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상욱은 대한민국의 물리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수학 학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에서 물리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로스알라모스 국립 연구소, AT&T 벨 연구소 등에서 연구했으며, 럿거스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복합 산화물 연구를 통해 2007년 호암상, 2009년 KBS 글로벌 한국인상, 2010년 제임스 C. 맥그로디 신소재상 등을 수상했다. 600편 이상의 과학 논문을 발표했으며, 1993년부터 2003년까지 세계에서 13번째로 많이 인용된 물리학자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백성기
백성기는 코넬 대학교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소와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부총장, 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 포스텍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재료공학자이다. -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박이문
박이문은 대한민국의 철학자, 시인, 문학 평론가로, 서울대학교 등에서 수학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실존주의 문학 평론과 프랑스 문학 번역, 다수의 저서 출간 등의 활동을 하다가 2017년에 사망했다. - 호암 과학상 수상자 - 임지순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임지순은 전산재료물리학 분야를 개척하고 "Momentum-space formalism" 논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이론물리센터 소장 역임,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 호암 과학상 수상자 - 천진우
천진우는 나노 입자와 자기장을 이용한 생체 제어 기술, MRI 조영제 개발 등 나노 기술과 의학 융합 연구를 통해 질병 진단 및 치료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화학자이자 연세대학교 교수 및 IBS 나노의학연구단 단장이다. -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 남창희 (물리학자)
남창희는 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KAIST와 GIST 교수를 거쳐 IBS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 초대 센터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로, 펨토초 레이저, 고차조화파, 아토초 펄스,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등을 연구하며 IUPAP 등 국제 학술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광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숭도광과학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 문미옥
문미옥은 물리학 박사 출신 과학기술인으로, 연구교수, 과학기술 정책 분야 실장, 제20대 국회의원, 문재인 정부 과학기술보좌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을 역임하고 조국혁신당에 합류한 정치인이다.
정상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지 | 대한민국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물리 |
직장 | 럿커스 대학교 교수 |
모교 | UCLA |
수상 | 호암상 과학상 (2007년) 맥그로디상 (2010년) |
2. 학력
정상욱은 1982년 서울대학교에서 수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에서 물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 1989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정상욱은 1986년부터 1989년까지 로스알라모스 국립 연구소에서 근무했으며, 이후 AT&T 벨 연구소에 합류했다. 1989년부터 1991년까지는 박사후 연구원으로, 1991년부터 1996년까지는 기술진으로 근무했다. 1997년 럿거스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었고, 동시에 벨 연구소 기술진으로도 활동했다. 2001년부터 2002년까지는 벨 연구소 컨설턴트를 역임했다.
3. 경력
2002년 럿거스 대학교 석좌교수가 되었으며, 2005년에는 럿거스 신소재 센터(RCEM)를 설립하고 소장을 맡았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도널드 H. 제이콥스 응용물리학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2006년에는 포스텍 석좌교수로도 임명되었으며, 2011년에는 럿거스 대학교 이사회 교수가 되었다.
그는 복합 산화물 연구로 2007년 호암상, 2009년 KBS 글로벌 한국인상, 2010년 제임스 C. 맥그로디 신소재상 등을 수상했다. 600편 이상의 과학 논문을 발표했으며, 34,000회 이상 인용되었다(6편의 논문이 1,000회 이상 인용, h-지수 92). 1993년부터 2003년까지 세계에서 13번째로 많이 인용된 물리학자였다.
4. 수상 내역
정상욱은 600편 이상의 과학 논문을 발표했으며, 34,000회 이상 인용되었다(6편의 논문이 1,000회 이상 인용되었으며, 그의 h-지수는 92이다).[3]
5. 주요 연구 업적 및 논문
정상욱 교수는 다강체, 거대자기저항(CMR) 물질, 고온 초전도체 등 복합 산화물 분야에서 6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34,000회 이상 인용되었다 (h-index: 92). 특히 1993년부터 2003년까지 10년간 세계에서 13번째로 논문이 많이 인용된 물리학자로 기록되었다.
'''주요 논문 (일부)'''
- 1991년: Incommensurate Magnetic Fluctuations in La2-xSrxCuO4영어, S-W. Cheong, G. Aeppli, T. E. Mason, H. Mook, S. M. Hayden, P. C. Canfield, Z. Fisk, K. N. Clausen and J. L. Martinez, Phys. Rev. Lett. 67, 1791 (1991).[7]
- 1995년: Low-Temperature Magnetoresistance and the Magnetic Phase-Diagram of La1-xCaxMnO3영어, P. Schiffer, A. P. Ramirez, W. Bao and S-W. Cheong, Phys. Rev. Lett. 75, 3336 (1995).[8]
- 1995년: Lattice Effects on the Magnetoresistance in Doped LaMnO3영어, H. Y. Hwang, S-W. Cheong, P. G. Radaelli et al., Phys. Rev. Lett. 75, 914 (1995).[9]
- 1998년: Pairing of Charge-Ordered Stripes in (La,Ca)MnO3영어, S. Mori, C. H. Chen and S-W. Cheong, Nature 392, 473 (1998).[10]
- 1999년: Percolative Phase Separation Underlies Colossal Magnetoresistance in Mixed-Valent Manganites영어, M. Uehara, S. Mori, C. H. Chen, and S-W. Cheong, Nature 399, 560 (1999).[11]
- 2004년: Electric polarization reversal and memory in a multiferroics materials induced by magnetic fields영어, N. Hur, S. Park, P. A. Sharma, J. S. Ahn, S. Guha and S-W. Cheong, Nature 429, 292 (2004).[12]
- 2007년: Multiferroics: a magnetic twist for ferroelectricity영어, S-W. Cheong and M. Mostovoy, Nature Materials 6, 14 (2007).[13]
- 2009년: Switchable ferroelectric diode and photovoltaic effect in BiFeO3영어, T. Choi, S lee, Y. J. Choi, V. Kityukhin and S-W. Cheong, Science 327, 63 (2009).[14]
- 2010년: Insulating Interlocked Ferroelectric and Structural Antiphase Domain Walls in Multiferroic YMnO3영어, T. Choi, Y. Horibe, H. T. Yi, Y. J. Choi, Weida. Wu, and S-W. Cheong, Nature Materials 9, 253 (2010).[15]
- 2010년: Self-organization, condensation, and annihilation of topological vortices and antivortices in a multiferroic영어, S. C. Chae, Y. Horibe, D. Y. Jeong, S. Rodan, N. Lee, and S.-W. Cheong, PNAS 107, 21366[16]
5. 1. 주요 논문 (일부)
- 1991년: Incommensurate Magnetic Fluctuations in La2-xSrxCuO4영어, S-W. Cheong, G. Aeppli, T. E. Mason, H. Mook, S. M. Hayden, P. C. Canfield, Z. Fisk, K. N. Clausen and J. L. Martinez, Phys. Rev. Lett. 67, 1791 (1991).[7]
- 1995년: Low-Temperature Magnetoresistance and the Magnetic Phase-Diagram of La1-xCaxMnO3영어, P. Schiffer, A. P. Ramirez, W. Bao and S-W. Cheong, Phys. Rev. Lett. 75, 3336 (1995).[8]
- 1995년: Lattice Effects on the Magnetoresistance in Doped LaMnO3영어, H. Y. Hwang, S-W. Cheong, P. G. Radaelli et al., Phys. Rev. Lett. 75, 914 (1995).[9]
- 1998년: Pairing of Charge-Ordered Stripes in (La,Ca)MnO3영어, S. Mori, C. H. Chen and S-W. Cheong, Nature 392, 473 (1998).[10]
- 1999년: Percolative Phase Separation Underlies Colossal Magnetoresistance in Mixed-Valent Manganites영어, M. Uehara, S. Mori, C. H. Chen, and S-W. Cheong, Nature 399, 560 (1999).[11]
- 2004년: Electric polarization reversal and memory in a multiferroics materials induced by magnetic fields영어, N. Hur, S. Park, P. A. Sharma, J. S. Ahn, S. Guha and S-W. Cheong, Nature 429, 292 (2004).[12]
- 2007년: Multiferroics: a magnetic twist for ferroelectricity영어, S-W. Cheong and M. Mostovoy, Nature Materials 6, 14 (2007).[13]
- 2009년: Switchable ferroelectric diode and photovoltaic effect in BiFeO3영어, T. Choi, S lee, Y. J. Choi, V. Kityukhin and S-W. Cheong, Science 327, 63 (2009).[14]
- 2010년: Insulating Interlocked Ferroelectric and Structural Antiphase Domain Walls in Multiferroic YMnO3영어, T. Choi, Y. Horibe, H. T. Yi, Y. J. Choi, Weida. Wu, and S-W. Cheong, Nature Materials 9, 253 (2010).[15]
- 2010년: Self-organization, condensation, and annihilation of topological vortices and antivortices in a multiferroic영어, S. C. Chae, Y. Horibe, D. Y. Jeong, S. Rodan, N. Lee, and S.-W. Cheong, PNAS 107, 21366[16]
참조
[1]
웹사이트
Home - Unit - DMP
http://www.aps.org/u[...]
[2]
뉴스
Ho-Am Foundation picks five prize winners
The Korea Herald
2007-04-04
[3]
웹사이트
ORCID
https://orcid.org/00[...]
2023-05-22
[4]
웹사이트
13th Most Cited Physicist in the world for the last decade
http://www.in-cites.[...]
[5]
뉴스
논문 피인용수 노벨상 수상 수준 도달 한국 과학자 6명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9-21
[6]
웹인용
Citation Collection Center
http://www.in-cites.[...]
2014-04-02
[7]
논문
Incommensurate Magnetic Fluctuations in La2-xSrxCuO4
1991
[8]
논문
Low-Temperature Magnetoresistance and the Magnetic Phase-Diagram of La1-xCaxMnO3
1995
[9]
논문
Lattice Effects on the Magnetoresistance in Doped LaMnO3
1995
[10]
논문
Pairing of Charge-Ordered Stripes in (La,Ca)MnO3
1998
[11]
논문
Percolative Phase Separation Underlies Colossal Magnetoresistance in Mixed-Valent Manganites
1999
[12]
논문
Electric polarization reversal and memory in a multiferroics materials induced by magnetic fields
2004
[13]
논문
Multiferroics: a magnetic twist for ferroelectricity
2007
[14]
논문
Switchable ferroelectric diode and photovoltaic effect in BiFeO3
2009
[15]
논문
Insulating Interlocked Ferroelectric and Structural Antiphase Domain Walls in Multiferroic YMnO3
2010
[16]
논문
Self-organization, condensation, and annihilation of topological vortices and antivortices in a multiferroic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