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임남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임남댐은 북한의 금강산발전소 건설 계획의 일환으로 1986년 착공되어 2003년 완공된 댐이다. 댐 건설 과정에서 1단계 완공 전 균열이 발견되었고, 홍수 시 붕괴 위험이 제기되기도 했다. 북한강에 위치하여 대한민국 서울을 수몰시킬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대한민국은 평화의 댐을 건설했다. 임남댐 건설 이후 한강 수량이 감소하여 환경 문제와 물 부족이 발생했으며, 2018년 문재인 정부는 남북 상생 협력을 위해 물길을 터는 방안을 추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황강댐
    황강댐은 북한의 군사분계선 북쪽에 위치한 댐으로 수력 발전과 관개용으로 건설되었으나, 무단 방류로 대한민국에 피해를 주며, 2009년에는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고 남북 간 사전 통보 합의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대한민국은 군남댐을 건설하여 대비하고 있지만, 남북 간 소통 부재로 정보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댐 - 황강댐
    황강댐은 북한의 군사분계선 북쪽에 위치한 댐으로 수력 발전과 관개용으로 건설되었으나, 무단 방류로 대한민국에 피해를 주며, 2009년에는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고 남북 간 사전 통보 합의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대한민국은 군남댐을 건설하여 대비하고 있지만, 남북 간 소통 부재로 정보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댐 - 서해갑문 (남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포시 대동강 하구에 위치한 서해갑문은 대동강 수위 유지, 남포항 확장, 농업 및 공업용수 확보를 목적으로 건설되어 북한 선전 매체에 자주 등장하고 외국인 관광객 방문 장소로 활용되지만, 건설 과정에서의 인명 피해와 환경 오염 문제도 제기된다.
  • 북한강의 댐 - 평화의 댐
    평화의 댐은 북한 금강산댐 붕괴 우려로 1986년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감사원 감사 결과 금강산댐 저수량이 예상보다 적어 논란이 있었고, 이후 2002년 2단계 증축 공사를 거쳐 현재는 홍수 조절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 북한강의 댐 - 의암댐
    의암댐은 춘천시에 위치한 댐으로, 건설로 의암호가 형성되었으며, 의암호는 호반 순환도로와 관광 시설이 갖춰져 관광객이 많이 찾는 타원형 호수이다.
임남댐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임남댐
한글 표기임남언제
한자 표기任南堰堤
로마자 표기Imnam Eonje
위치김화군, 강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하천북한강
댐 정보
길이710m (2329 ft)
높이121.5m (399 ft)
총 저수 용량2,624,000,000 t
저수 면적2,394㎢
건설 정보
착공1986년
준공2003년
착공 날짜1986년 10월 21일
준공 날짜2003년 12월말
기타
임남댐 랜드샛 이미지 고도 모델
랜드샛으로 본 댐의 모습, 3D 고도 모델 (이미지 중앙의 노란색 물체)

2. 건설 과정

임남댐 건설은 북한의 금강산발전소(현 안변청년발전소) 건설 계획의 일부로 1986년 10월 21일 시작되었다.[7] 북한강 상류에 위치하여, 건설 초기부터 한국에서는 전쟁 시 수공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북한이 댐을 붕괴시켜 한강 유역의 서울특별시를 침수시킬 수 있다는 위협 때문에 한국 정부는 평화의 댐 건설로 대응했다.[4][5]

댐 공사는 시작 이후 북한의 경제난으로 잠시 중단되었다가[8] 1999년 재개되었다. 그러나 무리한 공사 진행과 조기 담수로 인해 2002년 댐 상부에 균열이 발견되었고 위성사진을 통해 붕괴 위험까지 확인되었다.[9][4][5]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공사는 계속되어 착공 17년 만인 2003년 12월 최종 완공되었다. 완공된 댐의 규모는 높이 121.5m, 너비 710m이며, 공칭 저수 용량은 26억 2천만 톤이다.[10] 댐 건설 이후 한강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12% 감소하여, 한국 수도권 지역의 환경 문제물 부족 현상을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6]

2. 1. 초기 계획 및 착공 (1986년 ~ 1992년)

임남댐 건설은 북한의 인민경제발전 제3차 7개년 계획(1985~1991)의 일환인 금강산발전소(지금의 안변청년발전소) 건설 계획에 포함되어 1986년 10월 21일부터 시작되었다.[7] 1987년 가배수 터널을 뚫었으며, 1992년 12월 상류의 가물막이 공사를 완공하였다. 그러나 이후 북한의 경제난으로 인해 공사가 잠시 중단되었다.[8]

2. 2. 공사 재개 및 1단계 완공 (1999년 ~ 2000년)

북한의 경제난으로 1992년 12월 상류 가물막이 공사 완공 이후 잠시 중단되었던 임남댐 공사는 1999년 1월 본댐 공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며 재개되었다.[8] 2000년 10월, 높이 88m, 최대 저수량 9억 1000만㎥ 규모의 1단계 공사가 완공되었다.

하지만 1단계 완공 이전인 2000년 4월부터 댐에 물을 채우기 시작했고, 공사를 지나치게 서두른 탓에 2002년 1월 댐 상층부에서 균열과 훼손이 발견되었다. 같은 해 4월에는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임남댐이 큰 비에 붕괴될 수 있다는 위험성이 드러났다.[9]

2. 3. 댐 균열 발견 및 보수 (2002년)

임남댐은 1단계 공사가 완공되기도 전인 2000년 4월부터 물을 채우기 시작했으며, 공사를 지나치게 서두른 탓에 2002년 1월에는 댐 상층부에서 균열과 훼손이 발견되었다. 같은 해 4월, 위성사진 분석 결과 임남댐이 큰 비가 내릴 경우 붕괴될 수 있다는 심각한 안전 문제가 드러났다.[9]

2. 4. 최종 완공 (2003년)

1999년 1월 본댐 공사에 본격적으로 돌입하여 2000년 10월 높이 88m, 최대 저수량 9억 1000만㎥ 규모의 1단계 공사를 완공하였다.

하지만 1단계 완공 전인 2000년 4월부터 댐에 물을 채우기 시작했고, 공사를 지나치게 서두른 탓에 2002년 1월 댐 상층부에서 균열과 훼손이 발견되었다. 같은 해 4월 위성사진 분석 결과, 임남댐이 큰 비에 붕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9]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공사는 계속 진행되어, 착공 17년 만인 2003년 12월 본댐과 여수로 공사를 마치고 최종 완공되었다. 완공된 댐의 규모는 높이 121.5m, 너비 710m이다.[10]

3. 논란 및 영향

임남댐 건설은 1986년 시작된 이후 남북 관계 및 한강 유역 환경에 여러 논란과 영향을 미쳤다. 건설 초기 한국의 전두환 정부는 북한수공(水攻) 가능성을 제기하며 안보 위협으로 간주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1987년 평화의 댐 건설을 시작했다.[4][5] 이후 2002년에는 댐에 균열이 발견되어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4][5]

또한, 댐 완공 후 북한강을 통해 한강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약 12% 감소하면서 수도권 지역의 물 부족환경 문제를 유발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었다.[6] 2005년에는 북한이 예고 없이 대량의 물을 방류하여 한강 하류에 피해를 주기도 했다.

한편, 2018년 9월 문재인 정부는 남북 관계 개선 분위기 속에서 임남댐의 물을 평화적으로 활용하는 상생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도 했다.[11]

3. 1. 수공 위협 및 평화의 댐 건설

1986년 북한한강의 지류인 북한강 상류에 임남댐(금강산댐) 건설을 시작하자, 한국에서는 안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특히 1987년 2월 전두환 정부는 북한이 전쟁 발발 시 댐을 의도적으로 붕괴시켜 수공(水攻)으로 서울특별시를 물에 잠기게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를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했다.[4][5] 이러한 판단에 따라 정부는 임남댐의 수공 위협에 대비한다는 명분으로 같은 해 임남댐 남쪽 군사 분계선에서 약 35km 떨어진 화천군평화의 댐 1단계 건설을 시작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직접적인 수공 위협에 대한 우려는 이전보다 줄어들었지만, 2002년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임남댐에 여러 개의 균열이 있음이 확인되면서 새로운 불안 요인이 부상했다. 집중 호우 시 댐 자체가 붕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것이다.[4][5] 이러한 위험성에 대비하기 위해 2002년 9월 평화의 댐 2단계 증축 공사가 시작되었고, 2005년 10월에 완공되었다.

한편, 2005년에는 북한이 사전 통보 없이 임남댐의 물을 대량 방류하여 한강 하류 지역에서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임남댐 건설 이후 북한강을 통해 한강 본류로 유입되는 물의 양은 약 12% 감소했으며, 이로 인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서는 물 부족 현상과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6]

2018년 9월 문재인 정부는 남북 관계 개선의 흐름 속에서 임남댐(금강산댐)의 물길을 평화적으로 활용하여 남북이 함께 이익을 얻는 상생 협력 방안을 추진하기도 했다.[11]

3. 2. 한강 수량 감소 및 환경 문제

임남댐 건설 이후 한강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은 12%가 줄어들었다[6]。 이로 인해 한강 하류에 있는 수도권 지역에서는 물 부족 현상과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6]

1986년 임남댐 착공 이후, 북한이 전쟁 발발 시 댐을 붕괴시켜 서울특별시를 물에 잠기게 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에 1987년 2월 전두환 정부는 임남댐이 수공(水攻)용으로 쓰일 수 있다고 판단하고 대응 댐으로 평화의 댐 1단계 건설을 시작했다. 수공에 대한 우려는 시간이 지나며 줄어들었지만, 2002년 위성사진을 통해 댐에 균열이 있는 것이 확인되면서 폭우로 인한 붕괴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다시 제기되었다[4][5]

실제로 2005년에는 임남댐에서 예고 없이 대량의 물이 방류되어 한강 하류 지역에서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4. 남북 관계

1987년 2월 전두환 정부는 임남댐이 수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우려 속에서 임남댐 남쪽에 평화의 댐 1단계 건설을 시작했다. 이후 2002년 9월에 평화의 댐 2단계 공사가 시작되어 2005년 10월에 완공되었다. 2005년에는 북한 측의 예고 없는 대량 방류로 인해 한강 하류 지역이 피해를 입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임남댐 건설 이후 한강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약 12% 감소하면서, 한강 하류 수도권 지역의 물 부족 현상과 환경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4. 1. 문재인 정부의 협력 방안 추진

2018년 9월 문재인 정부에서 금강산댐의 물길을 터서 남북 상생 협력을 도모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11]

참조

[1] 뉴스 S. Korea completes 'Peace Dam' to block flood attack from North http://www.worldtrib[...] 2005-10-27
[2] 뉴스 Fears over North Korean dam http://news.bbc.co.u[...] 2002-05-03
[3] 뉴스 Peace Dam Still Waits for the Flood That Never Came https://www.nytimes.[...] 2007-08-28
[4] 뉴스 S. Korea completes 'Peace Dam' to block flood attack from North http://www.worldtrib[...] 2005-10-27
[5] 뉴스 Fears over North Korean dam http://news.bbc.co.u[...] 2002-05-03
[6] 뉴스 Peace Dam Still Waits for the Flood That Never Came http://www.nytimes.c[...] 2005-10-27
[7] 뉴스인용 이규호 건설부장관, 금강산댐 건설 포기하면 북한에 전력공급 https://news.kbs.co.[...]
[8] 뉴스인용 북한의 금강산 댐 https://news.kbs.co.[...]
[9] 뉴스인용 금강산댐 실체 첫 공개 https://news.kbs.co.[...]
[10] 뉴스인용 北 금강산댐 준공… 남측 수량 8% 줄어 https://n.news.naver[...]
[11] 뉴스인용 [단독] 금강산댐 물길 터서 북한강 수자원 복구한다 https://news.kbs.co.[...]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