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외선 검출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적외선 검출기는 적외선 복사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좁은 띠 간격 반도체, 오산화 바나듐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며, 검출 물질에 따라 감지 가능한 분광 영역이 다르다. 주요 검출 물질로는 인듐 갈륨 비소, 게르마늄, 황화 납, 셀렌화 납, 인듐 비소, 실리사이드 백금, 안티몬화 인듐, 수은 카드뮴 텔루라이드, 수은 아연 텔루라이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검출기 - 광검출기
광검출기는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작동 원리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통신, 의료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양자 효율, 응답도 등의 성능 지표를 가진다. - 검출기 - 연기 감지기
연기 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연기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장치로, 광전식, 이온화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현대에는 복합형, 일산화탄소 감지 기능 추가 제품, 스마트 기능 추가 제품 등이 개발되고 있고, 주거용 및 상업용으로 구분되어 각 국가별 설치 기준 및 표준이 존재한다. - 이미지 센서 - 전하결합소자
전하 결합 소자(CCD)는 빛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이며, 1969년 발명되어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이미지 센서 - 베이어 필터
베이어 필터는 이미지 센서 위에 적색, 녹색, 청색 컬러 필터를 특정 패턴으로 배열한 것으로, 각 픽셀은 해당 색상의 빛만 통과시켜 색상 정보를 기록하며, 디모자이킹 과정을 통해 풀 컬러 이미지를 얻고, 모아레, 지퍼링 등의 아티팩트가 발생할 수 있다. - 센서 - 서미스터
서미스터는 온도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반도체 소자로, 온도-저항 특성에 따라 NTC, PTC, CTR 서미스터로 나뉘며 온도 센서, 과전류 방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저항-온도 관계는 B 상수 방정식이나 슈타인하르트-하트 방정식으로 표현되어 여러 분야에 적용된다. - 센서 - 기압계
기압계는 대기압을 측정하는 기구로, 17세기 중반 토리첼리에 의해 최초의 수은 기압계가 발명되었으며, 일기 예보, 고도 측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수은, 아네로이드, 전기식 등 여러 종류가 현대에 개발되어 사용된다.
적외선 검출기 | |
---|---|
개요 | |
상세 정보 | |
종류 | 열 감지기, 광자 검지기 |
추가 정보 | |
활용 | 농업 목재 목공예 광업 |
관련 링크 | 혁신적인 새로운 고속 적외선 검출기, 최초 빛을 보다 |
참고 문헌 | 디지털 TMOS라고 불리는 새로운 IR 감지 시스템 기반의 정확한 신체 온도 방사계의 IR 원격 감지 |
2. 검출기 재료
적외선 검출 장치에는 주로 좁은 띠 간격 반도체가 재료로 사용된다. 여기에는 비스무트, 안티몬, 인듐, 카드뮴, 셀렌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화합물과 합금이 활용된다.[3][4] 구체적인 검출 물질의 종류와 감지 가능한 분광 영역 등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1. 주요 검출 물질
적외선 검출 장치의 재료 기반은 좁은 띠 간격 반도체이며, 비스무트, 안티몬, 인듐, 카드뮴, 셀렌 등의 화합물과 합금을 포함한다.[3][4]주요 검출 물질과 해당 분광 영역은 다음과 같다.
검출기 종류 및 물질 | 분광 영역 (μm) |
---|---|
인듐 갈륨 비소(InGaAs) 포토다이오드 | 0.7-2.6 |
저마늄(Ge) 포토다이오드 | 0.8-1.7 |
황화 납(PbS) 광전류 검출기 | 1-3.2 |
셀렌화 납(PbSe) 광전류 검출기 | 1.5-5.2 |
인듐 비소(InAs) 광전압 검출기 | 1-3.8 |
백금 실리사이드(PtSi) 광전압 검출기 | 1-5 |
안티몬화 인듐(InSb) 광전류 검출기 | 1-6.7 |
안티몬화 인듐(InSb) 포토다이오드 | 1-5.5 |
수은 카드뮴 텔루라이드(MCT, HgCdTe) 광전류 검출기 | 2-25 |
수은 아연 텔루라이드(MZT, HgZnTe) 광전류 검출기 | ? |
오산화 바나듐(Vanadium pentoxide)은 냉각되지 않은 마이크로볼로미터 배열의 검출 물질로 자주 사용된다.
그 외에도 QWIP, 탄탈산 리튬(LiTaO3), 황산 트리글리신(TGS) 등이 검출 물질로 사용된다.
2. 2. 검출 물질별 분광 영역
종류 | 분광 영역 (μm) |
---|---|
인듐 갈륨 비소 (InGaAs) 포토다이오드 | 0.7-2.6 |
저마늄 (Ge) 포토다이오드 | 0.8-1.7 |
황화 납 (PbS) 광전류 검출기 | 1-3.2 |
셀레늄화 납 (PbSe) 광전류 검출기 | 1.5-5.2 |
비소화 인듐 (InAs) 광전압 검출기 | 1-3.8 |
실리사이드 백금 (PtSi) 광전압 검출기 | 1-5 |
안티몬화 인듐 (InSb) 광전류 검출기 | 1-6.7 |
안티몬화 인듐 (InSb) 포토다이오드 검출기 | 1-5.5 |
수은 카드뮴 텔루라이드 (MCT, HgCdTe) 광전류 검출기 | 2-25 |
수은 아연 텔루라이드 (MZT, HgZnTe) 광전류 검출기 | ? |
오산화 바나듐은 비냉각 마이크로볼로미터 배열의 검출 물질로 자주 사용된다.
적외선 검출 장치의 재료는 주로 좁은 띠 간격 반도체이며, 비스무트, 안티몬, 인듐, 카드뮴, 셀레늄 등의 화합물과 합금을 포함한다.[3][4] 표에 언급된 주요 물질 외에도 다음과 같은 재료들이 사용된다:
- QWIP
- 탄탈럼산 리튬 (LiTaO3)
- 황산 트리글리신 (TGS)
참조
[1]
웹사이트
Revolutionary New High-speed Infrared Detector Sees First Light
http://www.eso.org/p[...]
2015-06-15
[2]
논문
Toward an Accurate IR Remote Sensing of Body Temperature Radiometer Based on a Novel IR Sensing System Dubbed Digital TMOS
[3]
논문
Narrwo-Bandgap Materials for Optoelectronics Applications
https://link.springe[...]
2022
[4]
서적
Physics and Properties of Narrow Gap Semiconductors
https://link.springe[...]
Springer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