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 문자는 당나라 시대에 고안되었다고 전해지는 표의 문자로, 누수어, 니수어 등을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15세기 후반에 기록이 나타나며, 한자와 유사한 기능을 하지만 글자 형태는 독립적이다. 1970년대부터 중국 정부의 표준화 작업을 거쳐 량산규범이문이 대표적으로 사용되며, 현대에는 음절 문자로 사용된다. 유니코드에는 1,164개의 음절과 55개의 부수가 포함되어 있으며, 고전 이 문자는 아직 유니코드에 인코딩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족 문화 - 나시어
    나시어는 중국 윈난성, 쓰촨성, 티베트 자치구 등에 거주하는 나시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로로-버마어파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서부와 동부 방언으로 나뉘고, 거바 문자와 프레이저 문자, 라틴 문자 기반 표기법을 사용한다.
  • 이족 문화 - 눠쑤어
    눠쑤어는 중국 쓰촨성 남부 량산 지역에서 주로 쓰이며, 량산 이어, 노수어, 블랙 이 등으로 불리고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되며, 현대 이 문자를 공식 문자로 사용하는 자음, 모음, 성조로 이루어진 독특한 음운 체계를 가진 언어이다.
  • 음절 문자 - 이두
    이두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신라 시대에 시작되어 한국어의 형태소와 문법 요소를 나타내는 데 활용되었으며 훈민정음 창제 이후 사용이 줄었지만 한국어 표기법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음절 문자 - 선형문자 B
    선형 문자 B는 미케네 그리스어 표기를 위한 문자 체계로, 음절 문자와 표의 문자로 구성된 약 200여 개의 기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1952년 마이클 벤트리스에 의해 해독되어 크노소스, 필로스 등지에서 발견된 점토판을 통해 전해진다.
  • 중국어 - 한문
    한문은 고대 중국어 문법에 기반한 문어체로, 동아시아 각국에서 현지화되었으며, 한자의 특성상 해석이 다양할 수 있고, 외교 및 문화 교류를 통해 수용되어, 현대에는 학술 연구, 고전 문학 등에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중국어 - 백화문
    백화문은 20세기 초 신문화운동과 5·4 운동의 영향으로 구어체를 기반으로 형성되어 현대 중국어의 표준이 된 문체이며, 후스와 천두슈 등의 문학혁명론과 루쉰의 백화문 소설 등이 정착에 기여하여 언어 민주화와 사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문자
개요
이름이 문자
다른 이름이자
찬문
위서
과두문
나나문
필모문
사용 언어다양한 이어
유형
문자 체계현대에는 음절 문자, 고대에는 표어 문자
사용 시기최소 15세기부터 현재까지 (음절 문자 형태는 1974년에 확립됨)
계통
계통갑골문
전서
예서
해서
유니코드
유니코드 범위U+A000–U+A48F (이 음절)
U+A490–U+A4CF (이 부수)
ISO 15924Yiii
시각 정보
'누오쑤 브르마' 또는 '이 문자'
'누오쑤 브르마' 또는 '이 문자'
이 문자
이 문자
음성 정보

2. 역사적 배경

당나라(618-907) 시대에 아기(阿畸, Āqí)라는 누수 영웅이 고전 이 문자를 고안했다고 전해지나, 이는 누수 신화에 따른 것이다.[7] 실제로 가장 오래된 이 문자 기록은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초의 것이며, 1485년에 제작된 청동 종의 비문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이 문자로 쓰인 수만 개의 사본이 전해지지만, 대부분 제작 시기가 명확하지 않다.

원래 1,840자로 구성되었다고 알려진 이 문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지역별로 다양한 글자 형태로 발전하였다. "위"라는 글자는 약 40가지의 변형이 있을 정도이다. 이러한 변이로 인해 사본과 비문에는 최대 9만 개의 서로 다른 이 문자 글자가 나타난다. 기능적으로는 한자와 유사하나, 글자 형태는 독립적이어서 직접적인 연관성은 거의 없다. 다만, 일부 숫자 글자처럼 한자에서 차용한 글자도 존재한다.

누수어, 니수어, 우사 나수어, 만씨어 등이 고전 이 문자로 기록되었다. 전통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방식이었으나, 현대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고 위에서 아래로 줄을 배열하는 방식도 사용된다.

고전 이 문자 사본.


현존하는 이 문자 문헌은 500년 정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13][14] 운남성 뤄취안 이족묘족자치현의 전자애(鐫字崖) 비문은 명나라 가정 12년(1533년)에 만들어졌다.

원래 이 문자는 한자와 같이 단음절 표의문자였고 세로쓰기로 작성되었다. 하지만 이족의 분산된 거주 지역으로 인해 문자는 통일되지 못했다. "위(胃)"를 뜻하는 글자가 40여 종이나 될 정도로 글자 형태가 다양했고, 글자 수가 많아 사용하기 불편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70년대부터 중국 정부는 표준화 작업을 추진, 같은 소리의 글자를 하나로 통합하는 음절 문자화를 진행했다.[15] 각 지역에서 표준화가 진행되었는데, 사천성 대량산 방언을 기준으로 한 '''량산규범이문(涼山規範彝文)'''이 대표적이며 출판물에 사용되고 있다. 운남성과 귀주성에서도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었다.

규범이문에 포함되지 않은 고이문 자형은 유니코드에 88,613자를 추가하자는 제안이 있었으나,[16] 2023년 현재까지 추가되지 않았다.

2. 1. 고전 이 문자

'''고전 이''' 또는 '''전통 이'''는 누수 신화에 따르면 당나라(618-907) 시대에 아기(阿畸, Āqí)라는 누수 영웅이 고안했다고 전해지는 음절 표기 표의 문자 체계이다.[7] 그러나 가장 오래된 이 문자 예시는 15세기 후반과 16세기 초의 것으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485년에 제작된 청동 종의 비문이다.[8] 이 문자로 쓰인 수만 개의 사본이 있지만, 대부분 날짜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원래 문자는 1,840자로 구성되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 언어를 사용하는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한 글자 형태가 발전했다. "위"라는 글자는 약 40가지의 변형된 글자 형태가 존재한다. 이러한 지역적 변이로 인해 사본과 비문에서 최대 9만 개의 서로 다른 이 문자 글자가 알려져 있다. 기능적으로 한자와 유사하지만, 글자 형태는 독립적이며, 서로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 거의 없다. 그러나 일부 이 문자 전통에서 사용되는 숫자 글자와 같이 한자에서 차용한 글자도 있다.

고전 이 문자로 쓰인 언어에는 누수어, 니수어, 우사 나수어, 만씨어가 포함된다. 전통적으로는 위에서 아래로 세로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열을 이루어 필사되었지만, 일부 현대적인 전사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로 쓰이고, 위에서 아래로 줄을 이루어 배열되기도 한다.

이 문자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13] 현재 남아있는 이 문자의 문헌은 5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14] 예를 들어, 운남성 뤄취안 이족묘족자치현의 전자애(鐫字崖)라는 비문은 명나라 가정 12년(1533년)의 것이다.

원래는 한자와 마찬가지로 단음절의 표의문자였으며, 세로쓰기로 작성되었다. 이족은 거주 지역이 분산되어 있어 문자는 통일되어 있지 않았다. 예를 들어 "위(胃)"를 의미하는 글자는 약 40종류나 있었다. 또한 글자 수가 많아 불편했다. 1970년대부터 중국 정부에 의해 표준화가 진행되었는데, 이때 같은 음의 글자를 하나의 글자로 통합하는 음절 문자화가 진행되었다.[15] 각 지역에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대표적인 것은 사천성의 대량산 방언을 표준으로 한 '''량산규범이문(涼山規範彝文)'''으로, 활자화되어 출판에 사용되고 있다. 운남성에서는 츠슝 방언을 기본으로 한 정리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귀주성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이 있다.

규범이문에 채택되지 않은 자형(고이문)으로, 유니코드에 88613자 추가 제안이 있었지만,[16] 2023년 현재 아직 추가되지 않았다.

2. 2. 현대 이 문자

'''현대 이어''' 문자 (nuosu bburma/ꆈꌠꁱꂷii [nɔ̄sβ̩ bβ̠̩mā] '누수 문자')는 1974년 쓰촨성의 현지 민족사무위원회가 고전 문자에서 표준화한 음절문자이다.

1980년 국무원은 이를 량산 이족 자치주의 누수 이어 량산 방언의 공식 문자로 승인했으며, 따라서 량산 표준 이어 문자(涼山規範彝文 ''Liángshān guīfàn Yíwén'')로 알려져 있다. 량산 방언을 기반으로 한 기본 글자는 756개이며, 중국어에서 차용한 단어에만 사용되는 음절을 위한 글자 63개가 추가된다.

윈난성은 량산 문자를 공식적으로 채택하지 않았지만, 서로 다른 원칙에 따라 다양한 방언의 상호 이해도를 높이고 공통된 표의문자 형태를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둔 자체적인 윈난 표준 이어 문자(云南规范彝文方案 ''Yúnnán Guīfàn Yíwén Fāng'àn'')를 개발했다. 윈난 문자는 2,608개의 글자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2,258개는 표의문자이고 350개는 음운 글자이다. 윈난 문자는 1987년 윈난성 정부에 의해 승인되었다. 귀주성은 1991년에 나수 지역에서 사용되는 전통 이어 표의문자의 표준 및 변형 형태를 확인한 사전을 발행했다.

원래의 음절 문자는 43개의 자음과 8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모음과 자음-모음 음절을 나타내며, 이들은 세 가지 성조와 중간 성조로만 나타날 수 있는 두 개의 "웅웅거리는" 모음을 포함하여 세 가지 성조 중 어느 것과도 결합될 수 있다. 모든 조합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량산 방언에는 네 가지 성조가 있지만, 세 가지 성조(고, 중, 저)만 별도의 글자가 있다. 네 번째 성조(상승조)는 때때로 중간 성조의 문법적 어미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중간 성조 글자와 구별 기호(윗첨자 호)를 사용하여 쓴다. 이 구별 기호가 있는 음절을 포함하면 이 문자는 1,164개의 음절을 나타낸다. 또한, 앞선 음절을 중복하는 데 사용되는 음절 반복 표시 ꀕ(이어 병음에서는 '''w'''로 표시됨)이 있다.

량산 규범 이문 목록표


량산 규범 이문(涼山規範彝文)은 희덕현(喜徳県)(시드 현)의 발음을 표준으로 하여 만들어졌다. 1976년 1월부터 시험 사용이 시작되었으며 현재 사천성 내의 이어(彝語) 출판물은 모두 이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쓰기로 작성된다. 문자 수는 819자이며, 그 외에 반복 기호 1자가 있다. 량산 이어(涼山イ語)에는 네 가지 성조가 있지만, 고평조(55)·중평조(33)·저강조(21)에 대해서는 각각 관련 없는 문자가 사용된다.

3. 량산 규범 이문



표준 현대 이어의 음절 문자는 아래 두 표에 나와 있다. 각 열에 표시된 자음 소리는 각 행에 표시된 모음과 성조 소리보다 먼저 온다. 오른쪽 위 셀(아래 표에서 분홍색 배경)은 추가적인 음절 반복 표시를 보여준다.(표준 쓰촨 이어 병음에서는 'w'로 로마자 표기되지만, 실제 발음 값은 가변적이며 바로 앞에 쓰인 음절에서 직접 유래한다).[9]

상승(-x) 성조로 표시된 음절은 연한 노란색 배경으로 강조되며, 중성조(또는 중성조에 대한 음절이 없으면 저성조)의 글리프를 기반으로, 상첨자 호에 대한 추가적인 획을 사용한다. 아래 두 표에서 밝은 노란색 배경으로 강조된 hnox/ꅷii, nzox/ꋺii, vex/ꃲii 음절의 세 글리프는 다른 상승 성조 음절과 다르게 구성된다. 이 글자들의 어근 음절(즉, 'hno, nzo, ve')에는 일반적인 중성조(다음 행)에 형태가 없기 때문에, 상승 성조를 나타내는 호 디악리틱(-x)이 있는 저성조 글자(-p, 두 행 아래에 표시됨)를 사용한다.

초성 모음 및 파열음 계열
 b
p
bb
nb
hm
m
f
v
d
t
dd
nd
hn
n
hl
l
g
k
gg
mg
hx
ng
h
w
it
ꀀ   
ix
    
i
    
ip
    
iet
                 
iex
  
ie
  
iep
                   


3. 1. 문자 체계

중국어(표의문자), 이(음절 문자), 그리고 하니어(알파벳 하니어 병음 로마자 표기)로 된 삼개국어 표지판. 리하오자이향 정부 청사, 운남성 젠수이현. 이어와 하니어 텍스트는 중국어 텍스트와 음절 대 음절로 대응되는 것으로 보인다.


량산 규범 이문(涼山規範彝文)은 이문의 한 종류로, 사천 규범 이문(四川規範彝文) 또는 규범 이문(規範彝文)이라고도 불린다. 시드 현의 발음을 표준으로 하는 신자 방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여러 이문 중에서 가장 먼저 문자 체계가 정비되었다. 1976년 1월부터 시험 사용을 시작하여 현재 사천성 내의 이어(彝語) 출판물은 모두 이 문자를 사용한다.

량산 이어(涼山イ語)의 음절문자 체계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쓰기 방식을 사용한다. 문자 수는 819자이며, 반복 기호 1자가 추가된다.[17] 성조는 네 가지가 있지만, 고평조(55), 중평조(33), 저강조(21)는 각각 다른 문자로 표기하고, 중승조(34)는 중평조 문자 위에 원호를 추가하여 나타낸다.[17] 량산 이어에서 중평조가 문법적으로 중승조로 변조되는 경우가 많아,[18] 이러한 표기 방식은 합리적이다.

량산 이어에는 영음(ゼロ子音)을 포함한 44개의 음절두 자음, 10개의 모음, 4개의 성조가 있어 이론상 1760자가 필요하지만, 사용되지 않는 조합과 중승조 표기 방식으로 인해 실제 문자 수는 더 적다.[19]

규범 이문은 1999년 유니코드(Unicode) 버전 3.0의 기본 다국어 평면(基本多言語面)에 U+A000부터 U+A48F까지 수록되었다. 등록된 문자는 1165자이며, 중승조 문자는 합성이 아닌 독립된 문자로 취급된다.[20][21] U+A490-A+A4CF에는 부수(部首)가 수록되어 있다. 윈도우 XP 이후 및 macOS에서 사용 가능하다.

3. 2. 음절 구조

량산 이어의 음절은 자음, 모음, 성조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각 요소는 특정 문자로 표기된다. 자음은 순음, 치음, 경음, 파찰음, 마찰음 계열로 나뉘며, 유성음은 문자를 두 번 쓰는 방식으로 표시한다. 모음은 10개로, 국제 음성 기호(IPA)로는 와 같이 표기된다.

성조는 네 가지가 있지만, 고평조(55), 중평조(33), 저강조(21)는 각각 다른 문자로 표기하고, 중승조(34)는 중평조 문자 위에 원호를 추가하여 나타낸다. 이는 량산 이어에서 중평조가 중승조로 변조되는 문법적 현상을 반영한 것이다.

이론적으로 1760개의 음절이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는 음절 조합이 존재하며, 중승조 표기를 위한 기호 사용으로 인해 실제 문자 수는 더 적다.

4. 이 문자 음절표

표준 현대 이어의 음절 문자는 아래 두 표에 나와 있다. 각 열에 표시된 자음 소리는 각 행에 표시된 모음과 성조 소리보다 먼저 온다. 오른쪽 위 셀(아래 표에서 분홍색 배경으로 강조 표시됨)은 추가적인 음절 반복 표시를 보여준다(표준 쓰촨 이어 병음에서는 'w'로 로마자 표기되지만, 실제 발음 값은 가변적이며 바로 앞에 쓰인 음절에서 직접 유래한다).

상승(-x) 성조로 표시된 음절은 연한 노란색 배경으로 강조 표시되며, 중성조(또는 중성조에 대한 음절이 없으면 저성조)의 글리프를 기반으로, 상첨자 호에 대한 추가적인 획을 사용한다. 아래 두 표에서 밝은 노란색 배경으로 강조 표시된 hnox, nzox, vex/ꅷ, ꋺ, ꃲii 음절의 세 글리프는 다른 상승 성조 음절과 다르게 구성된다. 이 글자들의 어근 음절(즉, 'hno, nzo, ve')에는 일반적인 중성조(다음 행)에 형태가 없기 때문에, 상승 성조를 나타내는 호 디악리틱(-x)이 있는 저성조 글자(-p, 두 행 아래에 표시됨)를 사용한다.[9]()

4. 1. 초성 (자음) 및 파열음 계열

이 문자의 초성(자음)은 파열음을 비롯한 여러 계열로 나뉜다. 각 자음 계열과 그에 해당하는 문자들은 다음과 같다.

  • 파열음 계열
  • 순음: b , p , bb , nb , hm , m , f , v
  • 치음: d , t , dd , nd , hn , n , hl , l
  • 경음: g , k , gg , mg , hx , ng , h , w


자음 계열은 무성 파열음, 유성 파열음, 유성 전비음, 무성 비음, 유성 비음, 무성 마찰음, 유성 마찰음 순으로 배열된다. ''hl, l''은 측음이고, ''hx''는 이다. ''v, w, ss, r, y''는 유성 마찰음이다. 파열음과 파찰음(그리고 ''s'')의 경우, 유성음은 문자를 두 번 쓰는 것으로 표시된다.

성모-bpbbnbhmmfvdtddndhnnhllgkggmghxnghwzczznzssszhchrrnrshrjqjjnjnyxy
운모IPA


4. 2. 기타 자음 계열 및 모음

'''모음'''
사천 이어어(四川彝語) 병음 음역iieauooeuuryyr
IPA 표기 (누어소어 기준)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병음으로 'ur' 및 'yr'로 로마자 표기된 두 개의 "윙윙거리는" 모음(표준 누어소 방언에서 중성조로만 나타남)은 기저 모음 아래에 첨자 마이너스 부호를 사용하여 IPA 표기에서 명확하게 표기된다. 이 마이너스 부호 구분 기호는 기저 모음 [a] 또는 [ɔ] 아래의 음운론적 표기에서는 구별되지 않으므로 선택 사항이다. 기저 모음 아래에 "업택" 구분 기호를 사용하는 다른 대체 표기는 일부 누어소 방언에 대해서는 음성적이지만 음운론적 표기에는 필요하지 않다.

모든 IPA 표기는 방언에 따라 또는 단순화된 음운론보다 지역 방언을 더 정확하게 나타낼 때 출처와 저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병음으로 'u' 또는 'y'로 로마자 표기된 마지막 두 개의 기저 모음은 라틴 자음 [v] 또는 [z]를 사용하여 IPA로 표기할 수도 있지만, 아래에 추가적인 수직 틱을 추가하여(특히 다음절 이어어 용어를 음절 사이에 공백을 구분하지 않고 음성적으로 표기할 때) 일반적인 선행 자음과 구별한다.

}}-bpbbnbhmmfvdtddndhnnhllgkggmghxnghwzczznzssszhchrrnrshrjqjjnjnyxy
}}IPA-
i
itꀀ
ix
i
ip
ie
iet
iex
ie
iep
a
at
ax
a
ap
uo
uot
uox
uo
uop
o
ot
ox
o
op
e
et
ex
e
ep
u
ut
ux
u
up



기타 자음 계열 및 모음에 따른 음절표는 위와 같다.

5. 이 문자 부수

량산 규범 이문는 다음 표에 제시된 26개의 부수(部首) 아래에 정리된다.

부수(部首)파생형명칭
변(変)
거(去)
이(二)
일(一)
용(用)
공(空)
절(切)
팔(八)
동(動)
꒝꒞모(母)
활(滑)
꒢꒣삽(挿)
꒥꒦출(出)
업(業)
독(読)
개(個)
요(腰)
꒭꒮꒯필(匹)
꒱꒲사(蛇)
꒴꒵꒶꒷전(転)
꒹꒺꒻웅(熊)
타(他)
제(斉)
꓁꓂꓃곤(梱)
초(椒)
견(犬)


6. 유니코드

유니코드의 현대 이어 블록은 이어 음절(U+A000~U+A48C)이며, 1,164개의 음절(구분 부호가 있는 음절은 미리 조합된 형태로만 별도로 인코딩되며, 음절과 결합 구분 부호로 표준적으로 분해할 수 없음)과 하나의 음절 반복 표시(U+A015, 잘못된 이름 YI SYLLABLE WU)로 구성된다.[10] 또한, 사전 분류에 사용되는 55개의 부수 집합이 U+A490~U+A4C6에 인코딩되어 있다(이어 부수).[10] 이어 음절과 이어 부수는 유니코드 표준 버전 3.0에 새로운 블록으로 추가되었다.[11]

고전 이어는 중국어 한자와 같은 표의 문자이지만 기원이 매우 다르며, 아직 유니코드에 인코딩되지 않았다. 하지만 2007년에 88,613개의 고전 이어 문자를 인코딩하는 제안이 제출되었다.[12]

참조

[1] 논문 中国少数民族文化遗产集粹
[2] 논문 秦和平 基督宗教在西南民族地区的传播史
[3] 논문 L'enclos à moutons: un village nuosu au sud-ouest de la Chine
[4] 간행물 Annual report of the American Bible Society American Bible Society
[5] 논문 Medieval Tibeto-Burman Languages IV
[6] 서적 彝族古籍文献概要 (Yizu guji wenxian gaiyao) Yunnan minzu chubanshe
[7] 서적 传统彝文 (Chuantong Yiwen) (in Zhongguo Shaoshu Minzu Wenzi) Beijing
[8] 서적 汉藏语概论 (Han Zang Yu Gailun) Beijing
[9] 서적 凉山彝语语言概论 (Liangshan Yiyu Yuyan Gailun) Chengdu
[10] 서적 Unicode Demystified: A Practical Programmer's Guide
[11] 서적 Java Internationalization
[12] 웹사이트 Preliminary Proposal to encode Classical Yi Characters (134 MB) http://std.dkuug.dk/[...]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웹사이트 Supported Scripts https://www.unicode.[...] Unicode, Inc.
[21] 웹사이트 DerivedAge.txt https://www.unicode.[...] Unicode,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