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은 1929년 이탈리아 배구 연맹 설립 이후, 1947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했다. 1978년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 획득 이후 강호로 발돋움하여, 훌리오 벨라스코 감독 시기인 1990년대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 기간 동안 1990년과 1994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1995년 월드컵 우승, 1993년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우승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올림픽에서는 1984년, 2000년, 2012년에 동메달, 1996년, 2004년, 2016년에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0년대 초반까지 세계 랭킹 3위 이내를 유지했으나, 세대교체 실패로 부진을 겪기도 했다. 이후 2021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 202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국가대표팀 - 이탈리아 농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농구 국가대표팀은 FIBA 창립 회원국으로서 올림픽 은메달 2회와 유러바스켓 우승 2회를 기록하며 국제 무대에서 활약해왔고, 현재는 잔마르코 포체코 감독이 이끌고 있다. - 이탈리아의 국가대표팀 - 이탈리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20년대에 창설되어 국제 대회에 참가해 왔으며,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최고 9위와 1부 리그 진입을 기록했으나 현재는 디비전 I A에 속해 있다. - 국제 배구 - 스페인 배구 국가대표팀
스페인 배구 국가대표팀은 스페인을 대표하여 국제 배구 대회에 참가하는 남자 배구 팀으로, 월드 리그와 유러피언 리그에서 경쟁력을 다져왔다. - 국제 배구 - 러시아 배구 국가대표팀
러시아 배구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 국제 배구계의 강자로 군림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배구 연맹으로부터 대회 참가 금지 조치를 받았다.
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Gli Azzurri (푸른 전사들) |
연맹 | 이탈리아 배구 연맹 |
웹사이트 | federvolley.it |
대륙 연맹 | 유럽 배구 연맹 |
감독 | 페르디난도 데 조르지 |
올림픽 | |
출전 횟수 | 13 |
첫 출전 | 1976 |
최고 성적 | [[File:Silver medal.svg|16px]] (1996, 2004, 2016) |
세계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19 |
첫 출전 | 1949 |
최고 성적 | [[File:Gold medal world centered-2.svg|16px]] (1990, 1994, 1998, 2022) |
월드컵 | |
출전 횟수 | 8 |
첫 출전 | 1989 |
최고 성적 | [[File:Simple gold cup.svg|16px]] (1995) |
유럽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29 |
첫 출전 | 1948 |
최고 성적 | [[File:Gold medal europe.svg|16px]] (1989, 1993, 1995, 1999, 2003, 2005, 2021) |
유니폼 | |
![]() | |
![]() | |
![]() | |
메달 기록 | |
올림픽 | 금: 0, 은: 3, 동: 3 |
세계 선수권 대회 | 금: 4, 은: 1, 동: 0 |
월드컵 | 금: 1, 은: 3, 동: 1 |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 금: 1, 은: 1, 동: 2 |
월드 리그 | 금: 8, 은: 3, 동: 4 |
네이션스 리그 | 금: 0, 은: 0, 동: 0 |
유럽 선수권 대회 | 금: 7, 은: 4, 동: 3 |
유니버시아드 | 금: 3, 은: 1, 동: 5 |
지중해 게임 | 금: 7, 은: 2, 동: 2 |
굿윌 게임 | 금: 1, 은: 0, 동: 0 |
2. 역사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탈리아는 1978년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을 계기로 강호로 떠올랐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4][5]하며 올림픽 첫 메달을 기록했고, 이후 소련 붕괴와 함께 1990년대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세리에 A 선수들의 활약으로 세계 배구 선수권 대회 3연패를 비롯해 월드컵, 월드리그,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수많은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최강팀으로 군림했다.
하지만 올림픽에서는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은메달[3][6],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동메달[7][8],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은메달[9][10] 등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2. 1. 연맹 창설 및 초기 (1929년 ~ 1970년대)
1929년에 이탈리아 배구 연맹이 설립되었다. 1947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했다.[2] 이탈리아가 처음으로 획득한 메달은 1948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획득한 동메달[3][4]이지만, 강팀으로 도약한 것은 자국에서 개최된 197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이후인 1980년대부터이다.2. 2. 벨라스코 감독과 황금기 (1980년대 ~ 1990년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이탈리아는 소련 및 동유럽 국가들의 보이콧에도 불구하고 동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첫 메달을 기록했다.[4][5]1989년, 훌리오 벨라스코가 이탈리아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했다.[1] 그는 선수 개개인의 전문성보다는 팀 전체의 단결, 즉 "스퀘어" 개념을 강조했다. 꼼꼼하고 엄격한 훈련 방식을 통해 팀을 이끌었으며, 부임 첫 해인 1989년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이끌었다.[1]
벨라스코 감독 체제하에 이탈리아 대표팀은 세계 배구를 제패하며 황금기를 맞이했다.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대회 | 성적 |
---|---|
1990년 세계 선수권 대회 | 우승 |
1990년 굿윌 게임 | 우승 |
1990년 월드 리그 | 우승 |
1991년 월드 리그 | 우승 |
1991년 지중해 게임 | 우승 |
1992년 월드 리그 | 우승 |
1993년 그랜드 챔피언스컵 | 우승 |
1994년 월드 리그 | 우승 |
1994년 세계 선수권 대회 | 우승 |
1995년 월드 리그 | 우승 |
1996년 올림픽 | 은메달[3][6] |
1996년 올림픽 은메달을 끝으로 벨라스코 감독은 사임했다.[1]
벨라스코 감독 시절, 이탈리아 대표팀은 조르지, 안드레아 가르디니, 지아니, 베르나르디, 그라비나, 브라치, 토폴리, 루케타, 파피, 파시나토, 메오니 등 이른바 "황금 세대" 선수들을 중심으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1]
2. 3. 혼란기와 재도약 (2000년대 ~ 현재)
2000년대 초반까지 이탈리아는 국제 배구 연맹(FIVB) 랭킹 3위 이내를 유지하며 세계적인 강팀으로 군림했다.[11]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준결승에서 유고슬라비아에 패했지만, 3위 결정전에서 아르헨티나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7][8]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결승에서 브라질에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9][10]그러나 아테네 올림픽 이후 세대교체에 실패하면서 이탈리아는 부진에 빠졌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3위 결정전에서 러시아에 3-0으로 패하며 4개 대회 만에 올림픽 메달 획득에 실패했고,[15][16] 2009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도 10위에 그쳤다.
이후 이탈리아는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4위, 2011년 유럽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11년 월드컵 4위 등 조금씩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3위 결정전에서 불가리아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하며 다시 한번 세계 무대에 이름을 알렸다.[17][18]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8강에서 아르헨티나에 패하며 7개 대회 만에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3. 주요 국제 대회 성적
이탈리아는 1948년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3][4] 197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강호로 부상했고,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세계적인 강팀으로 성장했다.
1990년대에는 세계 배구 선수권 대회 3연패, 월드컵, 월드리그,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유럽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를 석권하며 전성기를 누렸다. 그러나 올림픽에서는 금메달과 인연을 맺지 못하고 은메달과 동메달에 머물렀다.
2000년대 초반까지 FIVB 랭킹 상위권을 유지했지만,[11] 세대 교체 실패로 부진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 다시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4위, 2011년 유럽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12년 런던 올림픽 동메달 등을 기록하며 재도약했다.
이탈리아는 여러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강세를 보였다. 주요 국제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대회 | 우승 | 준우승 | 3위 |
---|---|---|---|
올림픽 | 0 | 3 | 3 |
세계 선수권 대회 | 4 | 1 | 0 |
월드컵 | 1 | 3 | 1 |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 1 | 0 | 2 |
월드리그 | 8 | 3 | 4 |
유럽 선수권 대회 | 7 | 5 | 3 |
3. 1. 올림픽
올림픽 기록 | ||||||||
---|---|---|---|---|---|---|---|---|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세트 득 | 세트 실 | 선수 명단 |
1964 | 예선 탈락 | |||||||
1968 | 예선 탈락 | |||||||
1972 | 예선 탈락 | |||||||
1976 | 1라운드 | 8위 | 5 | 0 | 5 | 2 | 15 | |
1980 | 1라운드 | 9위 | 5 | 2 | 3 | 5 | 11 | |
1984 | 준결승 | 동메달 | 6 | 4 | 2 | 14 | 7 | |
1988 | 1라운드 | 9위 | 7 | 4 | 3 | 13 | 13 | |
1992 | 8강 | 5위 | 7 | 5 | 2 | 18 | 8 | |
1996 | 결승 | 은메달 | 8 | 7 | 1 | 23 | 5 | |
2000 | 준결승 | 동메달 | 8 | 7 | 1 | 21 | 8 | |
2004 | 결승 | 은메달 | 8 | 5 | 3 | 20 | 11 | |
2008 | 준결승 | 4위 | 8 | 5 | 3 | 17 | 14 | |
2012 | 준결승 | 동메달 | 8 | 5 | 3 | 16 | 13 | |
2016 | 결승 | 은메달 | 8 | 6 | 2 | 19 | 10 | |
2020 | 8강 | 6위 | 6 | 4 | 2 | 14 | 10 | |
2024 | 준결승 | 4위 | 6 | 4 | 2 | 12 | 10 | |
2028 | 향후 경기 | |||||||
2032 | 향후 경기 | |||||||
합계 | - | 16회 중 13회 | 90 | 58 | 32 | 194 | 135 | — |
이탈리아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동메달[4][5]을 획득했고,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결승에서 네덜란드에 패해 은메달[3][6]을 획득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준결승에서 유고슬라비아에 패했지만, 3위 결정전에서 아르헨티나를 꺾고 동메달[7][8]을 땄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결승에서 브라질에 패해 은메달[9][10],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3위 결정전에서 불가리아를 이기고 동메달[17][18],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처럼 이탈리아는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금메달은 아직 획득하지 못했다.
3. 2. 세계 선수권 대회
세계 선수권 대회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 승리 | 패배 | 세트 득점 | 세트 실점 | 선수단 |
1949 | 1라운드 | 8위 | 5 | 2 | 3 | 8 | 9 | |
1952 | 예선 탈락 | |||||||
1956 | 1라운드 | 14위 | 10 | 6 | 4 | 22 | 14 | |
1960 | 예선 탈락 | |||||||
1962 | 1라운드 | 14위 | 11 | 5 | 6 | 19 | 23 | |
1966 | 1라운드 | 16위 | 11 | 2 | 9 | 9 | 31 | |
1970 | 1라운드 | 15위 | 11 | 3 | 8 | 23 | 28 | |
1974 | 1라운드 | 19위 | 11 | 7 | 4 | 24 | 14 | |
1978 | 결승 | 2위 | 10 | 8 | 2 | 24 | 12 | |
1982 | 1라운드 | 14위 | 10 | 8 | 2 | 24 | 12 | |
1986 | 2라운드 | 11위 | 8 | 3 | 5 | 14 | 18 | |
1990 | 결승 | 1위 | 7 | 6 | 1 | 18 | 7 | |
1994 | 결승 | 1위 | 7 | 6 | 1 | 20 | 6 | |
1998 | 결승 | 1위 | 12 | 11 | 1 | 33 | 7 | |
2002 | 8강 | 5위 | 9 | 6 | 3 | 23 | 14 | |
2006 | 2라운드 | 5위 | 11 | 8 | 3 | 28 | 13 | |
2010 | 준결승 | 4위 | 10 | 8 | 2 | 26 | 12 | |
2014 | 2라운드 | 13위 | 9 | 3 | 6 | 14 | 22 | |
2018 | 3라운드 | 5위 | 10 | 8 | 2 | 26 | 11 | |
2022 | 결승 | 1위 | 7 | 7 | 0 | 21 | 4 | |
2025 | 진출 확정 | |||||||
합계 | 4회 우승 | 19/21 | 169 | 107 | 62 | 376 | 257 | — |
1990 | |
---|---|
안드레아 아나스타시, 로렌초 베르나르디, 마르코 브라치, 루카 칸타갈리, 페르디난도 데 조르지, 안드레아 가르디니, 안드레아 지아니, 안드레아 루케타, 마르코 마르티넬리, 로베르토 마시아렐리, 파올로 토폴리, 안드레아 조르지. 감독: 훌리오 벨라스코 | |
1994 -- 금메달 | |
로렌초 베르나르디, 마르코 브라치, 루카 칸타갈리, 안드레아 가르디니, 안드레아 지아니, 페르디난도 데 조르지, 자코모 지레토, 파스콸레 그라비나, 사무엘레 파피, 다미아노 피피, 파올로 토폴리, 안드레아 조르지. 감독: 훌리오 벨라스코 | |
1998 -- 금메달 | |
마르코 브라치, 미르코 코르사노, 알레산드로 페이, 안드레아 가르디니, 안드레아 지아니, 페르디난도 데 조르지, 파스콸레 그라비나, 마르코 메오니, 사무엘레 파피, 미켈레 파시나토, 시모네 로잘바, 안드레아 사르토레티. 감독: 베베토 | |
2022 -- 금메달 | |
시모네 안자니, 파비오 발라소, 마티아 보톨로, 잔루카 갈라시, 시모네 잔넬리, 다니엘레 라비아, 알레산드로 미키엘레토, 레안드로 모스카, 줄리오 피날리, 프란체스코 레치네, 유리 로마노, 로베르토 루소, 리카르도 스베르톨리, 레오나르도 스칸페를라. 감독: 페르디난도 데 조르지 |
3. 3. 월드컵
월드컵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세트 득 | 세트 실 | 소집 명단 |
1965 | 예선 탈락 | |||||||
1969 | ||||||||
1977 | ||||||||
1981 | - | 7위 | 7 | 1 | 6 | 9 | 18 | 소집 명단 |
1985 | 예선 탈락 | |||||||
1989 | - | 2위 | 7 | 6 | 1 | 20 | 5 | 소집 명단 |
1991 | 예선 탈락 | |||||||
1995 | - | 1위 | 11 | 11 | 0 | 33 | 3 | 소집 명단 |
1999 | - | 3위 | 11 | 8 | 3 | 26 | 14 | 소집 명단 |
2003 | - | 2위 | 11 | 9 | 2 | 29 | 8 | 소집 명단 |
2007 | 예선 탈락 | |||||||
2011 | - | 4위 | 11 | 8 | 3 | 28 | 15 | 소집 명단 |
2015 | - | 2위 | 11 | 10 | 1 | 30 | 8 | 소집 명단 |
2019 | - | 7위 | 11 | 5 | 6 | 14 | 19 | 소집 명단 |
2023 | 예선 탈락 | |||||||
합계 | 1회 우승 | 8/14 | 80 | 58 | 22 | 189 | 90 | - |
1995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1989년, 2003년, 2015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3. 4.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기록 (폐지) | |||||||||
---|---|---|---|---|---|---|---|---|---|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세트 득점 | 세트 실점 | 선수 명단 | |
1993 | - | 1위 | 5 | 5 | 0 | 15 | 4 | 선수 명단 | |
1997 | 불참 | ||||||||
2001 | |||||||||
2005 | - | 3위 | 5 | 3 | 2 | 11 | 6 | 선수 명단 | |
2009 | 불참 | ||||||||
2013 | - | 3위 | 5 | 2 | 3 | 12 | 10 | 선수 명단 | |
2017 | - | 2위 | 5 | 4 | 1 | 14 | 8 | 선수 명단 | |
총합 | 1회 우승 | 4/7 | 20 | 14 | 6 | 52 | 28 | - |
- 1993 — -- '''금메달'''
- : 브라치, 갈리, 가르디니, 지아니, 그라비나, 조르지, 칸타갈리, 벨리니, 피피, 파시나토, 베르나르디. 감독: 벨라스코
3. 5. 월드 리그 / 네이션스 리그
'''우승''' 준우승 3위 4위월드 리그 기록 (폐지) | |||||||
---|---|---|---|---|---|---|---|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세트 획득 | 세트 손실 |
1990 | 결승 | 1위 | 14 | 11 | 3 | 37 | 21 |
1991 | 결승 | 1위 | 18 | 16 | 2 | 52 | 16 |
1992 | 결승 | 1위 | 18 | 16 | 2 | 50 | 17 |
1993 | 준결승 | 3위 | 22 | 20 | 2 | 62 | 17 |
1994 | 결승 | 1위 | 16 | 12 | 4 | 38 | 19 |
1995 | 결승 | 1위 | 17 | 14 | 3 | 45 | 19 |
1996 | 결승 | 2위 | 17 | 14 | 3 | 45 | 19 |
1997 | 결승 | 1위 | 17 | 14 | 3 | 47 | 17 |
1998 | 결선 라운드 | 4위 | 15 | 7 | 8 | 27 | 26 |
1999 | 결승 | 1위 | 16 | 12 | 4 | 42 | 20 |
2000 | 결승 | 1위 | 18 | 13 | 5 | 44 | 33 |
2001 | 결승 | 2위 | 17 | 12 | 5 | 41 | 24 |
2002 | 준결승 | 4위 | 17 | 14 | 3 | 44 | 19 |
2003 | 준결승 | 3위 | 17 | 10 | 7 | 37 | 27 |
2004 | 결승 | 2위 | 15 | 9 | 6 | 34 | 22 |
2005 | 1라운드 | 7위 | 12 | 6 | 6 | 22 | 26 |
2006 | 2라운드 | 6위 | 16 | 7 | 9 | 32 | 31 |
2007 | 1라운드 | 9위 | 12 | 4 | 8 | 19 | 30 |
2008 | 1라운드 | 7위 | 12 | 8 | 4 | 30 | 22 |
2009 | 1라운드 | 7위 | 12 | 8 | 4 | 27 | 17 |
2010 | 2라운드 | 6위 | 14 | 9 | 5 | 35 | 21 |
2011 | 2라운드 | 6위 | 15 | 11 | 4 | 35 | 18 |
2012 | 1라운드 | 11위 | 12 | 5 | 7 | 23 | 28 |
2013 | 준결승 | 3위 | 14 | 10 | 4 | 35 | 23 |
2014 | 준결승 | 3위 | 16 | 9 | 7 | 33 | 25 |
2015 | 2라운드 | 5위 | 14 | 7 | 7 | 26 | 31 |
2016 | 준결승 | 4위 | 13 | 7 | 6 | 25 | 20 |
2017 | 1라운드 | 12위 | 9 | 2 | 7 | 13 | 23 |
총계 | 8회 우승 | 28/28 | 425 | 287 | 138 | 1000 | 631 |
네이션스 리그 기록 | |||||||
---|---|---|---|---|---|---|---|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세트 획득 | 세트 손실 |
2018 | 1라운드 | 8위 | 15 | 8 | 7 | 31 | 28 |
2019 | 1라운드 | 8위 | 15 | 8 | 7 | 33 | 29 |
2020 | |||||||
2021 | 1라운드 | 10위 | 15 | 6 | 9 | 21 | 34 |
2022 | 준결승 | 4위 | 16 | 11 | 5 | 38 | 21 |
2023 | 준결승 | 4위 | 15 | 9 | 6 | 33 | 25 |
총계 | 0회 우승 | 5/5 | 76 | 42 | 34 | 156 | 137 |
3. 6. 유럽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기록 | ||||||||
---|---|---|---|---|---|---|---|---|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세트 획득 | 세트 손실 | 선수 명단 |
1948년 | - | 3위 | 5 | 3 | 2 | 11 | 6 | 선수 명단 |
1950년 | 예선 탈락 | |||||||
1951년 | 1라운드 | 8위 | 5 | 2 | 3 | 8 | 9 | 선수 명단 |
1955년 | 1라운드 | 9위 | 7 | 5 | 2 | 15 | 8 | 선수 명단 |
1958년 | 1라운드 | 10위 | 11 | 8 | 3 | 26 | 19 | 선수 명단 |
1963년 | 1라운드 | 10위 | 11 | 8 | 3 | 24 | 15 | 선수 명단 |
1967년 | 결선 라운드 | 8위 | 10 | 3 | 7 | 11 | 25 | 선수 명단 |
1971년 | 1라운드 | 8위 | 8 | 6 | 2 | 21 | 10 | 선수 명단 |
1975년 | 1라운드 | 10위 | 7 | 2 | 5 | 8 | 17 | 선수 명단 |
1977년 | 1라운드 | 8위 | 7 | 3 | 4 | 12 | 16 | 선수 명단 |
1979년 | 결선 라운드 | 5위 | 7 | 3 | 4 | 13 | 14 | 선수 명단 |
1981년 | 1라운드 | 7위 | 7 | 5 | 2 | 15 | 9 | 선수 명단 |
1983년 | 결선 라운드 | 4위 | 7 | 4 | 3 | 16 | 16 | 선수 명단 |
1985년 | 결선 라운드 | 6위 | 7 | 1 | 6 | 10 | 18 | 선수 명단 |
1987년 | 1라운드 | 9위 | 7 | 3 | 4 | 14 | 14 | 선수 명단 |
1989년 | 결승 | 1위 | 7 | 6 | 1 | 20 | 7 | 선수 명단 |
1991년 | 결승 | 2위 | 7 | 6 | 1 | 18 | 7 | 선수 명단 |
1993년 | 결승 | 1위 | 7 | 7 | 0 | 21 | 5 | 선수 명단 |
1995년 | 결승 | 1위 | 7 | 6 | 1 | 19 | 6 | 선수 명단 |
1997년 | 준결승 | 3위 | 7 | 5 | 2 | 15 | 8 | 선수 명단 |
1999년 | 결승 | 1위 | 5 | 4 | 1 | 13 | 5 | 선수 명단 |
2001년 | 결승 | 2위 | 7 | 4 | 3 | 14 | 10 | 선수 명단 |
2003년 | 결승 | 1위 | 7 | 7 | 0 | 21 | 4 | 선수 명단 |
2005년 | 결승 | 1위 | 7 | 6 | 1 | 19 | 8 | 선수 명단 |
2007년 | 2라운드 | 6위 | 6 | 4 | 2 | 14 | 11 | 선수 명단 |
2009년 | 2라운드 | 10위 | 6 | 2 | 4 | 8 | 12 | 선수 명단 |
2011년 | 결승 | 2위 | 6 | 4 | 2 | 15 | 8 | 선수 명단 |
2013년 | 결승 | 2위 | 6 | 4 | 2 | 15 | 9 | 선수 명단 |
2015년 | 준결승 | 3위 | 7 | 5 | 2 | 18 | 7 | 선수 명단 |
2017년 | 8강 | 5위 | 5 | 3 | 2 | 11 | 6 | 선수 명단 |
2019년 | 8강 | 6위 | 7 | 5 | 2 | 16 | 9 | 선수 명단 |
2021년 | 결승 | 1위 | 9 | 9 | 0 | 27 | 5 | 선수 명단 |
2023년 | 결승 | 2위 | 9 | 8 | 1 | 24 | 7 | 선수 명단 |
총합 | 7회 우승 | 228 | 151 | 77 | 430 | 330 | - |
- - 1989년 우승: 아나스타시, 베르나르디, 브라치, 칸타갈리, 데 조르지, 가르디니, 루케타, 마르구티, 마시아렐리, 파사니, 토폴리, 조르지. 코치: 벨라스코
- - 1993년 우승: 벨리니, 브라치, 칸타갈리, 갈리, 가르디니, 지아니, 그라비나, 마르티넬리, 파시나토, 피피, 토폴리, 조르지. 코치: 벨라스코
- - 1995년 우승: 베르나르디, 보볼렌타, 브라치, 칸타갈리, 가르디니, 지아니, 그라비나, 메오니, 파피, 파시나토, 토폴리, 안드레아 조르지. 코치: 벨라스코
- - 1999년 우승: 브라치, 코르사노, 가르디니, 지아니, 지옴비니, 그라비나, 메오니, 마스트란젤로, 파피, 로살바, 사르토레티, 토폴리. 코치: 아나스타시
- - 2003년 우승: 비리반티, 체르니치, 코치, 페이, 지아니, 마스트란젤로, 메오니, 파피, 피피, 사르토레티, 사바니, 베르밀리오. 코치: 몬탈리
- - 2005년 우승: 체르니치, 치솔라, 코르사노, 코치, 페이, 워스코, 마스트란젤로, 파파로니, 사바니, 신티니, 텐카티, 베르밀리오. 코치: 몬탈리
- - 2021년 우승: 안자니, 발라소, 보톨로, 코르테시아, 갈라시, 지아넬리, 라비아, 미키엘레토, 피치넬리, 피날리, 리치, 레치네, 로마노, 스베르톨리. 코치: 데 조르지
4. 역대 감독
다음은 이탈리아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역대 감독 목록이다.[1]
감독 | 재임 기간 |
---|---|
피에트로 베르나르디 | 1947 |
안젤로 코스타 | 1947-1949 |
렌초 델 키카 | 1949-1953 |
이반 트르나이스틱 | 1953-1966 |
요세프 코작 | 1966-1969 |
오도네 페데르조니 | 1969-1974 |
오도네 페데르조니 & 요세프 코작 | 1970 |
프랑코 안데를리니 | 1974-1976 |
아드리아노 파블리카 | 1976-1977 |
에드워드 스코레크 (임시) | 1978 |
카르멜로 피테라 | 1978-1982, 1988 |
니노 쿠코 (임시) | 1981 |
실바노 프란디 | 1983-1986 |
알렉산데르 스키바 | 1987 |
미켈란젤로 로 비앙코 (임시) | 1988 |
훌리오 벨라스코 | 1988-1996 |
안젤로 프리고니 (임시 - 월드 리그) | 1990-1991 |
다니엘레 바뇰리 (임시 - 월드 리그) | 1992 |
파울로 호베르토 데 프레이타스 | 1996-1998 |
안드레아 아나스타시 | 1998-2002 |
김호철 | 2001 |
잔 파올로 몬탈리 | 2002-2007 |
안드레아 아나스타시 | 2007-2010 |
마우로 베루토 | 2010-2015[19] |
잔로렌초 블렌지니 | 2015-2021 |
안토니오 발렌티니 (발리 네이션스 리그) | 2021 |
페르디난도 데 조르지 | 2021- |
== 훌리오 벨라스코 감독 시기 (1989-1996) ==
훌리오 벨라스코 감독은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이탈리아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을 이끌며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다.[1] 그는 선수 개개인의 전문성보다는 팀 전체의 단결, 즉 "스퀘어"의 개념을 강조하며 팀을 하나로 묶었다. 꼼꼼하고 철저한 준비성과 엄격한 훈련 방식으로 유명했지만, 동시에 승리하는 방법을 아는 유능한 지도자였다.[1]
벨라스코 감독의 지휘 아래 이탈리아 대표팀은 1990년대 세계 배구를 휩쓸었다. 주요 우승 경력은 다음과 같다.
- 1990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1]
- 1994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1]
- 1990년 월드 리그 금메달[1]
- 1991년 월드 리그 금메달[1]
- 1992년 월드 리그 금메달[1]
- 1994년 월드 리그 금메달[1]
- 1995년 월드 리그 금메달[1]
- 1989년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1]
- 1993년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1]
- 1995년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1]
- 1991년 지중해 게임 금메달[1]
- 1993년 그랜드 챔피언스 컵 금메달[1]
- 1996년 올림픽 은메달[1]
벨라스코 감독은 조르지, 안드레아 가르디니, 지아니, 베르나르디, 그라비나, 브라치, 토폴리, 루케타, 파피, 파시나토, 메오니 등 뛰어난 선수들을 이끌며 이탈리아 배구의 황금기를 이끌었다.[1]
5. 선수
훌리오 벨라스코 감독 재임 시절(1989-1996)에는 조르지, 가르디니, 지아니, 베르나르디, 그라비나, 브라치, 토폴리, 루케타, 파피, 파시나토, 메오니와 같은 선수들이 활약하며 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의 황금기를 이끌었다.[1]
다음은 역대 주요 선수들의 출전 횟수이다. (2012년 8월 12일 기준)[1]
# | 선수 | 출전 횟수 |
---|---|---|
1 | 지아니 | 474 |
2 | 가르디니 | 418 |
3 | 루이지 마스트란젤로 | 363 |
4 | 파피 | 361 |
5 | 브라치 | 347 |
6 | 토폴리 | 342 |
7 | 칸타갈리 | 330 |
8 | 데 조르지 | 330 |
9 | 사르토레티 | 330 |
10 | 조르지 | 325 |
이 외에도 안드레아 아나스타지, 루카 칸타갈리, 로렌초 베르나르디, 파스콸레 그라비나, 다미아노 피피, 시모네 로살바, 비고르 보보렌타, 흐리스토 즈라타노프, 미르코 코르사노, 알레산드로 페이, 마테이 체르니치, 발레리오 베르미글리오, 알베르토 치졸라, 파올로 코치, 크리스티안 사바니, 자코모 신티니, 마우로 가보토, 미칼 라스코, 벤치슬라프 시메오노프, 알레산드로 파파로니, 마테오 마르티노, 안드레아 사라, 에마누엘레 빌라렐리, 이반 자이체프, 드라간 트라비차, 시모네 부티, 필리포 란자, 질리 코발, 루카 베토리, 마테오 피아노, 시모네 안자니, 마시모 콜라치, 오스마니 유안토레나, 다비데 칸데랄로, 엔리코 체스터, 루이지 란다초, 가브리엘레 넬리, 다니엘레 마초네, 리카르도 스베르톨리, 딕 코이, 프란체스코 레치네 등 많은 선수들이 이탈리아 대표팀을 거쳐갔다.
5. 1. 현재 선수 명단
번호 | 이름 | 포지션 | 신장 (cm) | 소속팀 | |
---|---|---|---|---|---|
5 | 알레산드로 미키엘레토 | 아웃사이드 히터 (OH) | 205 | 트렌티노 볼리 | |
6 | 시모네 자넬리 | 세터 (S) | 200 | 시스 페루자 | -- |
7 | 파비오 바라조 | 리베로 (L) | 178 | 쿠치네 루베 치비타노바 | |
8 | 리카르도 스베르톨리 | 세터 (S) | 188 | 트렌티노 볼리 | |
10 | 레오나르도 스칸페라 | 리베로 (L) | 184 | ||
12 | 마티아 보톨로 | 아웃사이드 히터 (OH) | 196 | 쿠치네 루베 치비타노바 | |
13 | 로렌초 코르테시아 | 미들 블로커 (MB) | 202 | ||
14 | 잔루카 갈라시 | 아웃사이드 히터 (OH) | 201 | ||
15 | 다니엘레 라비아 | 아웃사이드 히터 (OH) | 200 | 트렌티노 볼리 | |
16 | 유리 로마노 | 아포짓 스파이커 (OP) | 201 | 시스 페루자 | |
20 | 토마소 리날디 | 아웃사이드 히터 (OH) | 200 | 모데나 배구 | |
23 | 알레산드로 보볼렌타 | 아포짓 스파이커 (OP) | 202 | ||
28 | 조반니 산기네티 | 미들 블로커 (MB) | 203 | 모데나 배구 | |
30 | 레안드로 모스카 | 미들 블로커 (MB) | 208 | 베로나 볼리 |
5. 2. 역대 주요 선수
훌리오 벨라스코 감독 재임 시절(1989-1996)에는 조르지, 가르디니, 지아니, 베르나르디, 그라비나, 브라치, 토폴리, 루케타, 파피, 파시나토, 메오니와 같은 선수들이 활약하며 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의 황금기를 이끌었다.[1]다음은 역대 주요 선수들의 출전 횟수이다. (2012년 8월 12일 기준)[1]
# | 선수 | 출전 횟수 |
---|---|---|
1 | 지아니 | 474 |
2 | 가르디니 | 418 |
3 | 루이지 마스트란젤로 | 363 |
4 | 파피 | 361 |
5 | 브라치 | 347 |
6 | 토폴리 | 342 |
7 | 칸타갈리 | 330 |
8 | 데 조르지 | 330 |
9 | 사르토레티 | 330 |
10 | 조르지 | 325 |
다른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안드레아 아나스타지 (1981-1991년)
- 루카 칸타갈리 (1986-1996년)
- 안드레아 졸지 (1986-1998년)
- 안드레아 가르디니 (1986-2000년)
- 로렌초 베르나르디 (1987-2001년)
- 페르디난도 데 조르지 (1987-2002년)
- 파올로 토폴리 (1987-2004년)
- 마르코 브라치 (1988-2002년)
- 안드레아 자니 (1988-2005년)
- 파스콸레 그라비나 (1990-2000년)
- 안드레아 사르토레티 (1993-2004년)
- 사무엘 파피 (1993-2012년)
- 다미아노 피피 (1993-2004년)
- 마르코 메오니 (1994-2008년)
- 시모네 로살바 (1995-2001년)
- 비고르 보보렌타 (1995-2008년)
- 흐리스토 즈라타노프 (1997-2008년)
- 미르코 코르사노 (1998-2008년)
- 알레산드로 페이 (1998-2012년)
- 마테이 체르니치 (1998-2010년)
- 루이지 마스트란젤로 (1999-2012년)
- 발레리오 베르미글리오 (1999-2010년)
- 알베르토 치졸라 (2000-2008년)
- 파올로 코치 (2001-2005년)
- 크리스티안 사바니 (2001-2012년)
- 자코모 신티니 (2001-2005년)
- 마우로 가보토 (2001-2008년)
- 미칼 라스코 (2002-2012년)
- 벤치슬라프 시메오노프 (2004년)
- 알레산드로 파파로니 (2005-2008년)
- 마테오 마르티노 (2007-2009년)
- 안드레아 사라 (2007-2010년)
- 에마누엘레 빌라렐리 (2008-2016년)
- 이반 자이체프 (2010-)
- 드라간 트라비차 (2010-2015년)
- 시모네 부티
- 필리포 란자
- 질리 코발
- 루카 베토리
- 마테오 피아노
- 시모네 안자니
- 마시모 콜라치
- 시모네 자넬리
- 오스마니 유안토레나
- 다비데 칸데랄로
- 엔리코 체스터
- 루이지 란다초
- 가브리엘레 넬리
- 다니엘레 마초네
- 리카르도 스베르톨리
- 딕 코이
- 프란체스코 레치네
6. 팀
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은 하계 올림픽 배구에서 여러 차례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8위를 기록한 이후,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는 9위,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첫 메달을 따냈다.[1] 이후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2004년 아테네 올림픽,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은메달,[1] 2000년 시드니 올림픽과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차지했다.[1]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1]
이탈리아 대표팀의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세트 득 | 세트 실 | 선수 명단 |
---|---|---|---|---|---|---|---|---|
1976 | 1라운드 | 8위 | 5 | 0 | 5 | 2 | 15 | 선수 명단 |
1980 | 1라운드 | 9위 | 5 | 2 | 3 | 5 | 11 | 선수 명단 |
1984 | 준결승 | 동메달 | 6 | 4 | 2 | 14 | 7 | 선수 명단 |
1988 | 1라운드 | 9위 | 7 | 4 | 3 | 13 | 13 | 선수 명단 |
1992 | 8강 | 5위 | 7 | 5 | 2 | 18 | 8 | 선수 명단 |
1996 | 결승 | 은메달 | 8 | 7 | 1 | 23 | 5 | 선수 명단 |
2000 | 준결승 | 동메달 | 8 | 7 | 1 | 21 | 8 | 선수 명단 |
2004 | 결승 | 은메달 | 8 | 5 | 3 | 20 | 11 | 선수 명단 |
2008 | 준결승 | 4위 | 8 | 5 | 3 | 17 | 14 | 선수 명단 |
2012 | 준결승 | 동메달 | 8 | 5 | 3 | 16 | 13 | 선수 명단 |
2016 | 결승 | 은메달 | 8 | 6 | 2 | 19 | 10 | 선수 명단 |
2020 | 8강 | 6위 | 6 | 4 | 2 | 14 | 10 | 선수 명단 |
2024 | 준결승 | 4위 | 6 | 4 | 2 | 12 | 10 | 선수 명단 |
합계 | 0회 우승 | 13/16 | 90 | 58 | 32 | 194 | 135 | — |
6. 1. 유니폼
6. 2. 스폰서십
DHL, 킨더 (페레로 SpA), 혼다, 미즈노가 주 스폰서이며, 산탈, 디아도라, 에틱스포츠, 리액싱, 크라이, 뉴트리라이트, 울리베토, 윈폼 등이 협찬하고 있다.7. 미디어
이탈리아 대표팀의 경기와 친선 경기는 현재 RAI와 Rai Sport에서 방송된다.
참조
[1]
웹사이트
Italy in Hall of Fame
http://www.volleyhal[...]
[2]
웹사이트
Confédération Européenne de Volleyball (CEV)
http://www.fivb.org/[...]
FIVB
2014-11-30
[3]
웹사이트
Breve Storia della Nazionale Italiana Maschile
http://portal.federv[...]
FIPAV
2010-06-08
[4]
웹사이트
Medagliere Nazionale Maschile Seniores
http://www.federvoll[...]
FIPAV
2014-11-30
[5]
웹사이트
Olympic Countdown 1984: China cherish their California girls
https://www.fivb.org[...]
FIVB
2014-11-30
[6]
웹사이트
Olympic Countdown - Netherlands prove Italy’s nemesis once again
https://www.fivb.org[...]
FIVB
2014-11-30
[7]
웹사이트
Italy settles for bronze
http://sportsillustr[...]
CNNSI.com
2000-10-01
[8]
웹사이트
Olympic Countdown - Cuba complete unprecedented hat-trick
https://www.fivb.org[...]
FIVB
2014-11-30
[9]
웹사이트
Golden Brazil win volleyball title
https://edition.cnn.[...]
CNN.com
2004-08-29
[10]
웹사이트
Brazil beat Italy 3-1 (25-15, 24-26, 25-20, 25-22) - duration 1:36
https://www.fivb.org[...]
FIVB
2004-08-29
[11]
웹사이트
FIVB World Ranking - Men
http://www.fivb.org/[...]
FIVB
2005-01-15
[12]
웹사이트
北京オリンピックバレーボール世界最終予選 - 対戦チーム イタリア
http://www.tbs.co.jp[...]
TBS
2010-06-08
[13]
웹사이트
Italy join Japan in claiming ticket to Beijing on Tokyo World Men's Olympic qualifier final day
http://www.fivb.org/[...]
FIVB
2008-06-08
[14]
뉴스
日本信じられない…大逆転負け/バレー
http://beijing2008.n[...]
日刊スポーツ
2008-06-01
[15]
웹사이트
2008 Summer Olympics - Men's Volleyball
http://sportsillustr[...]
SI.com
2008-08-23
[16]
웹사이트
Russia claim bronze again
http://www.fivb.org/[...]
FIVB
2008-08-24
[17]
웹사이트
Men's Volleyball - Standing
http://www.london201[...]
2012-08-18
[18]
웹사이트
Italy claim classification match with Bulgaria to seize their fifth Olympic medal
https://www.fivb.org[...]
FIVB
2012-08-12
[19]
뉴스
五輪切符をめぐるワールドカップの歓喜と涙
http://www.fujitv.co[...]
バボChannet フジテレビ
2015-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