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잠재의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잠재의식은 의식 밖에 존재하며 작용하는 정신 영역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18세기 초 존 노리스가 처음 사용했으며, 19세기 말 심리학자 피에르 자네가 학계에 널리 알렸다. 현대 심리학에서는 의식적인 인지 범위를 벗어난 정보와 경험을 저장하는 저장소로 정의한다. 프로이트는 잠재의식 대신 무의식이라는 용어를 선호했으며, 분석심리학에서는 카를 융이 개인의 지식과 경험을 저장하는 대체 저장소로 잠재의식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뉴에이지와 자기계발 분야에서는 잠재의식의 힘을 활용하여 삶의 변화를 꾀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과학적 근거 부족과 일화적 증거에 의존한다는 비판도 있다. 한국 사회에서는 긍정적 사고방식을 강조하는 문화와 관련하여 사이코사이버네틱스 이론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2. 용어의 기원과 학문적 사용

'잠재의식(subconscious)'이라는 용어는 프랑스어 'subconscient'에서 유래되었으며, 18세기 초 존 노리스가 처음 사용했다. 19세기 말 심리학자 피에르 자네는 '심리적 자동성' 연구에서 이 용어를 사용해 학계에 널리 알렸다. 자네는 의식의 비판적 사고 기능 아래에 강력한 인식이 존재한다고 보았으며, 이를 잠재의식이라고 불렀다.[1]

엄격한 심리학적 의미에서 잠재의식은 "의식 밖에서 작용하거나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된다.[2] 록과 크리스토프는 의식적인 초점 인식에 담을 수 있는 것에 한계가 있어, 개인의 지식과 이전 경험을 담는 저장소가 필요하다고 말하며, 이를 잠재의식이라고 칭했다.[3]

2. 1. 심리학에서의 정의

'잠재의식'(subconscious)이라는 단어는 프랑스어 'subconscient'를 영어식으로 변형한 것이다. 존 노리스가 1708년 "이상 또는 지성 세계의 이론에 대한 에세이"에서 처음 사용했으며, "감각의 직접적인 대상은 지성의 대상이 아니며, 잠재의식적인(Subconscient) 본성을 지닌다."라고 썼다.[1] 1889년에는 심리학자 피에르 자네가 문학 박사 학위 논문 ''심리적 자동성'' (De l'Automatisme Psychologique프랑스어)에서 사용했다.[1] 자네는 의식의 비판적 사고 기능 아래에 강력한 인식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잠재의식이라고 불렀다.[2]

심리학에서 잠재의식은 "의식 밖에서 작용하거나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된다.[2] 록과 크리스토프는 의식적인 초점 인식에 담을 수 있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개인의 지식과 이전 경험을 담는 저장소가 필요하다고 말하며, 이를 잠재의식이라고 칭했다.[3]

2. 2. 정신분석학에서의 사용과 비판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1893년에 "잠재의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해[4][5] 의식에 접근할 수 없는 연상과 충동을 설명했다.[6] 그러나 그는 이후 이 용어를 버리고 무의식이라는 용어를 선호했다. 프로이트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만약 누군가 잠재의식에 대해 이야기한다면, 그가 이 용어를 지형학적으로, 즉 의식 아래에 있는 무언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인지, 아니면 질적으로, 즉 지하의 다른 의식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인지 알 수 없습니다. 그는 아마도 그 어떤 것도 명확하게 알지 못할 것입니다. 유일하게 믿을 수 있는 대립은 의식과 무의식 사이의 대립입니다.[7][5]

1896년 프로이트는 서신 52에서 정신 과정의 계층화를 도입하며, 기억 흔적이 새로운 상황에 따라 때때로 재정렬된다고 언급했다. 이 이론에서 그는 ''Wahrnehmungszeichen'' ("지각 표시"), ''Unbewusstsein'' ("무의식"), ''Vorbewusstsein'' ("전의식")을 구분했다.[6] 이때부터 프로이트는 "잠재의식"이라는 용어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는 내용과 처리가 무의식 또는 전의식 정신에서 발생하는지 구분하지 못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8]

찰스 라이크로프트는 잠재의식이 "정신분석학적 저작에서 절대 사용되지 않는" 용어라고 설명한다.[9] 피터 게이는 잠재의식을 무의식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은 "흔하고 중요한 실수"라고 말하며,[10] "그 용어가 '프로이트적'인 무언가를 말하기 위해 사용될 때는, 그 작가가 프로이트를 읽지 않았다는 증거"라고 비판한다.[11]

2. 3. 분석심리학에서의 관점

카를 융은 의식적인 초점 자각에 담을 수 있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개인의 지식과 이전 경험을 저장하는 대체 저장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12]

3. 뉴에이지 및 자기계발에서의 활용

'잠재의식'은 뉴에이지와 자기계발 서적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러한 분야에서는 잠재의식의 힘을 활용하여 개인의 삶을 변화시키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믿는다. 사이코사이버네틱스에서는 인간의 잠재의식이 농담과 진담, 상상과 실제 결과를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특정 주장을 계속 주입하면 실제로 그렇게 알고 행동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나는 멋지다"라고 반복하면 정말 멋지게 행동하고, "나는 못생겼다"라고 하면 정말 못생겼다고 행동한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할 수 있다"라는 구호를 반복하면 실제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3. 1. 활용 방법

뉴에이지와 자기계발 분야에서는 잠재의식의 힘을 활용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뉴에이지 커뮤니티에서는 자기 암시나 확언 같은 방법을 통해 잠재의식에 영향을 주어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거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회의론자 인콰이어러'' 잡지에서는 이러한 주장이 반증가능성과 검증가능성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13] 물리학자 알리 알루시(Ali Alousi)는 잠재의식의 영향을 측정할 수 없으며, 생각이 외부 세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14] 또한, 이러한 주장의 근거가 대부분 일화적 증거이고, 긍정적인 결과만 부각되는 자기 선택적 성격과 결과 해석의 주관성 때문에 확증 편향선택 편향에 취약하다는 비판도 있다.[15]

현대 뉴에이지 및 초자연적 커뮤니티에서는 잠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확언, 자기 암시, 이진수 비트, 최면, 잠재 의식 메시지 등을 활용한다.

3. 2. 비판적 시각

사이코사이버네틱스에서 주장하는 잠재의식의 작용은 뉴에이지와 자기계발 서적에서 널리 활용되지만,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주로 일화적 증거에 의존하며, 긍정적인 결과만을 선택적으로 보고하는 출판 편향, 확증 편향, 선택 편향 등의 문제가 지적된다.[15]

''회의론자 인콰이어러'' 잡지는 이러한 주장이 반증가능성과 검증가능성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13] 물리학자 알리 알루시(Ali Alousi)는 잠재의식의 작용을 측정할 수 없으며, 생각이 머리 밖의 무언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4]

심리학자와 정신과 의사들은 "무의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형이상학 및 뉴에이지 문헌에서는 "잠재의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16] 두 개념이 정확히 동일하다고 볼 수는 없다. 현대 심리학과 정신의학에서는 뉴에이지에서 묘사하는 것보다 무의식의 능력을 제한적으로 본다.

4. 한국 사회에서의 잠재의식

한국 사회에서도 '잠재의식'이라는 용어는 널리 사용되며, 특히 자기계발 및 성공 관련 담론에서 자주 등장한다.

4. 1. 사이코사이버네틱스와의 연관성

사이코사이버네틱스는 인간의 잠재의식이 농담과 진담, 상상과 실제 결과를 구별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특정 주장을 반복하면 잠재의식은 실제로 그렇게 믿고 행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나는 멋지다"라고 하면 정말 멋지게 행동하고, "나는 못생겼다"라고 하면 정말 못생겼다고 행동한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할 수 있다"라고 자주 외치면, 정말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

4. 2. 비판적 시각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고, 지나치게 단순화된 논리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사이코사이버네틱스에서는 인간의 잠재의식이 농담과 진담을 구별하지 못하며 상상적 결과와 실제 결과를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한 주장을 계속 주입하면 실제로 그렇게 알고 행동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나는 멋지다"라고 하면 정말 멋지게 되고, "나는 못생겼다"라고 하면 정말 못생겼다고 행동, 반응하게 된다고 한다.

참조

[1] 서적 De l'Automatisme Psychologique https://archive.org/[...] 2020-07-07
[2] 서적 The Discovery of the Unconscious
[3] 서적 Volitional Choices in the Goal Achievement Process Guilford Press 2014-12-08
[4] 간행물 « Quelques considérations pour une étude comparative des paralysies organiques et hystériques »
[5] 서적 The Language of Psycho-analysis https://books.google[...] Karnac Books
[6] 서적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ume I (1886-1899) Pre-Psychoanalytic Publications and Unpublished Drafts Hogarth Press Limited
[7] 서적 The Question of Lay Analysis
[8] 서적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ume II (1893 - 1895) The Hogarth Press
[9] 서적 A Critical Dictionary of Psychoanalysis
[10] 서적 Freud: A Life For Our Time
[11] 서적 A Freud Reader
[12] 서적 Man and his Symbols https://archive.org/[...] Doubleday 1964
[13] 웹사이트 http://www.csicop.or[...]
[14] 뉴스 Secret attraction http://www.canada.co[...] The Montreal Gazette 2007-05-12
[15] 논문 The Persuasive Appeal of Alternative Medicine
[16] 문서 Power of Your Subconscious Mi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