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상욱 (프로게이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상욱은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로, 2001년 킹덤 언더 파이어로 데뷔하여 온게임넷 킹덤 언더 파이어 리그에서 우승했다. 스타크래프트로 전향하여 2003년 슈마 GO에 입단했으며, 2005년 SK텔레콤 T1으로 이적하여 2005년 토스전 승률 1위, 2006년 MSL 3위, 신한은행 스타리그 3위를 기록했다. 2009년 위메이드 폭스로 이적 후 2011년 은퇴했으며, 이후 아프리카TV에서 방송을 시작했다. 2005년~2006년 전성기 시절, WCG 2004에서 은메달을 획득하고, 2006년에는 MSL, 스타리그 4강, WCG 3위를 기록하며, 프로토스전 강세를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메이드 폭스의 선수 - 한동욱
    한동욱은 2003년 스파키즈에 입단하여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데뷔, 아마추어 신분으로 스타리그에 진출한 마지막 선수이자 2006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1 우승, 프로리그 프로토스전 17연패 기록을 가진 선수이다.
  • 위메이드 폭스의 선수 - 김동원 (프로게이머)
    김동원은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로, 주로 스타크래프트 II 리그에서 활동하며 GSL, WCS 등 주요 대회에서 4강, 8강 등의 성적을 거두었고, 2017년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스프링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 T1 (e스포츠)의 선수 - 이창훈 (프로게이머)
    이창훈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개인 및 팀 단위 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박성훈 선수와 함께 최우수 팀플레이상을 2회 연속 수상하며 최고의 팀플레이 조합으로 인정받았다.
  • T1 (e스포츠)의 선수 - 어윤수
    어윤수는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및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SK텔레콤 T1에서 데뷔 후 GSL에서 활약하며 '콩라인'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롯데홈쇼핑 KeSPA컵 시즌2에서 우승했고, GSL 10회 연속 진출 기념 '임재덕 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테란 선수 - 한규종
    한규종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전 KT 롤스터 코치로, 선수 시절 KeSPA Cup 아마추어 입상 및 KPGA TOUR 3위 등의 경력이 있으며, 코치로서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팀을 3위로 이끌었다.
  • 테란 선수 - 이호준 (프로게이머)
    이호준은 스타크래프트 선수로 활동하다가 은퇴 후 스타크래프트 II 선수로 전향하여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3회 우승, 2회 준우승을 기록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이다.
전상욱 (프로게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프로게이머 정보
아이디midas[gm]
이름전상욱
로마자 표기Jeon Sang-wook
한자 표기全相昱
출생일1987년 2월 21일 (세)
출생지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종족테란
별명상욱곰
명품엔진
곰상욱
뱅나쌩
송명구 소환술사
프로토스 킬러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1을 위한 추가선발전에 출전한 전상욱
소속
경력
상금

2. 약력

아이스테이션 듀얼토너먼트에 출전한 전상욱


전상욱은 2001년 킹덤 언더 파이어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온게임넷 주최 리그에서 우승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로 전향하여 2003년 슈마 GO에 입단, 프로리그에서 활약하며 팀 우승에 기여했다. 2005년 SK텔레콤 T1으로 이적하여 전성기를 맞이하며, 2006년에는 양대 개인리그 4강, WCG 국가대표 선발전 준우승 및 그랜드파이널 3위를 기록, 프로리그에서도 활약했다. 2009년 위메이드 폭스로 이적 후에도 꾸준히 활동하며 팀을 포스트시즌에 진출시키는 등 활약했다. 2011년 팀 해체 후 은퇴, 2013년 군 제대 후 개인 방송을 시작, 9차 소닉 스타리그에 참가하기도 했다. 2004년 월드 사이버 게임 2004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부문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4] 프로게임팀 Team Liquid는 그가 역사상 가장 강력한 테란 중 한 명이라고 언급했다.[5]

통산 전적은 다음과 같다. (2011. 7. 6 기준)[5]

경기승-패승률
대 테란203113-9055.7%
대 저그226144-8263.7%
대 프로토스205120-8558.5%
총합634377-25759.5%


2. 1. 프로게이머 데뷔 및 초기 활동 (2001년 ~ 2003년)

2001년 킹덤 언더 파이어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온게임넷 주최의 킹덤 언더 파이어 3, 4차 리그를 우승했다.[8] 이후 스타크래프트로 전향, 2003년 서지훈의 추천으로 슈마 GO(현 하이트 엔투스)에 입단했다.[8]

2. 2. 슈마 GO 시절 (2003년 ~ 2005년)

2001년 킹덤 언더 파이어로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온게임넷 주최의 킹덤 언더 파이어 3차와 4차 리그를 우승했다. 그 후, 킹덤 언더 파이어 리그가 명맥을 잇지 못하자, 스타크래프트로 전향하여 서지훈의 발견으로 2003년 슈마 GO(현 하이트 엔투스)에 입단했다.[8]

2003년 중반부터 2004년 2월까지 열린 온게임넷 네오위즈 피망 프로리그에서는, "어나더데이" 맵 전담으로 나서 8승 무패를 기록하며 소속팀(당시 슈마GO)의 우승을 이끌었다.

2. 3. SK텔레콤 T1 시절 (2005년 ~ 2009년)

2005년 3월에는 같은 GO팀(현 하이트 엔투스) 소속이던 박태민과 함께 SK텔레콤 T1으로 이적했다.[8] 그해 눈부신 성장과 함께 프로토스전 승률 1위라는 대기록과 E스포츠 최고의 승률 상을 수상했고, 2006년 프링글스 MSL 3위,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 2 3위를 기록했다. 또한 T1의 광안리 오버 트리플 크라운의 주역으로 활동하며 전성기 시절 마재윤의 유일한 대항마로 꼽히기도 했다.[5]

SK텔레콤 T1의 전성기를 주도한 선수 중 하나다.

2. 4. 위메이드 폭스 시절 (2009년 ~ 2011년)

2009년 9월 8일 위메이드 폭스로 이적했다.[8] 이적 후 09-10 시즌 프로리그에서 신상문을 잡고 1년 3개월 만에 승리했으며, MBC게임 서바이버 예선을 통과하는 등 부활의 조짐을 보였다.

2010년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1에서 조일장, 신상문을 꺾고 8시즌 만에 MSL에 복귀하였고, 2월 21일 한상봉과 김명운을 상대로 2킬을 기록했다. 하나대투증권 MSL 2010에서는 이영호와 김성대를 꺾고 16강에 진출했으며, 프로리그에서도 2번의 승리를 거뒀다. MSL 16강에서는 허영무를 2:1로 꺾고 11시즌 만에 MSL 8강에 진출했다. 빅파일 MSL에서도 박상우를 두 번 꺾고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위메이드 폭스를 준플레이오프에 진출시키는 등 프로리그 09-10시즌 포스트시즌에서 3승 2패, 총 포스트시즌 10승 3패를 기록했다.

2011년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 박재혁을 꺾고 승자전에 진출했으나, 이영호와 박재혁에게 연달아 패하며 MSL 8회 본선 진출과 4회 연속 진출은 좌절되었다.

2011년 8월 22일 위메이드 폭스가 해체되었고, 타 팀과의 이적 협상에 실패하여 2011년 11월 은퇴를 선언하였다.

2. 5. 은퇴 이후 (2011년 ~ 현재)

2013년 군 제대 후 아프리카 방송을 시작하였다. 9차 소닉 스타리그에 참여하였으나 32강에서 임진묵에게 1승 2패, 하늘에게 패하며 16강 진출에 실패했다.[6] 하지만 경기 내용은 예전 기량을 어느 정도 회복한 모습을 보였다.

3. 전성기 시절

전상욱의 전성기는 2005년~2006년 사이였다.

2005년도 e스포츠 최고 승률상을 수상하고, 프로토스전 승률 1위를 기록하며 '프로토스 킬러'라는 별명을 얻었다. 2006년에는 양대 개인리그(MSL, 스타리그) 4강, WCG 국가대표 선발전 준우승, 그랜드파이널 3위라는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기본 연봉 1억원에 옵션을 포함(3년 동안)한 높은 연봉을 받으며 큰 명성을 얻었다.[5] 특히 2006년 마재윤과의 대결은 주목할 만했으며, 당시 프로리그에서 1승 카드의 역할을 했다.

통산전적 (11.7.6 기준)
경기승-패승률
대 테란203113–9055.7%
대 저그226144–8263.7%
대 프로토스205120–8558.5%
총합634377–25759.5%


4. 수상 경력

연도대회결과
2002년온게임넷 킹덤 언더 파이어 4차리그우승
2002년온게임넷 킹덤 언더 파이어 5차리그우승
2004년 8월WCG2004 국가대표선발전1위
2004년 9월EVER 스타리그16강
2004년 10월WCG 2004 스타크래프트준우승[4][7]
2005년 2월IOPS 스타리그8강
2005년 6월EVER 스타리그 20058강
2006년 1월2005~2006 신한은행 스타리그8강
2006년 3월2005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최고승률상
2006년 5월2006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 124강
2006년 6월프링글스 MSL 시즌 13위[3]
2006년 8월WCG 2006 국가대표선발전2위
2006년 10월WCG 2006 스타크래프트3위
2006년 11월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 23위[3]
2007년 5월곰TV MSL 시즌 232강
2008년 10월인크루트 스타리그8강
2008년 11월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232강
2008년 12월BATOO 스타리그 08~0936강
2010년 4월하나대투증권 MSL 20108강
2010년 7월빅파일 MSL 201016강
2010년 12월피디팝 MSL 201016강
2014년 1월픽스 9차 소닉 스타리그32강


5. 통산 전적

경기승-패승률
테란203113-9055.7%
저그전226144-8263.7%
프로토스전205120-8558.5%
총합634377-25759.5%


6. 기타

경기 후 인터뷰에서 "운이 좋았다"는 말을 많이 하는 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Video game players score big money in South Korea http://www.sfgate.co[...] 2006-12-18
[2] 웹사이트 ko:최연성·전상욱 등 WCG한국대표팀 확정 http://article.joins[...] JoongAng Ilbo 2015-05-08
[3] 웹사이트 ko:[GamerGraphy] '꾸준함의 대명사' 폭스 전상욱(2) http://esports.daily[...] Daily E Sports 2015-05-08
[4] 웹사이트 GameSpot @ WCG 2004 http://www.gamespot.[...] GameSpot 2015-05-08
[5] 뉴스 Inside the ‘Deadly Serious’ World of E-Sports in South Korea https://www.nytimes.[...] 2021-09-01
[6] 웹사이트 ko:임진묵·전상욱 픽스 스타리그서 같은 조 배치, 게임팬 '환호' 기대↑ http://tvdaily.asiae[...] TV Daily 2015-05-08
[7] 웹사이트 韓-和 우승경쟁...서지훈·전상욱 결승진출 http://news.naver.co[...]
[8] 웹사이트 서지훈-전상욱의 조용한 대화(FighterForum) http://www.fighterf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