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강 팽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절강 팽씨는 중국 절강성 출신 팽우덕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팽우덕은 명나라 장수로 정유재란 때 아들 팽신고와 함께 조선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명나라가 멸망하자 팽신고의 손자 팽부산이 조선으로 망명하였고, 헌종은 팽우덕의 공을 기려 진해에 토지를 하사했다. 5세손 팽우창은 첨지중추부사를, 6세손 팽흥석과 7세손 팽수봉은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하는 등 조선에서 활동했다. 2000년 대한민국 인구조사에서 1,578명으로 집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절강 팽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절강 팽씨 |
| 한자 표기 | 浙江彭氏 |
| 로마자 표기 | Jeolgang Paengssi |
| 유형 | 씨족 |
| 국가 | 한국 |
| 지역 | 저장성 |
| 시조 | 팽우덕(彭友德) |
| 인물 | |
| 대표 인물 | 팽현숙 |
| 통계 정보 | |
| 2000년 인구 | 1,578명 |
2. 역사
명나라 중군부총병(中軍副總兵) 도독첨사(都督僉使)였던 '''팽우덕'''(彭友德)은 1597년(조선 선조 30년) 정유재란 때 아들 팽신고(彭信古)와 함께 조선에 들어와 왜군을 무찌르고 귀국하였다. 명나라가 망하자 팽신고의 손자 팽부산(彭釜山)이 조선으로 망명해 왔고, 조선 헌종은 팽우덕 장군의 공을 기려 그에게 진해 지역의 토지를 하사하였다.[3]
이후 팽우창(彭雨昌), 팽흥석(彭興碩), 팽수봉(彭壽鳳), 팽신고, 팽랑기(彭郞己), 팽광석(彭光碩) 등이 주요 인물로 활동하였다.
2. 1. 시조 및 유래
시조 '''팽우덕'''(彭友德)은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주부(杭州府) 오강현(吳江縣) 출신으로, 명나라 중군부총병(中軍副總兵) 도독첨사(都督僉使)를 지냈다.[3] 1597년(조선 선조 30년) 정유재란 때 명나라 원군의 장수로 아들 팽신고(彭信古)와 함께 조선에 들어와 왜군을 격퇴하는 데 큰 공을 세우고 귀국하였다.[3] 명나라가 멸망하자, 팽신고의 손자 팽부산(彭釜山)이 조선으로 망명해 왔다.[3] 조선 헌종은 팽우덕 장군의 공을 기려 팽부산 등에게 진해(현 창원시 진해구)의 토지를 하사하며 이들을 우대하였다.[3]2. 2. 조선 시대 주요 인물
5세손 팽우창(彭雨昌)은 조선에서 정3품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고, 6세손 팽흥석(彭興碩)과 7세손 팽수봉(彭壽鳳)은 종2품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하였다.[3]팽신고(彭信古)는 조선에서 유격장(遊擊將)을 지냈고, 팽랑기(彭郞己)는 정3품 사역원정(司譯院正)에 올랐으며, 팽광석(彭光碩)은 종2품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하였다.[3]
3. 인구
절강 彭|팽중국어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515가구, 1,578명으로 조사되었다. 1985년 조사에서는 334가구, 1,275명이었다.[1]
| 연도 | 가구 | 인구 |
|---|---|---|
| 1985년 | 334가구 | 1,275명 |
| 2000년 | 515가구 | 1,578명 |
참조
[1]
서적
Doosan Encyclopedia 팽 彭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7
[3]
웹사이트
절강 팽씨 - 부천족보전문도서관
http://www.jokbo.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