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잠자리피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잠자리피속(Trisetum)은 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속이다. 산잠자리피, 시베리아잠자리피, 잠자리피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들이 존재하며, 알려진 종들은 Trisetum 종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에는 산잠자리피, 시베리아잠자리피, 잠자리피가 자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귀리아족 - 귀리속
    귀리속은 벼과 식물 속으로, 주요 상업 작물인 귀리를 포함하며, 일부 종은 사료나 잡초로 사용되기도 하고, 나비목 유충의 식용 식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 귀리아족 - 개나래새속
    개나래새속은 벼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유럽과 지중해 지역이 원산지이며 귀리나 페스큐와 유사한 야생 형태를 띠고 목초, 사료, 관상용 등으로 활용되지만 생태계 교란 및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도 있다.
  • 1805년 기재된 식물 - 팽나무
    팽나무는 아시아 온대 지역에 자생하며 높이 20m까지 자라는 낙엽성 활엽수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한국에서는 정자목, 당산목으로 숭배받았으며, 목재와 잎, 잔가지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 1805년 기재된 식물 - 마편초과
    마편초과는 꿀풀목에 속하는 과로,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따라 범위가 축소되었으며 네오스파르톤족, 두란타족, 란타나족, 마편초족 등 다양한 족으로 나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잠자리피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Trisetum flavescens
Trisetum flavescens
학명Trisetum
명명자Pers. 1805 not (Besser ex Schult. & Schult.f.) Trin. 1830
모식종Trisetum flavescens
모식종 명명자(L.) P. Beauv.
동의어Rupestrina Prov.
Trisetarium Poir.
생물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외떡잎식물군
미분류 목닭의장풀군
벼목
벼과
아과포아풀아과
포아풀족
아족귀리아족
잠자리피속
하위 분류
list of Trisetum species (잠자리피속 종 목록 참조)

2. 종


  • 산잠자리피 ''T. spicatum'' (L.) K.Richt.
  • 시베리아잠자리피 ''T. sibiricum'' Rupr.
  • 잠자리피 ''T. bifidum'' (Thunb.) Ohwi
  • ''T. aeneum'' (Hook.f.) R.R.Stewart
  • ''T. agrostideum'' (Laest.) Fr.
  • ''T. alpestre'' (Host) P.Beauv.
  • ''T. altaicum'' Roshev.
  • ''T. ambiguum'' Rúgolo & Nicora
  • ''T. angustum'' Swallen
  • ''T. antarcticum'' (J.R.Forst.) Trin.
  • ''T. arduanum'' Edgar & A.P.Druce
  • ''T. argenteum'' (Willd.) Roem. & Schult.
  • ''T. barbinode'' Trin.
  • ''T. baregense'' Laff. & Miégev.
  • ''T. bertolonii'' Jonsell
  • ''T. brasiliense'' Louis-Marie
  • ''T. bulbosum'' Hitchc.
  • ''T. bungei'' Boiss.
  • ''T. burnoufii'' Req. ex Parl.
  • ''T. buschianum'' Seredin
  • ''T. caudulatum'' Trin.
  • ''T. cernuum'' Trin.
  • ''T. ciliare'' (Kit.) Domin
  • ''T. clarkei'' (Hook.f.) R.R.Stewart
  • ''T. cumingii'' (Steud.) Parodi ex Nicora
  • ''T. curvisetum'' Morden & Valdés-Reyna
  • ''T. debile'' Chrtek
  • ''T. distichophyllum'' (Vill.) P.Beauv.
  • ''T. drucei'' Edgar
  • ''T. durangense'' Finot & P.M.Peterson
  • ''T. filifolium'' Scribn. ex Beal
  • ''T. flavescens'' (L.) P.Beauv.
  • ''T. foliosum'' Swallen
  • ''T. glaciale'' Boiss.
  • ''T. glomeratum'' (Kunth) Trin. ex Steud.
  • ''T. gracile'' (Moris) Boiss.
  • ''T. henryi'' Rendle
  • ''T. hispidum'' Lange
  • ''T. howellii'' Hitchc.
  • ''T. inaequale'' Whitney
  • ''T. irazuense'' (Kuntze) Hitchc.
  • ''T. juergensii'' Hack.
  • ''T. kangdingense'' (Z.L.Wu) S.M.Phillips & Z.L.Wu
  • ''T. koidzumianum'' Ohwi
  • ''T. laconicum'' Boiss. & Orph.
  • ''T. lasiorhachis'' (Hack.) Edgar
  • ''T. lepidum'' Edgar & A.P.Druce
  • ''T. ligulatum'' Finot & Zuloaga
  • ''T. longiglume'' Hack.
  • ''T. macbridei'' Hitchc.
  • ''T. macrotrichum'' Hack.
  • ''T. martha-gonzaleziae'' P.M.Peterson & Finot
  • ''T. mattheii'' Finot
  • ''T. mexicanum'' (Swallen) S.D.Koch
  • ''T. micans'' (Hook.f.) Bor
  • ''T. montanum'' Vasey
  • ''T. nancaguense'' Finot
  • ''T. oreophilum'' Louis-Marie
  • ''T. orthochaetum'' Hitchc.
  • ''T. palmeri'' Hitchc.
  • ''T. pauciflorum'' Keng f.
  • ''T. persicum'' Chrtek
  • ''T. phleoides'' (d'Urv.) Kunth
  • ''T. pinetorum'' Swallen
  • ''T. preslii'' (Kunth) É.Desv.
  • ''T. pringlei'' (Beal) Hitchc.
  • ''T. projectum'' Louis-Marie
  • ''T. pyramidatum'' Louis-Marie ex Finot
  • ''T. rigidum'' (M.Bieb.) Roem. & Schult.
  • ''T. rosei'' Scribn. & Merr.
  • ''T. scitulum'' Bor
  • ''T. serpentinum'' Edgar & A.P.Druce
  • ''T. spellenbergii'' Soreng, Finot & P.M.Peterson
  • ''T. subspontaneum'' (Tzvelev) Czerepan.
  • ''T. tenellum'' (Petrie) Allan & Zotov ex Laing & Gourlay
  • ''T. tenuiforme'' Jonsell
  • ''T. thospiticum'' Chrtek
  • ''T. tibeticum'' P.C.Kuo & Z.L.Wu
  • ''T. tonduzii'' Hitchc.
  • ''T. transcaucasicum'' Seredin
  • ''T. turcicum'' Chrtek
  • ''T. umbratile'' (Kit.) Kitag.
  • ''T. velutinum'' Boiss.
  • ''T. viride'' (Kunth) Kunth
  • ''T. virletii'' E.Fourn.
  • ''T. youngii'' Hook.f.
  • ''T. yunnanense'' Chrtek

알려진 종은 ''Trisetum'' 종 목록에 나열되어 있다.[11]

2. 1. 한국 자생종

한국에는 산잠자리피(''T. spicatum'' (L.) K.Richt.), 시베리아잠자리피(''T. sibiricum'' Rupr.), 잠자리피(''T. bifidum'' (Thunb.) Ohwi)가 자생한다.[11]

2. 2. 기타 주요 종

이 외에도 산잠자리피 ''T. spicatum'' (L.) K.Richt., 시베리아잠자리피 ''T. sibiricum'' Rupr., 잠자리피 ''T. bifidum'' (Thunb.) Ohwi 등 다양한 종들이 알려져 있다.[11] 알려진 종은 ''Trisetum'' 종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11]

참조

[1] 간행물 Icones et descriptiones Graminum austriacorum http://www.illustrat[...] Vindobonae : A. Schmidt 1801-1809
[2] 문서 lectotype designated by Hitchcock, U.S.D.A. Bull. 772: 107-109 (1920)
[3] 웹사이트 Tropicos, Trisetum Pers. http://www.tropicos.[...]
[4]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5] 웹사이트 Synopsis Plantarum 1: 97-98 https://www.biodiver[...] 1805
[6] 웹사이트 Grassbase - The World Online Grass Flora http://www.kew.org/d[...]
[7]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2 Page 325 三毛草属 san mao cao shu Trisetum Persoon, Syn. Pl. 1: 97. 1805. http://www.efloras.o[...]
[8] 웹사이트 Altervista Flora Italiana genere Trisetum http://luirig.alterv[...]
[9] 웹사이트 Atlas of Living Australia http://bie.ala.org.a[...]
[10] PLANTS Triraphis 2015-12-15
[11] 웹사이트 Grass Manual Treatment http://herbarium.usu[...] 2012-06-05
[12] 서적 Synopsis Plantarum 1: 97 1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