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단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절단석(Ashlar)은 다듬어진 석재를 의미하는 건축 용어이다. 고대 프랑스어 'aisselier'에서 유래되었으며, 벽돌 대신 건물 건설에 사용되었다. 고전 건축에서는 러스티케이션과 대조를 이루며, 선사 시대 그리스와 크레타의 석조 작업에도 사용되었다. 에게 문명, 특히 미케네의 톨로스 무덤과 크레타의 궁전 건설에 활용되었으며, 프리메이슨의 상징으로도 사용된다. 한국 전통 건축에서도 서양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석조 - 주춧돌
주춧돌은 건물의 기초를 위해 사용되는 돌로, 역사적으로 의식과 함께 건축되었으며, 현대에는 기념 행사에서 사용되거나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석조 - 징검다리
징검다리는 얕은 물길을 건너기 위해 돌이나 나무로 만든 기본적인 다리 형태로, 농촌 이동 수단이자 조경 요소로 사용되었으나 도시화로 사라져가면서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재조명되고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거나 현대적 디자인으로 재해석되며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 건축의장 - 계단
계단은 층간 이동을 위한 구조물로,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지며 디딤판, 챌면, 난간 등으로 구성되고, 건축적 실용성과 더불어 현대에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안전이 중요하며 예술적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건축의장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절단석 | |
---|---|
개요 | |
종류 | 건축 자재 |
재료 | 석재 |
용도 | 벽돌, 외장재 |
상세 정보 | |
정의 |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은 사각형 모양의 돌 |
특징 | 정교한 외관 내구성 |
시공 방법 |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쌓아 올림 |
역사적 사용 | 고대 건축물, 기념비, 성벽 등에 사용됨 |
관련 용어 | |
석공술 | 석재를 다듬고 쌓는 기술 |
모르타르 | 석재를 접착하는 데 사용되는 혼합물 |
치석 | 건축에 사용하기 위해 채석된 석재 |
거친 석재 | 건축에 사용하기 전에 추가로 손질해야 하는 석재 |
참고 자료 | |
참고 문헌 | Ronny Reich, Hannah Katzenstein, Aharon Kempinski, Ronny Reich 편집, The Architecture of Ancient Israel, Israel Exploration Society, Jerusalem, 1992, 312쪽, Glossary of Archaeological Terms, ISBN 978-965-221-013-5 |
참고 웹사이트 | The Conservation Glossary, University of Dundee |
2. 어원
이 단어는 중세 영어에서 증명되었으며, "판자"를 의미하는 라틴어 ''axis''의 축소형인 고대 프랑스어 ''aisselier''에서 파생되었다.[2] 중세 문서에서 "Clene hewen ashler"는 자주 나타나는데, 이는 거친 면과 대조적으로 가공되거나 정교하게 작업된 것을 의미한다.[3]
애쉬러 블록은 벽돌이나 다른 재료 대신 많은 건물 건설에 사용되었다.[5] 고전 건축에서 애쉬러 벽 표면은 종종 러스티케이션과 대조를 이룬다.
3. 역사적 사용
3. 1. 에게 문명
선사 시대 그리스와 크레타의 다듬어진 석조 작업을 설명하는 데 절단석이라는 용어가 종종 사용되지만, 다듬어진 블록은 일반적으로 현대 애쉬러보다 훨씬 크다.[5] 예를 들어, ''톨로스'' 무덤인 청동기 시대 미케네는 소위 "벌집" 돔 건설에 애쉬러 석조를 사용한다. 이 돔은 크기가 감소하고 중앙 마무리돌로 끝나는 정교하게 잘린 애쉬러 블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돔은 실제 돔이 아니라 내민보 아치를 사용하여 건설된다.[8]
절단석 쌓기는 크레타의 크노소스와 파이스토스를 포함한 궁전 정면 건설에도 널리 사용되었다. 이러한 구조는 MM III-LM Ib 시대인 기원전 1700년에서 기원전 1450년 사이에 해당한다.
3. 2. 현대 석조
현대 유럽 석조에서 블록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35cm이다. 30cm보다 짧은 경우에는 보통 '''소형 애쉬러'''라고 한다.[8]
4. 프리메이슨의 상징
일부 메이슨 단체에서 절단석은 개인의 자기 계발이 롯지의 원칙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보여주는 상징으로 사용된다. 제1급 추적판 설명에 따르면, 에뮬레이션 및 기타 메이슨 의식에서 거친 절단석은 채석장에서 막 가져온 돌로, 입문하기 전의 프리메이슨을 비유한다. 매끄러운 절단석(또는 "완벽한 절단석")은 숙련된 석공이 다듬은 돌로, 교육과 노력을 통해 프리메이슨의 가르침을 배우고 올바른 삶을 사는 프리메이슨을 비유한다.[6]
5. 한국 전통 건축에서의 절단석
한국 전통 건축에서 절단석(切斷石)이라는 용어는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다만, 주어진 원문을 참고하면, "ashlar"에 해당하는 큰 석재를 가공하여 쌓는 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Architecture of Ancient Israel
Israel Exploration Society
1992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ashlar
https://en.oxforddic[...]
[3]
문서
Ashlar
[4]
웹사이트
Carpet Tile Installation Method
https://warehousecar[...]
2018-04-03
[5]
웹사이트
Ashlar Masonry and its Types
https://theconstruct[...]
2023-05-25
[6]
웹사이트
Rough and Perfect Ashlar
http://www.masonic-l[...]
2015-03-15
[7]
웹사이트
The Conservation Glossary
http://www.trp.dunde[...]
University of Dundee
2009-05-04
[8]
서적
Aegean Art and Architect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