일하던 김익상은 천진, 상해, 광동, 북경 등지를 떠돌아다니다가 우연찮게 김창숙의 소개로 베이징에서 김원봉을 만났다. 처음 만난 자리에서 김원봉은 그의 손을 잡고 이렇게 말했다. '자유는 우리의 힘과 피로 얻어지는 것이오. 결코 남의 힘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오, 조선민족은 능히 적과 싸워 그들을 몰아낼 힘이 있소. 그러므로 우리는 앞장서서 민중을 각성시켜야 하오. 이것을 위해서 우리가 먼저 피를 흘려야 하는 것입니다.' 김익상은 눈을 크게 뜨고 그를 보았으나 특별히 웅변조로 말하는 것도 아니였고 또 용모가 남달리 뛰어나서 대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무슨 위압을 느끼게 하는 그런 사람도 아니였다. 그저 평범한 얼굴이고 평범한 말씨였을 뿐, 낯을 붉히거나 음성을 높여 하는 말도 아닌데도 깊이 감동하게 되었다. '우리가 먼저 피를 흘려야만 하겠다'는 약산의 말에 감동한 김익상은 바로 의열단에 가입하고 조선총독부 폭파계획에 스스로 자원하였다.
1921년 9월 10일, 김익상은 베이징을 출발, 일본어에 능했던 김익상은 학생복을 입고 일본인 학생으로 위장, 몸에는 폭탄과 권총이 각각 2개이며 폭탄 2개는 사타구니에 차고 나머지는 모두 트렁크 속에 숨겨두었다. 봉천과 안동을 거쳐 신의주로 들어오는 길이 일본경찰의 눈을 피해 열차안에서 만난 어린아이를 데리고 앉은 일본 여인에게 친숙하게 접근, 대학생 부부처럼 위장하여 무사히 국경을 넘어 서울역에 도착해서도 일본 여인의 어린아이를 안고 아빠처럼 행세하며 개찰구를 빠져나와 무사히 경성으로 들어왔다. 정거장에서 일본 여인과 헤어져 바로 이태원에 살던 동생 김준상(金俊相)의 집에 가, 동생집에서 의탁하고 있던 아내 송씨를 만났다.
1921년 9월 12일, 이날 9시경 김익상은 일본인 전기공으로 변장, 검은색 양복저고리에 흰 바지차림에 한쪽 어깨에 수리기구를 넣은 가방을 메고 진고개를 올라 전기공을 가장하여 총독부에 잠입, 비서실과 총독부 회계과에 폭탄을 던졌다. 비서과에 던진 폭탄은 불발이고, 회계과에 던진 폭탄은 사무실과 사무집기를 폭파시켰다. 김익상은 아수라장이 된 건물을 빠져나와 황금정(黃金町, 을지로4가)으로 빠져나와 전차를 타고 서대문과 창경원을 왕복하며 동정을 살피다가 다시 을지로 4가에 와서 일본인 목수들이 입는 '한땡'(はんてん)이라는 상의와 쫄바지 '모모히끼'(ももひき)를 사서 갈아입고 서빙고(西氷庫) 앞에서 전에 입던 검정 양복저고리와 흰 바지는 큰돌에 매달아 한강에 던진 뒤 새로산 한땡과 모모히끼로 일본인 목수로 위장, 강변길을 따라 용산 정거장에 가서 평양행 경의선 열차를 타고 출발했다. 김익상은 신의주에서 내려 압록강철교를 건너 1921년 9월 17일 베이징 정양문(正陽門)밖에 있던 김원봉과 동지들에게 돌아와 사건의 전말을 보고하였다.
1922년 겨울, 김원봉은 의열단원 김상옥, 안홍한(安弘翰), 오복영(吳福泳) 등에게 폭탄, 권총, 실탄 등 무기를 휴대하여 국내에 잠입시켰다. 경성에 잠입한 이들은 국내에서 활동하던 의열단원 김상환(金相煥, 다른 이름 김응환(金應煥)), 김한(金翰) 등과 연락하며 거사의 기회를 노리고 있던 중에 갑자기 종로경찰서 사건이 발생하여 취소하게 된다. 김상옥은 다시 1923년 1월 기회를 봐서 사이토 마코토 총독을 저격하려다가 실패한다.
1923년 1월 12일 오후 8시경, 김상옥과 김상환 등은 각각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던졌다. 종로경찰서를 크게 파괴하지는 못했지만 일본경찰에서는 현장에 있던 김상옥을 유력 용의자로 보고 추격, 시가지에서 총격전(銃擊戰)이 벌어졌다.
1923년 1월 17일, 김상옥은 총독 사이토가 일본으로 간다는 보도가 있어서 전에 사이토를 죽이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여 혼자 해치우려고 남대문역(현재의 경성역)에 나갔다가 시간이 맞지 않아 실패하고 돌아왔다. 그러나 일본 경찰의 추격을 받았다. 은신처까지 따라온 일본 경찰을 상대, 종로서 형사 다무라(田村長七)를 맞춘 뒤 추격하는 종로경찰서 이마세(今瀨太郞) 경부와 동대문서 우메다(梅田) 경부에게 중상을 입히고 맨발로 남산으로 도주 눈쌓인 남산을 넘어 왕십리로 빠져나온 김상옥은 안정사(安靜寺)라는 절로 달아났다. 달아나면서 적의 추격을 혼란스럽게 할 목적으로 일부러 짚신을 거꾸로 신고 뛰기도 했는데 안정사 스님에게는 도박을 하다가 경관에게 쫓기는 사람이라고 속이고 다음날 아침밥을 얻어 먹을 수 있었다.
배를 채운 뒤에는 피신처를 찾다가 동대문안 효제동 73번지에 있는 전부터 교회관계 일로 잘 알고 지내던 여자친구인 이혜수(李惠秀)의 집으로 찾아 들어가 몸을 숨겼다. 그러나 이혜수의 집을 수색하던 중 이혜수의 여동생 이요안이 그가 은신한 방문을 열어주었다. 김상옥은 도피하다가 다른 집으로 피신했으나 쫓아온 경찰들과 교전 중 사망했다. 이 일로 김상옥과 친분이 있던 전우진(全宇鎭), 안홍한(安弘翰), 김한(金翰, 의열단원), 이혜수(李惠秀, 김상옥의 여자친구), 서병두(徐丙斗), 정설교(鄭卨敎, 중학생), 신화수(申華秀, 불교대학생), 윤익중(尹益重, 동아일보 홍성지국장) 등이 체포되었다.
이종암은 밀양폭탄 사건 때 의열단원이였던 구 모의 밀고 때문에 거사 직전에 단원들이 일망타진된 적이 있어서 사람을 시켜 구 모를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 때에도 배후에서 왜경들에게 연락해 준 자가 있었기 때문에 이종암을 비롯하여 모두 12명이 안타깝게도 체포되어 버리고 말았다. 이 일로 의열단의 활동에 타격을 받게 되었다.
1924년, 사회주의운동과 노동대중운동이 급격히 성장하는 추세에 편성하여 의열단 고위 간부 출신으로 국내 서울청년회의 유력한 성원이였다가 상해에 들어와 ¨청년동맹회를 결성한 윤자영(尹滋英)에게 많은 젊은이들이 찾아갔고, 윤자영 등은 그의 노선을 비판하였으며 및 단원의 이탈과 자금의 부족으로 생활마져 궁핍한 지경에 다달아 의열단의 활동은 점차 쇠퇴하게 되었다. 1925년 2월에는 김원봉이 2월 20일과 21일 동아일보를 통해 사회주의자들을 비판하는 내용의 글을 실었다가 일부 문제가 되었다.
이후 의열단의 소수의 의열투쟁에 한계를 보이면서 그는 새로운 대책을 찾게 된다. 조선총독부 및 일제 요인 암살과 기관 파괴 등 무장 항일투쟁에서 벗어나 좀 더 조직적으로 군사조직 등 발전적 전략을 갖출 수 있도록 보다 더 조직적인 무장 항일투쟁을 위해서 장제스가 교장으로 있었고 국민당이 만든 광저우 황푸군관학교에 입교를 결심, 1926년 봄에 김원봉은 손두환, 김성숙과 함께 장개석 교장을 찾아가서 조선인 학도 병사의 중국군 사관학교 편입을 청하여 수락을 얻었다. 동시에 재학 중의 학비까지 전원 학교측에서 지급받도록 했다.
1926년 1월, 광주에 집결한 의열단원들을 소집, 총회를 개최하고 해산을 선언한다. 유자명(柳子明)을 비롯한 일부의 맹렬한 반대도 있었지만 약산은 그 준비단계로 결사적인 항일 군대를 편성하기로 마음먹고 민중을 무장시키기 전에 우선 자기 자신부터 무장하리라 생각하고 의열단 단장이라는 막중한 직책에 연연하지 않고 일개 생도로서 군관학교에 입학하여 군사교육을 받겠다고 선언했다.
그의 이러한 결단에 대해서 제일 반대의사를 보인 사람이 있었으니 그가 바로 밀양 하남 출신의 김상윤(金相潤:일명 金玉)이다. 김상윤과 그의 동화학교에서 동문으로 의열단 창단멤버의 한 사람이요, 황상규, 곽재기, 윤세주, 이성우 등과 함께 밀양폭탄사건에 자금책으로 참가하였다가 동지들이 검거된 뒤 경계망을 뚫고 중국으로 되돌아온 사람으로, 그의 능력과 명성을 누구보다도 아끼고 존경하는 마음에서 지금에 와서 그가 일개 군관학교 생도로 들어간다는 것은 조국의 독립을 염원하는 국내외의 모든 동포들에게 기대를 져버리는 일이 될 것이라고 극력 만류하였다.
김원봉은 그에게 군관학교를 졸업하고 다시 의열단 활동을 하자며 설득한다. 그러나 훗날 군관학교를 나온 약산은 김상윤의 간절한 소원을 들어주려 하지도 않고 동지들과 더불어 바로 북벌에 참가해 버리는 바람에 이를 비관한 김상윤은 복건성 천주에 있는 설봉사로 들어가 머리를 깍고 중이 되었다. 이때 해체된 의열단 단원들은 각자 자기 길을 가기로 하고 그를 최종적으로 따른 이는 24명이었다.
2. 4. 황포군관학교 재학 및 중국군 복무
1919년 신흥무관학교에서 6개월간 군사 교육을 받았으나 졸업 3개월을 남겨두고 중퇴하였다.[1] 교관 김경천에게 만주로 떠날 의사를 밝혔으나, 동기생들의 사기를 꺾을 것을 우려하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후 이시영을 찾아가 자퇴 의사를 밝히고 허락을 받아 신흥무관학교를 나왔다.의열단의 소수 의열 투쟁에 한계를 느껴 군대 조직에 의한 무장 투쟁 노선으로 전환, 1926년 황푸 군관학교에 4기로 입학하였다.[2] 장제스, 저우언라이 등과 친분을 쌓았으며, '최림'이라는 가명으로 활동했다. 군관학교에서 강도 높은 훈련을 소화하고 지식 및 공산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조선공산당재건동맹, 조선민족혁명당을 조직했다.[2]
1926년 10월 졸업 후 국민혁명군 소위로 임관되어 황포 군관학교 군관단에 배속되었다. 그와 의열단원들은 국민당 장교 신분으로 제1차 국공합작에 참여, 국민혁명(북벌)에도 가담하였다. 1927년 8월 저우언라이, 주더 등이 주도한 난창 봉기에 참여했다.
2. 5. 민족유일당 운동과 조선의용대 조직
1926년 가을 김원봉은 총회를 열어 혁명정당을 세워 운동해야 한다는 인식하에 의열단을 1935년 7월 민족혁명당으로 개편했다. 이어 민족주의적 강령과 정책을 채택하고 김원봉을 당수로, 김성숙·오성륜 등을 중앙위원으로 선출했다.[1]민족혁명당은 중앙집행위원회를 광저우에 두고 활동했으나, 1927년 국공 분열로 체제를 갖추기도 전에 유명무실해져 다시 의열단으로 환원되었다. 1927년 4월 김원봉은 상하이에서 광동혁명청년회, 무창혁명청년회, 북경혁명청년회, 상해한인청년회 대표를 모아 한국독립과 세계혁명의 이론과 실제적 전술을 토의 연구하고 그 실현을 기하기 위해 중국본부 한국청년동맹을 결성하였으나 국공분열로 인한 여파로 쉽게 해체되었다.
1937년 조선총독부의 정보기관 보고에 의하면 김원봉은 자신의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보다는 장쉐량 일파에게 더 많은 자금을 받고 있었다고 보고하였다.[18][19] 1937년 7월 10일, 중화민국 정부의 초청으로 피서지이자 중국 고관들의 회의 장소인 난징 서쪽의 루산(廬山)에 초대되었다. 루산에는 김구 등이 와 있었다. 초대에서 중국 정부측 대표자는 일본을 상대로 통일전선을 결성해야 한다고 설득하였다. 귀환하기 전 중국 정부 대표자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다.[20] 1938년 10월 1일에는 조선의용대를 결성하고 대장이 됐다.
조선의용대는 중일전쟁 이후 창설된 한인 부대로써 최고 대장은 약산 김원봉이었고, 창설시기 총 대원수는 97명이었다. 1938년 11월과 1939년 1월에 김원봉은 중국 국민당의 장제스와 임시정부의 백범 김구에게 두 사람의 연합을 요구하면서 연합전선을 구축하고자 했다. 이것은 1937년 중일전쟁이 본격화 되면서 전개된 제2차 국공합작의 연장선상이었다. 약산 김원봉이 이끄는 조선의용대는 항일전을 치르는 전방에서 대적선전공작과 유격전을 전개하고자 했고, 실제로 그러한 선전적 그리고 군사적 활동을 전개했다.
조선의용대는 엄밀히 따지자면 전투부대가 아니었다. 이들이 일차적으로 맡은 임무는 대적선전공작이었다. 이것은 일본군 병사들에게 반전과 염전의 정서를 주입하고 사기를 저하시켜 투항을 유도하는 작전이었으며, 일본군에 강제로 끌려온 조선청년들을 독립군 쪽으로 끌어오는 역할이었다. 이들은 주로 일본군 주둔지역 주민들에게 국제정세와 일본군의 만행에 대한 강연을 하고 창가를 가르쳐 반일분위기를 고취시키기도 했고, 일본어와 중국어로 된 소책자와 전단·삐라 등을 수십만 장씩 만들어 살포하고 일본군이 투항할 때 쓸 신변보호용 통행증을 만들어 배포하기도 했다. 물론 이들이 선전활동만 했던 것은 아니다. 이들 또한 중국군과 합동하여 일본군에 대한 기습 공격을 감행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1940년 3월 23일에는 매복전에서 일본군 탱크 2대와 차량 8대를 파괴하고 적군 30명 이상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리기도 했었다. 즉 이러한 유격전을 통해 일본군에게 군사적인 타격을 가했었다.


2. 6. 대한민국 임시정부 합류
1942년 김원봉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 광복군 부사령관이 되었다.[4] 같은 해 7월 중국 화북에서 조선독립동맹이 창설되자, 민족혁명당과 조선의용대 대원들 일부는 김원봉 곁을 떠나 독립동맹으로 건너갔다.[21] 1943년 박차정은 총상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1944년 장준하를 영입하려 했으나 거부당했다. 장준하는 '그가 미인계를 써서 현혹시키려 했다'고 비판하였다. 한편, 김원봉은 조선의용대를 탈퇴하고 연안으로 떠난 동지들과 꾸준히 연락하였다. 이에 이범석은 '김원봉 일파는 자기 세력 확충에 혈안이 되어 옌안(延安)과 내통을 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22]
1941년 3월 중순부터 5월 하순에 걸쳐 조선의용대 대부분이 황하를 건너 중국공산당 지역인 연안으로 진출하였다. 이는 중국 당국도 나중에 알았을 정도로 은밀하게 이루어졌으며, 조선의용대를 지원하던 중국 당국은 큰 충격을 받았다. 이 사건으로 김원봉에 대한 신임은 저하되었고, 김구와 김원봉을 통해 이루어지던 두 개의 지원 창구를 김구를 중심으로 하는 임시정부 측으로 단일화하게 되었다.
1942년 7월, 조선의용대는 광복군에 편입되었다. 이때 김원봉은 자신을 광복군 부사령으로 하고 편입되는 의용대를 제1지대가 되도록 요구하였다. 같은 해 겨울, 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력의 필요성으로 인해 인도 주둔 영국군 총사령부는 조선민족혁명당에 공작원 파견을 요청하였고, 김원봉은 최성오와 주세민을 인도에 파견하였다. 영국군은 파견된 두 사람의 활동에 만족하여 더 많은 인원을 요청하였고, 이는 인도·미얀마 전구 공작대가 파견되는 계기가 되었다.
1942년 12월 5일, 김원봉은 정식으로 광복군 총사령부 부사령 겸 제1지대장에 취임하였다. 그러나 후방 지역인 중경에 위치했고 조선민족혁명당이 임시정부에 참가함으로써 군사 활동보다 정치 활동에 주력했기 때문에 제1지대는 크게 발전하지 못하였다.
1944년 5월, 전투 후유증으로 부인 박차정이 사망하였다.
2. 7. 광복 후 귀국과 월북
1945년 12월 3일 김원봉은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제2진으로 귀국하였다. 1945년 9월 8일 여운형 등을 중심으로 한 조선인민공화국의 군사부장으로 선임되었으나, 조선인민공화국은 임시정부와 함께 미군정에 의해 부정되어 해산되었다.[23] 1946년 2월 조선공산당이 좌익 단결을 위해 민주주의민족전선을 결성하자, 김원봉은 2월 14일 민주주의민족전선 중앙위원 및 5명의 공동의장에 선출되어 추대되었다.1946년 7월 19일 김원봉은 좌우합작을 지지하며 여운형을 도왔다. 같은 해 7월 22일 박헌영이 민전 협의회 석상에서 좌우합작에 반대하며 5개항을 제시했고, 민전 회의에서 좌우합작 참여 여부는 표결로 결정되었다. 박헌영은 다수결에서 패배하자 5개항을 지지할 경우 합작을 지지하겠다고 제의했다.[24] 그러나 김원봉은 여운형과 함께 박헌영의 5개항에 반대하며, 5개항 중 토지몰수 조항, 행정권의 인민위원회 이양 조항, 입법기구 수립 반대 조항은 합작 반대로 비춰질 수 있으며 우익 측에서도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라며 수정을 요구했다.[24][25] 하지만 박헌영은 이를 듣지 않고 단독으로 5개항을 발표했다.
1947년 7월 좌우합작운동을 주도했던 여운형이 암살되자, 김원봉은 7월 25일 '광명일보', '노력인민' 등 좌익 계열 신문들에 '여운형의 유지를 받들어 미소공위를 성공시키자'고 호소했다.[26]
1948년 4월 남북협상 때 김원봉은 김구, 김규식, 박헌영, 리극로 등과 함께 남한 측 정치단체 대표의 한 사람으로 협상에 참여하였고, 그대로 북한에 남았다. 월북 이전에 김원봉은 자신이 중경에서 활동할 때 비서를 지냈던 사마로(司馬路)에게 '북조선은 그리 가고 싶지 않은 곳이지만 남한 지역의 정세가 너무 나쁘고 심지어 나를 위협하여 살 수가 없다'는 편지를 보내 자신의 월북이 어쩔 수 없었음을 피력하기도 했다.

김원봉의 월북에 대해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을 비롯한 진보성향 인물들은 친일파들의 탄압에 못이겨 월북하였다고 주장한다. 한편, 상해에서 김원봉과 대면한 황용주 전 사장은 김원봉의 월북에 대해 "민전이 흐지부지되고 좌우합작이 실패한 데 대한 실망에다 자기를 따르던 단원들이 거의 북쪽으로 돌아서 버린 점에 따른 동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이며 또 약산은 북행하기 전 박헌영을 자주 만나는 눈치였다며 아마 그의 북행에는 박헌영의 끈질긴 권유도 크게 작용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31]
1947년 3월 남조선노동당이 주도한 총파업과 관련하여 노덕술에게 체포되어 뺨을 맞는 등 고초를 겪었다. 석방 후, 1947년 7월 여운형 암살에 분노하여 「광명일보」, 「노력인민」 등에 애도문을 게재하고 여운형의 유지를 잇겠다고 호소했다. 1948년 남북연석회의 때 김구·김규식과 함께 북한을 방문한 후 한국으로 돌아오지 않고 그대로 체류하여 월북 인사가 되었고, 그 해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으로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에 참여했다. 1948년 9월, 북한 정권이 수립되면서 국가검열상에 임명되었다.
2. 8. 월북 후 행적과 숙청
1948년 8월 북조선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이 되었고,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내각 국가검열상이 되었다.[27]김일성이 한국 전쟁을 일으키려 하자, 김원봉은 전쟁을 반대하였다. 남침하여 두 달 안에 점령할 병력이 충분치 않아 미군이 참전할 것이고 남북이 서로 이득없이 수많은 사람이 희생당할 것이라는 조언을 했으나 김일성은 듣지 않았다. 결국 전쟁이 발발하여 김원봉의 형제 4명과 사촌동생 5명이 월북자의 가족이라는 이유로 대한민국 국군에 의해 총살당했고, 그의 아버지 김주익은 외딴 곳에 유폐되었다가 굶어 죽었다.[28]
한국 전쟁 당시 군사위원회 평안북도 전권대표로서 후방에서 북한군의 군량미를 생산하는 일에 기여하여 1952년 3월 1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로부터 노력훈장을 수여받았다. 5월에는 국가검열상에서 해임되고 내각 노동상으로 임명되었다. 1957년 8월 최고인민회의 제2기 대의원에 선출되어 상임위원회 부위원장에 선출되었다.
1954년 1월 25일 남파 간첩단 4명이 체포되었는데, 조사 결과 이들은 김원봉의 직접 지휘 아래 대한민국의 경제 혼란 및 선거 방해를 목적으로 남파된 것으로 밝혀졌다.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중앙위원 및 중앙위원회 상무위원직을 맡았으나 1956년 실각했다. 1958년 자신의 환갑을 기념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로부터 또 한 번 노력훈장을 수여받았다.[29] 1958년 10월 최고인민회의 상무위원 부위원장직에서 해임되었다.
이후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1964년 대한민국으로 탈북한 조선로동당 자강도당선전부장을 지낸 김남식은 김일성, 김영주 형제의 반 김일성 숙청에서 김원봉도 이 시기에 학살당했다고 말했다.[30]
김일성은 8월 종파 사건을 계기로 김일성 독재 체제를 확립하기 위하여 김일성파를 제외한 당시 북조선 체제 내의 마르크스주의, 민족주의 계열 인사 등을 숙청하기 시작했다. 김일성은 1958년 2월 8일 조선인민군 제234군부대 현지지도 중 <조선인민군은 항일무장투쟁의 계승자이다>라는 연설에서 '항일'의 최종 목표에 대하여 규정하며 김원봉 및 기타 민족주의 계열 인사들을 반체제적 인사로 규정하였다.[32]
북한의 김일성 정권은 1955년부터 자신의 체제를 정당화하기 위한 핵심적인 정치 담론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 초기 강조되었던 민주주의[33]를 폐기하고 스탈린 독재 방식으로 왜곡된 사회주의 담론을 유포시켰다. 북조선이 사회주의 노선으로 전진해나간다고 규정함으로 인하여 김원봉과 같은 민족주의계열 항일 인사들은 실각되어 영향력을 잃게 되었다.
김원봉은 1956년 8월 종파 사건을 계기로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원 및 중앙위원회 상무위원직에서 해임되었고, 1958년 10월 최고인민회의 상무위원 부위원장직에서 해임되어 모든 정치적 지위를 상실했다. 그 이후 탈북을 시도했지만 결국 체포되고 만다.
3. 논란과 의혹
김원봉은 1948년 북한으로 망명하여 한국 전쟁 당시 북한군 지휘관으로 활동한 사실 때문에 대한민국에서 여전히 논란의 인물로 남아 있다. 2019년 6월 6일, 문재인 대통령은 서울현충원에서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김원봉의 한국 독립 운동 활동을 칭찬했으나, 이 발언은 보수 정치인들의 강한 비판을 받았다.[5]
1920년 6월 16일, 곽재기, 이성우, 한봉근, 윤세주, 신철휴, 김기득 등 의열단 간부 6명이 배신자의 밀고로 체포되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김원봉은 자신이 사건을 지시했음을 언론에 발표하여 의열단의 존재를 알렸다. 그러나 발각되지 않은 폭탄들은 그해 말 박재혁의 부산경찰서 폭탄 투척, 최수봉의 밀양경찰서 폭탄 투척에 사용되었다.
1922년 김원봉은 다나카 기이치 일본 제국 육군대장 암살을 계획했다. 김익상, 오성륜, 이종암이 자원하여 작전에 참여했으나, 오성륜의 오발 사고와 김익상의 저격 실패, 수류탄 불발 등으로 암살은 실패했다.[39]
1945년 광복 후, 김원봉은 임시정부 특별정치위원회 중앙위원으로서 좌익 진영과 협상했으나 좌우 대립에 염증을 느껴 임시정부를 탈퇴했다. 1946년 2월 16일에는 민족주의민족전선의 공동의장에 추대되었으나, 이 역시 탈퇴했다.
1947년 3월 남조선노동당 주도의 총파업과 관련하여 노덕술에게 체포되어 뺨을 맞는 등 수모를 겪었다. 석방 후, 1947년 7월 여운형 암살에 분노하여 애도문을 발표하고 여운형의 유지를 잇겠다고 호소했다.
김원봉은 1948년 월북하여 김일성 정권에서 활동했다.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 등 진보 성향 인사들은 김원봉의 월북이 친일파 탄압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황용주 전 사장은 김원봉의 월북이 민족주의민족전선의 실패, 단원들의 월북, 박헌영의 권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추측했다.[31]
김일성은 8월 종파 사건을 계기로 김일성 독재 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마르크스주의, 민족주의 계열 인사 등을 숙청했다. 1955년부터 북한은 사회주의 노선을 강조하며 민족주의 계열 항일 인사들을 실각시켰다. 1958년 김원봉은 모든 정치적 지위를 상실하고 탈북을 시도했으나 체포되었다.
3. 1. 부인의 성병 사망 논란
정화암은 김원봉이 화류계에 출입했고 이때 얻은 병 때문에 그의 아내가 죽었다고 증언하였다.[1]정화암에 의하면 '영웅호색이라고, 김원봉이가 원래 호색을 했거든요. 그래서 화류병에 만신창이였지요. 그래서 그 부인(첫 번째 아내)이 완전히 성병으로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김두봉의 조카딸(박차정)도 마찬가지입니다."라고 증언하였다.[1] 다만 정화암은 약산에게 있어서 극히 반하는 자로써 그의 주장이 옳은지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 수 없다.
3. 2. 공산주의자 논란
김구는 이승만에게 보낸 편지에서 김원봉이 민족주의자라고 중국 당국을 속이고, 실제로는 팔로군으로 가려 한다고 비난했다. 또한 임시정부에 합류하려는 의도 역시 의정원을 장악하거나, 독립자금 모금을 방해하고, 그도 안되면 팔로군으로 가려는 속셈이라고 의심했다.[35] 독립운동가 민필호는 김원봉을 '교활한 공산주의자'라고 비난하였다.[36] 장준하는 김원봉이 조선민족혁명당을 조직하고 임시정부에 참여하려는 의도가 연립정부 내각에 참여하기 위한 것이라고 의심했다. 또한, 김원봉이 러시아 정부와 선전비를 교섭하고, 그 일부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정보가 일본 측에 알려진 적도 있다고 했다.[37]김원봉은 1948년 북한으로 망명하여 한국 전쟁 당시 북한군 지휘관으로 활동한 사실 때문에 대한민국에서 여전히 논란의 인물로 남아 있다. 2019년 6월 6일, 문재인 대통령은 서울현충원에서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김원봉의 한국 독립 운동 활동을 칭찬했으나, 이 발언은 보수 정치인들의 강한 비판을 받았다.[5]
1947년 3월 남조선노동당이 주도한 총파업과 관련하여 노덕술에게 체포되어 뺨을 맞는 등 수모를 겪고 석방된 후, 같은 해 7월 여운형이 암살되자 좌익 계열 잡지에 애도문을 게재하고 여운형의 유지를 잇겠다고 호소했다.
3. 3. 일본군 출신 이간질 논란
장준하는 김원봉이 일본군 탈영병과 학도병들 사이에서 이간질을 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장준하 일행이 김원봉의 포섭을 거절하자, 김원봉은 계속 사람을 보내 설득을 시도했는데, 이 과정에서 이간질을 획책했다는 것이다.[38] 장준하는 '김약산의 부하로 파견된 분견대장의 설득공작이 실패한 것을 알아차린 그들은 곧 우리에게 이간공작을 시작했다'고 말했다.장준하는 1945년 광복 직후에도 김원봉이 이간질을 획책했다고 주장했다. 광복군 대원들의 무지와 행패가 계속될 때, 김원봉이 이를 이용하여 '일본군 출신 부대로 하여금 임정이나 광복군에 대한 불신을 부채질하면서 그 어부지리를 노리는 계산'을 했다는 것이다.[38] 김원봉은 광복군 편입을 거절하고 버티던 일본군 출신 부대의 책임자 황모에게 이소민을 파견하여 광복군 제1지대로 끌어들일 공작을 했다고 한다.[38]
장준하는 '김원봉이 열심히 임정과 광복군에 대한 불신작용을 일본군 출신 부대에 가했다.'고 진술했다.[38]
3. 4. 암살과 강등 의혹
김원봉의 최후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일본인 학자 가지무라 히데키(梶村秀樹)는 '명예로운 은퇴를 했다'고 주장했고, 다른 설에 의하면 1958년 11월에 총살당했다고 한다. 대한민국에 간첩으로 남파되어 활동하다 전향한 소정자 등은 '강등되어 지방에 배치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1958년 11월 임정 파벌과 중국계열, 소련파 숙청의 틈바구니에서 '국제간첩' 혐의로 투옥 후 처형되었다는 설이 있다.조선의용대원 출신 김학철은 자살설을 제기했다. 김학철에 따르면 김원봉에게 국제간첩 혐의를 뒤집어씌운 것은 사실이며, 혹자는 약산이 대동강에 투신하였다고도 하지만, 자신이 알고 있기로는 체포된 뒤 감옥에서 자살하였다고 한다.
4. 대한민국 서훈 및 유공자 지정 논란
김원봉은 독립운동 활동을 하였지만, 광복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에 기여하고 최고위직에 올랐다는 이유로 현재까지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서훈 및 유공자 지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서훈 여부는 일본 제국에 항거하여 애국심을 고취하였거나 3·1 운동 등에 참여한 이력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심사하는데, 이 중 친일반민족 행위자는 물론 친북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에 기여한 인물은 국가보안법 및 국민정서 등을 고려하여 서훈 대상에서 제외된다. 김원봉의 경우 일제에 맞서 싸웠다는 이력이 있지만, 광복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에 기여하고 상훈 수여 이력까지 있어 국가보안법과 국민정서에 위배된다는 점 때문에 현재까지 서훈 여부가 논란이 되고 있다.[40][41]
2019년 3월, 피우진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장은 김원봉이 광복 후 친북 행위를 한 점은 있으나, 이전의 독립운동 이력을 토대로 서훈도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40][41] 그러나 자유한국당은 친북 인사를 대한민국 유공자로 지정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피우진 처장의 사과와 관직 사퇴를 요구했다.[42] 자유한국당은 김원봉이 해방 후 김일성의 앞잡이로 암약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에 기여한 친북 인사이기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서훈을 해야 한다고 논평했다.[43]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도 김원봉은 골수 공산주의자이므로 김원봉의 대한민국 서훈 및 유공자 지정을 반대했으며, 같은 당의 심재철 국회의원도 이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다.[44]
대한민국 재향군인회도 성명을 내고 김원봉은 김일성이 수립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에 앞장섰던 자이므로 대한민국 유공자 지정은 안 된다는 반대 입장을 밝혔다.[45]
한편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약산 김원봉 선생에 대한 평가는 온전히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46]
김원봉의 외조카인 김태영 씨는 언론 인터뷰에서 자유한국당과 나경원 원내대표의 발언은 사자(死者) 명예훼손죄와 동시에 극우세력 결집을 위한 망언이라고 주장하며, 삼촌은 생전에 오직 민족을 위해 독립운동을 했던 사람이었다고 평가했다.[47]
2019년 6월 6일, 문재인 대통령의 현충일 추념사를 두고 일각에서 김원봉을 재평가하고 서훈 대상자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으면서 정치권에 논란이 확산되었다.[48] 6월 10일, 청와대는 약산 김원봉의 서훈 여부에 대해 현재로서는 국가보훈처의 독립유공자 포상심사 조항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서훈 추진 여부도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49][50]
피우진 처장의 후임으로 취임한 박삼득 국가보훈처장은 현재로서는 약산 김원봉에 대한 서훈 추서 계획이 없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에 기여한 인물이기 때문에 법적 기준을 변경해도 서훈 추서 계획은 없을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51][52]
5. 평가
운암 김성숙은 김원봉에 대해 '약산은 좋은 사람이요, 능력은 별로 없는 사람이지만 사람은 굉장히 좋아요. 혁명 지조가 있는 사람이고, 그러나 학식은 없다.'고 평가했다. 또한 '굉장한 정열의 소유자였습니다. 동지들에 대해서도 굉장히 뜨거운 사람이었지요. 그는 자기가 만난 사람을 설복시키고 설득시켜 자기의 동지로 만들겠다고 결심하면 며칠을 두고 싸워서라도 모든 정열을 쏟아서 뜻을 이뤘지요. 그렇기 때문에 동지들이 죽는 곳에 뛰어들기를 겁내지 않았던 것이 아닙니까? 그만큼 남으로 하여금 의욕을 내게 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것이 김원봉의 가장 큰 능력이었습니다.'라고 평하였다.[34]
김원봉은 베이징과 톈진, 상하이를 오가며 의열단 등의 활동을 지도, 지휘하였다. 그는 냉정한 성격이었고, 개인주의적이었다. 아리랑의 김산에 의하면 '그는 냉정하고 두려움을 모르는 고전적인 유형의 테러리스트였으며 개인주의적인 사람이었다'고 한다. 다른 사람들은 잘 어울려 다녔지만 청년기 이후의 김원봉은 김약수, 이여성, 김두봉 등 소수를 제외하고는 별로 친하게 어울리지 않았다.
의열단의 동지였던 김성숙과 조선의용대원 김학철 등의 증언에 의하면 그는 굉장한 정열의 소유자였고 동지들에 대해서는 신뢰를 저버리지 않는 사람이라 한다. 그는 말을 할 때 목청을 높이지 않고 차분하게 말하였으며, 낯을 붉히거나 음성을 높이지는 않았지만 듣는 사람에게 와닿는 말을 하였고, 담담한 가운데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열정을 느끼게 했다 한다.
김원봉은 1948년 북한으로 망명하여 한국 전쟁 당시 북한군 지휘관으로 활동한 사실 때문에 대한민국에서 여전히 논란의 인물로 남아 있다. 2019년 6월 6일, 문재인 대통령은 서울현충원에서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김원봉의 한국 독립 운동 활동을 칭찬했다. 이 발언은 자유한국당 등 보수 정치인들의 강한 비판을 받았다.[5] [12]
6.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조부 | 김철화(金哲和) |
조모 | 천씨(千氏) |
숙부 | 김주오(金周五) |
사촌 | 김태근(金泰根) |
고모부 | 황상규(黃尙奎) |
고종사촌 | 황용암(黃龍岩) |
부친 | 김주익(金周益) |
생모 | 이경념(李京念) |
동생 | 김경봉(金景鳳, 1901년 - ?) |
계모 | 천연이(千蓮伊) |
이복 여동생 | 김복잠(1911년 - ?) |
이복 동생 | 김봉철(1918년 - 1986년) |
이복 동생 | 김봉기(1921년 - 1950년) |
이복 동생 | 김덕봉(1925년 - 1950년) |
이복 동생 | 김구봉(1928년 - 1950년) |
이복 여동생 | 김학봉(1932년 - 2019년) |
서모 | 박순남(朴順南) |
이복 동생 | 김춘봉(1909년 - ?) |
이복 동생 | 김용봉(1916년 - ) |
이복 동생 | 김익봉 (요절) |
부인 | 최씨(崔氏) |
부인 | 박차정(朴次貞, 1910년 5월 7일 ~ 1944년 5월 27일) |
부인 | 최동선(崔東仙) |
아들 | 김중근(金重根, 1945년 - ) |
아들 | 김철근 |
7. 상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로력훈장 (1952년, 1958년)
참조
[1]
백과사전
김원봉 (金元鳳)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3-07-21
[2]
서적
김구, 장보고, 앙드레김(Kim Gu, Jang Bo-Go, André Kim)
동아시아(East-Asia)
[3]
서적
Korea: A Historical and Cultur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6-03-20
[4]
서적
독립군의 길따라 대륙을 가다 [Following the Path of the Independence Army to the Continent]
지식산업사
[5]
뉴스
Defense ministry may record historical facts about Kim Won-bong
http://www.china.org[...]
The Korea Times
2019-06-06
[6]
웹사이트
김원봉(金元鳳)
http://encykorea.aks[...]
2022-07-18
[7]
웹사이트
조선어학자 김두봉 선생 조카 박차정
http://www.yangsanil[...]
2018-11-13
[8]
웹사이트
黄埔本校第四期歩一団歩五連学員姓名籍貫表
http://www.hoplite.c[...]
2016-03-26
[9]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
[10]
서적
대한민국의 기원
일조각
[11]
뉴스
동아일보
1964-01-29
[12]
웹사이트
「韓国勝利」の証しを消し去る 中国にへつらう文政権に国民は…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9-06-11
[13]
웹인용
[김원봉 서훈 논란②] 약산 김원봉은 北노동당 핵심 권력자?…오해와 사실들
https://news.naver.c[...]
2019-04-21
[14]
뉴스
어마어마한간첩단체포 김원봉이직접지휘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4-01-26
[15]
웹인용
탈북민이 증언한 숙청 연안파의 최후
http://weekly.chosun[...]
2019-04-21
[16]
뉴스
'빨갱이 두목' 김원봉, 왜 청산가리를 먹었나
http://www.ohmynews.[...]
2014-04-21
[17]
서적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도서출판 민음사
[18]
서적
대한민국의 기원
일조각
[19]
간행물
사상휘보 제14호
조선총독부고등법원사상부
[20]
서적
대한민국의 기원
일조각
[21]
서적
조선로동당연구(역비한국학연구총서 7)
역사비평사
[22]
서적
돌베개
도서출판 세계사
[23]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1권
[24]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2권
인물과사상사
[25]
서적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26]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2권
인물과사상사
[27]
뉴스
김일성내각 組閣을 완료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48-09-11
[28]
서적
약산 김원봉 평전
시대의창
[29]
서적
김구, 장보고, 앙드레김
동아시아
[30]
뉴스
김원봉)등수천명)을학살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4-01-29
[31]
뉴스
의열단 창설한 항일무장투쟁의 "상징"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0-06-22
[32]
서적
김일성선집 제5권
조선로동당출판사
[33]
논문
[34]
서적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도서출판 민음사
[35]
서적
世紀를 넘어서 : 海史 李元淳 自傳
新太陽社
[36]
서적
김구, 장보고, 앙드레김
동아시아
2006
[37]
영상
[시사기획 창] '밀정' 2부. 임시정부를 파괴하라
https://vod.kbs.co.k[...]
KBS
2019-08-20
[38]
서적
돌베개
도서출판 세계사
2005
[39]
뉴스
田中大將에게 爆彈; 이십팔일 오후 상해부두에서 조션인이 폭탄으로 암살코자, 犯人二名 現場逮捕
동아일보
1922-03-30
[4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news.naver.c[...]
2019-03-27
[4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news.naver.c[...]
2019-03-27
[42]
웹인용
나경원 "김원봉 서훈, 자유민주주의 뿌리 뽑는 셀프적화"
https://news.naver.c[...]
2019-03-27
[43]
웹인용
“김원봉 서훈 北에서 받아라”…한국당, ‘피우진 사퇴’ 촉구
http://www.mediapen.[...]
2019-04-02
[44]
웹인용
'밀양사람' 약산 김원봉 성토장 된 한국당 회의
https://news.naver.c[...]
2019-03-27
[45]
웹인용
의열단장 김원봉, 독립유공자 지정 놓고 논란
https://news.naver.c[...]
[46]
웹인용
약산 김원봉 선생을 온전히 평가해야 합니다.
https://twitter.com/[...]
2019-03-27
[4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news.tf.co.kr[...]
2019-04-09
[48]
웹인용
[칼럼] 김원봉의 조국은 어디인가?
https://n.news.naver[...]
2019-06-10
[49]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50]
웹인용
청와대 "김원봉 서훈 추진 안해…논란 여지 없다"
https://news.naver.c[...]
2019-06-10
[5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news.v.daum.[...]
2019-08-22
[52]
웹인용
보훈처장 "김원봉, 현재 기준상 독립유공자 서훈 불가"
https://news.naver.c[...]
2019-08-22
[53]
뉴스
반세기만에 ‘친북 누명’ 벗은 독립투사 동생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0-07-14
[54]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