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갈 (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갈 (종)은 1879년 페르디난트 카르슈에 의해 *Buthus martensii*로 처음 명명되었으며, 이후 학명 변경을 거쳐 현재는 *Olivierus martensii*로 분류된다. 만주전갈의 독은 다양한 단백질 독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통, 항균, 항경련, 항종양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들이 연구되었다. 만주전갈은 전통 중국 의학에서 만성 통증, 마비, 간질 등의 치료에 사용되었으며, 현대 의학에서도 독의 성분을 활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한약재, 안락사, 식용 등으로도 이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9년 기재된 동물 - 큰징거미새우
큰징거미새우는 인도양과 태평양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며 동남아시아에서 식량 자원으로 양식되는 대형 담수 새우로, 수컷은 다형 현상을 나타내고 하천 하류 기수역에 서식하는 잡식성 동물이다. - 전갈과 - 데스스토커
데스스토커는 아프리카와 중동 사막에 사는 맹독성 전갈로, 신경독 혼합물로 인해 심한 통증과 쇼크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독 성분은 뇌종양 및 당뇨병 치료 연구에 활용되지만 일부 지역에서 사육 규제를 받는다. - 전갈과 - 옐로우팻테일전갈
옐로우팻테일전갈은 사막에 서식하는 강력한 독성의 중형 전갈로, 튼튼한 꼬리와 줄무늬가 특징이며, 사람에게 치명적인 독을 가진 "남쪽의 살인자"라는 의미의 학명을 가진 야행성 동물이다.
| 전갈 (종)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Mesobuthus martensii |
| 학명 명명 | (Karsch, 1879) |
| 이명 | Buthus martensi, Buthus confucius |
| 향명 (한국어) | 전갈 |
| 향명 (영어) | Chinese scorpion, Manchurian scorpion |
| 향명 (중국어) | 東亞鉗蠍 |
| 크기 | 6cm |
| 분류 정보 |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 |
| 아문 | 협각아문 |
| 강 | 주형강 |
| 목 | 전갈목 |
| 상과 | 전갈상과 |
| 과 | 전갈과 |
| 아과 | 전갈아과 |
| 속 | 전갈속 |
2. 분류학적 역사
이 전갈 종은 1879년 독일의 거미류학자 페르디난트 카르슈에 의해 ''Buthus martensii''로 처음 명명되었다.[5] 1880년 시몬은 베이징의 이화원 정원에서 발견한 표본을 ''Buthus confucius''로 명명했는데,[6] 카르슈는 1881년 이를 ''Buthus martensii''의 동의어로 처리했다. 이후 1950년, 프랑스 거미류학자 막스 바숑에 의해 신설된 속인 ''Mesobuthus''로 옮겨졌다.[7] 2019년, ''Olivierus'' 속이 ''Mesobuthus'' 속의 동의어에서 복원되었고, 이 종은 ''Olivierus''로 이전되었다.[8]
만주전갈()의 독은 다양한 독소로 구성되어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이 전갈의 독에서 수십 개의 새로운 단백질이 확인, 복제 및 임상 적용을 위해 연구되었다. 확인된 독소로는 나트륨 채널 독소, 칼륨 채널 독소, Ryanodine 수용체에 작용하는 펩타이드 등이 있다.[18] ''Bm''KAEP[12][13] 및 ''Bm''K IT2[14]는 쥐에서 유발된 간질 발작을 억제하는 항경련 활성을 보였고, ''Bm''K AGAP는 진통 및 항종양 성질을 가지고 있어 항암 치료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15][16]
3. 독 성분
영국 파충류 복지 국가 센터는 만주전갈에 쏘이는 것이 "의학적으로 심각하며...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지만, 보통의 성인은 정말 힘든 하루를 보낼 뿐"이라고 언급했다.[17]
만주전갈, 특히 꼬리는 수세기 동안 전통 중국 의학에서 만성 통증, 마비, 졸도, 간질과 같은 다양한 신경 문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었다.[18][19][20]
3. 1. 나트륨 채널 독소
''O. martensii''의 독은 다양한 독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갈의 독에서 수십 개의 새로운 단백질이 확인되었고, 복제 및 임상 적용을 위해 연구되었다. 예를 들어, 최소 51개의 나트륨 채널 독소(예: Makatoxin-3) 관련 장쇄 펩타이드가 기술되었다.[18] 나트륨 채널 특이적 신경독 중에는 makatoxin I[10] 및 bukatoxin과 같은 여러 근육 이완제가 있다.[11]
3. 2. 칼륨 채널 독소
''O. martensii''의 독에서 칼륨 채널 관련 독소 펩타이드는 18개가 기술되었으며, Ryanodine 수용체에 작용하는 ''Bm''K AS와 AS1 두 개의 펩타이드도 포함된다.[18] ''Bm''K AS는 진통 성질 외에도[20]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 최초의 장쇄 전갈 펩타이드이다.[9]
3. 3. 기타 독소 성분 및 효과
만주전갈(''O. martensii'')의 독은 다양한 독소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이 전갈의 독에서 수십 개의 새로운 단백질이 확인, 복제되어 임상 적용을 위해 연구되었다. 예를 들어, 최소 51개의 나트륨 채널 독소 (예: Makatoxin-3) 관련 장쇄 펩타이드와 18개의 칼륨 채널 독소 관련 펩타이드가 기술되었으며, Ryanodine 수용체에 작용하는 두 개의 펩타이드인 ''Bm''K AS와 AS1도 포함된다.[18] ''Bm''K AS는 진통 성질 외에도[20]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 최초의 장쇄 전갈 펩타이드이다.[9] 나트륨 채널 특이적 신경독 중에는 makatoxin I[10] 및 bukatoxin과 같은 여러 근육 이완제가 있으며,[11] ''Bm''KAEP[12][13] 및 ''Bm''K IT2[14]는 쥐에서 유발된 간질 발작을 억제하면서 실험 조건에서 항경련 활성을 보였다. ''Bm''K AGAP는 진통 및 항종양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재조합 단백질은 항암 치료에 잠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15][16]
4. 이용
전갈은 한약재로 쓰이며, 중국에서는 안락사용 및 식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가끔 중국에서 포장재로 나타나기도 한다. 영국 파충류 복지 국가 센터는 이 전갈의 쏘임이 "의학적으로 심각하며...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지만, 보통의 성인은 정말 힘든 하루를 보낼 뿐"이라고 언급했다. (2024년 10월에 두 건의 밀수 사례가 보고되었다).[17]
4. 1. 전통 의학
만주전갈은 수세기 동안 전통 중국 의학에서 만성 통증, 마비, 졸도, 간질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 치료에 사용되었다.[18][19][20]4. 2. 현대 의학
만주전갈(''O. martensii'')의 독은 다양한 독소로 구성되어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이 전갈의 독에서 수십 개의 새로운 단백질이 확인, 복제 및 임상 적용을 위해 연구되었다.[18] 예를 들어, 최소 51개의 나트륨 채널 독소 (예: Makatoxin-3) 관련 장쇄 펩타이드와 18개의 칼륨 채널 독소 관련 펩타이드가 기술되었으며, Ryanodine 수용체에 작용하는 두 개의 펩타이드인 ''Bm''K AS와 AS1도 포함된다.[18] 진통 성질 외에도[20] ''Bm''K AS는 또한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 최초의 장쇄 전갈 펩타이드이다.[9] 나트륨 채널 특이적 신경독 중에는 makatoxin I[10] 및 bukatoxin과 같은 여러 근육 이완제가 있으며,[11] ''Bm''KAEP[12][13] 및 ''Bm''K IT2[14]는 쥐에서 유발된 간질 발작을 억제하면서 실험 조건에서 항경련 활성을 보였다. ''Bm''K AGAP는 진통 및 항종양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재조합 단백질은 항암 치료에 잠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15][16]4. 3. 기타 이용
한국에서는 한약재로 쓰이며, 중국에서는 안락사용 및 식용으로 많이 쓰인다.5. 안전성
만주전갈의 쏘임은 의학적으로 심각하며,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영국 파충류 복지 국가 센터(National Centre for Reptile Welfare)는 만주전갈의 쏘임이 "의학적으로 심각하며...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지만, 보통의 성인은 정말 힘든 하루를 보낼 뿐"이라고 언급했다.[17] 2024년 10월, 영국에서 만주전갈 밀수 사례가 두 건 보고되었다.[17]
참조
[1]
간행물
Redescription of ''Mesobuthus martensii martensii'' (Karsch, 1879) (Scorpiones: Buthidae) from China
http://www.sea-entom[...]
[2]
NCBI
Mesobuthus martensii
[3]
UniProt
Mesobuthus martensii (Manchurian scorpion) (Buthus martensii)
https://www.uniprot.[...]
[4]
문서
Shokuyou oyobi yakuyo konchu ni kansurus chousa (Research report of edible and medicinal insects in Korea)
[5]
간행물
Scorpionologische Beiträge. Part II. Mitteilungen des Münchener entomologischen Vereins 3
1879
[6]
간행물
Études Arachnologiques. 11e Mémoire. XVII. Arachnides recueillis aux environs de Pékin.
1880
[7]
간행물
Études sur les scorpions. III. Description des Scorpions du Nord De l'Afrique.
1950
[8]
간행물
Taxonomic reassessment of the genera Lychas, Mesobuthus, and Olivierus, with descriptions of four new genera (Scorpiones: Buthidae)
https://mds.marshall[...]
2019-09
[9]
간행물
Cloning, expression,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of BmK AS, an active peptide from scorpion ''Buthus martensii'' Karsch
[10]
간행물
Makatoxin I, a novel toxin isolated from the venom of the Scorpion ''Buthus martensi'' Karsch, exhibits nitrergic actions
[11]
간행물
Functional site of bukatoxin, an α-type sodium channel neurotoxin from the Chinese scorpion (Buthus martensi Karsch) venom: probable role of the 52PDKVP56 loop
[12]
간행물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n anti-epilepsy peptide from the scorpion ''Buthus martensi'' Karsch
[13]
간행물
Purification and N-terminal partial sequence of anti-epilepsy peptide from venom of the scorpion ''Buthus martensii'' Karsch
[14]
간행물
Anticonvulsant effect of BmK IT2, a sodium channel-specific neurotoxin, in rat models of epilepsy
[15]
간행물
Expression of an antitumor–analgesic peptide from the venom of Chinese scorpion ''Buthus martensii'' karsch in ''Escherichia coli''
[16]
간행물
Production and antitumor efficacy of recombinant ''Buthus martensii'' Karsch AGAP
http://www.asianjtm.[...]
[17]
웹사이트
Student finds scorpion crawling inside Shein parcel
https://www.bbc.com/[...]
2024-10-18
[18]
간행물
An overview of toxins and genes from the venom of the Asian scorpion ''Buthus martensi'' Karsch.
[19]
간행물
Analgesic Peptides in ''Buthus martensii'' Karsch: A Traditional Chinese Animal Medicine
http://www.asianjtm.[...]
[20]
간행물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algesic peptide from ''Buthus martensii'' Karsch
[21]
NCBI
Mesobuthus martensii
[22]
UniProt
Mesobuthus martensii (Manchurian scorpion) (Buthus martensii)
https://www.uniprot.[...]
[23]
생물다양성
[24]
문서
한의학대사전
https://terms.naver.[...]
[25]
문서
한약재감별도감 - 외부형태
https://terms.naver.[...]
[26]
간행물
Redescription of ''Mesobuthus martensii martensii'' (Karsch, 1879) (Scorpiones: Buthidae) from China
[27]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