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나 4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나 4현 할양 사건은 512년 백제가 왜에 사신을 보내 임나국의 4개 현을 요구한 사건이다. 호즈미노 오시야마와 오오토모노 가나무라가 백제의 요구를 지지하고, 모노노베노 아라카비는 반대했으나, 왜는 결국 4현의 백제 영유를 인정했다. 이후 게이타이 천황의 아들 오에 황자가 철회를 시도했지만 백제는 이를 무시했다. 《일본서기》는 이 과정에서 오오토모노 가나무라와 호즈미노 오시야마가 뇌물을 받았다는 소문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 사건은 가야 소국들의 신라 귀속을 초래하고 관산성 전투에서 백제 성왕의 전사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2. 임나 4현 할양 사건

일본서기게이타이 천황 6년(512년) 12월조에 기록된 사건이다. 백제왜국에 사신을 보내 임나 4현(상다리, 하다리, 사타, 모루)을 요구하자, 호즈미노노 오시야마는 이 4현이 백제와 가깝고 왜와는 멀리 떨어져 있어 백제에 주는 것이 유리하다고 주장했고, 오오토모노노 가나무라도 이에 동조했다.

모노노베노 아라카비를 백제에 보내 칙을 선포하려고 했으나, 아라카비의 처가 오진 천황에 대한 신탁과 진구 황후의 고사를 들어 남편을 말려, 아라카비는 병을 핑계로 사신으로 가지 않았다. 그러나 왜국은 다른 사신을 보내 백제에 임나 4현을 주기로 결정했다.

게이타이 천황의 아들 오에 황자는 뒤늦게 이 사실을 알고 히타카노 키시를 백제로 보내 의사를 철회하려 했지만, 백제 사신은 "부왕께서 이미 결정한 일"이라며 무시했다.[1] 《일본서기》는 오오토모노 가나무라와 호즈미노 오시야마가 백제의 뇌물을 받았다는 소문이 있었다고 덧붙였다.[1]

2. 1. 백제의 임나 4현 요구

繼體天皇일본어 6년(512년) 겨울 12월, 백제왜국에 사신을 보내 임나국(任那國)의 상다리, 하다리, 사타, 모루 4현을 요구했다.[1] 다리노쿠니노미코토모치(哆唎國守) 호즈미노오미 오시야마는 "이 4현은 백제와 인접해 있고 일본(왜국)과는 멀리 떨어져 있어, 아침 저녁으로 다니기 쉽고 닭과 개의 주인도 구별할 수 없을 정도니 지금 백제에게 주어 합쳐서 같은 나라로 만들면 굳게 지키는 계책이 이보다 나은 것이 없을 것입니다."라며 백제의 편을 들었다.[1] 오오토모노오무라치 가나무라도 이에 동조했다.[1]

왜에서는 모노노베노오무라치 아라카비를 백제에 보내 칙을 선포하려고 했으나, 아라카비의 처가 오진 천황에 대한 신탁과 진구 황후의 고사를 들며 남편을 말렸고, 아라카비는 병을 핑계로 사신으로 가지 않으려 했다.[1] 이에 왜국은 다른 사신을 보내 백제에 임나 4현의 백제 영유를 인정할 뜻을 밝혔다.[1]

게이타이 천황의 아들 오에 황자(大兄皇子)가 뒤늦게 이 사실을 알고 히타카노 키시(日鷹吉士)를 백제로 보내 의사를 철회하려 했지만, 백제의 사신은 "부왕께서 이미 결정한 일인데 아들이 나서서 그걸 함부로 고칠 수는 없다"며 무시했다.[1]

일본서기》는 이 기록 말미에 당시 오토모노 가네마로와 호즈미노 오시야마가 백제의 뇌물을 받았었다는 소문이 나돌았다고 적고 있다.[1]

2. 2. 왜국의 반응과 호즈미노 오시야마의 주장

백제왜국에 사신을 보내어 임나의 상다리, 하다리, 사타, 모루 4현을 요구했을 때, 왜국의 다리노쿠니노미코토모치(哆唎國守) 호즈미노오미 오시야마는 "이 4현은 백제와 인접해 있고 일본(왜국)과는 멀리 떨어져 있어, 아침 저녁으로 왕래하기 쉽고 닭과 개의 주인도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이니, 지금 백제에 주어 합쳐서 같은 나라로 만들면 굳게 지키는 계책으로는 이보다 나은 것이 없을 것입니다. 비록 (4현을) 주어서 나라를 합치더라도 후세에는 오히려 위태로울 것인데, 하물며 (4현이 백제와) 다른 곳이 된다면 몇 년이나 지킬 수 있겠습니까"라며 백제 편을 들었다. 오오토모노오무라치 가나무라도 이에 동조하였다. 《일본서기》는 이 기록 말미에 당시 오토모노 가네마로와 호즈미노 오시야마가 백제의 뇌물을 받았다는 소문이 있었다고 적고 있다.

2. 3. 모노노베노 아라카비의 반대와 좌절

512년 겨울, 백제왜국에 사신을 보내 임나의 상다리, 하다리, 사타, 모루 4현을 요구하자, 왜국의 호즈미노오미 오시야마는 4현이 백제와 가깝고 왜국과는 멀리 떨어져 있어 백제에 주는 것이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오오토모노오무라치 가나무라도 이에 동조하여, 왜는 모노노베노오무라치 아라카비를 백제에 보내 칙을 선포하려 했다.[1]

그러나 아라카비의 처는 스미요시 대신이 오진 천황에게 내린 신탁과 진구 황후의 고사를 언급하며 남편을 만류했다. 아라카비는 아내의 권유대로 병을 핑계로 사신행을 거부했지만, 왜국은 다른 사신을 보내 임나 4현을 백제에 넘겨주기로 결정했다. 게이타이 천황의 아들 오에 황자(大兄皇子)는 뒤늦게 이 사실을 알고 히타카노 키시를 백제에 보내 의사를 철회하려 했으나, 백제 사신은 "부왕께서 이미 결정한 일"이라며 무시했다. 《일본서기》는 오오토모노 가나무라와 호즈미노 오시야마가 백제로부터 뇌물을 받았다는 소문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

2. 4. 오에 황자의 항의와 백제의 무시

512년 겨울, 백제가 왜국에 사신을 보내 임나의 상다리, 하다리, 사타, 모루 4현을 요구했다. 호즈미노 오시야마는 4현이 백제와 가깝고 왜국과 멀리 떨어져 있어 백제에 주는 것이 유리하다고 주장했고, 오오토모노 가나무라도 이에 동조했다. 왜국은 모노노베노 아라카비를 백제에 보내 칙을 선포하려 했으나, 아라카비는 아내의 만류로 병을 핑계로 사신 행차를 거부했다. 결국 왜국은 다른 사신을 보내 임나 4현의 백제 영유를 인정했다.[2]

게이타이 천황의 아들 오에 황자(大兄皇子)가 뒤늦게 이 사실을 알고 히타카노 키시(日鷹吉士)를 백제에 보내 의사 철회를 요구했다. 그러나 백제 사신은 "부왕께서 이미 결정한 일인데 아들이 나서서 그걸 함부로 고칠 수는 없다"며 무시했다.[2]일본서기》는 당시 오토모노 가네마로와 호즈미노 오시야마가 백제의 뇌물을 받았다는 소문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2]

3. 뇌물 수수설

게이타이 천황 6년(512년) 겨울 12월조 《일본서기》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백제가 왜국에 사신을 보내 임나국의 상다리, 하다리, 사타, 모루 4현을 요구했을 때, 왜국의 다리노쿠니노미코토모치(哆唎國守) 호즈미노 오시야마는 4현이 백제와 가깝고 왜국과 멀다는 이유로 백제에 주는 것이 좋다고 주장했다. 오오토모노 가나무라도 이에 동조했다.

왜는 모노노베노 아라카비를 백제에 보내 칙을 선포하려 했으나, 아라카비의 처가 오진 천황에 대한 신탁과 진구 황후의 고사를 들며 반대했다. 아라카비는 병을 핑계로 사신으로 가지 않으려 했지만, 왜는 결국 다른 사신을 보내 임나 4현의 백제 영유를 인정했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안 게이타이 천황의 아들 오에 황자는 히타카노 키시를 백제에 보내 의사를 철회하려 했지만, 백제 사신은 "부왕께서 이미 결정한 일"이라며 무시했다.

《일본서기》는 이 기록 말미에 당시 오토모노 가네마로와 호즈미노 오시야마가 백제로부터 뇌물을 받았다는 소문이 돌았다고 적고 있다.

참조

[1] 논문 ‘임나 4현’의 위치 비정 2012
[2] 서적 「任那疆域考」 滿鮮歷史地理硏究1-朝鮮歷史地理- 南滿洲鐵道株式會社 1913
[3] 서적 「任那疆域考」 史林 4-3‧ 4(1919) 近澤書店 1937
[4] 서적 日本書紀朝鮮關係記事考證 下卷 天山舍 2002
[5] 간행물 「日本書紀朝鮮地名攷」 雜攷 第七輯 下卷 朝鮮印刷株式會社 1937
[6] 서적 任那興亡史 吉川弘文館 1956
[7] 서적 「大伴金村の失脚-「官家支配」から「日本府支配」へ-」 日本書紀硏究 1 塙書房 1964
[8] 서적 「韓國の前方後圓形古墳の被葬者‧ 造墓集団に對する私見」 前方後圓墳と古代日朝關係 同成社 2002
[9] 논문 「いわゆる「任那四縣」の再檢討」 東北學院大學論集 歷史學‧地理學第39号 2005
[10] 서적 任那と日本, 日本の歷史 別卷1 小學館 1977
[11] 논문 「日本書紀 繼體‧欽明紀의 加羅關係記事 硏究」 釜山史學 2(1978) 혜안 2000
[12] 간행물 「復元 加耶史(下)」 文學과 知性31(봄) 一潮閣 1991
[13] 간행물 「百濟南方境域의 變遷」 千寬宇先生還曆紀念 韓國史學論叢 正音文化社 1985
[14] 서적 고대한일관계사 혜안 1998
[15] 서적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2권‧ 가야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나 푸른역사 2002
[16] 논문 「全南東部地域 複合社會 形成過程의 考古學的 硏究」 成均館大學校 2005
[17] 기타 「任那四縣과 己汶, 帶沙를 둘러싼 百濟와 大伽耶」
[18] 서적 「日本書紀에 引用된 百濟三書에 관한 硏究」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4
[19] URL http://www.gnmaeil.c[...]
[20] 웹인용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임나 4현은 일본 땅에 있었다 https://www.koreapri[...] 2024-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