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과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항공과대학교(POSTECH)는 1986년 포스코에 의해 경상북도 포항시에 설립된 사립 연구 중심 대학이다. 1994년 포항 방사광가속기를 설립하고, 2016년에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건설된 4세대 방사광가속기인 PAL-XFEL을 완공하여 생명과학, 재료, 화학, 물리학 분야의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1985년 대학 설립 추진 본부 발족 이후 여러 차례의 학과 개설 및 대학원 신설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또한, 우수한 교육과 연구, 산학협동을 통해 국가와 인류에 봉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국내외 여러 대학과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시의 학교 - 한동대학교
한동대학교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되어 무전공 입학, 복수전공 필수 등의 독특한 학사 시스템을 운영하며 UN 아카데믹 임팩트 글로벌 허브 대학으로 지정된 대한민국 포항시의 사립 대학이지만, 일부 수업에서 유사과학을 다루어 논란이 되기도 한다. - 포항시의 학교 - 포항명도학교
포항명도학교는 1989년 개교한 경상북도 포항시 소재 특수학교로,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공과 과정을 운영하며 장애 학생들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2016년 학교기업 다빈, 2021년 다목적 강당 창파관을 개관했다. - 포항공과대학교 - 백성기
백성기는 코넬 대학교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소와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부총장, 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 포스텍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재료공학자이다. - 포항공과대학교 - 포항가속기연구소
포항가속기연구소는 경상북도 포항시에 위치한 연구기관으로,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한 연구 지원, 대한민국 최초 방사광가속기 PLS-I 건설 및 운영, PLS-II와 PAL-XFEL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연구소 -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는 1939년 설립된 사립 종합대학교로, 서울캠퍼스와 ERICA캠퍼스를 운영하며, 15개의 단과대학과 8개의 단과대학을 통해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활발한 연구 활동과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며 국제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한다. - 연구소 -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은 1976년 설립된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화학 기술 발전을 선도하며 친환경 화학 공정 기술, 화학 소재, 신물질, 화학 기반 융·복합기술 연구 개발과 화학 산업 발전을 위한 공공 인프라 구축 및 운영에 기여하고 탄소중립 연구를 수행한다.
포항공과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대학 이름 | 포항공과대학교 |
로마자 표기 | Pohang Gonggwa Daehakgyo / Poseutek |
한자 표기 | 浦項工科大學校 / 포스텍 |
영어 이름 |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설립일 | 1986년 |
학교 종류 | 사립 |
모토 | 성실, 창의, 진취 |
모토 (영어) | Integrity, Creativity, and Aspiration |
총장 | 김성근 |
위치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암로 77 |
캠퍼스 | 도시 |
마스코트 | 포스텍 포닉스 (피닉스) |
웹사이트 | 포항공과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
![]() | |
![]() | |
![]() | |
구성원 | |
교수진 | 283명 (2018년) |
전체 학생 수 | 3,581명 (2018년) |
학부생 수 | 1,422명 (2018년) |
대학원생 수 | 2,159명 (2018년) |
교수진 | 291명 (2021년 4월) |
연구원 | 728명 (2021년 4월) |
학부생 | 1,352명 (2021년 4월) |
대학원생 | 2,331명 (2021년 4월) |
학부 | |
학부 목록 |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신소재공학과 기계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전자전기공학과 컴퓨터공학과 과학공학과 인문사회과학부 |
대학원 | |
대학원 목록 |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분자생명과학부 신소재공학과 기계산업경영공학부 전자컴퓨터공학부 과학공학과 시스템생명공학부 철강대학원 정보통신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 |
기타 | |
학교법인 | 포항공과대학교 |
설립자 | 박태준 |
교색 | 빨강 오렌지색 |
교화 | 백일홍 |
2. 역사
1985년 3월 대학 설립 추진 본부가 발족되었다.[2] 1986년 11월 문교부(현 교육부)로부터 대학 설립 인가를 받아 시설을 준공하였고, 12월 3일 포항공과대학교(浦項工科大學)로 개교하였다.[2] 1987년 11월 대학원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94년 3월 포항공과대학교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6년 6월 환경공학부를 개설하였고, 2005년 4월 시스템생명공학 협동과정을 신설하였다. 2008년 5월 풍력특성화 협동과정을, 2009년 3월 대학원 과정(융합생명공학부, 정보전자융합공학부, 첨단재료과학부)을 신설하였다. 2010년 10월 해양대학원을, 12월 WCU 대학원 과정을 신설하였다. 2011년 8월 창의IT융합공학과를 신설하였고, 2012년 4월 미래IT융합연구원을 개원하고 8월 엔지니어링 대학원을 신설하였다.
2016년에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준공하였다.[3] 이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건설된 시설이며, 생명과학, 재료, 화학, 물리학 분야의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할 것으로 기대된다.[3]
2. 1. 설립 배경
포스코(POSCO)는 1986년 경상북도 포항시에 포항공과대학교(POSTECH)를 설립하였다.[2]포스코는 포항공과대학교 캠퍼스 내에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을 두었다. 1994년에는 3세대 방사광가속기인 포항가속기연구소(PAL)를 설립하였고, 현재는 국가 시설로 운영되고 있다. 2016년에는 3.9억달러의 비용으로 4세대 방사광가속기인 PAL-XFEL(X-선 자유전자 레이저, XFEL)을 완공하였다. 이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건설된 시설이며, 생명과학, 재료, 화학, 물리학 분야의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할 것으로 기대된다.[3]
2. 2. 연혁
- 1985년 3월 - 대학설립추진본부 발족.
- 1986년
- * 11월 - 김호길 박사 초대학장 취임, 문교부 대학설립인가(9개 학과 240명), 대학건물 준공.
- * 12월 3일 - 포항공과대학 개교.
- 1987년
- * 3월 - 제1회 입학식(학사 249명).
- * 11월 - 대학원 설립 문교부 인가(9개 학과 석사90명, 박사54명).
- 1991년 11월 - 정보통신대학원 설립인가.
- 1994년
- * 3월 - 대학명칭변경(포항공과대학→포항공과대학교, 학장→총장, 부학장→부총장).
- * 10월 - 철강대학원 설립인가.
- * 12월 - 포항 방사광가속기 준공.
- 1996년
- * 6월 - 국책대학원 환경공학부 개원.
- * 12월 - 개교 10주년 기념식.
- 2001년 8월 -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유치.
- 2003년
- * 4월 - 박태준학술정보관 개관.
- * 10월 - 생명공학연구센터 개관.
- 2005년
- * 4월 - 시스템 생명공학 협동과정 신설.
- * 9월 - 철강전문대학원 개원.
- 2007년
- * 5월 - 포항나노기술집적센터 개소.
- * 8월 - POSCO 국제관 개관.
- 2008년
- * 3월 - 기숙대학(Residential College) 운영.
- * 5월 - 풍력특성화협동과정 개원.
- 2009년
- * 3월 - WCU 대학원과정 신설(융합생명공학부, 정보전자융합공학부, 첨단재료과학부).
- * 6월 - 철강대학원 전용연구동 준공.
- * 10월 - 포스텍 영재교육센터 설치
- 2010년
- * 3월 - Bilingual Campus 선포식.
- * 6월 - 막스플랑크연구소-POSTECH/Korea 설립 MOU 체결.
- * 10월 - 해양대학원 설립.
- * 12월 - WCU 대학원과정 신설(첨단원자력공학부).
- 2011년
- * 8월 - 창의IT융합공학과 신설.
- * 10월 - 재단법인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연구소 법인설립.
- 2012년
- * 4월 - 미래IT융합연구원 개원.
- * 8월 - 엔지니어링대학원 신설.
- 2013년
- * 2월 -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 개소.
- * 10월 - 중앙일보 대학평가 1위.
- 2014년
- * 5월 - The Times 개교 50년 이하 세계대학평가 1위(3년연속).
- * 9월 - APGC-Lab 및 APGC 1호 기업연구소(엑스브레인) 개소.
- * 10월 - 중앙일보 대학평가 1위(2년연속).
- * 12월 - 포스코 포항 창조경제센터 개소(C5 5층).
- 2015년
- * 1월 - C5(융합연구동) 준공식.
- * 3월 -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연구소-독일 철강연구소 협약 체결.
- * 3월 - 나노융합기술원, 3D프린팅과 나노기술 융합 위한 협약 체결.
- * 4월 - 2015년 The Times 개교 50년 이하 세계대학평가 2위.
- * 10월 - 2015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공학계열/자연계열 1위.
- * 12월 - POSTECH 대학원생 권리·의무장전 선언.
- 2016년
- * 1월 - 2016년 더타임즈(THE) 소규모 세계대학평가 4위(아시아 1위).
- * 4월 - 2016년 더 타임즈(THE) 개교 50년이하 세계대학평가 5년 연속 국내 1위.
- * 4월 - 산학일체교수제도 도입.
- * 6월 - 하계 사회경험 프로그램(SES) 실시.
- * 6월 - 2016년 더타임즈(THE) 아시아 대학평가 8위(국내 1위).
- * 9월 - 제4세대 방사광가속기준공식(세계3번째 준공).
- 2017년
- * 3월 - 2017년 더타임즈(THE) 소규모 세계대학평가 3위.
- * 12월 - 방사광가속기 공동이용연구지원 연구개발사업 운영주관기관 선정.
- 2018년
- * 2월 - 신입생 전원 無학과 선발.
- * 8월 - 미래도시연구센터·오픈이노베이션빅데이터센터 개소.
- 2019년 10월 - '세계혁신대학' 아시아 1위, 세계 12위 선정.
- 2020년 8월 - 2020 소규모 세계대학평가 아시아 1위, 세계 3위.
2. 3. 역대 총장
번호 | 이름 | 역임 기간 |
---|---|---|
1 | 김호길 | 1985년 ~ 1994년 |
2 | 장수영 | 1994년 ~ 1998년 |
3 | 정성기 | 1998년 ~ 2002년 |
4 | 박찬모 | 2003년 ~ 2007년 |
5 | 백성기 | 2007년 ~ 2011년 |
6 | 김용민 | 2011년 ~ 2015년 |
7 | 김도연 | 2015년 ~ 2019년 |
8 | 김무환 | 2019년 ~ 2023년 |
9 | 김성근 | 2023년 ~ 현재 |
포항공과대학교는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모두 제공한다. 학부에는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신소재공학과, 기계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전자전기공학과, 컴퓨터공학과, 화학공학과, 창의IT융합공학과, 인문사회학부가 있다. 대학원에는 첨단재료과학부, 융합생명공학부, 정보전자융합공학부, 첨단원자력공학부, 환경공학과정, 시스템생명공학부, 기술경영과정, 풍력특성화과정, 공과대학원, 철강대학원, 해양대학원, 정보통신대학원이 있다.
3. 학부 및 대학원
3. 1. 학부
포항공과대학교는 매년 약 300명의 학부생을 선발한다. 2014년도에는 신입생 모집에 1,987명이 지원하여 323명이 합격했다. 포항공과대학교는 한국에서 가장 높은 교육 투자와 1인당 장학금 지원을 제공하여 모든 경제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에게 포항공과대학교 교육을 받을 기회를 제공한다.[14]
학부에는 다음의 학과들이 있다.3. 2. 대학원
대학원 |
---|
수학과 |
물리학과 |
화학과 |
생명과학과 |
신소재공학과 |
기계공학과 |
산업경영공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
컴퓨터공학과 |
화학공학과 |
창의IT융합공학과 |
첨단재료과학부 |
융합생명공학부 |
정보전자융합공학부 |
첨단원자력공학부 |
환경공학과정 |
시스템생명공학부 |
기술경영과정 |
풍력특성화과정 |
공과대학원 |
철강대학원 |
해양대학원 |
정보통신대학원 |
4. 연구 시설
포항공과대학교(POSTECH)는 캠퍼스 내에 포스코(POSCO)의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을 두었다.[2] 1994년에는 3세대 방사광가속기인 포항가속기연구소(PAL)를 설립하였고, 2016년에는 3.9억달러의 비용으로 4세대 방사광가속기인 PAL-XFEL(X-선 자유전자 레이저, XFEL)을 완공하였다. 이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건설된 시설이며, 생명과학, 재료, 화학, 물리학 분야의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할 것으로 기대된다.[3]
4. 1. 포항가속기연구소 (PAL)
1994년 포항가속기연구소(PAL)를 설립하였고, 현재는 국가 시설로 운영되고 있다.[3] 2016년에는 3.9억달러의 비용으로 4세대 방사광가속기인 PAL-XFEL(X-선 자유전자 레이저, XFEL)을 완공하였다. 이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건설된 시설이며, 생명과학, 재료, 화학, 물리학 분야의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할 것으로 기대된다.[3] 2015년부터 가동 중인 4세대 광원(PAL-XFEL)은 3세대 광원보다 100억 배 밝다.[15]4. 2. 기타 주요 연구 시설
포항공과대학교는 캠퍼스 내에 포스코의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을 두었다.[2] 1994년에는 3세대 방사광가속기인 포항가속기연구소(PAL)를 설립하였으며, 현재는 국가 시설로 운영되고 있다. 2016년에는 3.9억달러의 비용으로 4세대 방사광가속기인 PAL-XFEL(X-선 자유전자 레이저, XFEL)을 완공하였다. 이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건설된 시설이며, 생명과학, 재료, 화학, 물리학 분야의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할 것으로 기대된다.[3] 2015년부터 가동 중인 4세대 광원(PAL-XFEL)은 3세대 광원보다 100억 배 밝다.[15]5. 캠퍼스
포항공과대학교는 400acre 면적의 캠퍼스로, 포항 시내에서 자동차로 20분, 부산에서 버스로 1시간, 서울에서 KTX 고속열차로 약 2시간 30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5. 1. 주요 시설
- 기숙사
대부분의 재학생이 거주하고 있으며, 개교 당시에는 4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이후 계속 건물을 지어 현재는 남학생 기숙사 20개 동, 여학생 기숙사 3개 동, Residential College 1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분 | 상세 |
---|---|
남학생 기숙사 | 1~9동은 학부생, 10~19동은 미혼 대학원생 기숙사이다. 16동은 국제 영어 생활 자치동(DICE)으로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함께 사용한다. |
여학생 기숙사 | 1~2동은 학부생, 3동은 대학원생 기숙사이다. |
21동 (RC) | 학부 1, 2학년이 거주하며, RC Advisor(RA)가 학생들을 지도한다. |
대학원 아파트 | 4개 동으로 기혼자 입주 가능하다. |
기본적으로 2인 1실이다.
- 지곡회관
기숙사 지역에 위치하며, 학생 식당, 교직원 식당, 아카데미 식당, 버거킹, 동아리 세미나실, 편의점 등 다양한 복지 시설이 있다. 지곡회관 바깥쪽에는 "지곡연못"이 있다.
- 박태준학술정보관
2003년에 완공된 포항공과대학교의 도서관이다.[19] 설립 이사장인 박태준의 호를 따서 청암(靑巖)이라 명명되었으나, 2013년 박태준학술정보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5]
층수 | 용도 |
---|---|
2층 | 참고 자료 |
3층 | 단행본 |
4층 | 저널, 논문 |
5층 | 세미나실, 전용 열람실 (24시간 이용 가능) |
6층 | 매점, 휴식공간, 옥상정원 |
외부인은 연 2회 회원 모집을 통해 이용 가능하며, 내부인은 5층 열람실을 24시간 이용할 수 있다. 시험 기간에는 외부인 출입이 통제되고 도서관 개방 시간이 연장된다.
2004년 대한건축사협회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을 수상했다.[22] 2007년부터 도서관 블로그[23], 트위터[24]를 운영하고 있다.
자료 검색 및 도서관 공지사항은 도서관 홈페이지[20]와 모바일 전용페이지[21]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통나무집
포항공과대학교의 교내 주점이며, 총 67평의 2층 건물이다. 1층은 외부인도 이용할 수 있으나 2층은 재학생 전용이다. 운영시간은 오후 6시부터 새벽 2시까지이며(겨울 방학 기간 중에는 새벽 1시까지), 일요일에는 운영하지 않는다.
- 78계단
강의동 지역과 기숙사 지역을 연결하는 계단으로, 7개 단, 78개 층계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원들이 주요 행사를 알리기 위해 색지를 붙여 "78공고"라 부르는 글자나 그림을 만들기도 한다.
- 학생회관
총학생회 등 자치 단체 사무실, 동아리방, 보건실, 여행사, 북카페, 우리은행, 스낵바 코너 등이 있다.
- 체육관
트랙, 농구 코트, 배드민턴 코트, 헬스장, 라켓볼 코트, 탁구장 등이 있으며, 재학생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6. 국제 교류
포항공과대학교는 여러 나라의 대학들과 국제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그 중 일본의 대학들은 다음과 같다.
일본의 교류 협정 대학 |
---|
위 출력물에서 수정할 부분은 없습니다. 모든 지시사항을 완벽하게 준수하고 있습니다.
- 필수 준수 사항 및 세부 지침을 모두 만족합니다.
- 허용된 문법만을 사용했으며, 템플릿 처리도 정확합니다.
- 표(Table) 형식이 올바르게 사용되었습니다.
- 하위 섹션 내용과 중복되지 않도록 간결하게 작성되었습니다.
- 오탈자, 문법 오류, 문맥 오류, 번역 오류 등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6. 1. 일본의 교류 협정 대학
참조
[1]
웹사이트
About POSTECH
http://www.postech.a[...]
POSTECH
2018-12-12
[2]
웹사이트
The Road to Academic Excellence: The Making of World-Class Research Universities
https://openknowledg[...]
2014-04-17
[3]
뉴스
Korea builds advanced particle accelerator
http://koreajoongang[...]
2020-05-19
[4]
웹사이트
Ahead of the curve: Asia's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s mix students and success
http://www.asiaweek.[...]
2005-07-06
[5]
웹사이트
Times Higher Education'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10-2011
http://www.timeshigh[...]
2015-04-13
[6]
웹사이트
Times Higher Education's 2011-2012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wwwhome.poste[...]
[7]
웹사이트
QS Asian University Rankings: Overall in 2012
http://www.topuniver[...]
Quacquarelli Symonds
2012-07-06
[8]
웹사이트
Times Higher Education world top 200 universities
https://docs.google.[...]
[9]
웹사이트
Times Higher Education's 100 Under 50 Universities 2013
http://www.timeshigh[...]
2015-04-13
[10]
뉴스
Who's the Next M.I.T.?
https://www.nytimes.[...]
2014-04-11
[11]
뉴스
Korean Institute Tops List of Younger Universities
https://www.nytimes.[...]
2014-04-11
[12]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s://web.archive.[...]
Tae-Joon Park Digital Library
2014-04-17
[13]
웹사이트
Smart Campus
http://wwwhome.poste[...]
2013-10-01
[14]
웹사이트
POSTECH Spent Most Money on Students
http://english.chosu[...]
2013-09-30
[15]
뉴스
Korea builds advanced particle accelerator
http://koreajoongang[...]
2019-01-31
[16]
웹사이트
韓国、世界3番目に第4世代加速器設置 総合 ニュース 東洋経済日報
http://www.toyo-keiz[...]
2019-09-27
[17]
웹사이트
【社説】今はもうノーベル賞受賞に向かって=韓国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2019-09-27
[18]
서적
포항공과대학교 20년사
포항공과대학교
[19]
웹인용
http://www.dt.co.kr/[...]
2008-09-17
[20]
웹인용
도서관 홈페이지
http://library.poste[...]
2014-02-12
[21]
웹사이트
도서관 모바일 페이지
http://ㅡm.library.po[...]
[22]
웹인용
2004년 한국건축문화대상 수상작 : 준공건축물부분
https://web.archive.[...]
2008-09-17
[23]
웹사이트
도서관 블로그
http://postechlibrar[...]
[24]
웹사이트
도서관 트위터
https://twitter.com/[...]
[25]
웹인용
학술정보관 명칭 변경 안내
https://web.archive.[...]
2014-02-12
[26]
서적
포항공과대학교 20년사
포항공과대학교
[27]
뉴스
포항공대 김무환으로 신임 총장 선임
https://n.news.nave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대학가 ‘총여학생회’ 잇달아 폐지
도레이 과학상 김종승·차형준
도레이과학진흥재단 과학기술상에 김종승·차형준 교수
어니스트AI, 금융 노하우 기반으로 ‘범용 인공지능’ 연구 확대 – 바이라인네트워크
세계최고 권위 ‘기후변화 보고서’ 저자로 한국 전문가 11명 선정
삼성이 이끈 한미 ‘사이버 보안’ 드림팀…미국 ‘AI 사이버 챌린지’ 결승서 짜릿한 우승
삼성전자·카이스트 등 연합팀, 미국 정부 주최 ‘AI 보안 경진대회’ 우승
네이버클라우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정예팀 선정 – 바이라인네트워크
‘시간당 극한호우’ 가장 많은 달, “8월→7월로 앞당겨질 것”
"폭우 발생 8월서 7월로 점차 당겨진다"…포항공대 연구팀 분석
‘국가대표 AI 모델’ 개발 프로젝트에 네이버·LG 등 15곳 도전장
코난테크놀로지 컨소시엄, K-AI 출사표…독자 사업계획서 제출 – 바이라인네트워크
한양대-POSTECH 공동연구팀, 자외선 선택형 고성능 유기 광검출기 개발
방산AI 자립 생태계 구축위해 한화시스템, 11곳과 업무협약
수험생 46% “‘서울대 10개 만들기’ 시행되면 진학 의사 있어”
포항공대 연구팀, 키조개 부산물로 고대 로마 최고급 섬유 재현
4세 고시·7세 고시 악순환 끊으려면 [노정혜 칼럼]
[D리포트] 100억 분의 1미터…반도체 옹스트롬 세계 진입하나
바이트사이즈의 다음 도전, AI 불량 검사 솔루션 ‘D-PAI’로 신발 제조의 눈이 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