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영 (야구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우영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서울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주전으로 활동했으며, 2019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LG 트윈스에 입단했다. 데뷔 첫 해부터 필승조로 활약하며 신인왕을 수상했다. 2021년에는 팀의 시즌 최다 홀드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평초등학교 (경기) 동문 - 윤호중
윤호중은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평화민주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 김대중 정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열린우리당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5선 국회의원, 원내대표, 사무총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가평초등학교 (경기) 동문 - 김선경 (1968년)
김선경은 1968년 출생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1987년 드라마 《사랑이 꽃피는 나무》로 데뷔하여 드라마, 영화, 뮤지컬, 예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2017년 MBC 연기대상 미니시리즈 황금 연기상 등을 수상했다. - 가평군 출신 - 최재성 (정치인)
최재성은 1965년생으로 동국대학교를 졸업하고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3선 국회의원과 새정치민주연합 사무총장, 문재인 정부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가평군 출신 - 윤호중
윤호중은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평화민주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 김대중 정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열린우리당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5선 국회의원, 원내대표, 사무총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경기도 출신 스포츠인 - 유영찬
유영찬은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선수로, 2020년 LG 트윈스에 입단하여 2023년 데뷔전을 치른 후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 경기도 출신 스포츠인 - 최원준 (1997년)
최원준(1997년)은 2016년 KIA 타이거즈에 입단한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외야수로, 상무 야구단에서 군 복무 후 복귀하여 2023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으며, 2021년에는 174개의 안타를 기록했다.
정우영 (야구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선수명 | 정우영 |
로마자 표기 | Jeong Uyeong |
소속 구단 | LG 트윈스 |
등번호 | 16 |
![]() |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99년 8월 19일 () |
출신지 | 대한민국 경기도 가평군 |
신장 | 193 |
체중 | 99 |
수비 위치 | 투수 |
투구 | 우(사이드암) |
타석 | 좌 |
프로 입단 연도 | 2019년 |
드래프트 순위 | 2019년 2차 2라운드(LG 트윈스) |
첫 출장 | KBO / 2019년 3월 24일 광주 대 KIA전 구원 |
계약금 | 1억원 |
연봉 | 3억 2,000만원(2024년) |
경력 | LG 트윈스 (2019년~현재) |
수상 | |
획득 타이틀 | 2019년 KBO 신인상 2022년 KBO 홀드왕 |
국가대표 | |
대표 국가 | 대한민국 |
아시안 게임 | 2022년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2023년 |
메달 틀 | 의 선수}} |
메달 스포츠 | 남자 야구 |
메달 경기 | 아시안 게임 |
금메달 | 2022 항저우 단체전 |
2. 아마추어 시절
서울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주전으로 활동했다. 3학년 때는 에이스였던 최현일, 이교훈이 부진했고, 정우영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에이스로 떠올랐다. 사이드암 투수로는 고교 투수 최대어였던 서준원 다음으로 주목받았다.[1]
LG 트윈스에 입단하여 투수로 활동했다. 신인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5순위(전체 15순위)로 지명되었으며, 신인 중 1차 지명을 받은 이정용과 함께 스프링 캠프에 합류했다. 연습 경기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 개막 엔트리에 포함되었고, 3월 24일 KIA와의 경기에서 구원 등판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러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데뷔 첫 해부터 필승조로 활동했지만, 잦은 등판으로 6월부터 실점을 허용하는 경기가 많아져 후반기 시작과 함께 어깨 염증으로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되기도 했다. 후반기에 다소 흔들렸고, 포스트시즌에서도 불안한 모습을 보였으나, 1997년 이병규에 이어 팀에서 22년 만에 신인왕을 수상했다.[1] 2020 시즌에는 선발 투수로 나설 예정이었지만 부상으로 인해 불펜으로 활동했고, 2021 시즌 초반에는 좋은 모습을 보여줬으나 6월부터 흔들렸다. 그러나 2021년 10월 26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26홀드를 기록하며 팀의 시즌 최다 홀드를 기록했다.
3. 프로 선수 시절
3. 1. LG 트윈스 시절
LG 트윈스에 입단하여 투수로 활동했다. 신인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5순위(전체 15순위)로 지명되었으며, 신인 중 1차 지명을 받은 이정용과 함께 스프링 캠프에 합류했다. 연습 경기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 개막 엔트리에 포함되었고, 3월 24일 KIA와의 경기에서 구원 등판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러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데뷔 첫 해부터 필승조로 활동했지만, 잦은 등판으로 6월부터 실점을 허용하는 경기가 많아져 후반기 시작과 함께 어깨 염증으로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되기도 했다. 후반기에 다소 흔들렸고, 포스트시즌에서도 불안한 모습을 보였으나, 1997년 이병규에 이어 팀에서 22년 만에 신인왕을 수상했다.[1] 2020 시즌에는 선발 투수로 나설 예정이었지만 부상으로 인해 불펜으로 활동했고, 2021 시즌 초반에는 좋은 모습을 보여줬으나 6월부터 흔들렸다. 그러나 2021년 10월 26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26홀드를 기록하며 팀의 시즌 최다 홀드를 기록했다.
3. 1. 1. 2019 시즌
신인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5순위(전체 15순위)로 LG 트윈스에 입단하였다. 신인 중 1차 지명을 받은 이정용과 함께 스프링 캠프에 합류했고, 연습 경기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개막 엔트리에 포함되었다. 3월 24일 KIA와의 경기에서 구원 등판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데뷔 첫 해부터 필승조로 활동했지만, 잦은 등판으로 인해 6월부터 실점을 허용하는 경기가 많아졌다. 결국 후반기 시작과 함께 어깨 염증으로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되었다.
후반기에 다소 흔들렸고, 포스트시즌에서도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시즌 후 신인왕을 수상했는데, 이는 1997년 이병규에 이어 팀에서 22년 만에 나온 신인왕이었다.[1]
3. 1. 2. 2020 시즌
시즌 전 선발 투수로 나설 예정이었지만 부상으로 인해 불펜으로 활동했다.
3. 1. 3. 2021 시즌
시즌 초반에는 좋은 모습을 보여줬으나 6월부터 많이 흔들렸다. 그러나 2021년 10월 26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26홀드를 기록하며 팀의 시즌 최다 홀드를 기록했다.
4. 수상 경력
- 2018년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수 투수상[1]
- 2019년 KBO 신인왕
5. 출신 학교
6. 통산 기록
연도 | 팀명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2019 | LG | 3.72 | 56 | 0 | 0 | 4 | 6 | 1 | 16 | 0.400 | 273 | 57 | 2 | 20 | 8 | 38 | 30 | 27 | |
2020 | 3.12 | 65 | 0 | 0 | 4 | 4 | 5 | 20 | 0.500 | 305 | 75innings | 48 | 3 | 29 | 11 | 59 | 26 | 26 | |
2021 | 2.22 | 70 | 0 | 0 | 7 | 3 | 2 | 27 | 0.700 | 263 | 65innings | 43 | 0 | 26 | 8 | 41 | 16 | 16 | |
2022 | 2.64 | 67 | 0 | 0 | 2 | 3 | 0 | 35 | 0.400 | 248 | 58innings | 38 | 3 | 32 | 6 | 40 | 18 | 17 | |
통산 | 4시즌 | 2.94 | 258 | 0 | 0 | 17 | 16 | 8 | 98 | 0.536 | 1089 | 258innings | 148 | 8 | 107 | 33 | 178 | 90 | 86 |
- 빨간 글씨는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고 기록
-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