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니코드 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니코드 상은 1993년부터 인지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학자들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1993년부터 2024년까지 제리 포더, 프레드 드레츠키, 도널드 데이비슨, 한스 캄프, 욘 엘스터, 수잔 캐리, 존 페리, 존 설, 대니얼 데닛, 루스 밀리칸, 레이 잭켄도프, 제논 피리신, 길버트 하먼, 마이클 토마셀로, 스티븐 스티치, 킴 스테렐니, 엘리자베스 스펠키, 타일러 버지, 치브라 게르게이, 게르게이 죄르지, 네드 블록, 우타 프리트, 크리스 프리트, 데이비드 차머스, 패트릭 해거드, 존 캠벨, 마르틴 니다-루멜린, 레다 코스미데스, 존 투비, 프랜시스 이건, 피터 고드프리-스미스, 낸시 캔위셔, 크리스토퍼 피콕 등이 수상했다.
다음은 1993년부터 현재까지 장 니코드 상을 수상한 학자들의 목록과 그들의 업적이다.[1]
2. 역대 수상자
연도 수상자 소속 주요 강연 주제 1993년 제리 포더 러트거스 대학교 느릅나무와 전문가: 멘탈어와 그 의미론 1994년 프레드 드렛스키 스탠퍼드 대학교 마음의 자연화 1995년 도널드 데이비슨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객관성의 근원 1996년 한스 캄프 슈투트가르트 대학교 사물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기 1997년 존 엘스터 컬럼비아 대학교 강렬한 감정. 감정, 중독, 그리고 인간 행동 1998년 수잔 캐리 하버드 대학교 개념의 기원: 진화 대 문화 1999년 존 페리 스탠퍼드 대학교 지식, 가능성, 그리고 의식 2000년 존 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행동 속의 합리성 2001년 대니얼 데닛 터프츠 대학교 달콤한 꿈: 의식 과학에 대한 철학적 장애물 2002년 루스 밀리칸 코네티컷 대학교 의미의 다양성 2003년 레이 잭켄도프 터프츠 대학교 정신 구조: 언어, 사회, 의식 2004년 제논 필리신 러트거스 대학교 사물과 장소: 마음이 세상과 연결되는 방식 2005년 길버트 하먼 프린스턴 대학교 귀납의 문제와 통계적 학습 이론 2006년 마이클 토마셀로 막스 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 라이프치히 인간 의사 소통의 기원 2007년 스티븐 스티치 러트거스 대학교 도덕 이론이 인지 과학을 만나다: 인지 과학이 전통적인 논쟁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 2008년 킴 스테렐니 빅토리아 대학교 웰링턴 세 번째 침팬지의 운명 2009년 엘리자베스 스펠키 하버드 대학교 인간 지식의 근원 2010년 타일러 버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이성의 문턱 2011년 거겔리 치브라, 게르겔리 게르겔리 중앙 유럽 대학교 자연 교수법 2013년 네드 블록[2] 뉴욕 대학교 의식, 전의식, 무의식 2014년 우타 프리트, 크리스 프리트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사회 인지, 사회적 상호 작용의 메커니즘 2015년 데이비드 찰머스 뉴욕 대학교 공간적 착시 2016년 패트릭 해거드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의지, 행위, 책임 2017년 존 캠벨 UC 버클리 언어와 지각 2019년 마틴 니더-뤼멜린 프리부르 대학교 의식 연구의 철학적 기초 2020년 레다 코스미데스, 존 투비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적응주의 혁명과 인지 과학 2021년 프랜시스 이간 러트거스 대학교 정신 표상의 축소 2022년 피터 고드프리-스미스 시드니 대학교 경험의 진화 2023년 낸시 캔위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인간 뇌의 기능적 조직 2024년 크리스토퍼 피코크 컬럼비아 대학교 음악 이해
2. 1. 1993년 ~ 2000년
1993년부터 2000년까지 장 니코드 상은 인지 과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철학자들에게 수여되었다. 초기 수상자들은 마음, 언어, 의식, 합리성 등 인간 정신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탐구하며 인지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연도 | 이름 | 소속 | 수상 기념 강연 / 한국어 번역 제목 |
---|---|---|---|
1993 | 제리 포더 | 러트거스 대학교 | 느릅나무와 전문가: 멘탈어와 그 의미론 |
1994 | 프레드 드렛스키 | 스탠퍼드 대학교 | 마음의 자연화 |
1995 | 도널드 데이비슨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객관성의 근원 |
1996 | 한스 캄프 | 슈투트가르트 대학교 | 사물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기 |
1997 | 존 엘스터 | 컬럼비아 대학교 | 강렬한 감정. 감정, 중독, 그리고 인간 행동 |
1998 | 수잔 캐리 | 하버드 대학교 | 개념의 기원: 진화 대 문화 |
1999 | 존 페리 | 스탠퍼드 대학교 | 지식, 가능성, 그리고 의식 |
2000 | 존 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행동 속의 합리성 |
2. 1. 1. 1993년: 제리 포더
1993년 제리 포더는 러트거스 대학교 소속으로, "느릅나무와 전문가: 멘탈어와 그 의미론"이라는 주제로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1. 2. 1994년: 프레드 드렛스키
1994년, 스탠퍼드 대학교 소속 프레드 드렛스키가 《마음의 자연화》[1]라는 주제로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2. 1. 3. 1995년: 도널드 데이비슨
1995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소속 도널드 데이비슨이 "객관성의 근원"이라는 주제로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1. 4. 1996년: 한스 캄프
슈투트가르트 대학교 소속 한스 캄프는 1996년 "사물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기"라는 제목으로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1. 5. 1997년: 존 엘스터
컬럼비아 대학교 소속의 존 엘스터는 1997년에 "강렬한 감정. 감정, 중독, 그리고 인간 행동"이라는 주제로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1. 6. 1998년: 수잔 캐리
1998년 장 니코드 상은 하버드 대학교 소속의 수잔 캐리에게 수여되었다. 수상 기념 강연 제목은 "개념의 기원: 진화 대 문화"였다.[1]2. 1. 7. 1999년: 존 페리
1999년 장 니코드 상은 스탠퍼드 대학교의 존 페리에게 수여되었다. 그의 수상 기념 강연은 "지식, 가능성, 그리고 의식"(Knowledge, Possibility, and Consciousness영어)이었다.[1]2. 1. 8. 2000년: 존 설
2000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교의 존 설이 "행동 속의 합리성"이라는 제목으로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2. 2001년 ~ 2010년
2000년대 장 니코드 상은 인지 과학, 철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에게 수여되었으며, 인간 정신과 의식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장려했다.연도 | 이름 | 소속 | 제목 |
---|---|---|---|
2001년 | 대니얼 데닛 | 터프츠 대학교 | 달콤한 꿈: 의식 과학에 대한 철학적 장애물 |
2002년 | 루스 밀리칸 | 코네티컷 대학교 | 의미의 다양성 |
2003년 | 레이 잭켄도프 | 터프츠 대학교 | 정신 구조: 언어, 사회, 의식 |
2004년 | 제논 필리신 | 러트거스 대학교 | 사물과 장소: 마음이 세상과 연결되는 방식 |
2005년 | 길버트 하먼 | 프린스턴 대학교 | 귀납의 문제와 통계적 학습 이론 |
2006년 | 마이클 토마셀로 | 막스 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 라이프치히 | 인간 의사 소통의 기원 |
2007년 | 스티븐 스티치 | 러트거스 대학교 | 도덕 이론이 인지 과학을 만나다: 인지 과학이 전통적인 논쟁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 |
2008년 | 킴 스테렐니 | 빅토리아 대학교 웰링턴 | 세 번째 침팬지의 운명 |
2009년 | 엘리자베스 스펠키 | 하버드 대학교 | 인간 지식의 근원 |
2010년 | 타일러 버지 |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 이성의 문턱 |
2. 2. 1. 2001년: 대니얼 데닛
2001년 장 니코드 상은 터프츠 대학교의 대니얼 데닛에게 수여되었다. 데닛의 수상 기념 강연은 "달콤한 꿈: 의식 과학에 대한 철학적 장애물"이었다.[1]2. 2. 2. 2002년: 루스 밀리칸
코네티컷 대학교 소속의 루스 밀리칸은 2002년에 "의미의 다양성"(Varieties of Meaning영어)이라는 주제로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수상 연도 | 수상자 | 소속 대학 | 수상 기념 강연 / 한국어 번역 제목 | 기념 강연 출판물 |
---|---|---|---|---|
2002년 | 루스 밀리칸 | 코네티컷 대학교 | [http://www.institutnicod.org/conf_2002.htm Varieties of Meaning] (의미의 다양성) |
2. 2. 3. 2003년: 레이 잭켄도프
2003년 장 니코드 상은 터프츠 대학교의 레이 잭켄도프에게 수여되었다. 수상 기념 강연 주제는 "정신 구조: 언어, 사회, 의식"이었다.[1]2. 2. 4. 2004년: 제논 필리신
러트거스 대학교 소속의 제논 필리신은 2004년에 "사물과 장소: 마음이 세상과 연결되는 방식"이라는 주제로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2. 5. 2005년: 길버트 하먼
2005년 장 니코드 상은 프린스턴 대학교의 길버트 하먼에게 수여되었다. 하먼은 "귀납의 문제와 통계적 학습 이론"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1]2. 2. 6. 2006년: 마이클 토마셀로
마이클 토마셀로는 2006년 막스 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 소속으로 "인간 의사 소통의 기원"이라는 주제의 강연으로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2. 7. 2007년: 스티븐 스티치
2007년 장 니코드 상은 러트거스 대학교의 스티븐 스티치에게 수여되었다. 스티치는 "도덕 이론이 인지 과학을 만나다: 인지 과학이 전통적인 논쟁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1]2. 2. 8. 2008년: 킴 스테렐니
빅토리아 대학교 웰링턴의 킴 스테렐니는 2008년에 "세 번째 침팬지의 운명"이라는 주제로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2. 9. 2009년: 엘리자베스 스펠키
2009년, 하버드 대학교 엘리자베스 스펠키는 "인간 지식의 근원"이라는 주제로 장 니코드 상을 받았다.[1]2. 2. 10. 2010년: 타일러 버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교 소속 타일러 버지는 2010년에 "이성의 문턱"이라는 주제로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3. 2011년 ~ 2024년
2011년부터 2024년까지 장 니코드 상 수상자들은 인지 과학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 주제를 다루며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들의 연구는 인간 의식, 사회적 상호작용, 지각, 언어, 그리고 마음의 작동 방식 등 인지 과학의 핵심적인 질문들을 탐구하며, 최근 수상자들의 연구 동향과 미래 인지 과학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연도 | 수상자 | 소속 | 강연 주제 |
---|---|---|---|
2011년 | 거겔리 치브라, 게르겔리 게르겔리 | 중앙 유럽 대학교 | 자연 교수법 |
2013년 | 네드 블록[2] | 뉴욕 대학교 | 의식, 전의식, 무의식 |
2014년 | 우타 프리트, 크리스 프리트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 사회 인지, 사회적 상호 작용의 메커니즘 |
2015년 | 데이비드 찰머스 | 뉴욕 대학교 | 공간적 착시 |
2016년 | 패트릭 해거드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 의지, 행위, 책임 |
2017년 | 존 캠벨 | UC 버클리 | 언어와 지각 |
2019년 | 마틴 니더-뤼멜린 | 프리부르 대학교 | 의식 연구의 철학적 기초 |
2020년 | 레다 코스미데스, 존 투비 |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 적응주의 혁명과 인지 과학 |
2021년 | 프랜시스 이간 | 러트거스 대학교 | 정신 표상의 축소 |
2022년 | 피터 고드프리-스미스 | 시드니 대학교 | 경험의 진화 |
2023년 | 낸시 캔위셔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 인간 뇌의 기능적 조직 |
2024년 | 크리스토퍼 피코크 | 컬럼비아 대학교 | 음악 이해 |
2. 3. 1. 2011년: 거겔리 치브라, 게르겔리 게르겔리
2011년에는 중앙 유럽 대학교 소속의 거겔리 치브라와 게르겔리 게르겔리가 "자연 교수법" (Natural Pedagogy영어)이라는 제목으로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3. 2. 2013년: 네드 블록
뉴욕 대학교 소속 네드 블록[2]은 2013년 "의식, 전의식, 무의식"을 주제로 장 니코드 상을 받았다.2. 3. 3. 2014년: 우타 프리트, 크리스 프리트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소속의 우타 프리트와 크리스 프리트는 "사회 인지에서 무엇이 선천적이고 무엇이 습득되는가?" 그리고 "사회적 상호 작용의 메커니즘"이라는 주제로 2014년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3. 4. 2015년: 데이비드 찰머스
뉴욕 대학교 소속 데이비드 찰머스는 2015년 "공간적 착시: 거울에서 가상 현실까지"라는 주제로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3. 5. 2016년: 패트릭 해거드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패트릭 해거드는 2016년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 수상 기념 강연 주제는 "의지, 행위, 책임: 인간 행동의 인지 메커니즘"이었다.[1]2. 3. 6. 2017년: 존 캠벨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소속 존 캠벨은 "언어가 어떻게 지각에 들어가는가"라는 주제로 2017년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3. 7. 2019년: 마틴 니더-뤼멜린
프리부르 대학교의 마틴 니더-뤼멜린은 2019년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 그는 "의식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위한 철학적 기초"라는 제목으로 강연했다.[1]2. 3. 8. 2020년: 레다 코스미데스, 존 투비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교 소속의 레다 코스미데스와 존 투비는 "적응주의 혁명과 인지 과학의 변형"이라는 제목으로 2020년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3. 9. 2021년: 프랜시스 이건
2021년 장 니코드 상은 러트거스 대학교의 프랜시스 이건에게 수여되었다. 이건은 "정신 표상의 축소"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1]2. 3. 10. 2022년: 피터 고드프리-스미스
시드니 대학교 소속 피터 고드프리-스미스는 2022년 "경험의 진화"라는 주제로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3. 11. 2023년: 낸시 캔위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소속 낸시 캔위셔는 "인간 뇌의 기능적 조직"이라는 주제로 2023년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2. 3. 12. 2024년: 크리스토퍼 피코크
컬럼비아 대학교 소속 크리스토퍼 피코크는 2024년 "음악 이해"라는 주제로 장 니코드 상을 수상했다.[1]참조
[1]
웹사이트
Institut Jean Nicod
http://www.institutn[...]
[2]
웹사이트
Prix et Conférences Jean Nicod 2013-2014 - INSTITUT JEAN NICOD
http://www.institutn[...]
[3]
웹사이트
ジャン・ニコ講義セレクション(勁草書房)
https://www.keisosh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