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병래는 1922년 평안남도 용강군 출생으로, 해군 정보국 창설 요원으로 활동하며 6.25 전쟁 발발 직후 북한군의 남침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기여했다.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을 위한 X-RAY 작전에 참여하여 핵심 정보를 수집했으며, 1950년 9월 14일 전사했다. 사후 은성무공훈장과 을지무공훈장을 받았으며,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1999년, 2002년, 2020년 3차례 이달의 호국 인물로 선정되었고, 해군사관학교에 동상이 세워졌으며 유도탄고속함 10번함의 함명으로 제정되었다. 2016년 영화 인천상륙작전에서 장학수 역할로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은성훈장 수훈자 - 코트니 휘트니
코트니 휘트니는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참모 및 연합군 최고사령부 민정국장으로 활동하며 일본국 헌법 초안 작성에 참여한 인물이다. - 은성훈장 수훈자 - 함명수
함명수는 해군사관학교 1기 출신으로 몽금포 해전에서 승리한 초계함 함장, 제7대 해군참모총장, 제9대 및 10대 국회의원, 그리고 한국수산개발공사 사장을 역임한 군인이자 정치인, 기업인이다. - 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사망자 - 채병덕
채병덕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육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 참여하여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초기 서울 방어 실패의 책임을 지고 해임된 군인이며, 2005년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사망자 - 이상근 (군인)
이상근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육군사관학교 1기로 임관하여 군인의 길을 걸었으며, 영화 《증언》에서 배우 김진규가 연대장 역할로 그를 연기했다. - 충무무공훈장 수훈자 - 서동렬
서동렬은 공군 준장으로 임관하여 공군참모총장까지 역임한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공군 발전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탄압 가담 등 신군부 시절 행적에 대한 비판도 있으며, 군 복무 후 한국에너지관리공단 이사장을 역임하고 정계에서도 활동했다. - 충무무공훈장 수훈자 - 백선엽
백선엽은 일제강점기 만주군에서 복무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대장까지 오른 군인으로, 다부동 전투 등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외교관과 장관을 역임하다가 2020년에 사망했다.
| 임병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임병래 |
| 생애 | 1922년 ~ 1950년 9월 14일 |
| 출생지 | 평안남도 용강군 |
| 국적 | 대한민국 |
| 최종 계급 | 대한민국 해군 소위 (사후 대한민국 해군 중위 추서) |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X-ray 작전 |
| 서훈 내역 | 1953년 7월 6일 은성무공훈장(Silver Star) 1954년 1월 4일 을지무공훈장 |
| 복무 | 대한민국 해군 |
| 복무 기간 | 1950년 4월 20일 ~ 9월 14일 |
| 근무 | 해군정보국 |
| 임관 | 1950년 4월 20일 해군사관후보생 9기 임관 |
2. 출생
임병래는 1922년 평안남도 용강군에서 출생하여, 1941년 평양 숭인상업학교를 졸업하였다.
임병래는 1950년 4월, 만 28세의 나이로 해군사관후보생 9기로 임관하였다.[2] 임관 후, 해군 정보국 창설 요원으로 활동하며 정보 수집 및 분석 임무를 수행하였다.[2] 특히, 6.25 전쟁 발발 직후, 북한군의 남침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을 위한 X-RAY 작전에 참여하여, 북한군 해안포 기지 정보 등 핵심 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임병래 소위가 1950년 9월 14일 전사한 이후 미국 정부는 은성무공훈장(Silver Star)을 추서하고 대한민국 정부는 1계급 특진과 을지무공훈장을 추서하였다.[4] 또한 고인의 유해는 해안가에 가매장되었다가 1960년대 초 국립서울현충원에 이장되었으며, 이달의 호국 인물에 1999년 8월, 2002년 9월, 2020년 9월 3차례 선정되었다.
[1]
웹인용
전쟁기념관, 이달의 호국인물
https://www.warmemo.[...]
2021-05-22
3. 생애
4. X-RAY 작전과 전사
5. 사후
2010년 11월 26일, 인천 상륙 작전 60주년을 맞아 해군사관학교에 임병래 해군 중위의 동상이 세워졌다.[4]
2013년 9월, 유도탄고속함 10번함의 함명을 임병래로 제정하였다.
2016년 7월 27일, 이들의 작전이 영화화된 인천상륙작전에서 임병래 중위가 장학수 역할로 묘사된다.
참조
[2]
뉴스
9월의 6.25전쟁영웅 해군 임병래 중위ㆍ홍시욱 하사
https://www.korea.kr[...]
국가보훈처
2014-09-01
[3]
서적
인천상륙작전의 숨은 주역 함명수
다물아사달
2016-05-30
[4]
뉴스
해군사관학교에 우뚝선 인천상륙작전 영웅 동상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0-11-26
[5]
웹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임병래
http://encykorea.aks[...]
2021-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