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인승은 전라북도 장수군 출신의 교육자이자 국어학자이다.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고창고등보통학교 영어 교사로 재직하다가 조선어학회에 참여하여 한글 사전 편찬 사업에 참여했다.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투옥되었으며, 광복 후 전북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1970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훈했다. 2005년에는 고향 장수군에 정인승 선생 기념관이 개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대학교 총장 - 서거석
서거석은 전북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전라북도교육감에 당선된 대한민국의 교육인이다. - 전북대학교 총장 - 심종섭 (임학자)
심종섭은 대한민국의 임학자이며, 가산상은 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고, 소호문화재단이 산림 분야 학술 및 교육에 기여한 개인 또는 단체에게 수여한다. - 한글학자 - 김두봉
김두봉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한글학자, 언어학자, 정치인으로, 주시경의 제자로서 한글 연구와 교육에 힘썼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조선독립동맹 결성, 북한 정권 수립에 참여했으나 김일성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숙청되었다. - 한글학자 - 정태진
정태진은 대한민국 건국에 기여하여 1962년 건국공로훈장을 받았으며, 그의 묘소는 파주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 전북대학교 교수 - 강준만
강준만은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한 대한민국의 대학교수이자 언론인이자 저술가이다. - 전북대학교 교수 - 진념
진념은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경제기획원 등에서 주요 보직과 다섯 차례의 장관직을 역임하며 한국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고 경제부총리, 장관 등을 지냈으며 경기도지사 선거에 낙선 후 학계와 재계에서 활동하고 있다.
정인승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인승 |
한글 | 정인승 |
한자 | 鄭寅承 |
가타카나 | チョン・インスン |
학자 정보 | |
![]() | |
출생일 | 1897년 5월 19일 |
출생지 | 대한제국 전라북도 장수 |
사망일 | 1986년 7월 7일 |
국적 | 대한제국 → 대한민국 |
분야 | 언어학 |
소속 기관 | 조선어학회 |
2. 생애
1921년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하여 1925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였다. 미국 유학을 희망하였으나 가족의 반대로 전라북도 고창고등보통학교 영어 교사가 되었다. 1935년 8월 31일 교사직을 그만두고[7] 9월 서울로 올라와 돈암동에서 목장을 운영하며 최현배를 만나 조선어학회에서 국어사전 편찬 사업에 참여하였다. 1942년 10월부터 해방 때까지 옥고를 치렀다.[7] 광복 후에는 전북대학교, 중앙대학교, 건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했고, 전북대학교 총장을 지냈다.[7][8][9][10]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1970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태어났다. 1921년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하여 1925년 문과를 졸업하였다. 미국 유학을 희망하였으나 가족의 반대로 좌절되었다.[7]2. 2. 교육 활동과 한글 연구
1925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을 희망하였으나 가족의 반대로 좌절, 전라북도 고창고등보통학교의 영어교사가 되었다.[7] 1935년 8월 31일 고창고등보통학교 영어교사직을 사직하고[7] 9월 서울로 상경, 돈암동에서 목장을 경영하며 양을 기르던 중 최현배를 만났다.[7] 최현배의 권고로 조선어학회에 가입, 조선어학회의 국어사전 편찬 사업에 참여하였다.[7] 1942년 10월부터 해방때까지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렀다.[7]2. 3. 광복 이후 활동
8.15 광복 후 정인승은 전북대학교, 중앙대학교, 건국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였고[1][2][3][4][5], 전북대학교에서는 총장을 역임하였다.[7][8][9][10]3. 수상 내역
연도 | 수상 내역 |
---|---|
1957년 | 큰사전 편찬공로상, 국어운동특별공로상 |
1959년 | 학술원공로상 |
1962년 | 건국훈장 독립장 |
1970년 | 국민훈장 모란장 |
4. 가족
5. 기타
정인승의 외증손녀 이미한이 그의 일대기를 다룬 에세이를 발표하였다.[7][8][9]
5. 1. 정인승 기념관
2005년 고향 전라북도 장수군에 정인승 선생 기념관이 개관되었다.[11][6]5. 2. 저서 및 관련 서적
정인승의 외증손녀 이미한이 그의 일대기를 다룬 에세이를 발표하였다.[7][8][9]참조
[1]
웹사이트
정인승(鄭寅承)
http://encykorea.aks[...]
2022-08-22
[2]
웹사이트
한글학회 누리집
http://www.hangeul.o[...]
[3]
뉴스
네이버 뉴스
http://news.naver.co[...]
[4]
웹사이트
dongA.com
http://www.donga.com[...]
[5]
웹사이트
dongA.com
http://www.donga.com[...]
[6]
웹사이트
chosun.com
http://www.chosun.co[...]
[7]
웹인용
한글학회 누리집
http://www.hangeul.o[...]
2008-07-08
[8]
뉴스
네이버 뉴스
https://news.naver.c[...]
[9]
웹사이트
dongA.com
http://www.donga.com[...]
[10]
웹사이트
dongA.com
http://www.donga.com[...]
[11]
웹사이트
chosun.com
http://www.chosun.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