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잘자라 우리아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ext

잘자라 우리 아가(Schlafe, mein Prinzchen, schlaf ein)는 독일의 자장가로, 프리드리히 빌헬름 고터가 가사를 썼다. 이 곡은 한때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작품으로 알려졌으나, 이후 베른하르트 플라이스 또는 요한 프리드리히 안톤 플라이슈만이 작곡했을 가능성이 높다. 가사는 3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기를 재우는 부드러운 내용을 담고 있다. 일본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여러 번역가에 의해 번역되었다.

```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노래 - 주 천주의 권능과
    《주 천주의 권능과》는 가톨릭에서 시작되어 개신교로 확산된 찬송가로, 시대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불리며, 한국 개신교에서는 민족의 고난을 함께하고 저항 정신을 고취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긍정적 가치와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 18세기 노래 - 할렉의 사나이들
    〈할렉의 사나이들〉은 1830년대 가사가 실린 낱장본으로 출판된 웨일스 민요로, 다양한 작가에 의해 여러 형태로 가사가 창작되었고 영국 육군 및 영연방 군대의 웨일스 관련 부대에서 군가, 영화 삽입곡, 축구 응원가, 학교 교가 등으로 사용되며 널리 알려졌다.
  • 자장가 - 작은 별
    작은 별은 제인 테일러의 시에 프랑스 민요 멜로디를 붙여 만든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동요로, 교육적 가치와 문화적 상징으로서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며 대중문화 속에서도 널리 활용된다.
  • 자장가 - 프레르 자크
    프레르 자크는 늦잠을 잔 수도사를 깨우는 내용의 프랑스 동요로, 4성부 카논 형식으로 불리며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작곡가에 대한 여러 주장이 있으며 음악, 사회 운동, 대중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독일어 노래 - 오 탄넨바움
    오 탄넨바움은 16세기 민요 멜로디에 1824년 에른스트 안쉬츠가 가사를 붙여 탄생한 독일 크리스마스 캐럴로, 전나무의 충실함을 노래하다 크리스마스 노래로 변화했으며,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불리고 적기가 등 여러 노래의 멜로디로도 사용된다.
  • 독일어 노래 - 독일인의 조국은 무엇인가
    독일인의 조국은 무엇인가'는 독일의 애국적인 노래로, 독일인의 조국을 특정 지역이 아닌 독일어 사용 지역, 즉 언어와 문화적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더 넓은 개념으로 정의하며, 지역주의를 넘어선 통일된 독일의 염원을 드러낸다.
잘자라 우리아가

2. 역사

가사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고터가 썼다. 오랫동안 이 멜로디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작곡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쾨헬 목록에 K. 350으로 등재되었다. 하지만 멜로디의 작곡가는 베른하르트 플라이스 또는 프리드리히 플라이슈만으로 변경되었고,[1] 쾨헬 목록의 본문에서 삭제되어 진위 여부가 불분명하거나 의심스러운 작품을 위한 부록인 K. Anh. C. 8.48로 옮겨졌다.

2. 1. 가사

가사는 독일의 극작가이자 시인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고터/Friedrich Wilhelm Gotterde(1746-1797)가 썼다. 고터의 희곡 《에스더》에 삽입된 곡이다.

:자거라, 나의 왕자님, 잠들어라,

:양들은 쉬고, 작은 새들도 쉬네,

:정원과 풀밭은 조용해졌고,

:벌 한 마리조차 더 이상 윙윙거리지 않네,

:은빛 광채를 띤 루나(Luna)가

:창문 안을 들여다보네,

:은빛 광채 아래서 잠들어라,

:자거라, 나의 왕자님, 잠들어라,

:잠들어라, 잠들어라!

:성 안에서도 이미

:모두가 잠에 빠져드네,

:생쥐 한 마리도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지하실과 주방은 비어 있네,

:하녀의 방에서만

:애타는 한숨 소리가 들리네!

:저 한숨은 무엇일까?

:자거라, 나의 왕자님, 잠들어라,

:잠들어라, 잠들어라!

:너보다 더 행복한 자가 있을까?

:즐거움과 평화뿐이지!

:장난감과 설탕은 가득하고,

:마차도 달려오네,

:모두가 걱정하고 준비하니,

:나의 왕자님이 울지 않기만을.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까?

:자거라, 나의 왕자님, 잠들어라,

:잠들어라, 잠들어라!

2. 2. 작곡가

이 곡은 오랫동안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쾨헬 목록에 K. 350으로 등재되었다.[1] 그러나 이후 베른하르트 플라이스가 작곡가로 지목되기도 했다.[1]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요한 프리드리히 안톤 플라이슈만이 실제 작곡가일 가능성이 높다.[1] 모차르트의 작품이 아닌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쾨헬 목록에서 삭제되고 Anh. C 8.48로 재분류되었다.[1]

3. 가사

자거라, 나의 왕자님, 잠들어라/Schlafe, mein Prinzchen, schlaf einde 가사는 총 3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기를 재우는 부드러운 내용을 담고 있다.

1절은 평화로운 밤의 정경과 아기가 잠들기를 바라는 마음을 묘사한다. 양과 작은 새들은 쉬고, 정원과 풀밭은 조용하며, 벌조차 윙윙거리지 않는 밤의 고요함 속에서, 달(루나, Luna)이 은빛 광채로 창문 안을 들여다보는 가운데 아기가 잠들기를 바란다.

2절은 성 안의 모든 사람들이 잠들고 고요한 가운데, 아기의 잠을 기원하는 내용이다. 생쥐 한 마리도 움직이지 않고 지하실과 주방은 비어 있는 적막함 속에서, 오직 하녀의 방에서만 애타는 한숨 소리가 들려온다. 그 한숨의 의미는 알 수 없지만, 그럼에도 아기가 평화롭게 잠들기를 바라는 마음이 나타나 있다.

3절은 아기의 행복과 미래를 축복하며 잠들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아기에게는 즐거움과 평화만이 가득하고, 장난감과 설탕, 마차 등 부족함이 없는 환경 속에서, 모두가 아기가 울지 않기를 바라며 걱정하고 준비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지만, 그럼에도 아기가 잘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다.

4. 악보

자장가/Wiegenliedde는 1796년에 쓰여진 요하네스 브람스의 가곡(Op. 49-4)이다. 1877년 라이프치히의 브라이코프 & 헤르텔에서 출판되었다.

아래는 해당 곡의 악보이다.



\header { tagline = ##f }

\layout { indent = 0\cm \context { \Score \remove "Bar_number_engraver" } }

global = {

\key d \major

\time 6/8

% \tempo "Andante"

}

sopranoVoice = \relative c'' { \set Score.tempoHideNote = ##t \tempo 4. = 52

\global

\dynamicUp \autoBeamOff

fis,8^"Andante" g fis e d e | d4 r8 r4. |

d8 g g g a b | a4 r8 r4. |

e8 dis e e dis e | g4 r8 r4. |

fis8 fis fis g fis g | a4 r8 r4. |

b8 b b b ais b | d4 r8 r4. |

a!8 a a a gis a | d4 r8 r4. |

g,8 a g fis g a | e4 r8 r4. |

fis8 g fis e d e | \tempo 4. = 48 d4 r8 r4 fis8 |

a4.~ (a16 [gis g fis]) g ([e]) | \tempo 4. = 52 d4 r8 r4. | R2.*3 | \bar "|."

}

verse = \lyricmode {

Schla -- fe, mein Prinz -- chen, schlaf ein,

Schäf -- chen ruhn und Vö -- ge -- lein,

Gar -- ten und Wie -- se ver -- stummt,

auch nicht ein Bien -- chen mehr summt,

Lu -- na mit sil -- ber -- nem Schein

gu -- cket zum Fen -- ster her -- ein,

schla -- fe bei sil -- ber -- nem Schein,

schla -- fe, mein Prinz -- chen, schlaf ein,

schlaf ein, __ schlaf ein!

}

rightOne = \relative c'' {

\global

4.\pp | r8 8 r8 |

r8 r8 | r8 r8 |

| r8 cis' (a e' cis a) |

r8 | r8 a fis fis' d a |

| r8 \stemDown d' d g16 (fis e d cis b) |

r8 \stemNeutral | r8 d' d fis16 (e d cis b a) |

4 r8 4 r8 | \slurDown (a gis g fis g16 e) |4 r8 4 r8 |

(a fis') (a fis') | (a a') (a a') | (a fis') (a fis') |

\slurUp 4.~ (a'16 gis g fis g e) | d8 \ppp | 4 r8 r4. |

}

rightTwo = \relative c'' {

\global

s4. s4. | r8 s4 r8 s4 | r8 s4 r8 s4 | r8 s4 r8 s4 | s4. s4. g4. g4. |

r8 s4 s4. | fis4. fis4. | s4. s4. | r8 s4 s4. | r8 s4 s4. | r8 s4 s4. | s4 r8 s4 r8 |

s2. | s4 r8 s4 r8 | s2. | s2. | s2. | s2. | s2. | s4 r8 r4. |

}

leftOne = \relative c {

\global

\stemNeutral d4.\pp a | d,4 r8 d'4 r8 | d4 r8 d4 r8 | d4 r8 d4 r8 |

a4 r8 a4 r8 | a2. | d4 r8 d4 r8 | d2. |

g8 g g g g g | |

fis fis fis fis fis fis |
|

4 r8 4 r8 | 4.~ 4 r8 | d,4 r8 a4 r8 | d,4. d'4. |

2. | d4. d4. | r8 \stemUp | \ppp | 4 r8 r4. |

}

leftTwo = \relative c' {

\global

s2. | s4 r8 s4 r8 | s4 r8 s4 r8 | s4 r8 s4 r8 |

s4 r8 s4 r8 | s2. | s4 r8 s4 r8 | s2. | s2. | s2. | s2. | s2. |

s4 r8 s4 r8 | s4. s4 r8 | s4 r8 s4 r8 | s2. | s2. | s2. | a,2. | s2. | s4 r8 r4. |

}

sopranoVoicePart = \new Staff \with {

midiInstrument = "clarinet"

} { \sopranoVoice }

\addlyrics { \verse }

instrPart = \new PianoStaff <<

\new Staff = "right" \with {

midiInstrument = "acoustic guitar (nylon)" \consists "Merge_rests_engraver"

} << \rightOne \\ \rightTwo >>

\new Staff = "left" \with {

midiInstrument = "acoustic guitar (nylon)" \consists "Merge_rests_engraver"

} { \clef bass << \leftOne \\ \leftTwo >> }

>>

\score {

<<

\sopranoVoicePart

\instrPart

>>

\layout { }

\midi { }

}


5. 일본에서의 수용

일본에서도 잘 알려진 자장가로, 도키 젠마로[7] 등 여러 번역가에 의해 번역되었다.[7] 그중 호리우치 게이조의 "자거라 우리 아가 뜰과 목장에"로 시작하는 번역 가사가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다.

6. 관련 항목

참조

[1] 간행물 Das Wiegenlied 'von Mozart' https://resolver.obv[...]
[2] 서적 Der Wiegenlieder-Schatz
[3] 웹사이트 English translation http://www.mamalisa.[...]
[4] 웹사이트 Wiegenlieder (25): "Schlafe, mein Prinzchen, schlaf ein" https://www.zeit.de/[...] 2010-03-15
[5] 간행물 Das Wiegenlied 'von Mozart' https://resolver.obv[...]
[6] 문서 偽作?疑作?(国立音楽大学附属図書館 展示・イベント配布資料 2009年6月22日~7月31日) https://www.lib.kuni[...]
[7] 웹사이트 子守歌(モーツアルト) http://bunbun.boo.jp[...]
[8] 문서 "Schlafe, mein Prinzchen, es ruhn"
[9] 간행물 Das Wiegenlied "von Mozart" 1988-07
[10] 웹사이트 한국음악저작권협회-김성태 W0022800 https://www.komca.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